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235B1 -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of personal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of personal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6235B1 KR100886235B1 KR1020030063086A KR20030063086A KR100886235B1 KR 100886235 B1 KR100886235 B1 KR 100886235B1 KR 1020030063086 A KR1020030063086 A KR 1020030063086A KR 20030063086 A KR20030063086 A KR 20030063086A KR 100886235 B1 KR100886235 B1 KR 1008862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authentication data
- data
- personal
- personal port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47—Migration mechanis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동기화에 있어서, 인증된 개인 휴대 단말기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휴대 단말기 측에서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 가능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하는 단계;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유효성을 판단 받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인 휴대 단말기, 암호화, 복호화, 인증 데이터, DR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betwee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personal computer, by which encrypted data can be transmitted to an authenticat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so that predetermined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can be performed on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 side.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are provid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authentication data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area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accessible from the personal computer. Loading into a memory area; Transmitting a data synchronization request between a personal computer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Establishing a session for data transmission wit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personal compute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loaded into the second memory area to the application to determine validit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data is valid,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he personal computer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pplication.
Personal digital assistant, encryption, decryption, authentication data, DRM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보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digital content pro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 및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personal comp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 영역에 로드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loading authentication data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to a predetermined memory area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3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ata synchronization method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ata synchronization method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uthentication data structure recorded in the first and second memory a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that may be employed in th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동기화에 있어서 인증된 개인 휴대 단말기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휴대 단말기 측에서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personal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to transmit encrypted data to an authoriz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 synchronizing data between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the personal compu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so that predetermined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can be performed on the side.
MP3 플레이어, PDA, 핸드헬드(handheld) PC,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 대 개인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및 파일의 동기화 방법이 있었다. 이러한 동기화 방법은 통상 크래들(cradle) 동기화라고 불리는 직렬(serial) 포트 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 등의 유선 방식을 이용한 개인용 컴퓨터 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연결 방식, 또는 적외선 포트, 블루투스(Bluetooth), Wi-Fi 등의 무선 방식을 이용한 개인용 컴퓨터 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연결 방식이 있다. 또한, 현재 널리 활성화되고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등을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하나의 대용량 저장장치로 인식하여 파일 또는 데이터를 자유롭게 전송하도록 하는 UMS(USB Mass Storage)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당업자라면 주 지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UMS 방식을 통한 파일 또는 데이터 전송은 단순히 파일 또는 데이터의 전송만을 수행할 뿐, 전송되는 파일 또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또는 디지털 저작권 보호를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전혀 지원되고 있지 아니한 실정이다.As a method for managing data recorded o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MP3 player, a PDA, a handheld PC,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of synchronizing data and files between a personal computer (PC)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generally used. there was. This synchronization method is a connection method of a personal computer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ing a wired method such as a serial port or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commonly called cradle synchronization, or an infrared port, Bluetooth, There is a connection method of a personal computer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ing a wireless method such as Wi-Fi. In addition, a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ich is widely activated at presen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universal serial bus (USB) or the like from a personal computer is recognized as a mass storage device as a file. Alternatively, a UMS (USB Mass Storage) method for freely transmitting data is used.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file or data transfer through this UMS method merely performs the transfer of the file or data, but is completely supported by algorithms that can perform security or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for the transmitted file or data. It is not happening.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원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안출되고 있다. 즉, 디지털 콘텐츠 자체도 하나의 저작물로서 취급하고, 저작권자의 권리를 보호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종래 디지털 콘텐츠는 무료라고 생각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인식이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방법으로서 다음의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Various methods have been devised to protect the rights of original authors for such digital contents. In other words, as the digital content itself is treated as a work and the recognition of protecting the rights of copyright holders is spreading, the perception of a large number of users who think that digital content is free is changing. The following methods are suggested as a copyright protection method for such digital content.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제시되는 방법 중 하나가 워터마킹(watermarking) 기술로서, 디지털 콘텐츠 자체에 저작권 관련 정보를 은닉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워터마킹 기술은 크게 1) 저작권 보호, 즉 지적 재산권의 보호를 위해서 콘텐츠 소유자가 자신의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를 나타내는 워터마크를 삽입하고, 누군가 자신의 저작권을 침해했을 때 법정에서 자신의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고, 2) 핑거 프린팅(finger printing), 즉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의 원천지를 추적하기 위해서 콘텐츠 소유자는 콘텐츠를 공급 받는 사용자마다 ID나 일련변호와 같은 다른 워터마크를 삽입함으로써 라이센스 계약을 위반하고 불법 배포를 한 사용자를 찾아내는데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3) 워터마크 내에 저장된 정보는 복제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직접 디지털 기록장치를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One of the methods proposed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 is watermarking technology, which conceals copyright-related information in the digital content itself. This watermarking technology is largely based on 1) copyright protection, that is, for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 content owner inserts a watermark indicating copyright information in his or her content, and proves ownership in court when someone infringes on his or her copyright. And 2) content owners insert a different watermark, such as ID or serial number, for each user who receives the content to track the source of finger printing, i.e., piracy of digital content. Not only can it be used to find users who have violated license agreements and illegally distribute them, but 3) information stored in watermarks can also be used to directly control digital recording devices for the purpose of copy protection.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에서의 다양한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로부터 고객(Client)에게 안전하게 전달하고 이 고객이 불법적으로 콘텐츠를 유통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구현 기술을 의미한다. DRM시스템에서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은 암호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데, 고객의 비밀 번호 혹은 고객 컴퓨터의 고유 번호를 암호화/복호화 키 값 데이터로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복호화하므로,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를 무단 복사하여 제3자에게 배포하여도 상기 키 값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아니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키 값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1) 고객 컴퓨터의 고유 식별자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방법 또는 2) 고객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키나 은닉된 개인 키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method for protecting copyright of digital content is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Such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refers to a system implementation technology for securely delivering various contents in a network from a content provider (CP) to a client and preventing the customer from illegally distributing the content. The most important technology in the DRM system is encryption technology. The digital content is encrypted / decrypted by using the customer's password or the unique number of the customer's computer as the encryption / decryption key value data. Even if distributed to a third party, the digital content cannot be used unless it has the key value data. The key value data may be 1) a method of modifying a unique identifier of a customer's computer, or 2) a method of using a customer's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key or a secret private ke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보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digital content pro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은 DRM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예로서, DRM 센터(120)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와, 지불 시스템(Payment Gateway)(130)을 연결하여 저작권이 보호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사용자(140)에게 제공한다. 사용자(140)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미지나 오디오, 비디오 등의 디지털 콘텐츠의 열람 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면 지불 시스템(130)에서는 지불 승인을 통보하게 되고, DRM 센터(120) 에서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하여 사용자(140)에게 제공한다.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실행 파일을 이용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소스 코드를 복원하는 템퍼링(tempering) 기술이 나오고 있어서 DRM 센터(130)에는 이러한 탬퍼링 등의 해킹 기법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1 is an example of a digital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DRM, the
이와 같이,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 측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으로서, 그 특성상 다양한 콘텐츠 제공자들 사이에서 하나의 표준으로 통합 운영되기에 어려운 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술한 탬퍼링 기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의 무력화로 인해 디지털 콘텐츠의 원저작권자의 권리가 부당하게 침해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copyright protection of various digital contents provided on the Internet. However, this is a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method performed by the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digital content, and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a single technology among various content providers Not only is it difficult to integrate and operate as a stand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ghts of the original copyright holder of digital contents may be unjustly infringed by the incapacitation of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the above-described tampering technique.
또한, 종래의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방법은 서버 단에서 많은 전처리(pre-processing)가 수행되므로, 디지털 콘텐츠의 양 또는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현 비용 및 시스템의 부하가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opyright protection method of digital content, since a lot of pre-processing is performed at the server side, as the amount or type of digital content increases, a system implementation cost and a system load for processing the digital content increase. There is this.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 측에서 수행될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에 대한 새로운 기술이 요망되어 왔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the prior art, a new technique for a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method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ide of a user who uses such digital content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 has been desired.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 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 측에서 구현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copyright protection method of digital content implemented on the user's personal portable terminal.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인증 데이터를 기록하여 인증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만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인증되지 아니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복제 또는 배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data 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digital content can be used only in the authenticated personal portable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unauthorized copying or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by disabling the digital cont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현재 그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는 UMS(USB Mass Storage) 방식의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전송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mass transfer (UMS) method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data betwe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 personal computer of the UMS (USB Mass Storage) method, the transmission of digital content to be transmitted Its purpose is to help protect copyrigh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별도의 드라이버가 없어도 양 디바이스 간의 원활한 데이터 전송은 물론 전송되는 데이터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ooth data transfer between both devices as well as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of the transmitted data without a separate driver for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 personal computer. Its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 가능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하는 단계;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유효성을 판단 받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ssing the authentication data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area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from the personal computer Loading into a second memory area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ere possible; Transmitting a data synchronization request between a personal computer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Establishing a session for data transmission wit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personal compute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loaded into the second memory area to the application to determine validit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data is valid,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he personal computer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상기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 가능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함 -; 상기 전송된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with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data synchronization request from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Establishing a session for data synchronization with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Receiving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loads the authentication data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reg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to a second memory reg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essible from the personal computer; -; Determining validity of the transmitted authentication data;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data is valid,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he personal computer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핸드헬드(handheld) PC, 전자 사전, 휴대폰 등과 같이 소정의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또한, 데이터 동기화(synchronization)라 함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한 데이터 일관성(consistency) 유지는 물론,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 또는 파일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dely used herein includes a predetermined memory means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MP3 player, a handheld PC, an electronic dictionary, a mobile phone, and the like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It is a concept that collectively refers to the terminal with the computing power. In addition, data synchronization may include maintaining data consistency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personal computer, as well as transmitting predetermined data or files stored in the personal computer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oncep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해 상술한다. Hereinafter,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 및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personal comp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200)는, 소정의 펌웨어(Firmware)(210),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설정된 제1 메모리 영역(220),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콘텐츠 및 제1 메모리 영역(220)에서 로드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제2 메모리 영역(230), 및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250)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ersonal
제1 메모리 영역(220)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를 인증하기 위한 소정의 인증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인증 데이터는 소정의 버전 정보,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단말기 식별자(ID), 소정의 상태 코드(status code), 개인용 컴퓨터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한 키(key) 값 데이터, 및 상기 단말기 식별자 또는 상기 키 값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을 체크하기 위한 소정 의 체크섬 비트(checksum bit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데이터의 구체적인 일예는 도 5a 및 도 5b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다.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초기 출시 상태에서는 제1 메모리 영역(220)은 아무런 데이터가 기록되지 아니하는 NULL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출시 상태의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경우에는 펌웨어(210)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에서 소정의 상태 코드를 갖는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250)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52)와 통신하고, 소정의 인증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250)으로부터 전송 받아 이를 제1 메모리 영역(220)에 기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Predetermined authentication data for authenticating the personal
제2 메모리 영역(230)에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콘텐츠가 기록된다.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200)에서 개인용 컴퓨터와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 제2 메모리 영역(230)에는 제1 메모리 영역(220)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가 로드된다.In the
제1 메모리 영역(220) 및 제2 메모리 영역(230)은 하나의 메모리 수단에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1 메모리 영역(220)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메모리 영역(220)을 배드 블록(bad block)으로 설정함으로써, 개인 휴대 단말기(200)가 개인용 컴퓨터에서 범용 직렬 버스 대용량 저장장치(USB Mass Storage)로 인식되는 경우에도 개인용 컴퓨터에서 제1 메모리 영역(220) 자체를 인식할 수 없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 메모리 영역(220)은 제2 메모리 영역(230)과는 별도의 메모리 수단으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제1 메모리 영역(220)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가 사용자의 조작 미숙 등의 원인으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펌웨어(210)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ROM 등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어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 등을 수행하는 일종의 운영 체계로서, 필요시에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의 일종이다. 상기 ROM은 업데이트된 펌웨어의 기록 및 이전 펌웨어의 소거가 가능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일 수 있다. The
펌웨어(210)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211),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 디코더(213), 복호화 모듈(214), 및 제어 모듈(215)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211)은 제1 메모리 영역(220)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제1 메모리 영역(220)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를 읽어 이를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로 전송하고,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로부터 전송된 인증 데이터를 제1 메모리 영역(220)에 기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authentication data input /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은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211)로부터 전송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제2 메모리 영역(230)으로 로드하기 위한 모듈이다.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211)로부터 전송된 인증 데이터에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2 메모리 영역(230)으로 로드한다. 또한,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은 제1 메모리 영역(220)에 기록되는 체크섬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체크섬 비트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은 상기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결함이 있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 대신에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2 메모리 영역(230)으로 로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의 일예는 도 5a 및 도 5b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다.The authentication
디코더(213)은 압축 또는 인코딩된 디지털 콘텐츠를 복원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예로, mp3(MPEG Layer 3), wma(window media audio file), wav(wave file), avi(audio video interleaved), 또는 asf(MS advanced streaming format file) 등의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된 디지털 콘텐츠를 디코딩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복호화 모듈(214)은 상기 인증 데이터의 키 값 데이터를 이용하여 암호화(encryption)된 디지털 콘텐츠를 개인 휴대 단말기(200)에 기록된 키 값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개인 휴대 단말기(200)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되는 키 값 데이터가 유효하지 아니하다면, 어플리케이션(250)의 암호화 모듈(253)에서 상기 키 값 데이터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복호화할 수 없게 된다.The decryption module 214 decrypts the digital content encrypted using the key value data of the authentication data using the key value data recorded in the personal
제어 모듈(215)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 및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다. 제어 모듈(215)에는 통상의 펌웨어가 갖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어플리케이션(250)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엔티티(entity)이다. 어플리케이션(200)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하고,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어플리케이션(200)은 USB 대용량 저장장치 자동 감지 모듈(251),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52), 및 암호화 모듈(253)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B 대용량 저장장치 자동 감지 모듈(251)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가 범용 직렬 버스를 통하여 접속된 경우, 접속을 감지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200)을 대용량 저장장치로 인식하도록 동작한다. 당업자라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범용 직렬 버스(USB)는 개인용 컴퓨터의 주변 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으로서, USB 허브, USB 노드, 및 USB 호스트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USB 대용량 저장장치 자동 감지 모듈(251)에서 대용량 저장장치로 인식하는 것은 제2 메모리 영역(230)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USB mass storage device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52)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제2 메모리 영역(230)에 로드된 인증 데이터를 전송 받고, 상기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제2 메모리 영역(230)으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에서 생성되어 제2 메모리 영역(230)으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신규 인증 데이터를 개인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암호화 모듈(253)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인증 데이터에 포함되는 키 값 데이터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암호화 모듈(253)에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복호화 모듈(214)에서 복호화된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ata synchronization method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 영역에 로드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loading authentication data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to a predetermined memory area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ON되는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은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를 검색하여 인증 데이터를 독출한다(단계 301). 독출된 인증 데이터는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로 전송되고,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는 상기 독출된 인증 데이터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2). 단계 302에서 독출된 인증 데이터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상태 코드를 검사할 수 있다. 즉, 인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태 코드는 상기 인증 데이터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일예로 상태 코드가 0x00인 경우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초기 상태를, 상태 코드가 0x01인 경우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상태 코드가 0x02인 경우는 새로운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요청하여야 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도록 구현될 수 있고, 개인 휴대 단말기의 펌웨어에서는 이와 같이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상태 코드를 판독하여 해당 코드에 맞는 루틴(routine)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코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a에서 후술한다. When the power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n, the authentication data input / output modul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earches for authentication data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area and reads the authentication data (step 301). The read authentic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data management module, and the authentication data management module determines whether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exists in the read authentication data (step 302).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in the authentication data read in
단계 302에서 인증 데이터가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포함된 인증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체크섬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토한다(단계 303).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304), 인증 데이터에 결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한다(단계 305).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단계 303 및 단계 304에서 수행되는 인증 데이터 무결성 검사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301 내지 단계 305가 수행됨으로써,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식 가능한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되고, 소정의 연결 방식(일예로 UMS 연결)에 의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처리(preprocessing)가 완료될 수 있다. 단계 302에서 제1 메모리 영역에서 독출한 인증 데이터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단계 304에서 제1 메모리 영역에서 독출한 인증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루틴으로 분기하게 된다(단계 306).If it is determined in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3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ata synchronization method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개인 휴대 단말기는 범용 직렬 버스 등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고,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 동기화를 요청한다(단계 351). 단계 301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물리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ON 하거나,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명령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고(단계 352),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세션을 설정한다(단계 35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션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범용 시리얼 버스 대용량 저장장치(USB Mass Storage; UMS)로 인식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ersonal computer through a universal serial bus or the like and requests data synchronization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ersonal computer (step 351). The data synchronization request in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의 세션이 설정되면, 도 3a의 단계 305에서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는 UMS 연결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고(단계 354),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는 상 기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한다(단계 355 및 단계 356). 단계 356에서 상기 전송된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고(단계 357), 해당 동기화 루틴은 종료된다. 단계 356에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개인 휴대 단말기는 인증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하고 데이터 동기화 루틴을 종료한다.When a session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ersonal computer is established, the authentication data loaded into the second memory area in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방법은 시계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3b의 단계 351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가 데이터 동기화를 요청하고, 단계 353에서 개인용 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과 세션이 설정된 이후에 도 3a에 도시된 인증 데이터의 제2 메모리 영역 로드가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3A and 3B may be performed in time series,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ata synchronization method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의 단계 306에서 분기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은 제2 메모리 영역으로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로드하고, 상기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는 UMS 연결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된다(단계 401).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402), 수신된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로 전송한다.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는 상기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에 따라 선정된(predetermined) 또는 새로 작성된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규 인증 데이터를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단계 404),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전송된 신규 인증 데이터 를 수신하고 이를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단계 405). 단계 405에서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것은 신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해 두었다가, 개인 휴대 단말기가 리셋되거나 전원이 다시 ON 되는 경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신규 인증 데이터가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면,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재연결시 다시 도 3a의 단계 301으로 분기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전처리(preprocessing) 루틴이 수행될 수 있다.Branching at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uthentication data structure recorded in the first and second memory a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되는 인증 데이터(a) 및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의 데이터 구조(b) 및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신규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c)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A shows the data structure of authentication data (a) and authentication data request information (b) loaded into the second memory area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 data structure of new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data request information (c). Is an illustration of one example).
도 5a의 (a)를 참조하면, (a)는 제1 메모리 영역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되는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제1 메모리 영역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되는 인증 데이터는 인증 데이터의 버전 정보 2 바이트, 상태 코드(status code) 1 바이트, 단말기 식별자 8 바이트, 키 값 데이터 16 바이트, 및 체크섬(checksum) 비트 16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버전 정보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와 개인용 컴퓨터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 터 간의 버전 호환을 위해 기록되는 정보이다.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 최신 버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는 인증 데이터와 버전이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코드는 제2 메모리 영역에 로드된 인증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로서, 일예로 (a)의 경우 상태 코드가 0x01가 될 수 있고, 상기 상태 코드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는 해당 개인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유일한 식별자일 수 있고 도 5a의 (a)와 같이 단말기 식별자의 크기가 8 바이트인 경우 2의 64승 만큼의 유니크한 단말기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키 값 데이터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복호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체크섬 비트는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해 삽입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크섬 비트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코드일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5A, (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of authentication data loaded into a second memory area when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exists in the first memory area. When the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exists in the first memory area, the authentication data loaded into the second memory area includes 2 bytes of version informat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1 byte of status code, 8 bytes of terminal identifier, and key value. 16 bytes of data and 16 bytes of checksum bits. Vers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corded for version compatibility between the authentication data recorded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data recorded in the personal computer. The authentication data loaded into the second memory area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determined by the application's authentication data management modu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latest version, and if the version does not match the authentication data processed by the application, the authentication is recorded 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perate to update data. In addition, the status code is a code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authentication data loaded in the second memory area.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he status code may be 0x01, and the status code is normally set by the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It may mean the case. The terminal identifier may be a unique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size of the terminal identifier is 8 bytes as shown in (a) of FIG. 5A, a unique terminal identifier of 64 powers of 2 may be generated. The key value data is for encrypting / decrypting digital content transmitted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checksum bit is inserted to check the integrity of the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sum bit may be a cyclic redundancy checking (CRC) code.
도 5a의 (b)를 참조하면, (b)는 제1 메모리 영역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지 아니하거나, 기록되어 있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 경우(체크섬 비트를 통한 무결성 검사) 어플리케이션에 신규 인증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이 경우 상태 코드는 일예로, 0x02가 될 수 있고, 상기 상태 코드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지 아니하여 신규 인증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 우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5A, (b) indicates that there is no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in the first memory area, or that there is a defect in the recorded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via the checksum bit). Integrity Check)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of authentication data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new authentication data from an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status code may be, for example, 0x02, and the status code may refer to a case where new authentication data is requested because the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is not normally set.
도 5a의 (c)를 참조하면, (c)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규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신규 인증 데이터는 버전 정보 2 바이트, 상태 코드 1 바이트, 단말기 식별자 8 바이트, 키 값 데이터 16 바이트, 난수(random number) 4 바이트, 및 체크섬 비트 16 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수는 상기 전송된 신규 인증 데이터의 보안, 즉 신규 인증 데이터가 인증 요청 정보를 전송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 개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요청하는 경우 소정의 난수를 발생시키고, 이를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난수를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어플리케이션에서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정보와 함께 수신된 난수를 신규 인증 데이터 전송시 함께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재전송한다. 새로운 인증 데이터를 수신한 개인 휴대 단말기가 전원 리셋된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1 메모리 영역을 검사하고,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 받은 신규 인증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난수와 신규 인증 데이터와 함께 수신된 난수를 비교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의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난수 비교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가 불법 유출 또는 불법 복제되어 제3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경우라 도 상기 난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쉽게 검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증 데이터의 보안을 기할 수 있게 된다. (c)의 경우, 상태 코드는 일예로, 0x03일 수 있고, 상기 상태 코드를 분석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은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으로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시 상기 상태 코드를 0x01, 즉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로 조정하여 기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c) of FIG. 5A, (c) is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of new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an application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new authentication data may include 2 bytes of version information, 1 byte of status code, 8 bytes of terminal identifier, 16 bytes of key value data, 4 bytes of random number, and 16 bytes of checksum bits. The random number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security of the transmitted new authentication data, that is, whether the new authentication data has been transmitted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authentic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generates a predetermined random number when requesting the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from the application, transmits the random number to the application along with the authentication data request information, and records the transmitted random number in the first memory area. . The application receives the authentication data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retransmits the random number received together with the request information to the second memory area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gether with the new authentication data transmission. Wh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receiving the new authentication data is rese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spects the first memory area, reads the new authenti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from the second memory, and reads the random number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area. The random number received together with the new authentication data may b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data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uch random number comparison may be perform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management module of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 Even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loaded into the second memory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illegally leaked or illegally copied and stored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a third party,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data can be easily verified by comparing the random number. You can secure it. In the case of (c), the status code may be, for example, 0x03, and the authentication data management modul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analyzing the status code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first memory area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through an authentication data input / output module. Can be recorded. When writing to the first memory area, the status code may be adjusted to 0x01, that is, a code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is normally set.
도 5b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5B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f authentication data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area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우선,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초기 출시 상태에서는 제1 메모리 영역은 아무 것도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 NULL 상태일 수 있다. 초기 출시 상태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가 최초로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하는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은 상태 코드를 0x00으로 조정하여 이를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하고,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태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개인 휴대 단말기에 대한 인증 데이터 - 도 5a의 (c)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음 - 를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현된다.First, in the initial release stat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first memory area may be in a NULL state in which nothing is recorded. In the initial release state, when the personal mobile device first requests data synchronization, the authentication data management module of the personal mobile device adjusts the status code to 0x00 and loads it into the second memory area, and the application analyzes the status code. It is implemented to transmit authentication data for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ich may have a data structure as shown in FIG. 5A (c),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도 5b를 참조하면, (a)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된 경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정상적으로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설정된 경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는, 일예로 상태 코드 1 바이트, 단말기 식별자 8 바이트, 키 값 데이터 16 바이트, 및 체크섬 비트 16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코드는 0x01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a) is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of authentication data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area when the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is normally set. When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is normally set, the authentication data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area may include, for example, a status code of 1 byte, a terminal identifier of 8 bytes, key value data of 16 bytes, and a checksum bit of 16 bytes. In this embodiment, the status code may be set to 0x01.
도 5b를 참조하면, (b)는 제1 메모리 영역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이 경우, 인증 데이터는 상태 코드 1 바이트와 상술한 난수 4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난수는 상술한 도 5a의 (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포함되는 난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코드는 0x02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of authentication data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area when no terminal identifier or key value data exists in the first memory area. 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composed of a status code 1 byte and the above-described random number 4 bytes, the random number is a random number included when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request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as shown in (b) of FIG. It may be the same. In this embodiment, the status code may be set to 0x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 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ntain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that can be employed in th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컴퓨터 시스템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660)과 롬(ROM: Read Only Memory)(67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4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67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66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660) 및 롬(67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61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64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61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62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4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63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6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 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The computer system includes one or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 측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providing a method for protecting copyright of digital content on the user's personal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인증 데이터를 기록하여 인증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만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인증되지 아니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복제 또는 배포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cording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data 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digital content can be used only in the authenticated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unauthorized personal portable In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unauthorized copying or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by disabling the digital cont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현재 그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는 UMS(USB Mass Storage) 방식의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전송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the UMS (USB Mass Storage) method and the personal computer, which is currently increasing in utilization,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copyright of the conten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별도의 드라이버가 없어도 양 디바이스 간의 원활한 데이터 전송은 물론 전송되는 데이터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river for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 personal computer, smooth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two devices as well as digital copyright of the transmitted data The effect is that protection can be achie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3086A KR100886235B1 (en) | 2003-09-09 | 2003-09-09 |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of personal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3086A KR100886235B1 (en) | 2003-09-09 | 2003-09-09 |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of personal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6131A KR20050026131A (en) | 2005-03-15 |
KR100886235B1 true KR100886235B1 (en) | 2009-02-27 |
Family
ID=3738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30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6235B1 (en) | 2003-09-09 | 2003-09-09 |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of personal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623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5653B1 (en) * | 2004-07-01 | 2006-09-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Sync system for enterprise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and its processing method |
KR100713364B1 (en) * | 2005-06-13 | 2007-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Data Management Method in Terminal with External Memory |
KR100623098B1 (en) * | 2005-07-22 | 2006-09-12 | (주)북토피아 | Electronic contents providing system, method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contents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
KR100727090B1 (en) * | 2006-01-12 | 2007-06-13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Method for transmitting screen image of mobile terminal,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mobile terminal using same |
KR101240261B1 (en) * | 2006-02-07 | 2013-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mmuni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100765480B1 (en) | 2006-10-23 | 2007-10-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DDR file playback system and system oper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
KR101506577B1 (en) * | 2007-08-23 | 2015-03-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method for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a software mobile device and a local host, a method for forming an I / O channel, and a device therefor |
KR101522884B1 (en) * | 2008-11-24 | 2015-05-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68779A (en) | 2001-03-13 | 2002-09-20 | Sony Corp |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KR20030006018A (en) * | 2001-07-11 | 2003-01-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portable device and computer in order to perform digital right management |
KR20030039347A (en) * | 2003-03-24 | 2003-05-17 | 한국전자북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Copyrighted Contents |
KR20030070450A (en) * | 2002-02-25 | 2003-08-30 | 주식회사 마크애니 | Method of authenticating an applicatio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ing a unique ID based a person computer and system using thereof |
-
2003
- 2003-09-09 KR KR1020030063086A patent/KR1008862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68779A (en) | 2001-03-13 | 2002-09-20 | Sony Corp |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KR20030006018A (en) * | 2001-07-11 | 2003-01-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portable device and computer in order to perform digital right management |
KR20030070450A (en) * | 2002-02-25 | 2003-08-30 | 주식회사 마크애니 | Method of authenticating an applicatio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ing a unique ID based a person computer and system using thereof |
KR20030039347A (en) * | 2003-03-24 | 2003-05-17 | 한국전자북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Copyrighted Conten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6131A (en) | 2005-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06509B2 (en) | Method for offline DRM authentication and a system thereof | |
JP4406190B2 (en) | Secure video card for a computing device ha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 |
US8881274B2 (en) | Method for providing data to a personal portable device via network and a system thereof | |
US7203313B2 (en) | Protecting decrypted compressed content and decrypted decompressed content at a digital rights management client | |
EP1367475B1 (en) | Software application protection by way of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 |
US7239708B2 (en) | Protecting decrypted compressed content and decrypted decompressed content at a digital rights management client | |
JP4615832B2 (en)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encryption and data protection method for content on devices without interactive authentication | |
US7272858B2 (en)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encryption and data-protection for content on a relatively simple device | |
US7080043B2 (en) | Content revocation and license modification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on a computing device | |
US7716745B2 (en) | Binding a digital license to a portable device or the lik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and checking out/checking in the digital license to/from the portable device or the like | |
US20060212363A1 (en) | Rendering digital content in an encrypted rights-protected form | |
JP2005536951A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documents in a digital device | |
MXPA06001252A (en) | Flexible licensing architecture in content rights management systems. | |
JP2003067256A (en) | Data protection methods | |
KR10088623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of personal mobile terminal | |
JP4635560B2 (en) | Content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permission information holding devic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 |
HK1051918A (en) | Secure video card in computing device hav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702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22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