KR100923392B1 -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 Google Patents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3392B1 KR100923392B1 KR1020090053600A KR20090053600A KR100923392B1 KR 100923392 B1 KR100923392 B1 KR 100923392B1 KR 1020090053600 A KR1020090053600 A KR 1020090053600A KR 20090053600 A KR20090053600 A KR 20090053600A KR 100923392 B1 KR100923392 B1 KR 1009233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internet
- address
- terminal
- access
- heterogeneous networ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8—Number portability ; Network address porta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이종망 접속 요청에 따라 해당 망 접속인증서버에 접속하여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해당 망에 접속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해당 망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에 있어서, 휴대인터넷(WiBro)에 접속하여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기 위한 휴대인터넷 접속수단; 상기 휴대인터넷 접속수단으로부터의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하고,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수단과 상기 휴대인터넷 접속수단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접속중계 제어수단; 및 무선인터넷 단말로부터 패스워드(PW)를 이용한 이종망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접속중계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사설 아이피주소를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수단을 포함한다.
이종망, 접속 중계, 공인 아이피주소, 사설 아이피주소, 무선인터넷, 휴대인터넷, 지그비, 프로토콜 변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lay apparatus, and in response to a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quest from a pre-registered user terminal, accesses the corresponding network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and converts the assigned public IP address into a private IP address and then the user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lay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 corresponding network and relaying data through protocol convers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network.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apparatus, comprising: a portable Internet access means for accessing a portable Internet (WiBro) to receive an authorized IP address; Connection relay control means for converting the public IP address from the portable Internet access means into a private IP address and relaying data through a protocol conversion between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access means and the portable Internet access means; And allowing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to be connected according to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quest using a password (PW) from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private IP address from the connection relay control unit to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Connection means.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Public IP Address, Private IP Address, Wireless Internet, Mobile Internet, Zigbee, Protocol Convers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이종망 접속 요청에 따라 해당 망 접속인증서버에 접속하여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해당 망에 접속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해당 망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n response to a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quest from a pre-registered user terminal, accessing the corresponding network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converts an authorized IP address into a private IP addr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lay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accessing the network, and relaying data through protocol convers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network.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모든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고 이용자 눈에 보이지 않으며,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고 현실 세계의 사물과 환경속으로 스며들어 일상 생활에 통합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Ubiquitous computing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ll comput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visible to the user, can be used anytime, anywhere, and permeate into real world objects and environments and integrate into everyday life.
또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는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통신속도 등의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고 모든 정보나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는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이의 구현으로 기존의 정보통신 네트워크나 서비스가 가지고 있었던 여 러 가지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이용자가 자유롭게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ubiquitous network means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be used by anyone, anytime, anywhere without restriction of communication speed, and can distribute all information or content, and by implementation of this, many exist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s or services had The user can freely use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any limitations.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들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현재 진행 중이며, 이와 관련된 기술의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또한, 향후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자율적인 센싱, 저전력 통신기능 제공, 및 수천 개 이상의 노드 객체들로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정보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필요로 한다.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new services utilizing such ubiquitous computing and ubiquitous networks, and the importance of related technologies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futur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requires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services anytime, anywhere by configur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autonomous sensing, low power communication, and thousands of node objects.
많은 산·학·연에서 이러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연구 및 개발 중에 있으며, 대표적으로 지그비(Zigbee) 협약(Alliance)에서는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응용가능한 네트워크 프로토콜(Network Protocol), 응용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 및 응용 프로파일(Application Profile)에 대해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Many industries, academia and research are researching and developing the technologies necessary to provide such an environment. Typically, the Zigbee Alliance is based on these technologies. Standardization is underway for the Application Framework and Application Profile.
한편, 유무선망의 통합과 함께 개인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출현에 따라 동영상서비스, 인터넷방송서비스, 및 대용량의 DB 액세스 기술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2.3GHz 대역을 이용하여 궁극적으로 수백 Mbps급의 초고속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시간에 따라 변하는 무선 채널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며, 트래픽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대칭 및 비대칭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고품질, 고용량의 초고속 멀티미디어 통신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integration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s, the demand for video services, Internet broadcasting services, and services requiring a large amount of DB access technology is increasing with the increase of personal mobility and the appearance of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Therefore,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use the 2.3 GHz band to ultimately transmit and receive hundreds of Mbps ultra high-speed data, effectively adapt to time-varying wireless channels, and provide data symmetrically and asymmetrically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There is a demand for high quality, high capacity, high speed multimedia communication technology.
이와 함께 차세대 이동통신에 대한 초기 모델로서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저렴한 사용 요금으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구축비용이 높아 무선인터넷의 이용요금이 높고, 단말기 화면이 작기 때문에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의 제약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존재하여 초고속 무선인터넷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as an initial model for the next gene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internet services that can provide services to anyone, anywhere, anytime, at a low fee for use are attracting attentio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a high base station construction cost, high usage rate of the wireless Internet, and a small screen of th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such as limitation of the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there is a limit to provide a high-speed wireless Internet.
그리고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frequencies) 대역을 이용한 무선 랜(LAN) 기술은 홈 LAN 등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전파간섭, 좁은 사용영역(coverage) 등으로 인하여 공중서비스 제공에는 역시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서 무선 LAN보다 셀 크기가 크고 중저속의 이동성을 지원하면서 심리스(seamles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초고속 휴대용 인터넷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Wireless LAN (LAN) technology using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frequencies) bands can be applied to home LAN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providing public services due to radio interference and narrow coverage. To this e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high-speed portable Internet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seamless service while providing a cell size larger than that of a wireless LAN and supporting low to medium speed mobility.
휴대인터넷(WiBro)은 무선랜과 이동통신 기반 무선인터넷의 중간에 위치해 두 서비스의 장점을 고루 갖춘 서비스로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정지 및 중저속 이동 상태에서 고속의 전송속도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얻거나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Mobile Internet (WiBro) is located between the wireless LA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based wireless internet, and has the best of both services. It means a service that can access and get various information and contents.
이러한 휴대인터넷(WiBro)이 현실화되고 있으나, 휴대인터넷 전용 단말이 아닌 타 망에서 사용하던 단말(일예로 와이파이(WiFi) 단말이나 지그비(zigbee) 단말)은 휴대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mobile Internet (WiBro) has been realized,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a terminal (for example, a Wi-Fi terminal or a Zigbee terminal) used in another network rather than a mobile Internet-only terminal cannot access the portable Internet.
또한, 새롭게 출시되는 사용자 단말(일예로 휴대인터넷(WiBro) 단말, 지그비 단말)은 기존의 무선인터넷(WiFi)에 접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newly released user terminal (for example, a WiBro terminal or a Zigbe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access the existing wireless Internet (WiFi).
따라서 현재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Therefore, at present, there is a problem as described above, it is a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is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기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이종망 접속 요청에 따라 해당 망 접속인증서버에 접속하여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해당 망에 접속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해당 망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e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quest from a pre-registered user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accesses the corresponding network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converts the assigned public IP address into a private IP address, and delivers it to the user terminal to access the corresponding network.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lay apparatus for relaying data through protocol convers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 corresponding network.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에 있어서, 휴대인터넷(WiBro)에 접속하여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기 위한 휴대인터넷 접속수단; 상기 휴대인터넷 접속수단으로부터의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하고,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수단과 상기 휴대인터넷 접속수단 간의 프로 토콜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접속중계 제어수단; 및 무선인터넷 단말로부터 패스워드(PW)를 이용한 이종망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접속중계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사설 아이피주소를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수단을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apparatus, comprising: a portable Internet access means for accessing a portable Internet (WiBro) to receive a public IP address; Connection relay control means for converting a public IP address from the portable Internet access means into a private IP address and relaying data through a protocol conversion between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access means and the portable Internet access means; And allowing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to be connected according to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quest using a password (PW) from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private IP address from the connection relay control unit to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Connection mean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이종망 접속 요청에 따라 해당 망 접속인증서버에 접속하여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해당 망에 접속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해당 망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이종망에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access the corresponding network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converts the assigned public IP address into a private IP address and delivers it to the user terminal. By connecting to the network and relaying data through protocol convers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network, the user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heterogeneous network.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give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sha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asy to implemen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는, 무선인터넷(WiFi)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무선인터넷 접속부(13) 또는 휴대인터넷 접속부(14)로 알리고, 접속중계 제어부(15)로부터의 사설 아이피주소를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로 전달하여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를 통해 해당 망(무선인터넷(WiFi) 또는 휴대인터넷(WiBro))에 접속시키기 위한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WiFi Access Point)(11), 지그비(zigbee)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무선인터넷 접속부(13) 또는 휴대인터넷 접속부(14)로 알리고, 접속중계 제어부(15)로부터의 사설 아이피주소를 상기 지그비 단말로 전달하여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를 통해 해당 망(무선인터넷(WiFi) 또는 휴대인터넷(WiBro))에 접속시키기 위한 지그비 단말 접속부(zigbee coordinator)(12),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 또는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기 위한 무선인터넷 접속부(WiFi Modem)(13),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 또는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하여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기 위한 휴대인터넷 접속부(WiBro Modem)(14), 무선인터넷 단말 또는 지그비 단말로부터의 이종망 접속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단말이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무선인터넷 접속부(13) 또는 휴대인터넷 접속부(14)가 해당 망 접속인증서버에 접속하여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한 후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 또는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해당하는 무선인터넷 단말 또는 지그비 단말로 전달하여 해당 망에 접속시키 며,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 또는 지그비 단말과 해당 망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접속중계 제어부(15), 및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 지그비 단말 접속부(12), 무선인터넷 접속부(13), 휴대인터넷 접속부(14), 및 접속중계 제어부(15)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Main Control Unit)(1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wireless
여기서, 상기 전원 제어부(Power Controller)(16)는 전원부(External Power input & Rechargeable Battery)(161), 상기 전원부(161)로부터 무선인터넷 접속부(13)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인터넷 접속부 전원 제어기(WiFi Modem Power controller)(162), 상기 전원부(161)로부터 휴대인터넷 접속부(14)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휴대인터넷 접속부 전원 제어기(WiBro Modem Power controller)(163), 상기 전원부(161)로부터 접속중계 제어부(15)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접속중계 제어부 전원 제어기(MCU Power controller)(164), 상기 전원부(161)로부터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지그비 단말 접속부 전원 제어기(zigbee coordinator power controller)(165), 및 상기 전원부(161)로부터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 전원 제어기(WiFi AP Power controller)(16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161)는 충전지로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각 전원 제어기를 통해 각 구성요소들의 특성에 상응하는, 즉 각 구성요소들에 알맞은 전원(정격 전압)을 공급한다.Herein, the
또한, 상기 무선인터넷(WiFi) 단말은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i-Fi terminal includes a lapto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the like.
한편, 상기 접속중계 제어부(15)에서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 또는 지그비 단말을 무선인터넷(일예로 Nespot) 또는 휴대인터넷에 접속시키는 과정 및 접속시킨 후의 데이터 중계 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or the Zigbee terminal to the wireless internet (for example, Nespot) or the portable internet and the data relay process after connecting the
먼저, 무선인터넷 단말을 무선인터넷에 접속시키는 경우,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를 통해 무선인터넷 단말로부터 무선인터넷 접속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First, when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from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is requested to confirm the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상기 확인 결과, 무선인터넷 단말이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무선인터넷 접속부(13)를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용 아이디/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 접속인증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는다. 이때,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이후의 접속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As a result of the check, as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is registered, the wireless
이후, 상기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한 후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를 통해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로 전달한다.Thereafter, the assigned public IP address is converted into a private IP address and then transferred to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을 무선인터넷에 접속시킨다.Through this process,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이후,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과 무선인터넷 사이에 데이터를 중계한다. 이때, 무선인터넷 단말과 무선인터넷은 동일한 프로토콜(일예로 프로토콜 802.11)을 사용하므로 프로토콜의 변환 없이 바로 데이터를 중계한다.Thereafter, data is relayed between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and the wireless Internet. In this case, since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and the wireless internet use the same protocol (for example, protocol 802.11),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and the wireless internet relay data immediately without converting the protocol.
다음으로, 무선인터넷 단말을 휴대인터넷(WiBro)에 접속시키는 경우,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를 통해 무선인터넷 단말로부터 휴대인터넷 접속을 요청받음 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Next, when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Internet (WiBro), the wireless Internet
상기 확인 결과, 무선인터넷 단말이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휴대인터넷 접속부(14)를 통해 휴대인터넷 접속용 아이디/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휴대인터넷 접속인증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는다. 이때,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이후의 접속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as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is registered, after accessing the portable Internet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using the portable Internet access ID / password through the portable
이후, 상기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한 후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를 통해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로 전달한다.Thereafter, the assigned public IP address is converted into a private IP address and then transferred to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을 휴대인터넷에 접속시킨다.Through this process,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internet.
이후,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과 휴대인터넷 사이에 데이터를 중계한다. 즉, 휴대인터넷 접속부(14)를 통해 휴대인터넷 측의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6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1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를 통해 해당 무선인터넷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를 통해 무선인터넷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1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6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휴대인터넷 접속부(14)를 통해 휴대인터넷 측의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Thereafter, data is relayed between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and the portable Internet. That is, the protocol 802.16 format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on the portable Internet side through the portable
이때, 휴대인터넷의 특성상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가 이동할 경우에, 접속 기지국이 바뀌는 등의 원인으로 인증 시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가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공인 아이피주소가 변경되어도 정상적으로 중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즉 일예로 사설 아이피주소로의 재변환 과정 및 그에 따른 타 단말과의 혼동을 제 거하기 위해 최초 공인 아이피주소를 유지시킨다. 즉, 접속 기지국 변경 시 새로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최초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와 매칭시켜 관리한다.At this time, when the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lay device mov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able Internet, the authorized IP address assigned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may be changed due to the change of the access base station. In this way, even if the public IP address is changed, the initial public IP address is maintained in order to normally perform a relay function, that is, for example, to reconvert the private IP address and confusion with other terminals. That is, when the access base station is changed, the newly allocated public IP address is managed by matching with the initially assigned public IP address.
다음으로, 지그비 단말을 무선인터넷에 접속시키는 경우,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지그비 단말로부터 무선인터넷 접속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지그비 단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Next, when the Zigbe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the Zigbe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Zigbee terminal is registere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from the Zigbee terminal through the Zigbee
상기 확인 결과, 지그비 단말이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무선인터넷 접속부(13)를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용 아이디/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 접속인증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는다. 이때, 상기 지그비 단말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이후의 접속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as the Zigbee terminal is registered, the authorized IP address is assigned after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using the ID / password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wireless
이후, 상기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한 후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상기 지그비 단말로 전달한다.Thereafter, the assigned public IP address is converted into a private IP address and then transmitted to the Zigbee terminal through the Zigbee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지그비 단말을 무선인터넷에 접속시킨다.Through this process, the Zigbe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이후, 상기 지그비 단말과 무선인터넷 사이에 데이터를 중계한다. 즉, 무선인터넷 접속부(13)를 통해 무선인터넷 측의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1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5.4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해당 지그비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지그비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5.4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1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인터넷 접속부(13)를 통해 무선인터넷 측의 해당 단말로 전달한다.Thereafter, data is relayed between the Zigbee terminal and the wireless Internet. That is, the protocol 802.11 format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on the wireless Internet side through the wireless
다음으로, 지그비 단말을 휴대인터넷(WiBro)에 접속시키는 경우, 지그비 단 말 접속부(12)를 통해 지그비 단말로부터 휴대인터넷 접속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지그비 단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Next, when the ZigBe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Bro, the ZigBe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ZigBee terminal is register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ZigBee terminal from the ZigBee terminal through the ZigBee
상기 확인 결과, 지그비 단말이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휴대인터넷 접속부(14)를 통해 휴대인터넷 접속용 아이디/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휴대인터넷 접속인증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는다. 이때, 상기 지그비 단말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이후의 접속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as the Zigbee terminal is registered, the IP address is assigned after accessing to the portable Internet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using the portable Internet access ID / password through the portable
이후, 상기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한 후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상기 지그비 단말로 전달한다.Thereafter, the assigned public IP address is converted into a private IP address and then transmitted to the Zigbee terminal through the Zigbee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지그비 단말을 휴대인터넷에 접속시킨다.Through this process, the Zigbe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Internet.
이후, 상기 지그비 단말과 휴대인터넷 사이에 데이터를 중계한다. 즉, 휴대인터넷 접속부(14)를 통해 휴대인터넷 측의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6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5.4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해당 지그비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지그비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5.4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6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휴대인터넷 접속부(14)를 통해 휴대인터넷 측의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Thereafter, data is relayed between the Zigbee terminal and the portable Internet. That is, the protocol 802.16 format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portable Internet side through the portable
이때, 휴대인터넷의 특성상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가 이동할 경우에, 접속 기지국이 바뀌는 등의 원인으로 인증 시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가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공인 아이피주소가 변경되어도 정상적으로 중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즉 일예로 사설 아이피주소로의 재변환 과정 및 그에 따른 타 단말과의 혼동을 제 거하기 위해 최초 공인 아이피주소를 유지시킨다. 즉, 접속 기지국 변경 시 새로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최초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와 매칭시켜 관리한다.At this time, when the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lay device mov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able Internet, the authorized IP address assigned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may be changed due to the change of the access base station. In this way, even if the public IP address is changed, the initial public IP address is maintained in order to normally perform a relay function, that is, for example, to reconvert the private IP address and confusion with other terminals. That is, when the access base station is changed, the newly allocated public IP address is managed by matching with the initially assigned public IP addres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의 접속중계 제어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relay control unit of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의 접속중계 제어부는, 무선인터넷 단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이를 무선인터넷 접속부(13) 또는 휴대인터넷 접속부(14)에 알리기 위한 무선인터넷 단말 등록 관리기(21), 지그비 단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이를 무선인터넷 접속부(13) 또는 휴대인터넷 접속부(14)에 알리기 위한 지그비 단말 등록 관리기(22), 휴대인터넷 접속부(14)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6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1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를 통해 해당 무선인터넷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를 통해 무선인터넷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1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6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휴대인터넷 접속부(14)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인터넷-무선인터넷 프로토콜 변환기(23), 무선인터넷 접속부(13)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1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5.4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해당 지그비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지그비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5.4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1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인터넷 접속부(13)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인터넷-지그비 프로토콜 변환기(24), 휴대인터넷 접속부(14)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6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5.4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해당 지그비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를 통해 지그비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802.15.4 형식의 데이터를 프로토콜 802.16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휴대인터넷 접속부(14)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인터넷-지그비 프로토콜 변환기(25), 무선인터넷 접속부(13) 또는 이동 아이피주소 관리기(27)를 통해 휴대인터넷 접속부(14)로부터 전달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하여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 또는 지그비 단말 접속부(12)로 전달하기 위한 아이피주소 변환기(26), 및 이동으로 인한 접속 기지국의 변경 시 새로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최초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와 매칭시켜 관리하기 위한 이동 아이피주소 관리기(2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on relay control unit of the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or not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is registered and registers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ZigBee
여기서, 상기 무선인터넷(WiFi) 단말은 패스워드(PW)를 이용한 이종망 접속 요청이 가능하고, 이때 무선인터넷(WiFi)에서 사용하는 공지의 암호화 방식(예 : IEEE 802.11에 공지된 WPA 또는 IEEE 802.11i 암호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공지의 WEP)을 이용하여 패스워드(PW)를 암호화할 수 있다.Here, the Wi-Fi terminal may request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using a password (PW), and at this time, a known encryption scheme (for example, WPA or IEEE 802.11i known in IEEE 802.11) used in the wireless Internet (WiFi). A password (PW) can be encrypted using a known WEP based on a cryptographic standard.
그리고 상기 무선인터넷 접속부(WiFi Modem)(13)는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 등록 관리기(21) 또는 지그비 단말 등록 관리기(22)로부터의 등록 알림(신호)에 따라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고,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11) 또는 무선인터넷-지그비 프로토콜 변환기(24)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무선인터넷 측의 해당 단말로 전달하며, 무선인터넷 측의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 단말 접속부(11) 또는 무선인터넷-지그비 프로토콜 변환기(24)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unit (WiFi Modem) 13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wireless Internet
또한, 상기 휴대인터넷 접속부(WiBro Modem)(14)는 상기 무선인터넷 단말 등록 관리기(21) 또는 지그비 단말 등록 관리기(22)로부터의 등록 알림(신호)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하여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고, 휴대인터넷-무선인터넷 프로토콜 변환기(23) 또는 휴대인터넷-지그비 프로토콜 변환기(25)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휴대인터넷 측의 해당 단말로 전달하며, 휴대인터넷 측의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휴대인터넷-무선인터넷 프로토콜 변환기(23) 또는 휴대인터넷-지그비 프로토콜 변환기(25)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에서의 이종망 접속 중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그 구체적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에서의 이종망 접속 중계 방법에 대한 동작 절차만을 살펴보기로 한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ing method in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ecific embodiments are as described above, the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in the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herein. Only the operating procedure for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 단말(무선인터넷 단말 또는 지그비 단말)로부터의 이종망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301).First,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registered according to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or a Zigbee terminal) (301).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음에 따라 해당 망 접속인증서버에 접속하여 공인 아이피주소를 할당받는다(302).Thereafter, as the user terminal is registered, the terminal accesses the corresponding network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and receives a public IP address (302).
이후, 상기 할당받은 공인 아이피주소를 사설 아이피주소로 변환한다(303).Thereafter, the assigned public IP address is converted into a private IP address (303).
이후, 상기 변환한 사설 아이피주소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해당 망에 접속시킨다(304).Thereafter, the converted private IP address is transferred to the user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304).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해당 망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한다(305).Thereafter, data is relayed through protocol convers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network (30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written in a computer program. And the code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the written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WiFi) 단말을 휴대인터넷(WiBro) 등의 이종망에 접속시키는 경우 등에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onnect a wireless Internet (WiFi) terminal to a heterogeneous network such as a portable Internet (WiBro).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의 접속중계 제어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relay control unit of a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접속 중계장치에서의 이종망 접속 중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lay method in a heterogeneous network access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무선인터넷 단말 접속부 12 : 지그비 단말 접속부11: wireless internet terminal connection unit 12: Zigbee terminal connection unit
13 : 무선인터넷 접속부 14 : 휴대인터넷 접속부13: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14: Mobile Internet Connection
15 : 접속중계 제어부 21 : 무선인터넷 단말 등록 관리기15: connection relay control unit 21: wireless Internet terminal registration manager
22 : 지그비 단말 등록 관리기 22: Zigbee terminal registration manager
23 : 휴대인터넷-무선인터넷 프로토콜 변환기23: Portable Internet to Wireless Internet Protocol Converter
24 : 무선인터넷-지그비 프로토콜 변환기24: Wireless Internet to Zigbee Protocol Converter
25 : 휴대인터넷-지그비 프로토콜 변환기25: Portable Internet-ZigBee Protocol Converter
26 : 아이피주소 변환기 27 : 이동 아이피주소 관리기26: IP Address Converter 27: Mobile IP Address Manager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3600A KR100923392B1 (en) | 2009-06-16 | 2009-06-16 |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3600A KR100923392B1 (en) | 2009-06-16 | 2009-06-16 |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3470A Division KR100923391B1 (en) | 2005-06-21 | 2005-06-21 |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device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0022A KR20090080022A (en) | 2009-07-23 |
KR100923392B1 true KR100923392B1 (en) | 2009-10-23 |
Family
ID=4129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36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3392B1 (en) | 2009-06-16 | 2009-06-16 |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339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6904B1 (en) | 2015-02-11 | 2016-07-06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ating IoT providing Protocol Schema-based Secure Prox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4142A (en) * | 2020-05-21 | 2021-11-30 | 주식회사 멕서스 | Router and method for rout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31108A1 (en) | 2000-09-08 | 2002-03-14 | Kabushiki Kaisha Toshiba | Communication system with mobile terminal accessible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local network simultaneously |
WO2003017705A1 (en) | 2001-08-17 | 2003-02-27 | Ixi Mobile, Inc. | A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networking services on a mobile device |
-
2009
- 2009-06-16 KR KR1020090053600A patent/KR10092339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31108A1 (en) | 2000-09-08 | 2002-03-14 | Kabushiki Kaisha Toshiba | Communication system with mobile terminal accessible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local network simultaneously |
WO2003017705A1 (en) | 2001-08-17 | 2003-02-27 | Ixi Mobile, Inc. | A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networking services on a mobile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6904B1 (en) | 2015-02-11 | 2016-07-06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ating IoT providing Protocol Schema-based Secure Prox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0022A (en) | 2009-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ello et al. | Network layer inter-operation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Internet of Things (IoT) | |
US9654907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
CN110881184B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 |
US9992731B2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formation push service based on wireless LAN access point | |
US10560929B2 (en) | Resource request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network side node | |
TWI510111B (en) | Seamless transmission from cellular to Wi-Fi communication | |
US8978113B2 (en) | Allocation of identifiers for application discovery | |
KR101438343B1 (en) | Method of assigning a user key in a convergence network | |
CN102685856B (e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Fi Direct (Wireless Fidelity Direct) communication system | |
JP5598471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virtualized data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 |
CN101990202B (en) | Method for updating user policy and application server | |
KR2009011529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 button-based wireless LAN | |
CN105493539A (en) | Porting WIFI settings | |
KR2013009395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 |
Andersson | Use case possibilities with Bluetooth low energy in IoT applications | |
WO201610916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local services and applications to multi-agency responders | |
JP2006332863A (en) |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13841366A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 |
CN104469764A (en) |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networking method and system | |
KR100923392B1 (en) |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 |
KR100923391B1 (en) | Heterogeneous network connection relay device and method | |
CN103442450A (e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 |
CN112153599A (en) |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device, vehicle networking device and management node | |
JP5973049B1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using IoT device | |
CN110225490A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nd network node and its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810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01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