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833B1 - Caption data processing device of digital TV - Google Patents
Caption data processing device of digital TV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5833B1 KR100845833B1 KR1020020018678A KR20020018678A KR100845833B1 KR 100845833 B1 KR100845833 B1 KR 100845833B1 KR 1020020018678 A KR1020020018678 A KR 1020020018678A KR 20020018678 A KR20020018678 A KR 20020018678A KR 100845833 B1 KR100845833 B1 KR 1008458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nt
- mpeg
- video
- caption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자막 방송 데이터 처리에 필수적인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있다. 즉, FCC에서 정한 디지털 자막 방송 처리 규정을 만족시키는 그래픽 처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화면 제어코드와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처리하는 MPEG-2 비디오 처리부와, 상기 MPEG-2 비디오 처리부에서 추출된 텍스트 정보로부터 그래픽 데이터(비트맵 폰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비트맵 데이터에 문자 경계 효과(font border effects)를 적용하여 화면에 OSD 형태로 출력하는 DTVCC 디코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셋톱박스, 폰트 후-처리, 디지털 자막 방송 수신기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the functions necessary for processing digital caption broadcasting data. That is, to implement a graphic processing system that satisfies the digital caption broadcasting processing regulations set by the FCC, the MPEG-2 video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nd processing the screen control code and text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the MPEG-2 video It comprises a DTVCC decoder that generates graphic data (bitmap font) from the text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processing unit, and applies the font border effects to the generated bitmap data to output to the screen in OSD form. have.
Set-top boxes, font post-processing, digital closed caption receivers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셋톱박스의 오디오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processing system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set 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인 폰트 후-처리기(FPP)를 보여준 도면2 shows a font post-processor (FPP) as one of the greatest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검색/필터부의 상세 동작을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operation of the frame search /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 필터의 상세 동작을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boundary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림자 필터의 상세 동작을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operation of a shadow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DTVCC 디코더부 110 : DTVCC 추출기100: DTVCC decoder 110: DTVCC extractor
120 : 비트맵 폰트 생성기 130 : 폰트 후-처리기120: bitmap font generator 130: font post-processor
131 : 폰트버퍼 132 : 제 1 필터 선택기131: font buffer 132: first filter selector
133 : 테두리 검색/필터부 134 : 제 2 필터 선택기133: border search / filter section 134: second filter selector
135 : 경계 필터 136 : 그림자 필터135: boundary filter 136: shadow filter
140 : 명령어 처리부 150 : 캡션 스크린 제어기140: instruction processing unit 150: caption screen controller
200 : MPEG-2 비디오 처리부 210 : MPEG 디먹스 200: MPEG-2 video processor 210: MPEG demux
220 : 비디오 추출기 230 : MPEG-2 디코더220: video extractor 230: MPEG-2 decoder
240 : 비디오 합성부 250 : 시스템 정보 추출기240: video synthesizer 250: system information extractor
260 : UI 처리부260: UI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디지털 자막(digital closed caption) 데이터 표현을 위한 문자 데이터의 그래픽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phic processing technique of text data for digital closed caption data representa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최근 디지털 방송이 북미 및 유럽 등지에서 시행됨에 따라 이를 수신할 수 있는 티브이 및 전용 수신기(Set-Top Box : STB)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Recently, as digital broadcasting has been implemented in North America and Europe, development of TVs and dedicated receivers (Set-Top Box: STB) capable of receiving them has been actively developed.
자막(closed caption) 방송은 영상신호에 음성 및 음향을 표현하는 부호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청각 장애인들이 티브이를 일반인과 동등한 수준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이다.Closed caption broadcasting is a broadcast that allows a hearing-impaired person to watch TV on a level equivalent to that of the general public by transmitting a code representing voice and sound in a video signal.
현재 자막방송 처리 기능은 북미 및 유럽에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이다(아날로그 규격 : EIA-608B, 디지털 규격 : EIA-708B, 디지털의 경우 2002년 7월 1일 이후 필수 규격).Currently, closed caption processing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analog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Analog Standard: EIA-608B, Digital Standard: EIA-708B, Digital Standard after July 1, 2002) ).
일반적으로 영상신호와 함께 전송된 자막신호는 수신장치에서 영상신호와 분리된 후 OSD(On Screen Display)를 사용하여 영상신호 위에 겹쳐 디스플레이된다.In general, the caption signal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video signal is separated from the video signal in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n superimposed on the video signal using an OSD (On Screen Display).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의 경우는 NTSC 비디오 신호 VBI 구간 21 라인에 있는 아날로그 자막 데이터를 수신기에 내장된 집적회로나 소프트웨어 모듈로 처리하였으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경우는 디지털 자막 신호처리 기능이 장착된 수신기가 아직 나와있지 않다.In the conventional analog broadcasting receiver, the analog caption data in the NTSC video signal VBI section 21 line is processed by the integrated circuit or software module built in the receiver. In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he receiver equipped with the digital caption signal processing function Not yet.
미 FCC에 의하면 2002년 7월 1일 이후부터 북미에서 생산 혹은 판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대해 디지털 자막 방송 데이터의 처리를 의무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시급하다.According to the US FCC, since July 1, 2002,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s manufactured or sold in North America have been mandated to process digital subtitle broadcasting data.
특히, 디지털 자막 방송 규격에서는 디지털 방송에 부합하는 자막 방송의 구현을 위해 그리고 청각 장애인의 방송 시청의 질적 향상을 위해 문자 경계 효과(font border effects)를 정의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digital caption broadcasting standard defines font border effects for realizing caption broadcasting that is compatible with digital broadcasting an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viewing of the broadcast for the hearing impaired.
상기 문자 경계 효과란 단색의 평이한 문자의 표현이 아니라 문자에 테두리 색, 입체감, 그리고 그림자 효과 등을 주는 것을 말한다.The character boundary effect refers to giving a character a border color, a three-dimensional effect, a shadow effect, etc., rather than a plain plain character.
따라서 디지털 자막 데이터의 추출 및 제어뿐만 아니라 문자의 상기 효과를 구현하는 필연성이 대두되었다.Therefore, the necessity of embodying the above effects of characters as well as extraction and control of digital subtitle data has emerg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앞서 기술한 디지털 자막 방송 데이터 처리에 필수적인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있다. 즉, FCC에서 정한 디지털 자막 방송 처리 규정을 만족시키는 그래픽 처리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the functions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digital subtitle broadcast data described abov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at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graphics processing system that satisfies the digital caption broadcasting processing regulations set by the FCC.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TV의 캡션데이터 처리장치의 특징은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화면 제어코드와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처리하는 MPEG-2 비디오 처리부와, 상기 MPEG-2 비디오 처리부에서 추출된 텍스트 정보로부터 그래픽 데이터(비트맵 폰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비트맵 데이터에 문자 경계 효과(font border effects)를 적용하여 화면에 OSD 형태로 출력하는 DTVCC 디코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Features of the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D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MPEG-2 video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nd processing the screen control code and text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the MPEG-2 video processing unit And a DTVCC decoder which generates graphic data (bitmap font) from the extracted text information and applies font border effects to the generated bitmap data and outputs it on the screen in OSD form. .
이때, 상기 DTVCC 디코더부는 수신되는 MPEG-2 비디오의 사용자 데이터(user-data) 영역에 있는 디지털 자막 패킷 데이터를 분해하여 캡션 명령어(caption command)와 캡션 텍스트(caption text)로 분리하는 DTVCC 추출기와, 상기 DTVCC 추출기에서 분리된 캡션 명령어에 따라 필요한 기능 혹은 절차를 수행하는 명령어 처리부와, 상기 DTVCC 추출기에서 분리된 캡션 텍스트의 입력에 따라 비트맵 형식의 폰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트맵 폰트 생성기와, 상기 비트맵 폰트 생성기에서 생성된 비트맵 폰트 데이터의 가장자리에 테두리, 입체감, 그림자 등의 특수효과를 주기 위해 후 처리하는 폰트 후-처리기와, 상기 명령어 처리부에서 처리된 캡션 명령어에 따라 후 처리된 비트맵 폰트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캡션 스크린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다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DTVCC decoder unit and the DTVCC extractor for decomposing the digital subtitle packet data in the user-data area of the received MPEG-2 video, separated into a caption command and caption text; A command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 necessary function or procedure according to the caption command separated by the DTVCC extractor, a bitmap font generator that generates font data in bitmap form according to input of the caption text separated by the DTVCC extractor, and the bit A post-processing font for giving special effects such as borders, three-dimensional effects, and shadows to the edges of the bitmap font data generated by the map font generator, and a bitmap font post-processed according to the caption command processed by the command processor And a caption screen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isplay of data on the screen. There are other features.
이때, 상기 폰트 후-처리기는 상기 비트맵 폰트 생성기에서 생성된 비트맵 형식의 폰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폰트 버퍼와, 상기 명령어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폰트에 대한 캡션 명령어를 참조하여 필요한 필터를 선택하게 하는 필터 선택기(filter selector)와, 상기 필터 선택기에서 선택되고, 비트맵 폰트를 검색하여 테두리를 찾은 후 캡션 명령어에 대한 색을 부여하는 테두리 검색 /필터부와, 상기 필터 선택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테두리 검색/필터부에서 검색되어 색이 부여 된 테두리에 경계를 입체감이 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폰트 버퍼에 저장된 비트맵 폰트에 입체효과를 부여하는 경계필터와, 상기 필터 선택기에서 선택되고, 상기 테두리 검색/필터부에서 검색되어 색이 부여된 테두리에 그림자 효과를 주거나, 또는 상기 폰트 버퍼에 저장된 비트맵 폰트에 그림자 효과를 부여하는 그림자 필터(shadow filt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또 다른 특징이 있다.In this case, the font post-processor may select a necessary filter by referring to a font buffer temporarily storing the bitmap format font data generated by the bitmap font generator and a caption command for the font output from the command processor. A filter selector, a border search / filter unit selected from the filter selector, searching for bitmap fonts to find a border, and giving a color for a caption command, and selected from the filter selector, the border search A border filter which processes a border to have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a border provided by the filter unit, or gives a stereo effect to a bitmap font stored in the font buffer, and is selected from the filter selector, wherein the border search / Searches in the filter section to add a shadow effect to the colored border or to save the font buffer. Is composed, including a bitmap shadow filter (shadow filter) to give a shadow effect in the font has a further feature.
이때, 상기 MPEG-2 비디오 처리부는 수신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와 시스템 정보를 추출하는 MPEG 디먹스와, 상기 MPEG 디먹스에서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비디오 추출기와, 상기 비디오 추출기에서 추출된 MPEG-2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픽쳐(picture)를 추출하여 티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디코딩하는 MPEG-2 디코더와, 상기 MPEG 디먹스에서 추출된 시스템 정보에서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해 내는 시스템 정보 추출기(system information parser)와, 상기 시스템 정보 추출기(250)에서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GUI형태로 변환하는 UI 처리부와, 상기 UI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GUI신호와 상기 MPEG-2 디코더(230)에서 디코딩된 비디오와 상기 DTVCC 디코더부에서 후처리된 비트맵 폰트 데이터인 캡션 OSD를 합성하여 하나의 픽쳐로 합성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합성부(video combin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또 다른 특징이 있다.In this case, the MPEG-2 video processor is an MPEG demux for extracting video and system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MPEG-2 transport stream, a video extractor for extracting MPEG-2 video data from the MPEG demux, the video extractor MPEG-2 decoder that extracts a picture from MPEG-2 video data extracted from and decodes it for display on a TV screen, and a system information extractor that extracts program information from system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MPEG demux. a system information parser), a UI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program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DTV의 캡션데이터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 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D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셋톱박스의 오디오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를 보여주고 있다.1 show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processing system of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set-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면, 크게 그래픽 처리 시스템(Graphic Processing System : GRPS)이 포함된 DTVCC 디코더부(100)와 MPEG-2 비디오 처리부(200)로 나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TVCC
이때, 상기 DTVCC 디코더부(100)는 DTVCC 추출기(parser)(110)와, 명령어 처리부(command processor)(140)와, 비트맵 폰트 생성기(bitmap font generator)(120)와, 폰트 후-처리기(Font Post Processor : FPP)(130)와, 캡션 스크린 제어기(caption screen controller)(150)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DTVCC
그리고 상기 MPEG-2 비디오 처리부(200)는 MPEG-2 디먹스(210)와, MPEG-2 디코더(230)와, 시스템 정보 추출기(system information parser)(250)와, 비디오 합성부(video combiner)(240)로 구성된다.The MPEG-2
도 1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DTVCC 디코더부(100)는 수신되는 MPEG-2 비디오의 사용자 데이터(user-data) 영역에 있는 디지털 자막 패킷 데이터를 분해하여 캡션 명령어(caption command)와 캡션 텍스트(caption text)로 분리하는 DTVCC 추출기(110)와, 상기 DTVCC 추출기(110)에서 분리된 캡션 명령어에 따라 필요한 기능 혹은 절차를 수행하는 명령어 처리부(140)와, 상기 DTVCC 추출기(110)에서 분리된 캡션 텍스트의 입력에 따라 비트맵 형식의 폰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트맵 폰트 생성기(120)와, 상기 비트맵 폰트 생성기(120)에서 생성된 비트맵 폰트 데이터의 가장자리에 테두리, 입체감, 그림자 등의 특수효과를 주기 위해 후 처리하는 폰트 후-처리기(130)와, 상기 명령어 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캡션 명령어에 따라 후 처리된 비트맵 폰트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캡션 스크린 제어기(150)로 구성된다.First, the DTVCC
이때, 상기 비트맵 폰트 생성기(120)는 폰트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의 규정이 만족되도록 테두리 폰트(Outline Font) 생성 엔진을 사용하였다.In this case, the
다음으로 상기 MPEG-2 비디오 처리부(200)는 수신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와 시스템 정보를 추출하는 MPEG 디먹스(210)와, 상기 MPEG 디먹스(210)에서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비디오 추출기(220)와, 상기 비디오 추출기(220)에서 추출된 MPEG-2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픽쳐(picture)를 추출하여 티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디코딩하는 MPEG-2 디코더(230)와, 상기 MPEG 디먹스(210)에서 추출된 시스템 정보에서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해 내는 시스템 정보 추출기(system information parser)(250)와, 상기 MPEG-2 디코더(230)에서 디코딩된 비디오와 상기 시스템 정보 추출기(250)에서 추출된 GUI와 상기 DTVCC 디코더부(100)에서 후처리된 비트맵 폰트 데이터인 캡션 OSD를 합성하여 하나의 픽쳐로 합성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합성부(video combiner)(240)로 구성된다.Next, the MPEG-2
이때, 시스템 정보 추출기(250)에서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의 외부 입력을 통해 GUI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비디오 합성부(240)로 출력하는 UI 처리부(260)를 구성한다. In this case, a
도 2 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인 폰트 후-처리기(FPP)를 보여준 도면이다.2 shows a font post-processor (FPP), one of the greatest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보면, 먼저 상기 비트맵 폰트 생성기(120)에서 생성된 비트맵 형식의 폰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폰트 버퍼(131)와, 상기 명령어 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폰트에 대한 캡션 명령어를 참조하여 필요한 필터를 선택하게 하는 제 1 필터 선택기(filter selector)(132)와, 상기 제 1 필터 선택기(132)에서 선택되고, 우선 비트맵 폰트를 검색하여 테두리를 찾은 후 캡션 명령어에 대한 색을 부여하는 테두리 검색 /필터부(133)와, 상기 제 2 필터 선택기(134)를 통해 선택되고 상기 테두리 검색/필터부(133)에서 검색되어 색이 부여된 테두리 경계를 입체감이 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제 1 필터 선택기(132)를 통해 상기 폰트 버퍼(131)에 저장된 비트맵 폰트에 입체효과를 부여하는 경계필터(135)와, 상기 제 2 필터 선택기(134)에서 선택되고, 상기 테두리 검색/필터부(133)에서 검색되어 색이 부여된 테두리에 그림자 효과를 주거나, 또는 상기 제 1 필터 선택기(132)에서 선택되어 상기 폰트 버퍼(131)에 저장된 비트맵 폰트에 그림자 효과를 부여하는 그림자 필터(shadow filter)(136)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first, a
이에 따라, 상기 폰트 후-처리기(130)에서 출력되는 폰트는 테두리색 폰트, 경계 또는 테두리+경계폰트, 그리고 그림자 또는 테두리+그림자 폰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출력된다.Accordingly, the font output from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폰트 후-처리기(FPP)(130)는 상기 기술한 테두리 검색/ 필터부, 경계필터, 그리고 그림자필터들을 캡션 명령어에 기초해 필터 선택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폰트의 테두리와 입체감, 그림자 효과의 복합적인 형태의 폰트를 생성하게 된다.The font post-processor (FPP)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lects the filter selector based on the caption command from the edge search / filter unit, the boundary filter, and the shadow filters described above, thereby making the font border, three-dimensional and shadow effects. Will produce a complex font of.
도 3, 도 4, 도 5 는 상기에서 기술한 각 필터의 구현 알고리즘을 순서도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3, 4, and 5 show an implementation algorithm of each filter described above in a flowchart.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검색/필터부의 상세 동작을 순서도로 보여주고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frame search /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보면, 먼저 비트맵 폰트 생성기(120)에서 비트맵 형식의 폰트 데이터중 테두리 색을 부여할 비트맵 폰트를 폰트버퍼(131)에 저장한다(S1).Referring to FIG. 3, first, a
이어, 명령어 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폰트에 대한 캡션 명령어를 참조하여 필터 선택기(132)에서는 테두리 검색/필터부(133)를 선택한다(S2).Subsequently, the
그리고 상기 테두리 검색/필터부(133)는 상기 폰트버퍼(131)에 저장된 비트맵 폰트중 임의의 픽셀을 선택하여 기준픽셀로 설정한다(S3).The frame search /
이어, 상기 설정된 기준픽셀이 널(null)이 아닌 의미 있는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한다(S4).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t reference pixel has meaningful data other than null (S4).
상기 판단 결과, 널(null)이 아닌 의미 있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 상기 기준픽셀 주위에 8개 픽셀을 정의된 테두리색으로 디스플레이한다(S5).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re is meaningful data that is not null, eight pixels are displayed around the reference pixel with a defined border color (S5).
이어, 상기 비트맵 폰트의 모든 픽셀을 차례로 기준픽셀로 설정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6).Subsequently, the process is repeated by setting all pixels of the bitmap font as reference pixels (S6).
이와 같이 모든 비트맵 폰트의 해당 픽셀에 테두리색이 설정되면, 상기 원 비트맵 폰트를 테두리색으로 채워진 비트맵 폰트 위에 다시 표시한다(S7).When the border color is set in the corresponding pixels of all the bitmap fonts as described above, the original bitmap font is displayed again on the bitmap font filled with the border color (S7).
이는 비교적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속도와 단순성 측면에서 뛰어난 방식이다.This is a relatively simple algorithm that is excellent in terms of speed and simplicity.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 필터의 상세 동작을 순서도로 보여주고 있다.4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boundary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보면, 먼저 비트맵 폰트 생성기(120)에서 비트맵 형식의 폰트 데이터중 입체효과를 부여할 비트맵 폰트를 폰트버퍼(131)에 저장한다(S8).Referring to FIG. 4, first, the
이어, 명령어 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폰트에 대한 캡션 명령어를 참조하여 필터 선택기(132)에서는 경계 필터(135)를 선택한다(S9).Subsequently, the
그리고 상기 경계 필터(135)는 상기 폰트버퍼(131)에 저장된 비트맵 폰트중 임의의 픽셀을 선택하여 기준픽셀로 설정한다(S10).The
이어, 상기 설정된 기준픽셀이 오목 입체 효과(raised edge)의 입체감을 부여할 것인지 볼록 입체 효과(depressed edge)의 입체감을 부여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11).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t reference pixel provides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a raised edge or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a depressed edge (S11).
상기 판단 결과, 해당 기준픽셀이 오목 입체 효과를 부여할 경우는 상기 기준픽셀에서 좌측으로 1픽셀, 상향으로 1픽셀 이동하여 해당 픽셀을 원 폰트 색보다 약간 밝은색으로 표시한다(S12).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eference pixel provides the concave stereoscopic effect, the pixel is moved to 1 pixel to the left and 1 pixel to the left to display the pixel slightly lighter than the original font color (S12).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해당 기준픽셀이 볼록 입체 효과를 부여할 경우는 상기 기준픽셀에서 우측으로 1픽셀, 하향으로 1픽셀 이동하여 해당 픽셀을 원 폰트색보다 약간 어두운색으로 표시한다(S1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eference pixel imparts a convex stereoscopic effect, the reference pixel is moved one pixel to the right and one pixel downward to display the pixel slightly darker than the original font color (S13).
이어, 상기 비트맵 폰트의 모든 픽셀을 차례로 기준픽셀로 설정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14). Subsequently, the process is repeated by setting all pixels of the bitmap font as reference pixels (S14).
이와 같이 모든 비트맵 폰트의 해당 픽셀에 입체 효과가 설정되면, 상기 원 비트맵 폰트를 입체 효과가 부여된 비트맵 폰트 위에 다시 표시한다(S15).When the stereoscopic effect is set on the corresponding pixels of all the bitmap fonts as described above, the original bitmap font is displayed again on the bitmap font to which the stereoscopic effect is applied (S15).
이 방법 역시 비교적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속도와 단순성 측면에서 뛰어난 방식이다.This method is also a relatively simple algorithm, which is excellent in terms of speed and simplicity.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림자 필터의 상세 동작을 순서도로 보여주고 있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shadow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보면, 먼저 비트맵 폰트 생성기(120)에서 비트맵 형식의 폰트 데이터중 그림자 효과를 부여할 비트맵 폰트를 폰트버퍼(131)에 저장한다(S16).Referring to FIG. 5, first, the
이어, 명령어 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폰트에 대한 캡션 명령어를 참조하여 필터 선택기(132)에서는 그림자 필터(136)를 선택한다(S17).Subsequently, the
그리고, 상기 그림자 필터(135)는 상기 폰트버퍼(131)에 저장된 비트맵 폰트중 임의의 픽셀을 선택하여 기준픽셀로 설정한다(S18).The
이어 상기 설정된 기준픽셀이 우향 그림자 효과(right shadowed-border)를 부여할 것인지 좌향 그림자 효과(left shadowed-border)를 부여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19).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t reference pixel is to give a right shadowed-border or a left shadowed-border (S19).
상기 판단 결과, 해당 기준픽셀이 우향 그림자 효과를 부여할 경우는 상기 기준픽셀에서 우측으로 2픽셀, 하향으로 2픽셀 이동하여 해당 픽셀을 검정색으로 표시한다(S2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eference pixel gives the rightward shadow effect, the pixel is displayed in black by moving 2 pixels to the right and 2 pixels downward from the reference pixel (S20).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해당 기준픽셀이 좌향 그림자 효과를 부여할 경우는 상기 기준픽셀에서 좌측으로 2픽셀, 하향으로 2픽셀 이동하여 해당 픽셀을 검정색 으로 표시한다(S21).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eference pixel gives the leftward shadow effect, the pixel is displayed in black by moving 2 pixels to the left and 2 pixels downward from the reference pixel (S21).
이어, 상기 비트맵 폰트의 모든 픽셀을 차례로 기준픽셀로 설정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22).Subsequently, the process is repeated by setting all pixels of the bitmap font as reference pixels (S22).
이와 같이 모든 비트맵 폰트의 해당 픽셀에 그림자 효과가 설정되면, 상기 원 비트맵 폰트를 입체 효과가 부여된 비트맵 폰트 위에 다시 표시한다(S23).When the shadow effect is set on the corresponding pixels of all the bitmap fonts as described above, the original bitmap font is displayed again on the bitmap font to which the three-dimensional effect is applied (S23).
이 방법 역시 비교적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속도와 단순성 측면에서 뛰어난 방식이다.This method is also a relatively simple algorithm, which is excellent in terms of speed and simplicity.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 스트림 내의 디지털 자막 데이터를 OSD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때, 필요한 그래픽 처리기술로, 미 FCC가 정한 시한(2002년 7월 1일)이후 생산 혹은 판매되는 모든 디지털 티브이 수상기나 셋톱박스에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aphic processing technology required for displaying digital subtitle data in a digital TV stream in the form of an OSD, and all digital TV awards produced or sold after the time limit set by the US FCC (July 1, 2002) are required. It can be applied to devices or set-top box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DTV의 캡션데이터 처리장치는 디지털 자막 데이터의 추출 및 제어뿐만 아니라 문자의 시청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티브이 스트림 내의 디지털 자막 데이터를 OSD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때 필요한 그래픽 처리기술로, 미 FCC가 정한 시한(2002년 7월 1일)이후 생산 혹은 판매되는 모든 디지털 티브이 수상기나 셋톱박스에 적용할 수 있다. The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D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not only extract and control digital caption data, but also enhance the viewing efficiency of characters, and display digital caption data in a digital TV stream on the screen in OSD form. This graphics processing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any digital TV set or set-top box produced or sold after the US FCC deadline (July 1, 2002).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8678A KR100845833B1 (en) | 2002-04-04 | 2002-04-04 | Caption data processing device of digital TV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8678A KR100845833B1 (en) | 2002-04-04 | 2002-04-04 | Caption data processing device of digital TV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0264A KR20030080264A (en) | 2003-10-17 |
KR100845833B1 true KR100845833B1 (en) | 2008-07-14 |
Family
ID=3237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86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5833B1 (en) | 2002-04-04 | 2002-04-04 | Caption data processing device of digital TV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583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7832Y1 (en) * | 2010-08-25 | 2012-01-05 | 최해용 | Disposable 3D Glass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0222A (en) * | 1997-02-27 | 1998-09-11 | Sanyo Electric Co Ltd | Character display control circuit |
KR20000051007A (en) * | 1999-01-18 | 2000-08-16 | 구자홍 | Method for caption text processing |
KR20000060953A (en) * | 1999-03-22 | 2000-10-16 | 구자홍 | Apparatus and method of character enhancement of closed cation system |
JP2001265316A (en) * | 1999-06-29 | 2001-09-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Bitmap data generation device and pointing device |
-
2002
- 2002-04-04 KR KR1020020018678A patent/KR1008458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0222A (en) * | 1997-02-27 | 1998-09-11 | Sanyo Electric Co Ltd | Character display control circuit |
KR20000051007A (en) * | 1999-01-18 | 2000-08-16 | 구자홍 | Method for caption text processing |
KR20000060953A (en) * | 1999-03-22 | 2000-10-16 | 구자홍 | Apparatus and method of character enhancement of closed cation system |
JP2001265316A (en) * | 1999-06-29 | 2001-09-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Bitmap data generation device and poin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0264A (en) | 2003-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77690B2 (en) | Data reproduction apparatus and data reproduction method | |
US6678009B2 (en) | Adjustable video display window | |
US2003021692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al-time subtitles translation | |
US20050253966A1 (en) | System for processing video signals | |
JP2003046898A (en) |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having auxiliary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 |
US20100260477A1 (en) | Method for processing a subtitle data stream of a video program, and associated video display system | |
KR970019594A (en) | Teletext TV receiver | |
JP2004208014A (en) | Subtitle display device and subtitle display program | |
JP2005033741A (en) | Television character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character information display method | |
JP2009100270A (en) | Video editing method and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 |
KR100845833B1 (en) | Caption data processing device of digital TV | |
KR100311484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character enhancement of closed cation system | |
JP2002010156A (en) | Image display method | |
KR20070047665A (en) | Broadcast receiver, broadcast transmitter, broadcast system and control method | |
KR20050105001A (en) |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caption and osd in same style and method thereof | |
KR20170127652A (en) | Broadcast receiver to watch sign language, sign language broadcasting system and sign language broadcasting method having the same | |
KR100493324B1 (en) | display device | |
JPH06217199A (en) | Caption decoder device | |
JP6046961B2 (en) | Video composition device and video composition program | |
KR200307008Y1 (en) | Device for displaying caption information | |
JP2013207454A (en) |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method, receiv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receiving program | |
KR100292358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ing caption signal according to limitation condition | |
WO2000064149A1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ption of video equipment | |
JP3075103U (en) | Digital broadcast receiver | |
JPH09266450A (en) | Video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7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708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