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167B1 - Knowledge Based Ontology Contex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in Ubiquitous Environment - Google Patents
Knowledge Based Ontology Contex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in Ubiquitous Environ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4167B1 KR100864167B1 KR1020060048367A KR20060048367A KR100864167B1 KR 100864167 B1 KR100864167 B1 KR 100864167B1 KR 1020060048367 A KR1020060048367 A KR 1020060048367A KR 20060048367 A KR20060048367 A KR 20060048367A KR 100864167 B1 KR100864167 B1 KR 1008641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ss
- ontology
- user
- context
- ser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2—Hierarchical databases, e.g. IMS, LDAP data stores or Lotus Not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knowledge-based ontology context in a ubiquitous environment.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멀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 기기, 서비스, 시간, 공간 및 정책을 표현하는 다양한 정보를 상호 관계성이 있는 계층적 클래스(Class) 형태로 저장/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나 질의에 따라 시간, 공간, 주변 기기, 서비스의 제공 여부, 서비스에 대한 다른 사용자와의 충돌이나 보안, 정책적 레벨 검증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and manage a variety of information representing each user, device, service, time, space and policy in a hierarchical class form in a knowledge-based multi-home network system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Knowledge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to facilitate handling of time, space, peripheral devices, availability of services, conflicts or security with other users of the service, and policy level verif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or query of a user's service.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underlying ontology contex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클래스, 기기 클래스, 세션 클래스 및 공간 클래스로 구분되는 제1 클래스부와, 정책 클래스, 이벤트 클래스 및 시간 클래스로 구분되어 상기 제1 클래스부보다 하위 계층에 위치하되 상기 정책 클래스는 상기 사용자 클래스와 상기 공간 클래스에 각기 연결되어 상호 관련성을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 클래스 및 상기 시간 클래스는 상기 세션 클래스에 연결되는 제2 클래스부와, 상기 제2 클래스부보다 하위 계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클래스부에 연결되어 해당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클래스부로 분류하여 계층적 클래스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온톨로지(Ontology); 상기 온톨로지에서 계층적 클래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텍스트(문서)를 로딩하기 위한 로더(Loader); 상기 로더에서 로딩한 컨텍스트(문서)를 파싱하여 클래스 간의 관계성을 검사하기 위한 파서(Parser); 및 상기 온톨로지에 컨텍스트를 타 클래스와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클래스 형태로 추가/삭제/검색하기 위한 온톨로지 관리기(Ontology Handler)를 포함함.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knowledge-based ontology context management apparatus of a ubiquitous environmen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lated to a ser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first class section, a policy class, an event class, and a user class, a device class, a session class, and a space class. It is divided into a time class and located in a lower layer than the first class part, wherein the policy class is connected to the user class and the spatial class, respectively, to provide interrelation, and the event class and the time class are connected to the session class. An ontology for classifying a second class part and a third class part located in a lower hierarchy than the second class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class part to provide corresponding basic data, and storing them in a hierarchical class form; A loader for loading a context (document) stored in a hierarchical class form in the ontology; A parser for parsing the context (document) loaded by the loader to check relationships between classes; And an ontology handler for adding / deleting / searching the context to the ontology in the form of a class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lasses.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온톨로지 관리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ontology management.
홈네트워크 시스템,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클래스, 계층적 클래스Home network system, knowledge base, ontology, context management, class, hierarchical class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knowledge-based ontology context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온톨로지 모델의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Figure 2 is an embodiment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r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of a device-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ession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위작업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of a subtask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of a space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책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of a policy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view of a service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온톨로지 12 : 로더11: ontology 12: loader
13 : 파서 14 : 온톨로지 관리기13: Parser 14: Ontology Manager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멀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 기기, 서비스, 시간, 공간 및 정책을 표현하는 다양한 정보를 상호 관계성이 있는 계층적 클래스(Class) 형태로 저장/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나 질의에 따라 시간, 공간, 주변 기기, 서비스의 제공 여부, 서비스에 대한 다른 사용자와의 충돌이나 보안, 정책적 레벨 검증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knowledge-based ontology context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various information representing each user, device, service, time, space, and policy in a knowledge-based multi-home network system in a ubiquitous environment.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form of interrelated hierarchical classes, and according to user's request or query for service, time, space, peripheral device, service provision, conflict with other users for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knowledge-based ontology context in a ubiquitous environment to easily handle security and policy level verification.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정보를 단순히 저장하는 것만으로는 다양한 환경과 공간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줄 수 없다.With the advent of the ubiquitous era, simply storing information cannot provide efficient services that users demand in various environments and spaces.
따라서, 각 정보를 유기적으로 묶어주고 관리하여 상호 관계성을 가지는 정보를 통해 서비스를 동적으로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하나의 가정에서가 아니라 확장적 개념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정보 관리가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services dynamically through information that has a mutual relationship by organically binding and managing each piece of information. This requires information management in a ubiquitous environment with an extended concept, not just in one home.
한편, 종래의 컨텍스트 모델인, CoBrA(Context Broker Architecture)는 지능 형 공간상에 존재하는 모든 컴퓨팅 엔티티(computing entity)를 위한 컨텍스트 공유 모델을 관리하는 브로커 에이전트(Broker Agent)를 목표로 개발되었고, SOUPA(Standard Ontology for Ubiquitous and Pervasive Applications)는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환경을 지원하는 공통 온톨로지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Meanwhile, CoBrA (Context Broker Architecture), which is a conventional context model, has been developed to target a broker agent that manages a context sharing model for all computing entities existing in an intelligent space. Standard Ontology for Ubiquitous and Pervasive Applications was developed with the goal of a common ontology supporting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또한, ACAI(Agent-Based Context-aware Infrastructure)는 컨텍스트 인식(context awareness)과 그 응용 시스템 구현을 목적으로 컨텍스트와 메타 컨텍스트 정보 표현을 위해 온톨로지의 형태로 구현되었고, SOCAM(Service Oriented Context-Aware Middle ware)는 개발자들이 컨텐스트 인식(context-aware) 서비스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의미기반 컨텍스트 표현, 다양한 형태의 컨텍스트에 대한 추론 및 지식 공유 그리고 컨텍스트의 분류와 상호 의존성과 관련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되었다.In addition, ACAI (Agent-Based Context-aware Infrastructur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ontology for expressing context and meta context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context awareness and application system implementation, and Service Oriented Context-Aware Middle ware solve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semantic-based context representation, inference and knowledge sharing of various forms of context, and the classification and interdependence of contexts, enabling developers to develop context-aware service systems more effectively. Was developed fo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컨텍스트 모델은 실제 홈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현실적 모델로서 하기와 같은 의 취약성을 갖는다.However, this conventional context model has the following vulnerabilities as a realistic model for actual home network service provision.
☞ 상황에 따른 보안 및 정책의 적용 방안이 고려된 컨텍스트 모델 부재.☞ There is no context model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security and policy according to the situation.
☞ 정책(Policy)에 대한 특권(privilege) 및 기존 우선권(priority) 이외의 정책 관리 모델 부재.Lack of a policy management model other than privileges and existing priorities for policy.
☞ 사용자(User)에게 상황에 따라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각각 다르게 적용(priority)하는 관리 모델 부재.☞ The absence of a management model that applies different services to users.
☞ 멀티 홈에 기반한 사용자와 위치 정보의 확대에 따른 다양한 인스턴스 부 재.☞ Various instance parts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user and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multi home.
☞ 사용자(Person), 기기(Device)의 확장을 통한 세부적 관리 방안 부재.☞ No detailed management plan through expansion of user and device.
☞ 사용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 구성 및 관리 방안 모델 부재.☞ There is no model of information composition and management plan about available services.
☞ 사용자(User) 정보에 대한 저장/관리와 동적인 정보 업데이트(update) 수행 및 데이터베이스(DB)와의 연동 방안 부재.☞ Saving / management of user information, dynamic update of information and lack of linkage with database.
결국, 종래의 컨텍스트 관리 장치는 멀티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체계적 분류/연동 없이 단순히 저장하고 있는 컨텍스트 모델을 이용하기 때문에, 위치(Location) 확장에 따른 서비스 확장이 어려우며, 다중 사용자를 위한 멀티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동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the conventional context management apparatus uses a context model that is simply stored without systematic classification / association in providing a multi-home network servic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extend a service according to location expansion, and to provide multiple services for multiple user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home network service dynamicall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멀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 기기, 서비스, 시간, 공간 및 정책을 표현하는 다양한 정보를 상호 관계성이 있는 계층적 클래스(Class) 형태로 저장/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나 질의에 따라 시간, 공간, 주변 기기, 서비스의 제공 여부, 서비스에 대한 다른 사용자와의 충돌이나 보안, 정책적 레벨 검증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a knowledge-based multi-home network system of a ubiquitous environment, a hierarchical class having a correlation between various information representing each user, device, service, time, space, and policy In the form of Class), it is easy to handle time, space, peripheral device, service provision, conflict with other users, security, and policy level verification according to user's request or quer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knowledge-based ontology context in a ubiquitous environ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클래스, 기기 클래스, 세션 클래스 및 공간 클래스로 구분되는 제1 클래스부와, 정책 클래스, 이벤트 클래스 및 시간 클래스로 구분되어 상기 제1 클래스부보다 하위 계층에 위치하되 상기 정책 클래스는 상기 사용자 클래스와 상기 공간 클래스에 각기 연결되어 상호 관련성을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 클래스 및 상기 시간 클래스는 상기 세션 클래스에 연결되는 제2 클래스부와, 상기 제2 클래스부보다 하위 계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클래스부에 연결되어 해당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클래스부로 분류하여 계층적 클래스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온톨로지(Ontology); 상기 온톨로지에서 계층적 클래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텍스트(문서)를 로딩하기 위한 로더(Loader); 상기 로더에서 로딩한 컨텍스트(문서)를 파싱하여 클래스 간의 관계성을 검사하기 위한 파서(Parser); 및 상기 온톨로지에 컨텍스트를 타 클래스와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클래스 형태로 추가/삭제/검색하기 위한 온톨로지 관리기(Ontology Hand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knowledge-based ontology context management apparatus of a ubiquitous environmen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lated to a service are classified into a "first class unit divided into a user class, a device class, a session class, and a spatial class. And divided into a policy class, an event class, and a time class, and located in a lower layer than the first class unit, wherein the policy class is connected to the user class and the spatial class, respectively, to provide interrelation and provide the event class and the time. A class is classified into a second class part connected to the session class and a third class part located in a lower hierarchy than the second class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class part to provide corresponding basic data. Ontology for storage; A loader for loading a context (document) stored in a hierarchical class form in the ontology; A parser for parsing the context (document) loaded by the loader to check relationships between classes; And an ontology manager for adding / deleting / searching the context in the form of a class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 of the context with other classes.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온톨로지가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클래스, 기기 클래스, 세션 클래스 및 공간 클래스로 구분되는 제1 클래스부와, 정책 클래스, 이벤트 클래스 및 시간 클래스로 구분되어 상기 제1 클래스부보다 하위 계층에 위치하되 상기 정책 클래스는 상기 사용자 클래스와 상기 공간 클래스에 각기 연결되어 상호 관련성을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 클래스 및 상기 시간 클래스는 상기 세션 클래스에 연결되는 제2 클래스부와, 상기 제2 클래스부보다 하위 계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클래스부에 연결되어 해당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클래스부로 분류하여 계층적 클래스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계층적 클래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텍스트(문서)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로딩한 컨텍스트(문서)를 파싱하여 클래스 간의 관계성을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온톨로지에 저장되어 있는 계층적 클래스 형태의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nowledge-based ontology context management method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the ontology is divided into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the first class unit divided into a user class, device class, session class and spatial class, It is divided into a policy class, an event class and a time class, and is located in a lower layer than the first class unit, wherein the policy class is connected to the user class and the spatial class, respectively, to provide interrelationships. A second class part connected to the session class and a third class part located in a lower hierarchy than the second class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class part to provide corresponding basic data, and stored in a hierarchical class form. step; Loading a context (document) stored in the form of a hierarchical class; Parsing the loaded context (document) to check relationships between classes; And managing a context in the form of a hierarchical class stored in the ontology.
또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보안과 정책 부분의 확장 및 적용을 통한 서비스 관리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멀티 홈에서의 위치 확장에 기반한 클래스(class)를 적용하여 멀티 홈으로부터의 입력 값을 처리/관리하고, 멀티 홈에서의 서비스 구현을 위한 사용자(person) 및 기기(device)의 확장/관리를 보장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input value from the multi-home by applying a class based on the location extension in the multi-hom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ervice management through the expansion and application of security and policy parts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It manages and ensures extension / management of people and devices for service implementation in multihomed.
또한, 본 발명은 지식 서비스를 위하여 기기(Device)와 사용자(Person)를 기반으로 위치 종속적인 온톨로지 모델을 구현하여 지식 공유, 개체 추론(context reasoning), 연동(interoperability) 및 사용자 프라이버시(privacy) 보호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 컨텍스트 모델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location-dependent ontology model based on device and user for knowledge service to protect knowledge sharing, context reasoning, interoperability and user privacy. It provides an ontology-based context model for.
또한, 본 발명은 다중 가정의 적용을 위한 서비스 공간(Space) 확장을 기반으로, 온톨로지의 확대 및 다중 사용자 및 상호 관계성과 각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service space (Space) for the application of multiple homes, and provides a variety of services and profiles for each user and the expansion of the ontology and multi-user and interrelationship.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사용자 및 다중 홈에서의 서비스를 위한 정책적 관리 부분의 확대 및 보안 강화를 통해서, 각 사용자에게 알맞은 서비스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ropriate service for each user through the expansion of policy management and security enhancement for the service in the multi-user and multi-home.
또한, 본 발명에서 온톨로지 모델은 단순한 데이터베이스(DB) 개념의 정보 저장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유기적 관계성이 고려된 클래스의 형태로 저장/관리하여, 다양한 정보의 저장/관리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ontology mode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of a simple database (DB) concept, but may be stored / managed in the form of classes considering organic relations, thereby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storage / management and services. Make sure
즉,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정보와 주변 사용 가능한 기기, 현재의 시간 및 다른 사용자와의 충돌이나 우선순위 및 보안 레벨에 대한 정보,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와 서비스 목록 등이 일련의 데이터로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That is,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is a series of information about the spatial location of the user, the devices available nearby,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time and conflicts, priorities and security levels with other users, availability of various services and a list of services Are interconnected as data.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사용자 위치 이동 감지나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과 같은 단순 정보를 가지고, 유기적인 온톨로지 정보들을 추출해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Therefore, with simpl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location movement detection from outside or the user's service request, the organic ontology information is extracted to efficiently provide the service.
또한, 본 발명에서 온톨로지 모델은 하나의 홈에서의 관계성이 아닌 다중 가정에 대한 관계성을 가지고 있어, 상호 관계가 맺어진 가정에 대해 사용자 간의 서비스나 정보를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확대된 공간에서의 이동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ntology model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onship not to a single home, but to multiple homes, and provides a service or information between users based on a security level for a home to which a mutua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Provides mobility in an enlarged space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knowledge-based ontology context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는, 사용자, 기기, 서비스, 시간, 공간 및 정책을 표현하는 다양한 정보를 상호 관계성이 있는 클래스(Class)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온톨로지(Ontology)(11), 상기 온톨로지(11)에서 클래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컨텍스트 (문서)를 로딩하기 위한 로더(Loader)(12), 상기 로더(12)에서 로딩한 온톨로지 컨텍스트(문서)를 파싱하여 클래스 간의 관계성 및 문법적/상황적 오류를 검사하기 위한 파서(Parser)(13), 및 상기 온톨로지(11)에 컨텍스트를 타 클래스와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클래스 형태로 추가/삭제/검색하기 위한 온톨로지 관리기(Ontology Handler)(1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managing knowledge-based ontology context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 a device, a service, a time, a space, and a policy in a form of interrelated classes.
부가적으로, 질의 핸들러(Query Handler)는 외부로부터 온톨로지의 접속, 모델정보 및 메타정보의 검색을 요청받음에 따라 이를 내부 모듈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관리한다.In addition, the query handler converts / manages the data into a form of data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internal module when an ontology connection, model information, and meta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outside.
또한, 번역기(Translator)는 온톨로지 모델 포맷을 다양하게 변환한다. 즉, 질의에 상응하는 온톨로지 정보를 해당 외부 모듈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In addition, the translator converts the ontology model format in various ways. That is, the ontolog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ry is converted into a data typ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corresponding external module.
또한, 모델 컨트롤러(Model Controller)는 질의 및 정보의 수정에 대해 다양한 모델의 변화나 질의를 관리한다.In addition, the model controller manages changes and queries of various models for queries and modification of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추론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위치정보가 입력되면 온톨로지 컨텍스트 관리 장치는 온톨로지에 존재하는 위치정보(위치센서)를 수정한다. 이때, 위치 정보의 변화는 공간의 개념과 묶여 사용자의 공간 이동을 나타내는 정보로 저장되고, 추론장치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기존의 서비스를 중단할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사용자의 선호 환경정보나 사용자 프로파일 및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검사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ference device of the home network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rst,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as the user moves the location, the ontology context management device modifies the location information (position sensor) existing in the ontology. At this time, the chang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s movement of the space, tied to the concept of space, and the inference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o stop the existing service or provide a new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Check based on user profile and service information.
검사 결과, 현재의 시간정보와 현재의 공간에 존재하는 기기에 따라 서비스에 이용되는 기기 및 기기 작동에 대한 상태를 표시한다.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the device and the device operation used for the service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device existing in the current space.
결국, 온톨로지 관리 장치는 기기의 제어 및 정보의 제공을 위해 정책과 이벤트 클래스를 통해 사용자의 우선순위, 서비스의 우선순위, 다른 사용자와의 충돌 여부,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보안, 기기 제어권의 검토, 및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의 추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컨텍스트를 유기적으로 관리하여 서비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Eventually, the ontology management device uses the policy and event classes to control the device and provide information, and the user's priority, service priority, conflict with other users, security according to service provision, review of device control rights, and It improves the efficiency of service by organically managing the context for deciding whether to extract various required information.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온톨로지(11)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톨로지(11)는 '계층적 클래스'를 통해 각 클래스(Class)와 엔티티(Entity) 사이의 관계성 명시를 통해 지식기반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인다.As shown in FIG. 2, the
이러한 온톨로지(11)는 사용자 및 시간, 공간, 기기, 서비스,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상호 관계성을 갖는 클래스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The
즉, 사용자 클래스는 공간 클래스와의 관계성(연계)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는 곳, 이동한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That is, the user class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where he or she lives, and the moved spatial information through a relationship with the spatial class.
또한, 공간 클래스는 기기에 대한 클래스와 연계하여 공간에 포함되는 기기(디바이스) 및 센서의 목록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공간 클래스는 사용자 클래스와의 연계를 통해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기기 목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pace class provides list information of a device (device) and a sensor included in the space in association with a class for the device. In this case, the spatial class may provide a list of devic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class.
또한, 기기 클래스는 서비스 클래스와 연계되어 서비스에 필요한 기기 목록 을 제공하며, 서비스 클래스는 사용자 클래스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및 사용자 선호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vice class provides a list of devices required for the service in association with the service class, and the service class provides service and user p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by the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class.
결국, 사용자 클래스는 시간 클래스와 공간 클래스 및 서비스 클래스와 연계하여 시간과 공간에 따른 각 사용자의 동적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After all, the user class provides information to manage the dynamic service of each user according to time and space in association with the time class, space class, and service class.
이때, 하위 정보(Music, Movie, Attribute, Service, Meal, Goods)는 상위 계층의 사용자, 기기, 공간, 서비스의 클래스와 연계하여 필요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lower information (Music, Movie, Attribute, Service, Meal, Goods) provid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s needed in association with the class of the user, device, space, and service of the upper layer.
이러한 온톨로지(11)의 적용 방안을 살펴보면, 인터페이스 컨트롤러(Interface Controller)를 통한 사용자의 이동이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추론엔진(Reasoner)은 사용자 인증 과정과 전달정보로부터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의 설정을 위한 추론과정을 수행한다.Looking at the application of
이 과정에서 추론엔진은 온톨로지(1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기본정보 및 선호환경과 사용자 프로파일)를 참조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온톨로지(11)에 기본정보들을 저장하고, 외부환경과 서비스 제공에 관계되는 기기 관련 온톨로지를 따로 구비함으로써, 유기적 관계를 맺은 이들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정보의 관리와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inference engine refers to user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and preference environment and user profile) stored in the
또한, 추론엔진은 각 사용자별 공간이동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각 정보나 사용자, 기기에 관련된 등급을 두어, 다른 온톨로지와의 연동을 통해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erence engine continuously manages space movement for each user, and assigns a grade related to each information, user, and device to prepare for a collision situation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service through interworking with other ontology.
이때, 실질적 홈네트워크에 알맞은 구성과 추론단계의 확장은 온톨로지의 재활용성을 높여 추후 확장될 온톨로지와 연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suitable for the actual home network and the expansion of the inference step can be linked with the ontology to be extended later to increase the recyclability of the ontology.
결국, 추론엔진은 실제 홈네트워크에 적용되고 사용 가능한 구성 및 추론 단계를 확장을 통해, 계층적 온톨로지 지식기반 컨텍스트 모델을 통해 홈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각 엔티티 간의 관계성 정의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기존 데이터베이스(DB) 형태의 모델보다 재활용성 및 재사용성을 향상시킨다.As a result, the inference engine solves the difficulty of defining relationships among entities in providing home network services through hierarchical ontology knowledge-based context model by extending the configuration and reasoning stages that are applied to the actual home network. Improves recyclability and reusability over existing database (DB) models.
또한, 추론엔진은 사용자, 서비스, 기기 간의 충돌을 인지하면, 이러한 사용자, 서비스, 기기와 유기적으로 묶여있는 우선순위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기기 접근 권한 및 서비스의 충돌에 대해 기기 제어의 우선권이나 서비스 간의 우선권,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서비스의 유동적 관리를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톨로지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온톨로지는,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듯이,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클래스, 기기 클래스, 세션 클래스 및 공간 클래스로 구분되는 제1 클래스부(21)와; 정책 클래스, 이벤트 클래스 및 시간 클래스로 구분되어 제1 클래스부보다 하위 계층에 위치하되 정책 클래스는 사용자 클래스와 공간 클래스에 각기 연결되어 상호 관련성을 제공하고 이벤트 클래스 및 시간 클래스는 세션 클래스에 연결되는 제2 클래스부(22)와; 제2 클래스부보다 하위 계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클래스부에 연결되어 해당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3 클래스부(23)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온톨로지는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계층적 클래스 형태로 저장한다.
도 2의 온톨로지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온톨로지는 다수 계층의 클래스부(21 내지 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클래스부(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클래스, 기기 클래스, 세션 클래스, 및 공간 클래스로 구분된 클래스와, 이들에 대한 서브 클래스(예를 들면, 사용자 클래스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 사용자 정책(Person Policy)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해당 클래스들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한편, 제2 클래스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책 클래스, 이벤트 클래스, 및 시간 클래스로 구분되어 제1 클래스부(21)보다 하위 계층에 위치하되, 정책 클래스는 사용자 클래스와 공간 클래스에 각기 연결되어 상호 관련성을 제공하고, 이벤트 클래스 및 시간 클래스는 세션 클래스에 연결된다.
한편, 제3 클래스부(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래스부(22)보다 하위 계층에 위치하고 제1 클래스부(21)에 연결되어 해당 기본 데이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inference engine recognizes a collision between a user, a service, and a device, the inference engine controls the device against a user's access to a device and a service through information about the priority and time organically tied to the user, a service, or a device. It is possible to flexibly manage the priority of services, priority between services, and flexible management of services specified by users.
Hereinafter, the ontology structure as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Ont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learly shown in Figure 2,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
That is, the ont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in the form of a hierarchical class.
Looking at the ontology structure of Figure 2, the ont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hierarchical class (21 to 23).
Her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r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관련 온톨로지는, 서비스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및 센서데이터가 입력됨에 따라 사용자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기본정보와 선호정보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a user-related ont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ser information as a service request and sensor data from a service user are input. In this case,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basic information and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user.
따라서, 사용자 관련 온톨로지는 기기(Device) 관련 온톨로지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선호환경이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related ontology may provide a user preference environment or a customized service through interworking with a device-related ontology.
또한, 사용자 관련 온톨로지는 사용자 확장에 따라 각 세부 위치정보 및 선호 상품이나 음식, 영화, 음악 등과 같은 확장적 특성(property)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대한 보안 등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ontology related to the user has an extended property such as each detail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preferred product, food, movie, music, etc. according to the user extension, so that the security level of the user profile can be set.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a device-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온톨로지 관리기(14)는 센서데이터가 입력됨에 따라 센서 온톨로지의 해당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각 클래스 간 유기적 관계성에 따라 사용자(Person) 관련 온톨로지와 공간(Space) 온톨로지를 업데이트한다. In general,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기(Device) 관련 온톨로지는, 사용자 관련 온톨로지와 연계하여 사용자 위치에 따라 필요한 기기 목록을 제공하고, 세션 관련 온톨로지와의 연계하여 필요한 서비스 구성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관련 온톨로지와 연계하여 해당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반한 특정 선호환경이나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기기 목록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4, a device-related ont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st of necessary devices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in association with a user-related ontology, and provides necessary ser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a session-related ontology. It provides a list of devices required to provide specific preferences or customized services based on the user profile in connection with user-related ontologies.
또한, 기기(Device) 관련 온톨로지는 장소에 따른 기기가 매핑되어 있으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사용자 중심의 기기 및 추가되는 기기를 고려하여 실제 기기(디바이스)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device-related ontology is mapped to devices according to places, and includes an actual device (device) address in consideration of user-centered device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dditional devices.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ession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션(Session) 관련 온톨로지는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관련 온톨로지 및 기기 관련 온톨로지와 연계하여 새로운 데이터 입력에 따른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5, the session-related ontology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a new data input in association with a user-related ontology and a device-related ontology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most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및 서비스 간 충돌(Conflict) 상황에 대비한 우선권 검사를 비롯하여 출력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서비스 사용자의 기기제어권한 여부를 체크하는 기기 엑세스 레벨(Device Access Level) 등의 정책(Policy) 검사가 수행된다. Policies such as priority checks for possible conflicts between users and services, privacy of the output information, and device access levels to check whether the service user has permission to control the device, Policy) Check is performed.
이를 위해 작업(Task) 간 우선권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기기 또는 사용자 간 충돌을 위한 명확한 정책 구성을 지원하고, 또한 서비스 구성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저장/관리할 수 있도록 관계성 및 특성(property)을 제공한다. To this end, it supports clear policy configuration for conflicts between devices or users required for service provision, including priority among tasks and user information, and also provides a relationship to store / manag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service configuration. And properties.
한편, 세션 관련 온톨로지를 통해 구성한 서비스와 그에 따른 작업(Task)에 대한 세부적인 서비스 내용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위작업(SubTask) 관련 온톨로지를 구비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a subtask-related ontology is provided to configure detailed service contents of a service configured through a session-related ontology and a task.
여기서, 하위작업 관련 온톨로지는 정적 패턴화된 서비스에 따른 매핑 디바이스 및 서비스에 대한 위치(location), 사용자(person)와의 관계성을 제공한다. Here, the subtask-related ontology provides a relationship between a mapping device and a location and a person according to the static patterned service.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of a space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관련 온톨로지는, 사용자(Person) 관련 온톨로지 및 기기(Device) 관련 온톨로지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공간이동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비스를 중단할지 혹은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할 지의 여부를 사용자 선호정보나 프로파일, 서비스정보를 참고하여 검사한다. As shown in FIG. 7, the space-related ontology provides information for continuously managing the user's space movement through interworking with a user-related ontology and a device-related ontology, thereby providing a home. The network system checks whether the service is stopped or starts a new service with reference to user preference information, profile, and service information.
결국, 사용자 관련 온톨로지 및 기기 관련 온톨로지와 연계된 공간 관련 온톨로지는 시간적, 공간적 구성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As a result, the space-related ontology associated with the user-related ontology and the device-related ontology enables the temporal and spatial configuration to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to the user.
이러한 공간 관련 온톨로지는 홈네트워크 공간의 분류 및 관리를 위한 모델로서, 확장성이 고려되어 시, 군, 동, 호 등의 각 위치에 따른 사용자 및 기기가 매핑되어 있다. Such a space-related ontology is a model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home network spaces, and in consideration of scalability, users and devices are mapped according to each location such as city, county, town, and call.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책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of a policy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션 관련 온톨로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를 결정할 때, 정책 관련 온톨로지는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8, when determining a service to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session-related ontology, the policy-related ontology provides information for configuring a service most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이러한, 정책 관련 온톨로지는 보안 및 우선순위, 권한 이양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는 서비스 구현 방안 및 적용과 보안에 대한 프로파일, 서비스에 대한 범위 한정 및 동적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Such policy-related ontology enables th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profile of the security, the scope of the service, and the dynamic adjustment in consideration of security, priority, and authority transfer.
또한, 정책 관련 온톨로지는 충돌 상황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충돌 방안의 해소가 한 사람에게만 우선되는 것이 아닌,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policy-related ontologies allow conflict resolution to be applied in a variety of ways as needed, rather than prioritizing resolving conflicts in a conflict situation.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련 온톨로지 모델의 일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view of a service related ontolog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션 관련 온톨로지를 통해 결정된 서비스가 등록됨에 따라 서비스 관련 온톨로지는, 작업(Task) 관련 온톨로지 및 하위작업(SubTask) 관련 온톨로지의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As shown in FIG. 9, as the service determined through the session-related ontology is registered, the service-related ontology provides the user with specific service contents of the task-related ontology and the subtask-related ontology.
또한, 서비스 관련 온톨로지는 별도의 기본 데이터 온톨로지인 영화(Movie), 음악(Music), 식사(Meal) 등의 온톨로지를 두고, 여기에 사용자, 공간, 작업 관련 온톨로지 등과 관계성을 부여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좀 더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service-related ontology has separate basic data ontology such as Movie, Music, Meal, etc., and attaches it to user, space, work-related ontology, etc. To make it easier to provid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온톨로지 구조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Since this proces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knowledge-based ontology structure of a ubiquitous environment as shown in FIG. 2.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식기반 멀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 기기, 서비스, 시간, 공간 및 정책을 표현하는 다양한 정보를 상호 관계성이 있는 계층적 클래스(Class) 형태로 저장/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나 질의에 따라 시간, 공간, 주변 기기, 서비스의 제공 여부, 서비스에 대한 다른 사용자와의 충돌이나 보안, 정책적 레벨 검증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presenting each user, device, service, time, space, and policy in a hierarchical class form in a ubiquitous environment. By managing, it is possible to easily handle time, space, peripheral device, service provision, conflict with other users, security, and policy level verification according to user's request or query. .
또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 멀티 홈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에 따른 보안 및 정책 적용을 통해 서비스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ervice management through security and policy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at can occur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multi-home.
또한, 본 발명은 멀티 홈에서의 보안 및 정책의 적용을 통해 다른 가정 및 외부로의 정보 유출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클래스로 구성하여 관리의 효율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the security function for information leakage to other homes and outside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curity and policy in the multi-hom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by organizing the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services of the user into a service class It can be effected.
또한, 본 발명은 환경 센서 값에 따른 동적 수정 및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서비스 모델로서 확장 가능성을 제공하여 실질적인 서비스 구현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base of the actual service implementation by providing the expandability as a ubiquitous network service model 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dynamic modification and manageme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sensor value.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8367A KR100864167B1 (en) | 2006-05-29 | 2006-05-29 | Knowledge Based Ontology Contex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in Ubiquitous Environ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8367A KR100864167B1 (en) | 2006-05-29 | 2006-05-29 | Knowledge Based Ontology Contex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in Ubiquitous Environ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4602A KR20070114602A (en) | 2007-12-04 |
KR100864167B1 true KR100864167B1 (en) | 2008-10-16 |
Family
ID=3914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83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4167B1 (en) | 2006-05-29 | 2006-05-29 | Knowledge Based Ontology Contex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in Ubiquitous Environ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416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97366A (en) * | 2012-02-24 | 2013-09-03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enter based on ontolog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3894B1 (en) * | 2008-11-27 | 2011-08-04 | 한국과학기술원 | Spatial Information Service Device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Using Ontology |
KR101053897B1 (en) * | 2008-12-01 | 2011-08-04 | 한국과학기술원 | Contextu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Contextual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63597A1 (en) * | 2001-05-25 | 2003-08-28 | Hellman Ziv Zalman | Method and system for collaborative ontology modeling |
EP1458140A1 (en) * | 2003-03-12 | 2004-09-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rivate network system having a ubiquitous service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KR20050034475A (en) * | 2003-10-09 | 2005-04-1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ntology model, and its program recorded recording medium |
US20050100157A1 (en) * | 2002-08-12 | 2005-05-12 | Gray Thomas A. | Context aware call handling system |
KR20070009134A (en) * | 2005-07-15 | 2007-01-18 | 주식회사 케이티 | 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aware services |
-
2006
- 2006-05-29 KR KR1020060048367A patent/KR10086416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63597A1 (en) * | 2001-05-25 | 2003-08-28 | Hellman Ziv Zalman | Method and system for collaborative ontology modeling |
US20050100157A1 (en) * | 2002-08-12 | 2005-05-12 | Gray Thomas A. | Context aware call handling system |
EP1458140A1 (en) * | 2003-03-12 | 2004-09-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rivate network system having a ubiquitous service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KR20050034475A (en) * | 2003-10-09 | 2005-04-1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ntology model, and its program recorded recording medium |
KR20070009134A (en) * | 2005-07-15 | 2007-01-18 | 주식회사 케이티 | 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aware service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97366A (en) * | 2012-02-24 | 2013-09-03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enter based on ontology |
KR101913861B1 (en) * | 2012-02-24 | 2018-12-28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enter based on ontolog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4602A (en) | 2007-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anganathan et al. | An infrastructure for context-awareness based on first order logic | |
Rajpoot et al. | Integrating attributes into role-based access control | |
Rajpoot et al. | Attributes enhanced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 |
Sutterer et al. | Upos: User profile ontology with situation-dependent preferences support | |
Costabello et al. | Context-aware access control for rdf graph stores | |
US8516249B2 (en) | Cloud services layer | |
Gandon et al. | A semantic e-wallet to reconcile privacy and context awareness | |
Strimpakou et al. | A context ontology for pervasive service provision | |
Fortino et al. | Towards cyberphysical digital libraries: Integrating IoT smart objects into digital libraries | |
Costabello et al. | Linked data access goes mobile: Context-aware authorization for graph stores | |
Sudhana et al. | An ontology-based framework for context-aware adaptive e-learning system | |
Ludwig et al. | Semantic approach to service discovery in a Grid environment | |
KR100864167B1 (en) | Knowledge Based Ontology Contex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in Ubiquitous Environment | |
Forstadius et al. | RDF-based model for context-aware reasoning in rich service environment | |
Henricksen et al. | Extending context models for privacy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s | |
Wu et al. | SmartShadow: models and methods for pervasive computing | |
KR100811091B1 (en) | Intelligent Home Network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System and Method | |
Jaroucheh et al. | CANDEL: product line based dynamic context management for pervasive applications | |
Pignotti et al. | What does this device do? | |
Kelaidonis et al. | A cognitive management framework for smart objects and applications in the internet of things | |
Van der Meer et al. | Ontology based policy mobility for pervasive computing | |
Davies et al. | Data platforms: interoperability and insight | |
Hartmann et al. | Context models and context awareness | |
KR20090053174A (en) | Session management device and its method for context-aware knowledge service | |
Nurmi et al. | A system for context-dependent user mode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PE0801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910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01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