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018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user-generated cont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user-generated cont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0018B1 KR100840018B1 KR1020070060778A KR20070060778A KR100840018B1 KR 100840018 B1 KR100840018 B1 KR 100840018B1 KR 1020070060778 A KR1020070060778 A KR 1020070060778A KR 20070060778 A KR20070060778 A KR 20070060778A KR 100840018 B1 KR100840018 B1 KR 1008400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rce data
- information
- user
- advertisement
- terminal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6—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 G06V30/2268—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using stroke segmentation
- G06V30/227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using stroke segmentation with lexical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기반한 커뮤니티 상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의 기능을 포함하는 이미지, 동화상, 텍스트 등을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소스데이터로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자발적인 광고 게재를 유도하고 광고의 대상을 상기 광고에 관심이 있는 특정 사용자로 한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 환경에 적합한 광고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on a community based on user generated content is disclose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images, moving images, texts, etc. including the function of the advertisement as the source data of the user-generated content, inducing voluntary advertisement by the user and directing the target of the advertisement to a specific user interested in the advertisement. By limiting the above,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n advertisement suitable for a user-generated content environment are provid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ing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module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여러 필드들에 관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various fields that may be included in an advertisemen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stored in an advertisemen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유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7A to 7B are diagrams exemplarily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서비스 서버200: service server
210: 서비스 서버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210: user data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220: 서비스 서버의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source data search unit of the service server
230: 서비스 서버의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230: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240: 서비스 서버의 접속 관리부240: connection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250: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50: advertising information database
260: 서비스 서버의 제어부260: control unit of the service server
270: 서비스 서버의 통신부270: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ice server
280: 서비스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0: Content database of the service server
290: 서비스 서버의 소스데이터 색인 데이터베이스290: Source data index database on the service server
400: 외부 시스템400: external system
501: 캔버스 영역501: canvas area
502: 검색 기능 인터페이스502: search function interface
503: 리스트 뷰어 영역503: list viewer area
600: 사용자 단말 장치600: user terminal device
620: 단말 장치의 로컬 서버620: local server of the terminal device
690: 단말 장치의 색인 데이터베이스690: Index database on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기반한 커뮤니티 상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의 기능을 포함하는 이미지, 동화상, 텍스트 등을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소스데이터로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자발적인 광고 게재를 유도하고 광고의 대상을 상기 광고에 관심이 있는 특정 사용자로 한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 환경에 적합한 광고 기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on a community based on user-generated conte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a moving picture, a text, and the like including the function of the advertisement as source data of the user-generated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capable of inducing voluntary advertisement posting and limiting an advertisement target to a specific user interested in the advertisement, thereby providing an advertisement technique suitable for a user-generated content environment.
근래에 들어, 인터넷 사용이 점점 더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인터넷 서비스 업체 등 전통적인 컨텐츠 배포자가 배포하는 컨텐츠의 양이 증가일로에 있다. 또한, 이러한 전통적인 컨텐츠 배포자에 의해 배포되는 컨텐츠와 더불어, 그들과의 제휴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광고 기법도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나날이 발전해왔다. In recent years, as the use of the Internet becomes more and more common, the amount of content distributed by traditional content distributors such as Internet portal sites and Internet service companies is increasing. In addition to the content distributed by these traditional content distributors, advertising techniques on the Internet through cooperation with them have evolv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종래에 행해지던 광고 기법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배너 광고 및 팝업 광고 기법이다. 전통적인 컨텐츠 배포자들은 광고주와의 제휴를 통해, 자신들에 의해 생성되는 웹 페이지의 일 부분 또는 팝업창을 이용하여 이미지, 플래쉬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광고를 게재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컨텐츠 영역과 광고 영역의 분리로 인해, 사용자들이 광고 영역을 인식할 때,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방해하는 영역 또는 접근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무관한 영역으로 받아들이기 쉽상이며, 주로 사용자의 관심사와 무관하게 광고주와 컨텐츠 배포자의 일방적인 이익을 위해서만 제공되므로 광고의 높은 도달율에 비해 광고주가 제공하는 상품 등에 대한 실구매 효과가 그리 크지 않았다.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conventional advertising techniques are banner advertising and pop-up advertising techniques. Traditional content distributors have partnered with advertisers to place advertisements consisting of images, flashes or videos using portions of the web pages or pop-up windows created by them. However,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content area and the advertising area, this method is easy to accept as an area that prevents access to the content or an area unrelated to the content to be accessed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advertising area. Regardless of the interests, it was provided only for the unilateral benefit of the advertiser and the content distributor, so the actual purchase effect on the product provided by the advertiser was not so large compared to the high arrival rate of the advertisement.
이와 같은 배너 광고 및 팝업 광고의 단점을 극복하여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광고 기법은 키워드 광고이다. 키워드 광고는 주로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검색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광고주들에게 특정 단어에 대한 광고 게재 권리를 판매하고,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해당 검색어를 구매한 광고주의 광고가 검색 결과의 일부로서(주로 검색 결과의 상단에) 제공되는 방법이다. 이러한 광고 기법은 사용자의 관심 분야라 할 수 있는 검색어에 부합하는 광고만을 제공하므로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특정 키워드에 대한 광고 게재권을 구매함으로써 지출되는 광고비를 낮출 수 있는 반면, 광고주의 웹 사이트로의 접속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에게만 광고를 노출하므로 수익은 더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관심사와 관련된 광고를 접하게 되므로, 배너 광고나 팝업 광고에 비해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정보로서 기능할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검색 결과의 일부로서 광고주의 웹 사이트가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광고로서가 아닌 검색 결과의 일부로서 인식할 수 있고, 따라서,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배제된 채, 보다 수월하게 광고주의 웹 사이트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vercoming such drawbacks of banner ads and pop-up ads, keyword advertising is still being actively conducted. Keyword advertising is primarily provided by Internet portal sites or search sites, and it sells advertisers the right to advertise specific words, and when a user enters a search term, the advertiser's ad that purchased that term is part of the search results. This is the way it is offered (mostly at the top of the search results). This advertising technique only delivers ads that match the search terms of the user's interests, so that advertisers can lower the cost of advertising by purchasing an ad ticket for a particular keyword. Revenue can be increased by only showing ads to users who are more likely to follow, and users will see ads related to their interests, so they can serve as more useful information to users than banner or pop-up ad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likely. In addition, the advertiser's website is provided as part of the search results,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it as part of the search results rather than as an advertisement, thus making it easier for the advertiser's website without rejection of the advertise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ccess to can be made.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키워드 광고의 장점이 점차 퇴색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However, in recent years, the advantages of keyword advertising are gradually fading, for the following reasons.
우선, 인터넷 사용자가 키워드 광고를 검색 결과가 아닌 광고로서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키워드 광고의 초기에는 많은 사용자들이 키워드 광고를 광고로서 인식하지 못하였으나, 키워드 광고 기법이 매체 등을 통해 대중에게 빈번하게 노출되면서, 사용자들도 더 이상 키워드 광고 영역을 검색 결과로서 받아들이지 않 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가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을 수행하고자 하는 목적은 보다 양질의 컨텐츠를 접하기 위함임에도 불구하고, 검색 결과의 상위에 노출되는 광고 사이트들은 컨텐츠의 품질과는 무관하므로, 사용자들이 점차 검색 결과를 신뢰할 수 없게 되는 측면도 존재한다.First, Internet users have recognized keyword advertisements as advertisements rather than search results. In the early days of keyword advertising, many users did not recognize keyword advertising as an advertisement. However, as keyword advertising techniques are frequently exposed to the public through media, users no longer accept the keyword advertising area as a search result. In addition, although the purpose of the user to perform a search on an Internet portal site or a search site is to access higher quality content, the advertisement sites exposed at the top of the search results are not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content. There are also aspects in which they are increasingly unreliable in search results.
또한, 사용자들 간에는, 단지 전통적인 컨텐츠 배포자로부터의 수동적인 정보 획득에만 초점을 둔 인터넷 사용보다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컨텐츠를 작성, 제공하는 능동적인 양태의 인터넷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키워드 광고보다 진일보된 광고 기법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즉, 과거에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 의해서만 주로 제공되던 인터넷 상의 웹 문서, 뉴스 기사, 이미지, 동영상, 미디어 정보 등의 컨텐츠가 근래에는 사용자 개개인에 의해서도 적극적으로 생산, 배포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고, 최근에 사용자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검색 사이트보다는, 블로그나 미니홈피 등의 일인 미디어 서비스에 체류하는 시간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키워드 광고 기법은 일인 미디어 서비스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In addition, there is a sharp increase in the active use of the Internet in which users write and provide their own contents, rather than using the Internet, which focuses only on passive information acquisition from traditional content distributors. The need for the study of advertising techniques is highlighted. In other words, contents such as web documents, news articles, images, videos, media information, etc., which were mainly provided by Internet portal sites in the past, have been actively produced and distributed by individual users in recent year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time spent on single media service such as blog or mini homepage is increasing more than internet portal site or search site, the conventional keyword advertising technique is difficult to apply to single media service. It is true.
따라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중심으로 재구성되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 동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 기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advertising technique that can actively cope with the trend of Internet services being reconstructed around user-generated content.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 비해 진일보한 기술적 구성을 채용하여 광고의 기능을 포함하는 이미지, 동화상, 텍스트 등을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소스데이터로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환경에 적합한 광고 기 법을 제공하고, 광고의 대상을 상기 광고에 관심이 있는 특정 사용자로 한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한 자발적인 광고 게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the user-created content by providing an image, a moving picture, a text, etc. including the function of the advertisement as the source data of the user-created content by adopting an advanced technical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By providing a technique, it is possible to limit the target of the advertisement to a specific user interested in the advertisement, thereby inducing voluntary advertisement by the use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carry out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소스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UCC)를 통해 단말 장치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원격 서버가 상기 소스데이터 중 일부인 제1 소스데이터를 광고주들에게 판매하는 단계, (b)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광고주들에게 판매되지 않은 제2 소스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대응되는 광고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to a terminal device through user-generated content (UCC)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source data, comprising: (a) a remote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by a network; Selling, by the server, first source data that is part of the source data to advertisers, (b)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or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and a second source not sold to the advertisers Providing information on data to the terminal device; (c) generat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generated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source data or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Displaying o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and (d) displaying the first source data included in the displayed user-generated content. This is an ad response message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on said terminal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소스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UCC)를 통해 단말 장치에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소스데이터 중 광고주들에게 판매된 제1 소스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광고주들에게 판매되지 않은 제2 소스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 는 소스데이터 검색부, 및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대응되는 광고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system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to a terminal device through a user-generated content (UCC)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source data, the first source data sold to advertisers of the source data A source data retrieval unit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ource data not sold to the advertisers to th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first source data or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The user-generated content generated using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device, and an advertisemen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ource data included in the displayed user-generat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A system including a content management unit is provided.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rang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시스템 개괄System overvie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정보가 포함된 소스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100)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n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600)에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가 해당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장 보편적인 단말 장치인 퍼스널 컴퓨터, 휴대폰 뿐만 아니라, PDA, PMP 등 유무선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디지털 기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various digital devices may correspond to the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200)는 광고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동영상, 플래쉬 및 이들의 복합체(이하 '소스데이터'라 칭함)를 단말 장치(600)에 제공하고, 제공된 소스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단말 장치(600)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되는 컨텐츠를 다른 단말 장치(600)에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비스 서버(200)의 보다 상세한 기능은 이후 기술할 "서비스 서버의 구성" 부분에서 살펴보기로 한다.The
본 발명의 단말 장치(60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광고 정보가 포함된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생성된 컨텐츠는 단말 장치(600) 및/또는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된다. The
소스데이터Source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데이터는 자신에 대한 속성을 기재하고 있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거나, 별도의 저장 공간에 자신에 대한 속성이 기재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data includes metadata describing the attributes of the source data or the attributes of the source data are describ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소스데이터 자체로부터 소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획득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예로서는 이미지 파일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이미지 파일의 파일 이름, 생성 시각, 파일 타입, 파일 사이즈 및 파일의 생성자 등이 이미지 파일의 속성이 된다. 또 다른 예로서, 텍스트 데이터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텍스트 데이터의 이름, 생성 시각 등이 소스데이터의 속성이 됨은 물론이고, 텍스트 데이터를 구성하는 문자열 역시 소스데이터의 속성이 될 수 있다. 이 때, 텍스트 데이터를 구성하는 문자열 중에 유의미하고 등장 빈도가 높은 문자열이 소스데이터의 속성으로서 보다 적합하다 할 수 있고,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문자열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자연어 처리 기법 및 형태소 분석 기법 등 기존의 언어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는 방안 등이 생각되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미지로 표현된 문자나 오디오 정보가 소스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공지 기술인 문자 인식 기술 및 음성 인식 기술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면, 이러한 정보 역시 해당 소스데이터의 속성으로 취급될 수 있을 것이다.The most common example of obtaining attributes for source data from the source data itself is an image file. In this case, the file name, creation time, file type, file size, and file creator of the image file It becomes an attribute of a file. As another example, text data may be exemplified. In this case, the name of the text data, the creation time, and the like may be attributes of the source data, and a string constituting the text data may also be attributes of the source data. At this time, a meaningful and frequently appearing character string among text strings may be more suitable as an attribute of source data. As a method of extracting a meaningful character string from text data, exist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and morphological analysis techniques, etc. The use of linguistic research methods can be considered. In addition, when text or audio information represented as an image is included in the source data, if the text data can be converted into text data through known text recognition technology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such information is also treated as an attribute of the corresponding source data. Could be.
이와 같이 데이터 자체로부터 속성을 획득할 수 있는 소스데이터 외에도, 소스데이터의 속성이 별도의 저장 공간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기존에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0701163호에 개시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으로 태그를 추천 및 부여하는 방법'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얼굴 인식 기술, GPS 등의 위치 추적 기술 등을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태그를 부여할 수 있고, 부여된 태그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하여 저장 장치에 저장된다. 이러한 경우, 소스데이터(상기의 디지털 데이터) 외부에 소스데이터의 속성(상기의 태그 정보)이 저장되어 있지만, 태그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소프트웨어와 이를 소스데이터로서 활용하는 소프트웨어가 데이터 포맷 및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함으로써 소스데이터 내에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us, in addition to the source data from which the attribute can be obtained from the data itself,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attribute of the source data is record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In this regard,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mmending and assigning a tag to digital data'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070116, which has been previously filed and register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registered patent, a tag may be assigned to digital data through a face recognition technology, a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such as GPS, etc., and the assigned tag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gital data. In this case, the attributes of the source data (tag information above) are stored outside the source data (the digital data above), but the software for tagging and storing the data and the software using the same as the source data share the data format and database. As a result, the same effect as when the attribute is included in the source data can be achieved.
이와 같은 소스데이터는 광고 메시지와 연관될 수 있는데, 이러한 광고 메세지는 소스데이터와는 별도로 존재하다가 특정 시점에 소스데이터와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한 광고 게재 권리를 광고주가 구매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광고주에게 원하는 광고 메시지, 광고 방법 등의 광고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할 기회를 부여하고, 광고주에 의해 광고 정보가 입력 또는 선택되면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특정 소스데이터가 단말 장치(600)에서 조회되는 경우 상기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한 광고 정보를 단말 장치(6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Such source data may be associated with an advertisement message, which may be separate from the source data and combined with the source data at a particular point in time. Specifically, when an advertiser purchases an advertisement display right for specific source data, the
이와 같이 광고주에 의해 구매된 소스데이터를 본 명세서에서는 "광고성 소스데이터"라 칭할 것이며,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단말 장치(600)에 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광고 메시지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소스데이터 및 광고 메시지를 결합하는 과정에 대한 처리가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이하의 "서비스 서버의 구성", "컨텐츠의 생성", 및 "컨텐츠 조회를 통한 광고의 표시" 부분에서 기술하기로 하겠다.As such, the source data purchased by the advertiser will be referred to as "advertisement source data"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properly provide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to the
서비스 서버의 구성Configuration of Service Server
도 2는 서비스 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200)는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컨텐츠 관리부(230), 접속 관리부(240),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210), 제어부(260), 및 통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0) 및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컨텐츠 관리부(230), 접속 관리부(240),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210), 제어부(260), 및 통신부(27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서비스 서버(200)에 포함되거나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다만, 도 2에서는 소스데이터 검색부, 컨텐츠 관리부, 접속 관리부,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 제어부, 및 통신부가 모두 서비스 서버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비스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의 소스데이터 검색부(22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에 의해 특정된 검색 기준 또는 서비스 서버(200) 내에서 자체적으로 특정된 검색 기준에 따라 소스데이터를 검색한다. 검색 기준이 소스데이터 검색부(220)에 전달되면, 소스데이터 검색부(220)는 검색 기준에 부합하는 소스데이터 를 검색하게 되는데, 이 때, 검색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저장되어 있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색인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200)는 자신 및/또는 외부에 저장되어 있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단말 장치(6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에서 언급된 색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색인 데이터베이스(29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며, 단순한 로그(log)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색인 데이터의 생성 방법은 정보 검색 분야에 있어서 이미 공지의 기술로 취급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색인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는 것이 용이치 않은 경우에는, 검색 기준을 획득한 후 저장 장치의 디렉토리 구조를 따라 실시간으로 파일을 검색하는 경우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검색의 효율성은 떨어질 것이다.If it is not easy to generate the index data in advance, a case may be considered in which a file is searched in real time along the directory structure of the storage device after acquiring the search criteria, but the search efficiency may be reduced.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자신 내에 저장되어 있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검색 결과와 더불어 시스템 외부에 존재하는 별개의 서버(400)와 통신함으로써 획득된 소스데이터도 동시에 단말 장치(600)에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200)의 컨텐츠 관리부(23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로부터 전달된 컨텐츠에 대한 저장 요청 및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에 대한 조회, 수정, 삭제 등의 요청에 대한 처리를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서버(200)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0)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200)의 접속 관리부(240)는 단말 장치(600) 및 외부 시스템(400)과의 통신에 있어서, 그 대상에 관한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한다. 상기의 정보에는 접속 상태에 관한 통계 자료, 로그인이 필요한 시스템의 경우 로그인 정보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접속 관리부(240)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특정 단말 장치(600) 및 외부 시스템(400)에 대한 접속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210)는 서비스 서버(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구 통계학적 정보나, 사용자 특화된 설정 정보 등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210)는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사용한 인물에 대한 정보, 상기 컨텐츠를 생성한 인물과 온라인 상으로 친밀도가 높은 인물에 대한 정보,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시청하고 클릭하는 인물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를 위해 별도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컨텐츠 관리부(230), 접속 관리부(240),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210), 및 통신부(27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60)는, 통신부(270)를 통하여 각 구성 모듈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컨텐츠 관리부(230), 접속 관리부(240), 및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210)에 서 각각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서비스 서버(200)는 광고주에 의해 구매된 특정 소스데이터(즉, 광고성 소스데이터)와 광고 메시지를 결합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첫 번째 구성으로서, 광고 정보와 관계없는 소스데이터의 공통 속성 부분은 색인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하고,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데이터에만 요구되는 광고 메시지, 광고주 정보, 광고의 게재기간, 광고 단가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인터넷 광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정보(이하에서는 이를 포괄하여 "광고속성 정보"라 칭함)는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함으로써 서비스 서버(200)의 저장 공간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서버(200)가 단말 장치(600)에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획득된 광고 메시지 등의 광고속성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irst configuration, the common attribute portion of the source data irrelevant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두 번째 구성으로서,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첫 번째 구성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를 유지하되,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50)가 광고성 소스데이터에 대한 색인 데이터베이스의 역할도 수행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즉, 광고성 소스데이터와 그 밖의 소스데이터(즉, 비광고성 소스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200)의 소스데이터 검색부(220)가 검색 기준을 수신하는 경우, 소스데이터 검색부(220)는 색인 데이터베이스(290)와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50) 각각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소스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As a second configuration, the
그 밖의 구성으로서, 서비스 서버(200)는 광고 메시지의 내용을 색인 데이터베이스(290)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소스데이터와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는 소스데이터를 동일하게 관리함으로써, 서비스 서버(200)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데이터에만 요구되는 광고속성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공간이 광고를 포함하지 않는 소스데이터에도 할당될 것이므로 색인 데이터베이스(390)의 공간적 효율성의 희생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As another configuratio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구성 중 첫 번째 구성을 채택한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포함될 수 있는 광고 정보의 여러 필드들에 관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FIG. 3 exemplarily illustrates various fields of advertisement information that may be included in the
먼저, 도 3의 광고 ID는 광고 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First, the advertisement ID of FIG. 3 includes information for uniquely identifying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소스데이터 ID는 광고 정보가 포함될 소스데이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광고 정보가 복수의 소스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으므로, 소스데이터 ID 필드는 복수의 소스데이터 식별 정보를 구분자로 연결하여 저장하여 하나의 데이터 레코드로 관리하거나, 소스데이터 ID 필드가 하나의 소스데이터 식별 정보만을 포함하되 복수의 소스데이터 식별 정보마다 별도의 데이터 레코드로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소스데이터 식별 정보와 광고 정보 식별 정보의 대응 관계를 별도로 관리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The source data ID includes information for uniquely identifying the source data to be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Since a singl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 plurality of source data, the source data ID field may be stored by managing a plurality of sourc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connecting them as a separator and managed as a single data record. Although only one sourc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each sourc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managed as a separate data record. In addition, a method of separately managing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ourc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onsidered.
광고주 정보는 광고주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광고주의 이름, 주소, 전화 번호 등의 개인 신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vertiser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dvertiser, for exampl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address, telephone number of the advertiser.
광고 조건은 광고 정보가 광고성 소스데이터와 결합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은 소스데이터의 자체 또는 별도의 저장 공간에 기록되어 있고, 이러한 소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소스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참조된다. 더 나아가, 소스데이터는 복수의 서로 다른 속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서로 다른 속성에 대응되는 복수의 광고 정보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중 소스데이터와 결합될 광고 정보를 선정함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조건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 사진을 포함하는 소스데이터는 속성 정보로서 "자동차수리" 및 "자동차구입"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사진을 포함하는 소스데이터는 자동차 판매자의 광고와 자동차 수리업자의 광고에 모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에,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에 "수리"가 포함된 경우 자동차 판매자의 광고보다는 자동차 수리업자의 광고를 소스데이터와 결합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소스데이터에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광고가 대응되는 경우, 이 중 일부의 광고만을 소스데이터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광고 조건 정보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dvertisement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for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to be combined with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ibutes for the source data are recorded in the source data itself or in a separate storage space, and the attributes for the source data are referred to to provide the source data meeting the search conditions input by the user. . Furthermore, since the source data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attributes, there may be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different attribute, and in select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to be combined with the source data. In this case, the search condition input by the user may be considered. For example, since source data including a car picture may include "car repair" and "buy a car" at the same time as attribute information, the source data including a car picture may be used in the advertisement of the car seller and the advertisement of the car repairman. All can correspond. At this time, when the search condition input by the user includes "repair",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combine the advertisement of the car repairman with the source data rather than the advertisement of the automobile seller. As such, when a plurality of advertisement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correspond to the source data, the advertisement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usefully used to combine only some of the advertisements into the source data.
뿐만 아니라, 광고 조건 정보는 광고가 노출될 사용자의 신상 정보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신상 정보는 나이, 거주지역, 취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광고주는 광고가 노출될 사용자의 특징을 한정함으로써 보다 높은 광고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소스데이터와, 소스데이터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서버(200)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210)을 참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cond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condi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o which the advertisement is to be expose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for example, an age, a living area, or a hobby. In other words, the advertiser may achieve higher advertisement effect by limi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o which the advertisement will be displayed. This may be performed by referring to the user
광고 메시지는 소스데이터와 함께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의 표시부에 노출될 메시지를 포함한다.The advertisement message includes a message to be exposed to the display unit of the
광고URL은 사용자가 마우스 클릭 등의 행위를 통해 소스데이터를 특정하였을 때, 자동으로 접속될 웹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한다.The advertisement URL includes the address of a web page to be automatically accessed when the user specifies the source data through an action such as a mouse click.
유효성 정보는 광고 정보의 게재 기간에 대한 정보나, 광고 정보의 노출 제한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서버(200)의 운영자는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광고 노출 기간이나 광고가 노출될 총 횟수를 제한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유효성 정보 필드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The validity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publication period of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or information on a limit of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operator of the
도 4는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광고 정보가 기록된 하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dvertis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200) 내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는 원격 저장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 시스템(400)에 분산되어 존재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의 일 예로서, 서비스 서버(200)가 광고성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나, 소스데이터에 결합될 광고 정보를 광고주의 단말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The
컨텐츠의Of content 생성 produce
사용자는 단말 장치(60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함으로써 일시적으로 획득되는 것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user may generate content using a user interface provided to the
도 5는 컨텐츠의 생성을 위하여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5 exemplarily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provided to a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캔버스 영역(501), 검색 기능 인터페이스 영역(502), 리스트 뷰어 영역(50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리스트 뷰어 영역(503)은 캔버스 영역(501)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들을 일괄적으로 리스트 형식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컨텐츠에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영역인데,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므로 본 명세서에는 그 자세한 설명을 가능한 줄이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한편, 사용자는 캔버스 영역(501)에 직접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소스데이터(즉, 광고성 소스데이터 및/또는 비광고성 소스데이터)를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캔버스 영역(501)에 배치될 소스데이터는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소스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검 색에 의해 획득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may generate various contents by directly inputting text data into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캔버스 영역(501)의 일측에 검색 기능 인터페이스 영역(50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 기능 인터페이스 영역(502)의 검색창(502a)에 검색 조건을 입력하면, 입력된 검색 조건은 서비스 서버(200)에 송신되고, 검색 조건을 수신한 서비스 서버(200)는 색인 데이터베이스(290) 및 광고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소스데이터가 검색 결과 표시창(502b)에 제공되는데, 이러한 소스데이터에는 광고성 소스데이터 및/또는 비광고성 소스데이터가 포함됨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제공된 소스데이터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캔버스 영역(501)에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arch
서비스 서버(200)는 검색 결과 표시창(502b)에 소스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소스데이터 자체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소스데이터에 관련된 정보, 즉, 획득된 소스데이터에 관한 간략한 텍스트 데이터와 해당 소스데이터의 경로만을 일차적으로 제공하고, 추후 사용자가 해당 소스데이터를 선택하거나, 해당 소스데이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 소스데이터 자체를 제공할 수 있다. 소스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는 이 외에도 소스데이터의 이름, 소스데이터에 대한 태그 정보, 소스데이터의 생성 시각 정보, 및 소스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소스데이터가 이미지나 동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일 차적으로 제공되는 소스데이터는 적은 용량의 썸네일(thumbnail)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검색 조건의 특정은 사용자가 검색창(502a)에 검색 조건을 직접 입력하는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캔버스 영역(501) 내에 이미 추가되어 있는 소스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문자열에 마우스, 터치패드 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문자열이 검색창(502b)에 자동으로 입력이 되는 경우도 상정해 볼 수 있고, 또한, 특정 문자열을 클릭했을 때, 검색 조건이 서비스 서버(200)에 송신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pecification of the search condi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in which the user directly enters the search condition in the
검색 조건을 특정하는 다른 예시로서 사용자가 캔버스 영역(501)에 직접 작성하는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형태소 분석 방법 및 자연어 처리 방법 등 종래의 언어학적인 연구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요 단어를 선정하여 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텍스트 데이터를 완성하는 순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검색어를 검색 조건 후보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검색 조건 후보 중 하나를 특정함으로써 검색이 수행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specifying a search condition, a method of extracting a search word from text data written directly by the user in the
검색 조건을 특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캔버스 영역(501)에 배치된 소스데이터를 참조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캔버스 영역(501)에 배치된 전부 또는 일부의 소스데이터의 속성을 참조하여 그에 적합한 검색 조건으로 검색을 수 행하거나, 해당 검색 조건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 가수와 관련된 이미지나 텍스트를 캔버스 영역(501)에 추가한 경우, 해당 가수와 관련된 소스데이터에 대한 검색이 실행될 수 있는데, 해당 가수와 연관되는 검색 조건을 통해 관련되는 소스데이터를 추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추가된 소스데이터로부터의 검색 조건의 추출은 해당 소스데이터의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거나, 별도의 저장 공간에 기록된 소스데이터의 속성을 참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As another method of specifying the search condition, a method of referring to the source data arranged in the
검색 조건에 부합되는 소스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항상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단말 장치(6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을 행하여 광고성 및/또는 비광고성 소스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200) 및 단말 장치(600) 내의 소스데이터를 전부 대상으로 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order to obtain source data that satisfies the search condition, the search does not always need to be performed on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200)와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에 대한 검색이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게 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가 서비스 서버(2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말 장치(600)가 로컬 서버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로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As such, as a way to easily perform a search for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60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610), 로컬 서버(62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680), 색인 데이터베이스(690)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200) 등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670)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단말 장치(600)가 서비스 서버(20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로컬 서버(620) 및 색인 데이터베이스(690)가 단말 장치(60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로컬 서버(620)는 소스데이터 검색부(621), 컨텐츠 관리부(622), 접속 관리부(62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 모듈들의 기능은 앞서 설명한 서비스 서버(200)의 구성 모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단말 장치(6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다양한 경우를 상정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6, the
서비스 서버(200) 또는 단말 장치(600)로부터 소스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은 검색 기능 인터페이스 영역(502)을 통해 수행될 수 있지만, 또 다른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캔버스 영역(501) 일측에 제시되는 소스데이터 탐색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method of acquiring the source data from the
사용자는 검색된 소스데이터 목록 중에서 캔버스 영역(501)에 추가하고자 하는 소스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데, 선택된 소스데이터가 광고성 소스데이터일 경우, 캔버스 영역(501)에 상기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배치하는 시점에 광고 정보의 표시를 위한 추가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캔버스 영역(501) 상에 추가된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클릭했을 경우 특정 웹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링크 를 생성하는 작업이나, 해당 소스데이터에 마우스 포인터 등을 위치시켰을 경우 광고 내용이 표시되도록 프로그램 코드를 추가해 놓는 작업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광고 정보의 표시를 위한 추가 작업이 반드시 컨텐츠의 생성 과정에서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생성된 컨텐츠를 조회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이하의 "컨텐츠 조회를 통한 광고의 표시" 부분에서 기술하기로 하겠다.The user may select source data to be added to the
광고성 소스데이터가 캔버스 영역(501)에 추가되는 과정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검색된 광고성 소스데이터가 사용자의 선택과 무관하게 자동으로 캔버스 영역(501)에 추가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캔버스 영역(501)에 자동으로 추가되는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위한 일정 영역을 할당하여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rocess of adding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to the
한편, 이러한 소스데이터의 추가는 일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새롭게 소스데이터를 추가하려 할 때마다 가능할 수 있으며, 소스데이터를 캔버스 영역(501)에 추가할 때, 또는 캔버스 영역(501)에 추가된 소스데이터를 편집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그 배열 상태를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된 소스데이터를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고, 그 사이즈를 키우거나 줄일 수도 있으며, 소스데이터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복수의 소스데이터가 캔버스 영역(501)에 배치되는 경우, 소스데이터간에 서로 겹치게 배열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어느 소스데이터가 보다 전면에 노출되는지를 설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dition of such source data is not only once, but may be possible whenever the user wants to add new source data, and when adding the source data to the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소스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생성된 컨텐츠는 서비스 서버(200)나 단말 장치(600)의 양측에 또는 선택된 일측에 저장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user can generate content using the source data and store it. The generated content may be stored at both sides of the
상기와 같이 생성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복수의 사용자들이 조회할 수 있으며 조회하는 도중에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선택 또는 클릭하는 행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정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에 대해 특정 사용자와 친밀도가 높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블로그, 미니홈피 등으로 상기 컨텐츠를 복사해 올 수도 있을 것이다. A plurality of users can query the generated and stored content as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can select or click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during the inquiry. In addition, a user who has a high familiarity with a specific user with respect to the content generated by a specific user may copy the content into his or her blog or mini homepage.
광고주는 이와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광고에 의한 수익을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광고주가 구매한 특정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한 특정 사용자에게 수익의 일부를 나누어 줄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복사해서 자신의 블로그 등으로 가지고 간 사용자들에게도 수익의 일부를 나누어 줄 수도 있을 것이고, 상기 컨텐츠(또는 그 복사된 컨텐츠)의 특정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클릭한 사용자에게 수익의 일부를 나누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수익의 분배 개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익의 분배 개념이 본 발명의 구현에 꼭 필요한 것도 아님을 밝혀둔다.Advertisers may share revenue from advertising with users to account for this phenomenon. For example, an advertiser may share a portion of revenue to a specific user who creates content using specific advertising source data purchased by the advertiser. Some of the revenue may be distributed to users who have copied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specific user to his blog or the like and click on specific advertisement source data of the content (or the copied content). You might share some of your revenue with your users. However, the concept of distribution of revenue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clear that the concept of distribution of revenue is not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텐츠contents 조회를 통한 광고의 표시 Display of ad through view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된 컨텐츠 및/또는 단말 장치(600)에 저장 된 컨텐츠를 조회할 수 있다. 컨텐츠 조회를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리스트 뷰어 영역(503)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뷰어 영역(503)에는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컨텐츠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컨텐츠가 캔버스 영역(501)에 표시된다. 다만, 여기서 리스트 뷰어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의 리스트 뷰어가 가능함을 밝혀둔다.The user may query the content stored in the
단말 장치(600)가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특정 컨텐츠를 캔버스 영역(501)에 띄우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의 특정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스데이터 정보를 단말 장치(600)에 제공한다. 이 경우, 앞서 "컨텐츠의 생성" 부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생성 시점에 이미 광고성 소스데이터와 광고성 소스데이터에 대응되는 광고 정보의 결합이 이루어졌다면, 서비스 서버(200)는 광고 표시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도 상기 특정 컨텐츠를 단말 장치(600)에 제공함으로써 광고 정보도 함께 단말 장치(600)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그러나, 광고성 소스데이터와 광고 정보의 결합은 컨텐츠의 생성 과정이 아닌 컨텐츠의 조회 과정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소스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서버(200)는 광고성 소스데이터와 비광고성 소스데이터의 구분 없이 캔버스 영역(501) 상에서의 배치 정보만을 저장하고, 컨텐츠의 조회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광고 표시를 위한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200)의 컨텐츠 관리부(622)는 단말 장치(600)에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제공할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스데이터 중 광고성 소스데이터 에 대한 광고 정보를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한 후, 해당 광고 정보를 단말 장치(600)에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 추가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클릭했을 경우 특정 웹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나 해당 소스데이터에 마우스 포인터 등을 위치시켰을 경우 광고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 등 다양한 경우를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combination of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and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inquiring the content, not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tent. That is, in the process of the user generating the content using the source data, the
컨텐츠의 조회 과정에서 광고 정보를 소스데이터와 결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600)의 사용자가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클릭하거나 광고성 소스데이터 영역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것과 같은 특정 행위를 하였을 경우에 비로소 서비스 서버(200)가 단말 장치(600)에 광고 정보를 송신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서버(200)가 컨텐츠를 단말 장치(600)에 제공하는 시점에, 광고성 소스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특정 행위가 있을 경우 단말 장치(600)가 서비스 서버(200)에 해당 광고성 소스데이터에 대응하는 광고 메시지를 요청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추가하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As another method of combin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with source data in the process of inquiring content, when a user of the
광고 기능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획득되는 경우 외에도, 프로그램 코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에 내장되어 있고, 획득된 광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광고 기능의 수행을 위한 완전한 프로그램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도 상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case in which the program code for performing the advertisement function is obtained from the
이와 같이, 컨텐츠의 조회 과정에서 소스데이터와 광고 정보를 결합함으로 써, 캔버스 영역(501)을 통한 광고의 노출 시점을 컨텐츠가 생성된 때가 아닌 조회되는 때로 제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지 않은채로 컨텐츠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을 것이다.As such, by combining the source data and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querying the content, the exposure time of the advertisement through the
캔버스 영역(501)에 표시된 컨텐츠에 광고성 소스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광고의 기능이 발현되게 되는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광고는 이하에서와 같은 유형을 나타낼 것이다.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data is included i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광고 유형의 일 태양으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성 소스데이터의 근방에 광고성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성 소스데이터의 표시 영역 내부나, 광고성 소스데이터의 표시 영역 외부의 일측에 광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자칫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 및 컨텐츠를 조회하는 사용자에게 광고 메시지에 대한 거부감을 줄 수 있으므로, 광고의 표시를 숨길 수 있게 하는 등과 같이 광고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As an aspect of the advertisement type, it is conceivable that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vicinity of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For example, an advertisement message is displayed inside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of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or outside the display area of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However, in such a case, the user who created the content and the user who views the content may give a disapproval of the advertisement message, and thus, provide a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advertisement, such as hiding the display of the advertisement. You can assume.
광고 유형의 다른 태양으로서, 특정 상황에서만 소스데이터의 근방에 광고성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캔버스 영역(501)을 통해 컨텐츠를 조회할 때에는 광고성 정보는 표시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성 소스데이터에 특정 행위를 함으로써 비로소 광고성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이다. 도 7a는 이러한 광고 유형의 일례로서, 인물에 대한 이미지 컨텐츠에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경우 이미지 상의 인물이 착용하고 있는 의복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인 형태로서, 마우스 포인터가 이미지 컨텐츠 속의 인물의 의복 부분에 위치한 경우에는 의복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이미지 컨텐츠 속의 인물의 장신구 부분에 위치한 경우에는 장신구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As another aspect of the type of advertisement, it is conceivable that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vicinity of the source data only in a specific situation. That is, when the content is searched through the
광고 유형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캔버스 영역(501)에 표시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에 특정 웹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는 링크 정보가 포함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스데이터를 클릭하는 등과 같은 행위를 하였을 때, 광고주가 지정한 웹 페이지에 연결되는 경우로서,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광고주는 자신이 구매한 소스데이터를 사용자가 클릭하였을 경우 자신이 운영하는 웹 사이트 등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광고 행위를 달성하게 될 것이다.As another aspect of the advertisement typ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source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광고 유형은 위에서 언급한 태양 중 하나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으나, 여러 가지의 태양을 복합적으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앞서 언급한 태양 외에도 당업자의 기술 수준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dvertisement type may include one of the above-mentioned aspects, but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several aspects and may be freely modified within the skill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aspects.
광고 통계 데이터의 제공Provision of advertising statistics data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시스템은 광고주에게 광고의 노출 및 효과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에 대한 통계 데이터에는 여러 가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광고성 소스데이터가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로 제공된 횟수 및 제공 시각, 해당 광고성 소스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의 구 성 요소로서 채택된 횟수, 채택 시각 및 위치, 해당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채택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 해당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조회한 사용자, 조회 시각 및 조회 횟수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특정 소스데이터를 클릭하여 광고 메시지를 본 사람 및 시각 등의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advertiser with statistical data regarding the exposure and effectiveness of the advertisement. Statistical data about the advertisement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was provided to the user as a search result and the serving time, the number of times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was adopted by the user as a component of the content, the adoption time and location, and the user who adopted the advertisement source data. Information about the user, the user who viewed the content generated by using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source data, the search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inquiry. More specifically, the person who viewed the advertisement message by clicking specific source data included in the content And data such as time.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의 기능을 포함하는 이미지, 동화상, 텍스트 등의 소스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근에 점차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UCC 환경을 적절하게 광고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user-generated content using source data such as images, moving images, and text including the function of an advertisement, so that the UCC environment, which has recently been gradually expanding its area, can be appropriately used for advertisements. It can be used a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성 소스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는 광고될 해당 상품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일 확률이 높은바, 좀 더 효율적인 광고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ho generates the content using the advertising source data is likely to be a user who is interested in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be advertised, thus enabling more efficient advertisement.
Claims (3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0778A KR100840018B1 (en) | 2007-06-20 | 2007-06-20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user-generated cont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0778A KR100840018B1 (en) | 2007-06-20 | 2007-06-20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user-generated cont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0018B1 true KR100840018B1 (en) | 2008-06-20 |
Family
ID=3977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0778A Ceased KR100840018B1 (en) | 2007-06-20 | 2007-06-20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user-generated cont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001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9170B1 (en) | 2008-07-07 | 2012-02-24 | 공윤옥 | System for service of creative imag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74929A (en) * | 1999-05-27 | 2000-12-15 | 황경운 | Method for making and registering contents files united with banner files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contents files with internet users |
KR20010108716A (en) * | 2000-05-31 | 2001-12-08 | 최문선 | Internet advertizing component and advertizing application method |
JP2004304792A (en) | 2003-03-28 | 2004-10-28 | Eastman Kodak Co |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cinema content based on audience measured standard |
KR100724645B1 (en) * | 2006-09-12 | 2007-06-07 | 서동욱 | Cyber studio system using user-generated content and new knowledge search method using it |
-
2007
- 2007-06-20 KR KR1020070060778A patent/KR100840018B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74929A (en) * | 1999-05-27 | 2000-12-15 | 황경운 | Method for making and registering contents files united with banner files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contents files with internet users |
KR20010108716A (en) * | 2000-05-31 | 2001-12-08 | 최문선 | Internet advertizing component and advertizing application method |
JP2004304792A (en) | 2003-03-28 | 2004-10-28 | Eastman Kodak Co |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cinema content based on audience measured standard |
KR100724645B1 (en) * | 2006-09-12 | 2007-06-07 | 서동욱 | Cyber studio system using user-generated content and new knowledge search method using i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9170B1 (en) | 2008-07-07 | 2012-02-24 | 공윤옥 | System for service of creative ima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682389B (en) | For information to be provided the method and system of document based on web from external source | |
US934893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ing a keyword of a web page with video content | |
US900289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dular configurable creative units for delivery via intext advertising | |
KR10047801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earch result list based on local information | |
JP4546497B2 (en) | Advertisement matching method and advertisement matching system using seed | |
US8112308B1 (en) | Targeting using generated bundles of content sources | |
US820961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a web browser widget with social indexing | |
US2012009583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behavior history of a user to augment content of a webpage | |
CN100507894C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gmenting and determining target audience members | |
US20120290387A1 (en) | System and Method of Advertising for Objects Displayed on a Webpage | |
KR20030023870A (en) | Method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business and its customers | |
KR2006003606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ads using navigation of advertiser web information | |
JP441735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n advertiser's RSS feed and distributing it as a banner advertisement in an affiliate system | |
JP2009265833A (en) | Advertisement system and advertisement method | |
JPWO2007032142A1 (en) | Document data display processing method, document data display processing system, and software program for document data display processing | |
JP2010113542A (en) |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f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KR100987058B1 (en) | Method,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using keyword of internet contents | |
KR10172267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keyword based on indirect click | |
US8407665B1 (en) | Rendering contextual related content with a document, such as on a web page for example | |
KR10084001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user-generated content | |
JP6087855B2 (en) |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program | |
KR100951803B1 (en) |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archable advertisement | |
JP2022035340A (en) |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system construction method | |
KR10234073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exposure service using hot key registration | |
KR10181216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dvertisement targeting using advertisement storing service providing to users individual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PC2102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