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299B1 -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6299B1 KR100846299B1 KR1020070035966A KR20070035966A KR100846299B1 KR 100846299 B1 KR100846299 B1 KR 100846299B1 KR 1020070035966 A KR1020070035966 A KR 1020070035966A KR 20070035966 A KR20070035966 A KR 20070035966A KR 100846299 B1 KR100846299 B1 KR 1008462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traffic information
- user
- traffic
- ser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노약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대상자가 보유한 이동단말기 카드, 소지품, 및 지팡이 등에 내장된 통신 칩을 통해 대상자를 인식하고, 장애 형태에 따라 최적의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즉,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상기 개인 정보에 부합된 교통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개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장애 여부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장애 유형에 적합한 상기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교통 정보 서버;를 포함함으로써, 장애인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하는 통합적인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의 구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recognizing a target person through a communication chip embedded in a mobile terminal card, belongings, and cane held by a service target person including a disabled person and an elderly person, and providing optimal traff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do. That is, the system stores a user information for the user,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ed along with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to receive traff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A traffic information serv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as a disability and a disability type including an elderly person, searching for the traffic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disability typ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By including; it is possible to build an integrated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centering on various service targets, including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3 and 4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사용자 단말기100: user terminal
200: 서비스 단말기200: service terminal
300,700: 교통 정보 서버300,700: Traffic Information Server
400,800: 정보 저장 서버400,800: information storage server
500,600: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500,600: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900: 센서900: sensor
본 발명은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 노약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대상자가 보유한 이동단말기 카드, 소지품, 및 지팡이 등에 내장된 통신 칩을 통해 대상자를 인식하고, 장애 형태에 따라 최적의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recognize a target person through a communication chip embedded in a mobile terminal card, belongings, and cane held by a service target person including a disabled person and an elderly pers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optimal traffic information.
종래에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돕는 수단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길안내용 지팡이는 바닥의 점자블록을 두드려 확인하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거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점자블록 및 지팡이에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일정거리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지의 여부와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있으나, 현재 위치한 장소의 주위 정보 예컨대, 근방의 건물명이나 상점명 알림, 및 횡단보도/계단/기타 장애물 주의 등을 음성으로 안내해주거나 교통안내 또는 진행방향 기준의 목적지 방위각을 알려주는 등의 기능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Conventionally developed walking guide wand as a means to help the visually impaired to walk is to check and move the braille block on the floor, generally, a sensor in the braille block and wand is provided a certain distance ahead It may tell you whether there are obstacles and where you are, but you can use voice information to guide you around the current location, such as nearby building or store name notifications and pedestrian crossing / stairs / other obstacles. It does not have a function such as indicating the destination azimuth angle.
이에 따라,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시각장애인이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필요로 하는 정보들이 충분하게 제공되지 못했으며, 상기 길안내용 지팡이의 기능을 구동하기 위해 수동적인 장치조작 과정이 필요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does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requires a manual device operation process to drive the function of the walking guide wand. There was a problem.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0405636호(시각 장애인 안내용 전자감지 지팡이)는 지팡이에 전자감지처리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감지상황에 따른 안내정보를 특정음이나 진동으로 출력함으로써, 보행하고 있는 위치의 주위상황에 대한 인식을 돕는 기능을 하지만, 교차로나 계단 또는 장애물 등의 주의 신호를 출력할 뿐이며 현재 위치한 장소 정보 또는 진행방향의 방위각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은 없다.In this regard, Patent No.0405636 (electronic sensing wan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sensing processing device in the wand, and outputs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nsing situation by a specific sound or vibration, so that This function helps to recogn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but it only outputs a caution signal such as an intersection, a stairway or an obstacle, and does not output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r the azimuth in the direction of travel.
게다가, 등록특허 제0405636호(시각 장애인용 착용 가능 보행 안내 장치 및 방법)는 초소형 카메라를 장착한 보행안내장치로, 초소형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원거리 장애물 탐지와 보행로의 방향 또는 문자열 인식 등을 음성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나, 외부 무선전파송신모듈과의 통신에 따른 정보제공이나 교통수단 이용을 돕는 안내정보 또는 진행방향의 방위각정보 등을 구체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In addition, Patent No.0405636 (Walking guide device and method for wearable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a walking guide device equipped with a micro camera, and analyzes the image input through the micro camera and guides the analysis result by voice, thereby providing a long distance. It can be provided to voice output of obstacle detection and pedestrian direction or character recognition, or can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provided by communication with external radio wave transmission module or use of transportation means, or azimuth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travel. It does not have a function.
한편, 상술한 종래 기술들은 서비스 대상이 시각장애인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장애인,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하는 통합적인 서비스의 구축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limited to the visually impaired service target, it is required to build an integrated service centered around various service targets, including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 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 노약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대상자가 보유한 이동단말기 카드, 소지품, 및 지팡이 등에 내장된 통신 칩을 통해 대상자를 인식하고, 장애 형태에 따라 최적의 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상기 개인 정보에 부합된 교통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개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장애 여부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장애 유형에 적합한 상기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교통 정보 서버;를 포함하여, 장애인, 노약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대상자의 탑승에 따른 배차 시간 조정 및 그에 따른 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서비스 대상자를 인식하여 신호 체계를 보행 속도에 적합하게 조정 가능하며, 목적지까지 가기 위한 베리어(Barrier)가 없는 경로를 제공함에 따라, 장애인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하는 통합적인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terminal embedded in a mobile terminal card, belongings, cane, etc. possessed by a service target including a disabled person and the elderly To recognize the target person through the chip, and to provide the optimal traff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to store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the user, receiv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s it with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A user terminal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 traffic information serv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as a disability and a disability type including an elderly person, searching for the traffic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disability typ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cluding; can provide the vehicle assignment time adjustment and the adjust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oarding of the service target, including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in addition, the signal system can be adjusted to suit the walking speed by recognizing the service target In order to provide a barrier-free route to a dest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a method centering on various service targets including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상기 개인 정보에 부합된 교통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개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장애 여 부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장애 유형에 적합한 상기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교통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s provi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ystem stores personal information about a user, receives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receives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A user terminal which transmits together and receives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disability type including a disability of the user terminal user and an elderly person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searching for the traffic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disability type, and providing the disability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구성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개인 정보에 따른 장애 여부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교통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저장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ystem, the information storage server for storing the failure type information including the failure status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stored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It is done.
상기 구성에서,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상기 판단된 장애 유형에 따라, 상기 검색된 상기 교통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may provide the searched traffic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voice or a video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bstacle type.
상기 구성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구성에서, 상기 교통 정보는, 대중교통 노선 정보 및 배차간격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raffic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public transport route information and dispatch interval adjustmen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보행자를 인식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가 구비된 서비스 영역에서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상기 보행자에 대한 개인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센서에 근접시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된 상기 개인정보를 토대로 상기 센서에 근접한 보행자의 장애 여부 및 장애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보행자가 위치한 해당 지역의 신호등 체계를 조절하는 교통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 a service area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for recognizing a pedestrian: the system stores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pedestrian, A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transmitting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And a traffic information server for determining whether a pedestrian has a disability and a kind of disability,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nd adjusting a traffic light system of a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by reflec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구성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개인 정보에 따른 장애 여부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교통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저장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ystem, the information storage server for storing the failure type information including the failure status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stored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It is done.
상기 구성에서,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상기 보행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신호등 체계 조절 상황을 음성을 통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edestrian is visually impaired,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is characterized by guiding the traffic light system adjustment situation through voice.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저장 모듈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방식을 통해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를 상기 센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formation storage module may provide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sensor throug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저장 모듈은, 상기 보행자가 소지한 카드, 소지품, 지팡이, 및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formation storag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card, belongings, canes, and mobile terminals carried by the pedestrian.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며,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로부터 상기 개인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상기 개인 정보에 부합된 교통 정보를 제공받는 서비스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개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장애 여부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장애 유형에 적합한 상기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단말기에 제공하는 교통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and transmitting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A service terminal recei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receiving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ransmi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and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a traffic information serv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 disability and a disability type including an elderly person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searching for the traffic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disability type, and providing the service information to the servic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구성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개인 정보에 따른 장애 여부 및 노약자 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교통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저장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ystem, the information storage server for storing the failure type information including the failure status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stored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It is done.
상기 구성에서,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상기 판단된 장애 유형에 따라, 상기 검색된 상기 교통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의 형태로 상기 서비스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may provide the searched traffic information to the service terminal in the form of voice or video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obstacle.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저장 모듈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방식을 통해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를 상기 서비스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formation storage module may provide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service terminal through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scheme.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저장 모듈은, 상기 보행자가 소지한 카드, 소지품, 지팡이, 및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formation storag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card, belongings, canes, and mobile terminals carried by the pedestrian.
상기 구성에서, 상기 서비스 단말기는,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키오스크(Kios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rvic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iosk (Kiosk) installed in the service area.
상기 구성에서, 상기 교통 정보는, 대중교통 노선 정보 및 배차간격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raffic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public transport route information and dispatch interval adjustmen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교통 정보 서버가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 및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장애 유무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장애가 판별될 경우, 상기 정보 저장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장애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상기 장애 유형에 부합된 상기 목적지까지의 교통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e) 상기 파악된 교통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a traffic information server receiving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b) determining, by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whether there is a failure based on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an information storage server storing failure type information and the type of failure including the elderly; c) determining, by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the type of failure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storage server when the failure of the user is determined; d)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grasping traffic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obstacle type; And e) providing the identified traffic information to the user.
상기 구성에서, 상기 a) 단계는,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와 함께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step 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user receives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together with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상기 구성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구성에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이 소정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2) 서비스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a-3) 상기 서비스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개인 정보와 함께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tep a) may include: a-1) transmitting, by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a-2) receiving, by a service terminal, th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And a-3) receiving, by the service terminal,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together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저장 모듈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방식을 통해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를 상기 서비스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formation storage module may provide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service terminal through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scheme.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저장 모듈은, 상기 보행자가 소지한 카드 또는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formation storage module is mounted on a card or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the pedestrian.
상기 구성에서, 상기 서비스 단말기는,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키오스크 (Kios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rvic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iosk (Kiosk) installed in the service area.
상기 구성에서, 상기 d) 단계는, 대중교통 노선 정보 및 배차간격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교통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step d)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identifying the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and dispatch interval adjustment information.
상기 구성에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판단된 장애 유형에 따라, 상기 검색된 상기 교통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step e) may provide the searched traffic information to the user in the form of voice or video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obstacle.
상기 구성에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파악된 교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step 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he identified traffic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상기 구성에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파악된 교통정보를 상기 서비스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step 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he identified traffic information to the servic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보행자를 인식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가 구비된 서비스 영역에서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상기 보행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이 상기 센서에 근접시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장애 유무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보행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상기 보행자의 장애가 판별될 경우, 상기 정보 저장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장애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상기 보행자의 장애 유형을 반영하여 상기 보행자가 위치한 해당 지역의 신호등 체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in a service area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for recognizing a pedestrian: The method comprises: a) storing user information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pedestrian; Sending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by the module in proximity to the sensor; b) determining, by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whether the pedestrian has a disability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in association with an information storage server storing disability type and disability type information including the elderly; c) determining, by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the type of failure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storage server when the obstacle of the pedestrian is determined; And d) adjusting, by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a traffic light system of a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to reflect the obstacle type of the pedestrian.
상기 구성에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보행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신호등 체계 조절 상황을 음성을 통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step d), if the pedestrian is visually impai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voice to guide the traffic light system adjustment situation.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저장 모듈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방식을 통해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를 상기 센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formation storage module may provide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sensor throug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정보 저장 모듈은, 상기 보행자가 소지한 카드, 소지품, 지팡이, 및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formation storag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card, belongings, canes, and mobile terminals carried by the pedestrian.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개인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100), 보행자를 위한 인도 또는 도로에 설치된 서비스 단말기(20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상기 서비스 단말기(200)에 상기 보행자의 유형에 따른 최적의 교통 정보를 파악하여 제공하는 교통 정보 서버(300), 상기 보행자의 장애 여부 및 장애 유형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교통 정보 서버(300)에 상기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저장 서버(400); 및 상기 보행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서비 스 단말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저장 모듈(5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정보 저장 서버(400)는 교통 정보 서버(300)에 포함되도록 구성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system includes a
상기 서비스 단말기(100)는 보행자가 소지한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보행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저장하며, 보행 서비스 요구시 보행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개인 정보와 함께 교통 정보 서버(300)로 전송한다.The
상기 서비스 단말기(200)는 보행자를 위한 인도, 도로, 또는 버스 정류장 등에 설치되는 키오스크(Kiosk)를 포함하는 통합 단말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보 저장 모듈(500)로부터 저장된 개인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와 함께 상기 교통 정보 서버(300)로 전송하여 상기 개인 정보에 부합된 교통 정보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상기 정보 저장 모듈(500)은 상기 보행자가 소지한 카드, 소지품, 지팡이, 및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서비스 단말기(200)에 근접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방식을 통해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상기 서비스 단말기(200)에 제공한다.The
상기 교통 정보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서비스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개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정보 저장 서버(400)와 연동하여 보행자의 장애 여부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장애 유형에 적합한 최적의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단말기(100,200)에 제공한다. 이 때, 교통 정보 서버(300)는 판단된 보행자의 장애 유형에 따라, 상기 검색된 상기 교통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보행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음성을 통해 교통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의 장애 유형을 고려한 최적의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교통 정보 서버는, 보행자 보행에 따른 최적 경로뿐만이 아니라, 보행자가 버스 정류장 등에서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대중교통 노선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대중 교통 회사와 연계하여 장애인 탑승에 따른 버스 운행 시간을 조절하고, 이에 따른 배차간격 조정 정보를 보행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The
다음,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보행자를 인식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900)가 구비된 서비스 영역에서의 구현 예로서, 상기 보행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서비스 단말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저장 모듈(600); 상기 보행자의 유형에 따른 최적의 교통 정보를 파악하여 제공하는 교통 정보 서버(700); 및 상기 교통 정보 서버(700)에 상기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저장 서버(8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That is,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mplementation example in a service area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상기 정보 저장 모듈(600)은 상기 보행자가 카드, 소지품, 지팡이, 및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900)에 근접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방식을 통해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상기 센서(900)에 제공한다.The
상기 교통 정보 서버(700)는 상기 센서(9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개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정보 저장 서버(480)와 연동하여 보행자의 장애 여부 및 노약자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보행자가 위치한 해당 지역의 신호등 체계를 조절한다. 예컨대, 건널목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900)를 통해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보행 출발을 감지하고 보행이 완료 전까지 보행 신호를 유지하고, 보행 종료가 상기 센서(900)를 통해 감지될 경우, 보행신호를 점멸한다. 이때, 상기 보행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신호등 체계 조절 상황을 음성을 통해 안내한다.The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3 and 4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First,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교통 정보 서버가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 및 개인 정보를 수신한다(S10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된 개인 정보와 함께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 전송한다. 한편, 서비 스 단말기(200)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500)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방식을 통해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를 전송한다(S110). 이 후, 서비스 단말기(200)가 상기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보행자로부터 상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개인 정보와 함께 상기 교통 정보 서버(300)에 전송한다(S120-S130).First,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receives the user's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S100). Preferably, the
이 후, 교통 정보 서버(300)가 정보 저장 서버(400)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장애 유무를 판단한다(S200).Thereafter, the
그리고 나서, 교통 정보 서버(300)가 상기 보행자의 장애가 판별될 경우, 상기 정보 저장 서버(400)와 연동하여 보행자의 장애 유형을 판단한다(S300).Then, when the
그런 다음, 교통 정보 서버(300)가 상기 장애 유형에 부합된 상기 목적지까지의 교통 정보를 파악하고(S400), 파악된 교통 정보를 보행자에게 제공한다(S500). 바람직하게는, 교통 정보 서버(300)는 판단된 보행자의 장애 유형에 따라, 상기 검색된 상기 교통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보행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음성을 통해 교통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의 장애 유형을 고려한 최적의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교통 정보 서버(300)는, 보행자의 장애 유형에 따른 최적 경로뿐만이 아니라, 보행자가 버스 정류장 등에서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대중교통 노선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대중 교통 회사와 연계하여 장애인 탑승에 따른 버스 운행 시간을 조절하고, 이에 따른 배차간격 조정 정보를 보행자에게 제공하도록 한 다.Then, the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보행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600)이 설치된 센서(900)에 근접시 저장된 개인 정보를 전송한다(S10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저장 모듈(600)이 상기 보행자가 소지한 카드 또는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900)에 근접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방식을 통해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상기 센서(900)에 제공한다.First, when the user
이 후, 센서(900)가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모듈(600)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를 교통 정보 서버로 전송하고(S200), 이를 수신한 교통 정보 서버(700)가 정보 저장 서버(800)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장애 유무를 판단한다(S300).Thereafter, the
그리고 나서, 교통 정보 서버(700)가 상기 보행자의 장애가 판별될 경우, 상기 정보 저장 서버(800)와 연동하여 보행자의 장애 유형을 판단한다(S400).Then, when the
그런 다음,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상기 보행자의 장애 유형을 반영하여 상기 보행자가 위치한 해당 지역의 신호등 체계를 조절한다(S500). 예컨대, 건널목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900)를 통해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보행 출발을 감지하여 보행이 완료 전까지 보행 신호를 유지하고, 보행 종료가 상기 센서(900)를 통해 감 지될 경우 보행신호를 종료한다. 이때, 상기 보행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신호등 체계 조절 상황을 음성을 통해 안내한다.Then, the traffic information server adjusts the traffic light system of the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by reflecting the obstacle type of the pedestrian (S500). For example, the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장애인, 노약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대상자의 탑승에 따른 배차 시간 조정 및 그에 따른 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서비스 대상자를 인식하여 신호 체계를 보행 속도에 적합하게 조정 가능하며, 목적지까지 가기 위한 베리어(Barrier)가 없는 경로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하는 통합적인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의 구축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adjustment time according to the boarding of the service target person, including the disabled, senior citizens and the corresponding adjustment information, and the service By recognizing the target person, the signal system can be adjusted to the walking speed, and by providing a barrier-free route to the destination, it is possible to build an integrated traffic information service service centering on various service targets. .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possible.
Claims (3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5966A KR100846299B1 (en) | 2007-04-12 | 2007-04-12 |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5966A KR100846299B1 (en) | 2007-04-12 | 2007-04-12 |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6299B1 true KR100846299B1 (en) | 2008-07-14 |
Family
ID=3982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5966A Active KR100846299B1 (en) | 2007-04-12 | 2007-04-12 |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6299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1094B1 (en) | 2008-07-22 | 2008-10-01 |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 Traffic weak guide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location tracking service |
KR101197693B1 (en) * | 2010-06-21 | 2012-11-05 | (주) 에스엘테크 | Direction guide system for blind person |
KR101254642B1 (en) | 2012-07-20 | 2013-04-23 | 에이큐 주식회사 | Function displaying terminal according to transaction and method thereof |
KR101427413B1 (en) * | 2012-07-13 | 2014-08-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ethod for providing passenger help service and passenger help service server thereof |
KR101608911B1 (en) * | 2015-05-14 | 2016-04-05 | (주)에스앤티 | the notice system using beacon of BIT(Bus Infomation Terminal) |
KR102223453B1 (en) * | 2020-01-29 | 2021-03-05 | 디토닉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deep learning |
KR20210085031A (en) * | 2019-12-30 | 2021-07-08 | 주식회사 플럭시티 | Kiosk Devices for Interior and Outdoor Path Guidance for both Handicapped and Con-handicpped |
KR20220096659A (en) * | 2020-12-31 | 2022-07-07 | 주식회사 닷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pairing of user terminal and information terminal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0391A (en) | 1998-09-11 | 2000-03-31 | Shin Sangyo Souzou Kenkyu Kiko | Controller for signal lamp |
KR20020024863A (en) * | 2000-09-27 | 2002-04-03 | 양현택 |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blind |
KR20050019168A (en) * | 2003-08-18 | 2005-03-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Handicapped Person using Open API |
KR20050080187A (en) * | 2005-07-23 | 2005-08-11 | 유티정보 주식회사 | Safety assistant system and methods for weak persons crossing the road using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KR20070035626A (en) * | 2005-09-28 | 2007-04-02 | 주식회사유진테크 | Location guide device for the blind and its method |
-
2007
- 2007-04-12 KR KR1020070035966A patent/KR1008462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0391A (en) | 1998-09-11 | 2000-03-31 | Shin Sangyo Souzou Kenkyu Kiko | Controller for signal lamp |
KR20020024863A (en) * | 2000-09-27 | 2002-04-03 | 양현택 |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blind |
KR20050019168A (en) * | 2003-08-18 | 2005-03-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Handicapped Person using Open API |
KR20050080187A (en) * | 2005-07-23 | 2005-08-11 | 유티정보 주식회사 | Safety assistant system and methods for weak persons crossing the road using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KR20070035626A (en) * | 2005-09-28 | 2007-04-02 | 주식회사유진테크 | Location guide device for the blind and its method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1094B1 (en) | 2008-07-22 | 2008-10-01 | 주식회사 유비즈코아 | Traffic weak guide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location tracking service |
KR101197693B1 (en) * | 2010-06-21 | 2012-11-05 | (주) 에스엘테크 | Direction guide system for blind person |
KR101427413B1 (en) * | 2012-07-13 | 2014-08-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ethod for providing passenger help service and passenger help service server thereof |
KR101254642B1 (en) | 2012-07-20 | 2013-04-23 | 에이큐 주식회사 | Function displaying terminal according to transaction and method thereof |
KR101608911B1 (en) * | 2015-05-14 | 2016-04-05 | (주)에스앤티 | the notice system using beacon of BIT(Bus Infomation Terminal) |
KR20210085031A (en) * | 2019-12-30 | 2021-07-08 | 주식회사 플럭시티 | Kiosk Devices for Interior and Outdoor Path Guidance for both Handicapped and Con-handicpped |
KR102367424B1 (en) * | 2019-12-30 | 2022-02-24 | 주식회사 플럭시티 | Kiosk Devices for Interior and Outdoor Path Guidance for both Handicapped and Con-handicpped |
KR102223453B1 (en) * | 2020-01-29 | 2021-03-05 | 디토닉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deep learning |
KR20220096659A (en) * | 2020-12-31 | 2022-07-07 | 주식회사 닷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pairing of user terminal and information terminal |
KR102429403B1 (en) | 2020-12-31 | 2022-08-04 | 주식회사 닷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pairing of user terminal and information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6299B1 (en) |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
KR101845754B1 (en) | Independence walking guidance device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 |
KR101039572B1 (en) | Crosswalk Guid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 |
KR101575776B1 (en) | A object recognitive stick for the blind | |
US10441494B2 (en) |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 |
KR101172000B1 (en) | Customized transit information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 |
JP2007257463A (en) | Directional voice guidance system and directional voice guidance method | |
KR101988424B1 (en) | 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haviag the navigation based on gps | |
KR101796276B1 (en) | Pedestrian navigation device and system for the blind | |
KR20140066477A (en) |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walking for the blind | |
KR102143596B1 (en) | User assistance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traffic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 |
KR101810576B1 (en) | Drone Apparatus for Assisting a Visually Handicapped Pers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197693B1 (en) | Direction guide system for blind person | |
KR101873489B1 (en) | Crossroad passing support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and method for the same | |
KR101328121B1 (en) | A subway station of guidance information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 |
KR20110062844A (en) | Guide cane in buildings for the blind | |
JP2015521319A (en) | Acoustic signal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GPS and smartphone applications | |
KR20110003100A (en) | Gait Assistance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 |
KR102285501B1 (en) | System supporting on and off the bus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 |
KR100770011B1 (en) | Location and direc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 |
KR20080008705A (en) | Visually Impaired Road Guidance System Us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 |
JP2006345974A (en) | Walking aid device for blind person | |
JP2000000262A (en) | Guidance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 |
KR101721932B1 (en) | Apparatus for guiding ro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4396891B2 (en) | Guidance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