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940B1 - Session control method for OAM DM protocol - Google Patents
Session control method for OAM DM protoc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4940B1 KR100864940B1 KR1020060135502A KR20060135502A KR100864940B1 KR 100864940 B1 KR100864940 B1 KR 100864940B1 KR 1020060135502 A KR1020060135502 A KR 1020060135502A KR 20060135502 A KR20060135502 A KR 20060135502A KR 100864940 B1 KR100864940 B1 KR 1008649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er
- session
- client
- message
- respon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7 frag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62 fragment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원격 관리를 위한 OMA DM 프로토콜에서 DM 서버가 동일한 DM 클라이언트에 시간 간격을 두고 요청되는 여러 명령어를 하나의 세션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OMA DM 프로토콜에서 서버가 동일한 클라이언트에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명령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세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입력되는 명령어에 응답하는 결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와 현재 세션을 소정시간 유지하는 세션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세션 메시지에 응답하여 서버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입력될 때까지 현재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ssion control method for the OMA DM protocol that allows the DM server to process a plurality of commands requested in the same DM client in a single session in the OMA DM protocol for remote management of a mobile terminal. In the OMA DM protocol, a method for controlling a session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in which a server requests a command to a same clien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result data in response to the command input from the server to the server; Receiving, via the server, a status code in response to the result data and a session message for maintaining a current sess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o the client, and a current session until a new message is input at the server in response to the input session message. It includes the step of maintaining.
OMA, DM 프로토콜, 세션제어, 모바일 단말, DM 클라이언트, DM 서버 OMA, DM Protocol, Session Control, Mobile Terminal, DM Client, DM Server
Description
도 1 은 일반적인 DM 프로토콜의 하나의 세션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ssion processing procedure of a general DM protocol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ssion control method for an OMA DM protoc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ssion control method for an OMA DM protoc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DM 클라이언트 20 : DM 서버10: DM Client 20: DM Server
30 : SMS 서버 센터30: SMS Server Center
본 발명은 OMA(Open Mobile Allian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pen Mobile Alliance (OMA),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ssion control method for the OMA DM protocol.
이동통신의 발달에 따라 통신시장의 급격한 성장이 이루어졌으며, 그에 따른 무선인터넷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표준화 단체의 움직임도 과거 점차 유선상의 네트워크 표준에 초점이 맞추어있던 것을 최근 무선인터넷의 활용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중에서 2002년 6월에 발족된 OMA(Open Mobile Alliance) 등장은 잠재적인 무선인터넷 시장을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the telecommunications market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and the demand for wireless Internet is gradually increasing. The movement of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has also focused on the use of wireless Internet in recent years, which has been increasingly focused on wired network standards. The launch of the Open Mobile Alliance (OMA), launched in June 2002, is expected to help boost the potential wireless Internet market.
이처럼 OMA는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의 범세계적 활성화를 위해 기술규격 개발 및 상호 운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포럼으로, 기존 포럼들이 동종 기업들로 이뤄진 것과는 달리 이동통신사업자, 제조업체,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컨텐츠 제공업자 등 하나의 가치사슬을 이루는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는 이동통신사업자에 따라 플랫폼, 서비스 등이 분할(fragmentation)되는 현상을 지양하고 상호운용성의 확보라는 목적에 기인한다. As such, OMA is a forum for verifying the development and interoperability of technical standards for the global activation of mobile data services. Unlike existing forum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manufacturers, software developers, content providers, etc. Companies in a variety of industries are involved in the value chain. This is due to the purpose of avoiding fragmentation of platforms and services according to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s and securing interoperability.
직접적인 예로, 전 세계 15~20%를 차지하는 CDMA방식과 70~75%를 차지하는 GSM 방식은 서로간의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가입자들은 별도의 로밍을 이용해야 하고 이에 따른 비용부담으로 인해 휴대폰을 통한 모바일데이터 이용에 제약이 되어왔다. OMA는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표준과 운영시스템에 대한 제약없이 모바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표준을 개발하는데 비중을 두고 있다.As a direct example, subscribers must use separate roaming because the CDMA method, which accounts for 15-20% of the world and the GSM method, which accounts for 70-75%, is not guaranteed to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Data use has been a limitation. OMA focuses on developing standards for exchanging mobile data without restricting these different standards and operating systems.
그 중 모바일 단말(휴대폰, PDA, PMP 등)의 이동 디바이스들에서 원격 관리를 위해 적용되는 OMA DM(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은 특정시점에 요구되는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해서 하나의 세션을 사용한다. 즉, 동일한 클라이언트와 서버일지라도 시간 간격을 두고 여러 명령어가 요청될 경우, 명령어 당 하나의 세션이 필요하다. Among them, the OMA DM (Device Management) protocol applied for remote management in mobile devices of a mobile terminal (mobile phone, PDA, PMP, etc.) uses one session to process a command requir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In other words, if several commands are requested at time intervals, even for the same client and server, one session is required per command.
도 1 은 일반적인 DM 프로토콜의 하나의 세션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ssion processing procedure of a general DM protocol.
도 1과 같이, DM 서버(20)는 SMS 서버 센터(30)를 통해 DM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서 트리거(trigger) 메시지를 보내면, DM 클라이언트(10)는 DM 서버(20)와 트랜스포트 계층(HTTP, WSP, OBEX 등)의 연결을 수행한다(제 1 단계). As shown in FIG. 1, when the
이처럼 DM 클라이언트(10)와 DM 서버(20)간의 트랜스포트 계층 연결이 완료되면, DM 클라이언트(10)는 클라이언트 인증 메시지 및 자신의 단말 정보를 DM 서버(20)로 전송한다(제 2 단계). When the transport layer connection between the
그리고 DM 서버(20)는 입력된 클라이언트 인증 메시지 및 단말 정보에 응답하여 DM 클라이언트(10)에 서버 인증 및 필요한 DM 명령어를 전송한다(제 3 단계).The
그러면 DM 클라이언트(10)는 입력된 DM 명령에 응답하여 결과 데이터를 DM 서버(20)로 전송하고(제 4 단계), DM 서버(20)는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태코드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제 5 단계). 이때, DM 서버(20)는 다음 명령어가 있으면 상기 상태코드와 함께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 Then, the
따라서 DM 클라이언트(10)는 제 5 단계에서 DM 서버(20)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 중 다음 명령어가 없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명령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세션을 종료하게 된다.Therefore, if there is no next command among the messages input through the
이러한 종래의 DM 프로토콜은 DM 서버(20)에서 DM 클라이언트(10)로 입력되는 명령어가 상기 상태코드와 함께 요청되지 않고 일정 간격을 두고 요청되게 되면, 각 명령어마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 5 단계에 해당하는 세션 연결 절차를 모두 수행하여야 한다. In the conventional DM protocol, if a command inputted from the
이에 따라, 동일한 인증 정보를 반복 전송해야 하므로 데이터 패킷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DM 서버(20)는 DM 클라이언트(10)를 통해 결과 데이터를 받기위한 응답시간이 지연되는 원인이 된다. 특히 SMS 서버센터(30)를 거치는 상기 제 1 단계와 트랜스포트 계층의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은 DM 명령어의 처리시간을 더욱 길게 하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Accordingly, since the sam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ust be repeatedly transmitted, not only the data packet is wasted but also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의 원격 관리를 위한 OMA DM 프로토콜에서 DM 서버가 동일한 DM 클라이언트에 시간 간격을 두고 요청되는 여러 명령어를 하나의 세션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OMA DM protocol for remote management of a mobile terminal, the DM server can process a plurality of commands requested at the same DM client at a time interval in one sess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ssion control method for the OMA DM protoco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M 클라이언트와 DM 서버간의 세션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새로운 세션 연결에 소요되는 패킷 사용량 및 응답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ssion control method for the OMA DM protocol that can improve the packet usage and response speed required for a new session connection by continuously maintaining a session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DM client and the DM server.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의 특징은 OMA DM 프로토콜에서 서버가 동일한 클라이언트에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명령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세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입력되는 명령어에 응답하는 결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와 현재 세션을 소정시간 유지하는 세션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 력된 세션 메시지에 응답하여 서버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입력될 때까지 현재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eature of the session control method for the OMA DM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OMA DM protocol, a method for controlling a session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that requests a comman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a server to the same client Transmitting result data in response to a command input from the server to a server, receiving a status code in response to the result data and a session message for maintaining a current sess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server; And maintaining the current session until a new message is input at the server in response to the entered session message.
바람직하게 상기 세션 메시지는 상기 상태코드와 함께 연속되는 명령어가 없더라도 세션을 일시정지로 보류시키는 일시정지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ssion message is a pause message for suspending a session even if there is no command continuous with the status code.
바람직하게 상기 세션 메시지는 상기 상태코드와 함께 연속되는 명령어가 없더라도 세션을 활성화되도록 하는 세션 재개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ssion message is a session resumption message for activating the session even if there is no continuous command with the status co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의 다른 특징은 (a) SMS 서버 센터를 통해 전달되는 트리거(trigger) 메시지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및 서버간의 세션을 시작하기 위한 트랜스포트 계층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b) 상기 서버로 전송된 클라이언트 인증 메시지 및 클라이언트의 단말 정보에 응답하는 서버 인증 및 제 1 명령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입력받는 단계와, (c) 상기 입력된 제 1 명령어에 응답하는 결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와 함께 현재 세션을 일시 정지하는 일시정지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입력받는 단계와, (d) 상기 입력된 세션 메시지에 응답하여 현재 세션을 일지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와, (e) 소정시간 후 상기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에서 재개시 메시지 및 제 2 명령어를 입력받는 단계와, (f) 상기 입력되는 재개시 메시지에 응답하여 일시정지 상태의 세션이 활성화되고, 입력된 상기 제 2 명령어를 처리하여 결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c) 단계부터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session control method for the OMA DM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initiating a session between the client and server in response to a trigger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SMS server center; Performing a transport layer connection for the server; (b) receiving a client authentication message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server authentication and a first command in response to the client terminal information; and (c) the input. Transmitting the result data in response to the first command to the server and receiving a pause message to the client to pause the current session with the status code in response to the result data; and (d) Maintaining the current session paused in response to the message; and (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through the session. Receiving a resume message and a second command in (f), (f) a session in a pause state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resume message input, and processing the inputted second command to transmit the result data to the server By repeating from the step (c).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A) SMS 서버 센터를 통해 전달되는 트리거(trigger) 메시지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및 서버간의 세션을 시작하기 위한 트랜스포트 계층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B) 상기 서버로 전송된 클라이언트 인증 메시지 및 클라이언트의 단말 정보에 응답하는 서버 인증 및 제 1 명령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입력받는 단계와, (C) 상기 입력된 제 1 명령어에 응답하는 결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와 함께 현재 세션의 활성화를 유지하는 유지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입력받는 단계와, (D) 상기 입력된 세션 메시지에 응답하여 현재 세션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와, (E) 소정시간 후 상기 활성화된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에서 제 2 명령어를 입력받는 단계와, (F) 상기 입력되는 제 2 명령어를 처리하여 결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C) 단계부터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session control method for the OMA DM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initiating a session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er in response to a trigger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SMS server center; Performing a transport layer connection to the client; (B) receiving a client authentication message sent to the server and server authentication and a first command in response to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client; Transmitting the result data in response to the inputted first command to the server and receiving a maintenance message for maintaining the activation of the current session with the status code in response to the result data to the client; Maintaining the current session in response to the session message; (E) passing through the activated sess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tep of receiving a second command from the server, (F) is to send the resulting data to process the second command is input to the server comprises the step of repeating from the (C) step.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ssion control method for the OMA DM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let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제 1 First 실시예Example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ssion control method for an OMA DM protoc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같이, DM 서버(20)는 SMS 서버 센터(미도시)를 통해 DM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서 트리거(trigger) 메시지를 보내면, DM 클라이언트(10)는 DM 서버(20)와 트랜스포트 계층(HTTP, WSP, OBEX 등)의 연결을 수행한다(제 1 단계). 이때, 상기 DM 클라이언트(10)는 휴대폰, PMP, PDA, 노트북 등의 이동 단말기이고, 상기 DM 서버(20)는 개인용 PC급 이상의 컴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이처럼 DM 클라이언트(10)와 DM 서버(20)간의 트랜스포트 계층 연결이 완료되면, DM 클라이언트(10)는 클라이언트 인증 메시지 및 자신의 단말 정보를 DM 서버(20)로 전송한다(제 2 단계). When the transport layer connection between the
이어, DM 서버(20)는 입력된 클라이언트 인증 메시지 및 단말 정보에 응답하여 DM 클라이언트(10)에 서버 인증 및 필요한 제 1 명령어를 전송한다(제 3 단계).Subsequently, the
그러면 DM 클라이언트(10)는 입력된 제 1 명령어에 응답하여 결과 데이터를 DM 서버(20)로 전송하고(제 4 단계), DM 서버(20)는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 이때, DM 서버(20)는 소정시간 후에 요청할 명령어를 위해서 현재의 세션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상태코드와 함께 일시정지 메시지(suspend)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제 5 단계). Then, the
따라서 상기 제 5 단계에서는 DM 서버(20)가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와 함께 일시정지 메시지(suspend)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 참고로, 상기 일시정지 메시지는 연속적인 다음 명령어가 없는 경우에 상기 상태코드와 함께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하는 메시지로서, 만약 연속적인 다음 명령어가 있 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상태코드와 다음 명령어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하게 된다. 본 설명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연속적인 다음 명령어가 없는 것으로 예시한다.Accordingly, in the fifth step, the
이처럼, DM 클라이언트(10)는 상기 제 5 단계에서 DM 서버(20)로부터 일시정시 메시지(suspend)가 입력되면, 연속적인 다음 명령어가 없더라도 현재의 DM 서버(20)와의 세션을 종료하지 않고 세션을 일시정지 상태로 유지하면서, DM 서버(20)로부터 재개시 메시지(resume)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As such, when a temporary message (suspend) is input from the
따라서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DM 서버(20)는 일시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현재의 세션을 다시 사용하여 재개시 메시지(resume)와 함께 제 2 명령어를 상기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제 6 단계). 이때, 상기 소정시간은 시스템 구현시 미리 설정된 최대시간 이내에 해당되는 시간이며, 상기 최대시간은 패킷의 사용 및 무선 데이터 요금체제를 감안하여 설정된 시간으로 변경가능하다.Therefor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그러면 상기 DM 클라이언트(10)는 입력되는 재개시 메시지에 응답하여 현재 세션이 일시정지 상태에서 활성화 되고, 상기 DM 서버(20)를 통해 재개시 메시지와 함께 입력된 제 2 명령어를 처리하여 결과 데이터를 DM 서버(20)로 전송한다(제 7 단계).Then, the
DM 서버(20)는 상기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와 함께 또 다시 일시정지 메시지(suspend)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제 8 단계). The
그러면 DM 클라이언트(10)는 상기 제 8 단계에서 DM 서버(20)로부터 입력된 일시정시 메시지(suspend)를 통해 현재의 DM 서버(20)와의 세션을 종료하지 않고 세션을 일시정지 상태로 유지하면서, DM 서버(20)로부터 재개시 메시지(resume)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Then, the
그리고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DM 서버(20)는 일시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현재의 세션을 다시 사용하여 재개시 메시지(resume)와 함께 제 3 명령어를 상기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하고(제 9 단계), 상기 DM 클라이언트(10)는 입력되는 재개시 메시지에 응답하여 일시정지 상태에서 활성화 되어, 상기 DM 서버(20)를 통해 재개시 메시지와 함께 입력된 제 3 명령어를 처리하여 결과 데이터를 DM 서버(20)로 전송한다(제 10 단계).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그러면 DM 서버(20)는 상기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와 함께 또 다시 일시정지 메시지(suspend)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함으로써, DM 클라이언트(10)는 현재의 DM 서버(20)와의 세션을 종료하지 않고 일시정지 상태로 유지하면서 DM 서버(20)로부터 재개시 메시지(resume)가 입력되기를 기다리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제 11 단계). The
이때, 상기 DM 클라이언트는 이동 단말기이고, 상기 DM 서버는 개인용 PC급 이상의 컴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DM client is a mobile terminal, it is preferable that the DM server is a personal PC or more computers.
이처럼 원격에서 단말을 제어할 때, 한번 세션을 연결하면 기 연결된 세션을 재사용하므로 단말 제어에 사용되는 패킷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controlling a terminal remotely, once a session is connected, the previously connected session is reus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mount of packets use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제 2 2nd 실시예Example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ssion control method for an OMA DM protoc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같이, DM 서버(20)는 SMS 서버 센터(미도시)를 통해 DM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서 트리거(trigger) 메시지를 보내면, DM 클라이언트(10)는 DM 서버(20)와 트랜스포트 계층(HTTP, WSP, OBEX 등)의 연결을 수행한다(제 1 단계). 이때, 상기 DM 클라이언트(10)는 휴대폰, PMP, PDA, 노트북 등의 이동 단말기이고, 상기 DM 서버(20)는 개인용 PC급 이상의 컴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이처럼 DM 클라이언트(10)와 DM 서버(20)간의 트랜스포트 계층 연결이 완료되면, DM 클라이언트(10)는 클라이언트 인증 메시지 및 자신의 단말 정보를 DM 서버(20)로 전송한다(제 2 단계). When the transport layer connection between the
이어, DM 서버(20)는 입력된 클라이언트 인증 메시지 및 단말 정보에 응답하여 DM 클라이언트(10)에 서버 인증 및 필요한 제 1 명령어를 전송한다(제 3 단계).Subsequently, the
그러면 DM 클라이언트(10)는 입력된 제 1 명령어에 응답하여 결과 데이터를 DM 서버(20)로 전송하고(제 4 단계), DM 서버(20)는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 이때, DM 서버(20)는 소정시간 후에 요청할 명령어를 위해서 현재의 세션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상태코드와 함께 유지 메시지(maintain)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제 5 단계). Then, the
따라서 상기 제 5 단계에서는 DM 서버(20)가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와 함께 유지 메시지(maintain)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 참고로, 상기 유지 메시지는 연속적인 다음 명령어가 없는 경우에 상기 상태코드와 함께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하는 메시지로서, 만약 연속적인 다음 명령어가 있는 경우에 는 일반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상태코드와 다음 명령어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하게 된다. 본 설명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연속적인 다음 명령어가 없는 것으로 예시한다.Therefore, in the fifth step, the
이처럼, DM 클라이언트(10)는 상기 제 5 단계에서 DM 서버(20)로부터 유지 메시지(maintain)가 입력되면, 연속적인 다음 명령어가 없더라도 현재의 DM 서버(20)와의 세션을 종료하지 않고 세션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면서, DM 서버(20)로부터 새로운 메시지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As such, when the maintenance message is maintained from the
따라서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DM 서버(20)는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현재의 세션을 다시 사용하여 제 2 명령어를 상기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제 6 단계). 이때, 상기 소정시간은 시스템 구현시 미리 설정된 최대시간 이내에 해당되는 시간이며, 상기 최대시간은 패킷의 사용 및 무선 데이터 요금체제를 감안하여 설정된 시간으로 변경가능하다. Therefor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그러면 상기 DM 클라이언트(10)는 입력된 제 2 명령어를 처리하여 결과 데이터를 DM 서버(20)로 전송하고(제 7 단계), DM 서버(20)는 상기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와 함께 또 다시 유지 메시지(maintain)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제 8 단계).Then, the
그러면 DM 클라이언트(10)는 상기 제 8 단계에서 DM 서버(20)로부터 입력된 유지 메시지를 통해 현재의 DM 서버(20)와의 세션을 종료하지 않고 세션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면서, DM 서버(20)로부터 DM 서버(20)로부터 새로운 메시지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Then, the
그리고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DM 서버(20)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현재의 세션을 다시 사용하여 제 3 명령어를 상기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하고(제 9 단계), 상기 DM 클라이언트(10)는 입력된 제 3 명령어를 처리하여 결과 데이터를 DM 서버(20)로 전송한다(제 10 단계).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그러면 DM 서버(20)는 상기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태코드와 함께 또 다시 유지 메시지를 DM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함으로써, DM 클라이언트(10)는 현재의 DM 서버(20)와의 세션을 종료하지 않고 현재 세션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면서 DM 서버(20)로부터 새로운 메시지가 입력되기를 기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제 11 단계). The
이처럼 원격에서 단말을 제어할 때, 한번 세션을 연결하면 기 연결된 세션을 재사용하므로 단말 제어에 사용되는 패킷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controlling a terminal remotely, once a session is connected, the previously connected session is reus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mount of packets use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위에서 설명한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세션을 보류하고 재개하도록 하는 메시지 및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이, 세션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사용해서 이미 연결된 세션을 끊지 않고 소정시간 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동일한 DM 서버(20)와 DM 클라이언트(10) 사이에 교환하는 중복 패킷을 제거하므로 패킷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SMS 서버 센터(30)를 거치는 제 1 단계와 트랜스포트 계층의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DM 서버(20)가 결과 데이터를 신속하게 받아 볼 수 있게 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message for holding and resuming a session and a message for keeping a session activ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used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disconnecting an already connected session. In this way, since duplicate packets exchanged between th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 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ession control method for the OMA DM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원격에서 단말을 제어할 때 한번 세션을 연결하면 기 연결된 세션을 재사용하므로, 단말 제어에 사용되는 패킷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when controlling a terminal remotely, once a session is connected, the previously connected session is reus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mount of packets use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둘째,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bile network operator can operate the wireless data network more efficiently.
셋째, SMS 서버 센터와 새로운 세션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결과 데이터를 신속하게 받을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의 응답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since the time required for connecting a new session with the SMS server center can be quickly received, resulting data can improve the response speed of the client.
넷째, 사용자 측면에서 패킷의 사용량에 따라 부과되는 무선 데이터 요금체제에서 데이터 통신 요금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Fourth, in the wireless data rate system charged according to the usage of packets from the user side, data communication charges can be reduce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5502A KR100864940B1 (en) | 2006-12-27 | 2006-12-27 | Session control method for OAM DM protocol |
PCT/KR2007/006536 WO2008078889A1 (en) | 2006-12-27 | 2007-12-14 | Method of controlling the session for the oma dm protoc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5502A KR100864940B1 (en) | 2006-12-27 | 2006-12-27 | Session control method for OAM DM protoco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0888A KR20080060888A (en) | 2008-07-02 |
KR100864940B1 true KR100864940B1 (en) | 2008-10-22 |
Family
ID=3956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5502A Active KR100864940B1 (en) | 2006-12-27 | 2006-12-27 | Session control method for OAM DM protoco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4940B1 (en) |
WO (1) | WO2008078889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6494B1 (en) | 2013-06-10 | 2015-11-05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the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121618B (en) * | 2007-11-09 | 2011-01-31 | Capricode Oy |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arrangement for a mobile device |
JP5091273B2 (en) * | 2010-04-23 | 2012-12-05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Communication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 method |
CN102571704B (en) * | 2010-12-24 | 2015-05-27 | 华为终端有限公司 | Management conversation initiating and notifying method, managed terminal and management server |
KR101310313B1 (en) * | 2011-05-16 | 2013-09-23 | 주식회사 앰투앰넷 | Mobile device comprising middleware for using communication resource |
US20140258511A1 (en) * | 2013-03-11 | 2014-09-11 | Bluebox Security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establishing Secure Network Communications |
CN109391656B (en) * | 2017-08-09 | 2021-10-0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equipment management session, client and serv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33715A (en) | 2003-07-11 | 2005-02-03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Session media holding method, holding device, hol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
KR20050055743A (en) * | 2002-10-04 | 2005-06-13 | 사이트릭스 시스템스, 인크. |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over a client-server network |
US20060173976A1 (en) | 2005-02-01 | 2006-08-03 | Microsoft Corporation | Configuration of WiFi network parameter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311004D0 (en) * | 2003-05-13 | 2003-06-18 | Nokia Corp | Charg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
US7924811B2 (en) * | 2004-03-30 | 2011-04-12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uspending packet-switched sessions to a wireless terminal |
US8675849B2 (en) * | 2005-02-09 | 2014-03-18 | Cisco Technology, Inc. | Ubiquitous transfer of a phone number to another phone |
-
2006
- 2006-12-27 KR KR1020060135502A patent/KR100864940B1/en active Active
-
2007
- 2007-12-14 WO PCT/KR2007/006536 patent/WO200807888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5743A (en) * | 2002-10-04 | 2005-06-13 | 사이트릭스 시스템스, 인크. |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over a client-server network |
JP2005033715A (en) | 2003-07-11 | 2005-02-03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Session media holding method, holding device, hol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
US20060173976A1 (en) | 2005-02-01 | 2006-08-03 | Microsoft Corporation | Configuration of WiFi network parameters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OMA의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표준화 동향", 정보과학회지, v.24, no.7, pp.44-51, 2006년 7월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6494B1 (en) | 2013-06-10 | 2015-11-05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th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8078889A1 (en) | 2008-07-03 |
KR20080060888A (en) | 2008-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4940B1 (en) | Session control method for OAM DM protocol | |
CN103428287B (en) |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nnection | |
CN103270735B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an application server and an M2M device | |
CN105100021B (en) | Trigge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vice management session | |
CN104679528B (en) | The newer method and apparatus of application program remote | |
CN103650623A (en) | Transmission of short packet data messages via signaling radio bearers | |
CN102821413A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side equipment | |
CN112749017B (en) |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40258430A1 (en) | Server,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http file transfer during chatting session established by another protocol | |
CN103457985A (en) | Method and system of dual-channel communication | |
KR101408745B1 (en) |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android system | |
CN101668315A (en) |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network elements of different protocol versions | |
CN102196011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by using push service | |
WO2017166906A1 (en) | Method of managing euicc subscription profile and associated apparatus | |
JP4778708B2 (en) | Communication device management via GPRS and GSM connections | |
WO2008116063A1 (en) | Explicit service flow tear-down during connection setup in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 |
JP2005529550A5 (en) | ||
CN114125052B (en) | Target operation execu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CN102158810A (en) | Method of downloading application based on multicast mode, device and system | |
CN101159970B (en) | Handset remote controlled method | |
CN114501490B (en) | Service transfer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equipment | |
CN103067981A (en) | Content buffer memory bypass method and content buffer memory bypass system | |
CN108370500B (en) | Optimized settings for wireless devices | |
US10200441B2 (en) | Methods, an online object, a web-based message exchange server, a mobile device, a target offline object, a network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 |
CN115514454B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