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7752B1 - 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through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 Google Patents

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through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752B1
KR100827752B1 KR1020060118536A KR20060118536A KR100827752B1 KR 100827752 B1 KR100827752 B1 KR 100827752B1 KR 1020060118536 A KR1020060118536 A KR 1020060118536A KR 20060118536 A KR20060118536 A KR 20060118536A KR 100827752 B1 KR100827752 B1 KR 10082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mobile
mobile terminal
gateway server
network environ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기영
박삼수
Original Assignee
곽기영
박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기영, 박삼수 filed Critical 곽기영
Priority to KR102006011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7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75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광역통신망(Wireless Wide Area Network, 이하 WWAN이라 칭함) 환경에서 휴대단말기(Handheld Device)에서 유선 인터넷상의 HTTP 프로토콜에 의해 접근 가능한 웹 컨텐츠(이하 웹 컨텐츠라 칭함)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써, WWAN상의 휴대단말기와 웹 컨텐츠 사이에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구성하여 웹 브라우징 성능을 최적화하여 모바일 상에서도 PC와 비슷하게 웹을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in a handheld device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environment. Web browsing performance is provided by configuring a mobile web gateway serve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eb content on the WWAN by suggesting a method for improving accessibility to web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b content) accessible by the HTTP protocol on the wired Intern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that can effectively access the web similarly to a PC on a mobile by optimizing the PSE.

본 발명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은,The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the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휴대단말기와;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contents provided by a web server;

휴대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에서 휴대단말기의 웹 브라우징 성능을 개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web browsing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web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유알엘(URL)과 단말기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해당 휴대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징 방법을 WML, XHTML, 변형된 형태의 HTML, 래스터라이즈 이미지 또는 특정 뷰어의 인식 가능한 형태의 포맷 기반으로 지원하는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sed on WML, XHTML, modified HTML, rasterized image or recognizable format of specific view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web gateway server supporting.

본 발명을 통해 휴대단말기상에서 유선인터넷상의 웹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브라우징할 수 있다는 효과와 더불어 모바일 웹 접근성 개선 방안으로 기존의 휴대단말기 애플리케이션 개선방법과는 달리 게이트웨이 상의 서비스 및 제품을 통한 해결방법이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축소, 휴대단말기의 전원과 같은 컴퓨팅 파워의 절약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rowse web contents on a wired Internet on a mobile terminal, and as a solution through a service and a product on a gateway, unlike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pplication improvement method to improve mobile web accessibility. The overhead for installing an application in a terminal can be reduced, thereby saving computing power such as power of a portable terminal.

또한,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보하는 웹 관련 기술에 대한 반영을 휴대단말기가 아닌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효율성 및 경제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efficiency and the economic effect because the reflection of the constantly changing and evolving web related technology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rather than the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using mobile web gateway server}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using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도 1 은 PC와 모바일 단말기 CPU의 데이터 처리 능력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data processing capability of a PC and a mobile terminal CPU.

도 2는 Schema of multiple 와 persistent connection 기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e of multiple and persistent connection technique.

도 3은 Schema of non-pipelined 와 pipelined connection 기법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Schema of non-pipelined and pipelined connection techniques.

도 4는 단말기와 기지구간의 거리에 따른 절전 방안과 관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aving scheme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terminal and a known section.

도 5는 동적 전원 조절 기술의 필요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 illustrates the need for a dynamic power regulation technique.

도 6은 데이터 전송 동안에 고효율을 위해 전원 소모가 증가될수록 전원의 손실율도 높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at the higher the power consumption for high efficiency during data transmission, the higher the power loss rat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 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gateway interface unit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에서 휴대단말기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는 HTTP 요청 메세지의 첫번째 예시도이다.FIG. 10 is a first exemplary view of an HTTP request message that can be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in a gateway interface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에서 휴대단말기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는 HTTP 요청 메세지의 두번째 예시도이다.11 is a second exemplary view of an HTTP request message that can be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in a gateway interface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수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llection unit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분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alysis unit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변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rsion unit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광대역 무선네트워크하에서의 성능평가 결과를 제시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under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도 16은 TCP 커넥션 수와 다운로드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CP connections and the download time.

도 17은 각 사이트를 광대역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 접속시 사용된 각 구성 요소별 사용된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diagram showing the time used for each component used when accessing each site in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도 18은 유무선 통합 환경인 휴대단말기상에서 웹 브라우징 속도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다른 기법을 입증하는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technique required for improving web browsing speed on a mobile terminal which is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environment.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압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ression unit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휴대단말기상에서 TCP 커넥션 수를 줄이는 가상 persistent Pipelining 기법에 대한 상세 도면이다.20 is a detailed view of a virtual persistent pipelining technique for reducing the number of TCP connections on a mobile terminal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휴대단말기상에서 DNS 탐색 시간을 제거하기 위한 URL 재구성 기법에 대한 상세 도면이다.21 is a detailed diagram of a URL reconstruction technique for removing DNS search time on a portable terminal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휴대단말기상에서 웹 컨텐츠 다운로드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웹 구문 분석을 통한 웹 문서 병합기법에 대한 상세 도면이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b document merging method through web parsing for improving web content download speed on a mobile terminal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rawin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모바일웹게이트웨이서버 110 : 단말기정보관리부100: mobile web gateway server 110: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120 : 변환프로세스수단 120a : 변환부120: conversion process means 120a: conversion unit

120b : 분석부 120c : 수집부120b: analysis unit 120c: collection unit

130 :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 140 : 동적압축부130: gateway interface unit 140: dynamic compression unit

200 : 휴대단말기 300 : 웹서버200: portable terminal 300: web server

본 발명은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광역통신망(Wireless Wide Area Network, 이하 WWAN이라 칭함) 환경에서 휴대단말기(Handheld Device)에서 유선 인터넷상의 HTTP 프로토콜에 의해 접근 가능한 웹 컨텐츠(이하 웹 컨텐츠라 칭함)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써, WWAN상의 휴대단말기와 웹 컨텐츠 사이에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구성하여 웹 브라우징 성능을 최적화하여 모바일 상에서도 PC와 비슷하게 웹을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in a handheld device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environment. Web browsing performance is provided by configuring a mobile web gateway serve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eb content on the WWAN by suggesting a method for improving accessibility to web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b content) accessible by the HTTP protocol on the wired Intern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that can effectively access the web similarly to a PC on a mobile by optimizing the PSE.

통상 현재까지의 기술 및 산업환경에서는 휴대 단말기에서 웹 컨텐츠를 보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나는 휴대 단말기를 초소형 PC로 인식하는 측에서 적용하는 기법이며, 다른 하나는 휴대단말기를 다목적 휴대 전화로 인식하는 측에서 적용하는 기법이다.In general, in the technical and industrial environments up to now, the web content can be viewed in two ways. One method is to apply the mobile terminal as a miniature PC, and the other is to apply the mobile terminal as a multi-purpose mobile phone.

휴대단말기를 초소형 PC로 인식하는 측면에서 적용되는 기법은 주로 PocketPC, PDA 폰, Wibro 단말기 등과 같은 디바이스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휴대단말기를 인터넷 자원을 이용하는 호스트로 인식하고, 기존의 인터넷의 각종 규격들을 무선 네트웍의 특성에 맞게 적응시키려는 접근 방법이 취해진다. 그래서, 주로 PC에서와 비슷한 운영체제와 웹 브라우저들이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Windows PocketPC, Windows Mobile 등과 같은 운영체제와 Microsoft Internet Explorer for Windows Mobile 또는 Opera 웹 브라우저 등이 있으며, 다양한 PC에서의 웹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들이 해당 운영체제에 탑재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The technique applied in terms of recognizing the portable terminal as a micro PC is mainly used in devices such as PocketPC, PDA phone, Wibro terminal. In this case, an approach is taken to recognize the mobile terminal as a host using Internet resources and to adapt various standards of the existing Interne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network. Thus, operating systems and web browsers similar to those of PCs are mainly used, and there are representative operating systems such as Windows PocketPC, Windows Mobile, and the like, and Microsoft Internet Explorer for Windows Mobile or Opera web browsers. There is a tendency to be mounted on.

반면, 휴대단말기를 다목적 휴대 전화로 인식하는 측면에서 적용되는 기법은 주로 무선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채택되는 방법으로써, 기존 유선 인터넷의 통신 규격과 별도로 무선 네트워크의 특성에 맞게 새로운 통신 규격을 만들고, 해당 통신 규격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과 프로토콜, 컨텐츠 표준, 독립적인 컨텐츠 브라우저 등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예로는 GSM/CDMA/WCDMA/UMTS 등과 같은 네트웍 기반과 WAP 프로토콜, 그리고 WML, xHTML, cHTML, mHTML 등 다양한 컨텐츠 포맷들이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 브라우저로 WAP 브라우저, xHTML 브라우저, cHTML 브라우저 등 다양한 embedded 브라우저와 VM(Virtual Machine)상의 브라우저들이 존재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que applied in terms of recognizing the mobile terminal as a multi-purpose mobile phone is mainly adopted by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creates a new communic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network separately from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the existing wired Internet. Platforms and protocols, content standards, and independent content browsers are being created to support the communications standards. Examples of these include network-based and WAP protocols such as GSM / CDMA / WCDMA / UMTS, and various content formats such as WML, xHTML, cHTML, and mHTML. These content browsers include various embedded browsers such as WAP browser, xHTML browser, and cHTML browser. There are browsers on a virtual machine (VM).

또한 최근 들어서는, 무선 네트워크의 대여폭의 향상과 단말기 액정의 해상도의 발전으로 인해서 휴대 단말기에서 유선 인터넷상의 웹 컨텐츠를 보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주로 기존의 Embedded 브라우저 벤더들에 의해 추진되는 이러한 노력들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액정 에 최적화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웹 페이지의 전체구성을 작은 맵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찾을 수 있게거나, 단말기에서 가로 스크롤바를 없애서 세로로만 스크롤되도록 하는 방법, 그리고 화면을 확대/축소해서 보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In recent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view web contents on a wired Internet in a portable terminal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rental width of a wireless network and the development of the resolution of a terminal liquid crystal. These efforts, mainly driven by existing embedded browser vendors, suggest several approaches. In order to configure the screen optimized for the liquid crystal of the mobile terminal, the entire structure of the web page is shown in a small map, so that the user can find the desired part, or the horizontal scroll bar is removed from the terminal to scroll only vertically, and the screen The method of zooming in and out is used.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모바일 단말기 CPU의 데이터처리 능력은 일반 PC의 수십분의 일에 지나지 않으며, Embedded 브라우저에 활당된 메모리 역시 10M 미만 정도이며, 입력 인터페이스 역시 매우 제약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Nevertheless, as shown in Fig. 1, the data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CPU is only a few tenth of that of a general PC, and the memory allocated to the embedded browser is also less than 10M, and the input interface is also very limited. It is a reality.

본 발명이 WWAN상의 휴대단말기에서 유선인터넷상의 웹 컨텐츠에 대한 브라우징 성능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이는 주로 유무선 통합환경의 특수성과 상대적으로 PC보다는 제한된 컴퓨팅 파워를 가지고 있는 휴대단말기 환경이 웹 브라우저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browsing performance of web content on the wired Internet in the mobile terminal on the WWAN, this is mainly related to the specificity of the wired / wireless integrated environment and the influence of the mobile terminal environment having a relatively limited computing power on the web browser. It can be regarded as related.

이런 이유로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과 종래의 기술 분야는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의 성능과 관련이 되어 있으며, 더불어 유.무선 통합 환경하에서 웹 브라우징의 기반을 이루는 HTTP 프로토콜의 성능 및 제한된 컴퓨팅 파워를 지닌 휴대단말기에서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의 컴퓨팅파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다.For this reason,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ed art are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a general web browser, and also in a mobile terminal having limited computing power and the performance of the HTTP protocol that forms the basis of web browsing in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environment. It is closely related to factors influencing the computing power of web browsing applications.

일반론적 차원에서 웹 브라우저의 성능은, 충분한 컴퓨팅 파워가 보장된다는 조건에서 보았을 때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분야는 웹 컨텐츠 수집 관련 속도와 관련된 것으로 이야기 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웹 표준을 주도하는 W3C에서는 웹 문서 수집과 관련된 성능 개선이란 차원에서 HTTP 성능 개선 방법을 연구한 적이 있으며, 이에 대한 몇 가지 해법을 정의한 바 있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웹 문서 수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낮은 네트웍 대여폭하에서는 웹 문서의 절대 용량을 줄이는 방법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야기 되고 있으며, 충분한 네트웍 대여폭이 보장되는 경우에는 HTTP 커넥션 유지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진다 있다. 여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법은 웹 문서 용량 축소 방법 차원에서는 gzip 압축 방법이 권장되고 있으며, HTTP 커넥션 유지 방법으로는 Persistent 커넥션과 Pipelining 기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In general terms, the performance of web browsers is said to be related to the speed of web content collec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rea in terms of sufficient computing power. For this reason, the W3C, which leads web standards, has studied how to improve HTTP performance in terms of performance improvements related to Web document collection, and has defined some solu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reducing the absolute size of web documents is desirable in low network rentals, and that HTTP connection maintenance is supported when sufficient network rentals are guaranteed. have. The most commonly used technique is the gzip compression method to reduce the size of web documents. Persistent connection and pipelining techniques are said to be effective for maintaining HTTP connections.

gzip 압축에 의한 컨텐츠 전송용량 축소 기법은 가장 보편적인 압축 알고리즘 방법을 사용해서 웹 문서를 서비스하는 웹 서버와 웹 문서를 수집하는 웹 브라우저 사이에서 웹 문서를 주로 받을 때, 이를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속도를 개선하는 방법이다. The content transmission capacity reduction method using gzip compression uses the most common compression algorithm method. When a web document is mainly received between the web server serving the web document and the web browser collecting the web document, the web document is compressed and transmitted. How to improve it.

HTTP 커넥션과 관련 Persistent 커넥션 기법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간에 웹 컨텐츠를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HTTP 프로토콜의 하위 레벨 프로토콜인 TCP 커넥션을 유지함에 있어서 동일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 간에 다수의 웹 컨텐츠를 전송함에 있어서 최초 TCP 커넥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웹 컨텐츠들의 송/수신을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TCP 커넥션 오버헤드 제거를 통해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The HTTP connection and related persistent connection schemes are used to transfer multiple web content between the same web server and web browser in maintaining the TCP connection, which is a low-level protocol of the HTTP protocol used to transfer web content between the web browser and the web server. By repeatedly using the web contents transmission / reception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TCP connection, the method improves performance by eliminating the TCP connection overhead.

또한 Pipelining 기법은 HTTP Persistent 커넥션 기반에서 GET 또는 HEAD 요청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웹 컨텐츠의 송수신을 순차적으로 하지 않고 비 순차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송수신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다.In addition, Pipelining technique is a method to improve transmission / reception performance by arranging web contents in a sequential order rather than sequentially in order to make GET or HEAD requests more effectively based on HTTP Persistent connection.

이를 도2 내지 도3에 표현하였다.This is represented in Figs.

웹 브라우징 성능이 충분한 컴퓨팅 파워와 충분한 대여폭이 보장되는 가운데서는 웹 컨텐츠 수집과 관련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는 주로 Wibro, WCDMA, CDMA2000 기반의 PDA 폰에서 경험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데, Windows PocketPC 기반 또는 Windows Mobile 기반에서 작동하는 웹 브라우저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Although web browsing performance is related to web content collection while ensuring sufficient computing power and sufficient bandwidth, there are different results in wired / wireless integrated environments. This can be seen empirically in Wibro, WCDMA, and CDMA2000-based PDA phones, which occurs in web browsers running on Windows PocketPC or Windows Mobile.

CDMA 1x - EV-DO 방식의 대여폭이 2.4Mbps이고, HSPDA의 무선 네트웍의 다운로드 대여폭이 14.4Mbps이고, Wibro 무선 네트웍의 다운로드 대여폭은 대략적으로 18.4Mbps에 달한다. 그리고, 이러한 대여폭 증폭 관련해서 다양한 인프라 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는데, HSPDA에서는 다운링크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TDM(Time Division Multiplexed) 슬롯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경로인 forward physical channel 한 개에 모든 자원을 활당시키는 방법이다. 이렇듯 무선환경에서의 대여폭은 각각의 인프라 기술의 진보에 의해 개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대여폭 기반의 PDA 폰에서 웹을 접속할 경우, 웹 화면이 보여지기까지는 매우 많은 시간이 요구되거나, 중간에 중단되는 현상들이 있음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다. The rental bandwidth of CDMA 1x-EV-DO method is 2.4Mbps, the download rental width of HSPDA wireless network is 14.4Mbps, and the download rental width of Wibro wireless network is approximately 18.4Mbps. In addition, various infrastructure technologies are utilized in connection with the rental bandwidth amplification. HSPDA introduces a Time Division Multiplexed (TDM) slot to increase downlink speed, which is one forward physical channel from a base station to a terminal. This is how all resources are allocated. Although the rental width in the wireless environment is being improved by the progress of each infrastructure technology, when accessing the web from the rental bandwidth-based PDA phone, it takes much time or stops in the middle of the web screen. Experience shows that there are phenomena.

이는, 웹 브라우징의 기반이 되는 HTTP 프로토콜이 무선환경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결합하면서, 유선 인터넷에서와는 다르게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은 무선상에서는 handovers와 같은 물리적인 요인과 fading과 같 은 환경적 영향 요인, 그리고 유선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latency, 패킷 헤더 오버헤드, 패킷 손실율을 같은 특수성이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HTTP protocol, which is the basis of web browsing, works differently from the wired Internet, combined with the special situation of wireless environment. This result is due to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andovers, environmental influences such as fading, and relatively high latency, packet header overhead, and packet loss rate over wires.

또한 휴대단말기라는 제한된 컴퓨팅 파워도 웹 브라우징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단말기 Chipset의 성능, 탑재 메모리, 작은 디스플레이 액정, 제한된 전원 등과 같은 단말기의 물리적인 구성 환경과 관련되어 있다. 이 중 최근 디스플레이 액정분야는 국내의 경우 QVGA(320X240)가 보편적인 사양으로 나오고 있고, 주변 일본 같은 경우는 VGA(640X480) 시제품이 나오고 있는 등 급격한 기술 발전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 메모리와 Chipset의 성능도 매우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와는 다르게 전원 용량의 발전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린 편이다. In addition, the limited computing power of portable devices also affects the performance of web browsing. This is related to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such as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chipset, onboard memory, small display liquid crystal and limited power supply. Among them, QVGA (320X240) is emerging as a universal specification in the domestic display liquid crystal field, and VGA (640X480) prototypes are appearing in the case of neighboring Japan.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memory and chipset is also very developed. However, the rate of power generation is relatively slow.

이런 이유로 CDMA 핵심 Chipset를 생산하는 QUALCOMM사와 같은 회사의 핵심기술분야에 전원 절약과 관련된 기술들이 주류를 이루기도 한다. 예를들어 이는 주로,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에 따른 절전 방안, 음성과 데이터 송수신간의 상관관계에 기반한 절전방안, 데이터 전송률과 전원 손실율간의 관계에 기반한 절전방안 등이 그것이다.For this reason, power-saving technologies have become mainstream in key technology areas of companies such as QUALCOMM, which produces CDMA core chipsets. For example, the power saving schem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he power saving scheme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voice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power saving schem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rate and the power loss rate.

이에 관한 것은 도4 내지 도5에 나타내었으며, 도5는 음성보다 데이터 송수신에서 보다 많은 전원이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This is shown in Figures 4 to 5, Figure 5 means that more power is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an voice.

이렇듯, 휴대단말기 상에서의 웹 브라우징 성능은 웹 컨텐츠 접근의 기반이 되는 HTTP 프로토콜 환경, 무선네트웍크 환경, 무선 단말기 환경 등 다양한 변수들이 고려될 수 밖에 없으며, 각각의 영역별로 지속적인 개선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더불어, 이런 환경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최근 유무선 통합과 관련된 다양한 요구들은 모바일 웹 브라우저 마켓을 성숙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 기반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들을 출시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최근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는 휴대단말기의 출시시점에서부터 탑재되어 나오는 Embedded 웹 브라우저, 다양한 가상 플래폼상에서 작동하는 VM기반 브라우저, PC와 유사한 형태의 운영체제가 탑재된 Windows PocketPC 또는 Windows Mobile 환경에서 동작하는 웹 브라우저 등이 있다.As such, the web browsing performance on the mobile terminal has to consider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HTTP protocol environment, th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and the wireless terminal environment, which are the basis of web content access, and continuous improvement methods are being sought for each area. In addition, despite these environmental constraints, various demands related to wired and wireless integration are maturing the mobile web browser market and motivating the release of various technology-based mobile web browsers. Recent mobile web browsers include embedded web browsers that have been installed since the launch of mobile terminals, VM-based browsers that operate on various virtual platforms, Windows PocketPC equipped with PC-like operating systems, or web browsers that operate in Windows Mobile environments. There is this.

주로 Embedded 웹 브라우저의 경우 WML에서, XHTML, SVG, SMIL등을 포함하는 CDF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듯하며, 대표적으로 글로벌하게는 Opera와 같은 제품과 국내의 경우는 인프라웨어의 브라우저 등이 존재한다. 또한 VM상의 브라우저의 경우는 국내의 경우는 WIPI기반의 다양한 변형된 웹 브라우징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주로 래스터라이징 기반의 기법들이 활용되는 듯하며, 글로벌하게는 MIDP 기반의 부분적인 브라우저들이 존재한다. 또한 Windows PocketPC 또는 Windows Mobile 등에는 PC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웹 브라우저들이 탑재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Mainly embedded web browser seems to move toward supporting CDF including WHTML, XHTML, SVG, SMIL, etc. Representatively, there are products such as Opera and browsers of Infraware in Korea. In the case of the browser on the VM, various modified web browsing methods based on WIPI have been proposed in Korea, and rasterizing-based techniques seem to be mainly used, and there are global MIDP-based browsers. Also, Windows PocketPC or Windows Mobile tend to have a variety of web browsers running on PCs.

이런 웹 브라우저들의 일반적인 특징은 작은 액정 화면에 웹 화면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주로 작은 액정에서 웹을 보기 위해, 웹을 세로 스크롤링만 하여 보여주는 기법, PDF 뷰어와 같이 확대/축소를 통해 보여주는 기법, 글자의 폰트 사이즈를 조절하는 기법 등의 기술을 탑재해 나가고 있다. The general feature of these web browsers is to provide a way to effectively display the web screen on a small LCD screen, which is mainly used to display the web on a small LCD screen. Techniques such as showing through, and adjusting the font size of characters are being loaded.

앞선 환경의 다양한 제약사항과 관련 기술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모바일 환경에서 PC에서와 같이 인터넷상에 다양한 기술 기법을 통해 만들어져 있는 웹 사이트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현실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웹 인프라는 아직까지는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Even without a detailed analysis of the various constraints and related technologies of the previous environment, a realistically available mobile web infrastructure that shows real-time websites created through various technical techniques on the Internet, such as on a PC in a mobile environment, is still not available. It's a very bad situ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웹을 다양한 무선환경과 다양한 하드웨어적 단말기 환경, 다양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 상에서 웹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게이트웨이 기반 기술 기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gateway-based technology technique for effectively viewing web content o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various wireless environments, various hardware terminal environments, and various browser applications.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은,The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휴대단말기와;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contents provided by a web server;

휴대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에서 휴대단말기의 웹 브라우징 성능을 개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web browsing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web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유알엘(URL)과 단말기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해당 휴대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징 방법을 WML, XHTML, 변형된 형태의 HTML, 래스터라이즈 이미지 또는 특정 뷰어의 인식 가능한 형태의 포맷 기반으 로 지원하는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sed on WML, XHTML, modified HTML, rasterized image or recognizable format of specific view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web gateway server supporting.

이때,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At this time,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의 정보 및 휴대단말기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정보관리부와,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pplication information present on the portable terminal;

변환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최종 결과메세지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프로세스수단과,A conversion process means for performing a conversion process and sending a final resul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ateway interface that is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In addition,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단말기의 정보 및 휴대단말기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정보관리부와,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pplication information present on the portable terminal;

변환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최종 결과메세지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프로세스수단과,A conversion process means for performing a conversion process and sending a final resul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와,A gateway interface unit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로 전송되는 웹 컨텐츠의 전송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하여 낮은 전송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적압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reduce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web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ynamic compression to enable a low transmission bandwidth by compressing.

이때, 상기 변환프로세스수단은,At this time, the conversion process means,

상기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된 최초의 HTTP 요청 메세지에 기반 하거나 변환부와 분석부에서 요구되는 추가적인 웹 컨텐츠에 대한 입출력을 담당하는 수집부와,A collection unit that is based on the first HTTP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interface unit or performs input / output for additional web content required by the conversion unit and the analysis unit;

상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웹 컨텐츠의 MIME 타입에 따라 해당 웹 컨텐츠를 분석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수집을 수행하여 수집과 분석이 종료되면 최종 결과 메세지를 휴대단말기에 보내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변환부를 호출하기 위해 변환부에 분석 결과를 전달하는 분석부와,A conversion unit for analyzing the web content according to the MIME type of the web content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and performing additional collection if necessary, and sending the final resul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ollection and analysis is completed. An analysis unit which passes the analysis results to the conversion unit for calling,

상기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HTML DOM 또는 XML DOM에 대한 프로세싱을 통해 최종 휴대단말기에 전송할 결과물을 생성하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a result to be transmitted to the final mobile terminal through processing on the HTML DOM or the XML DOM generated by the analysis unit.

상기 수집부는,The collection unit,

HTTP 요청 메세지에 기반하여 캐쉬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며 HTTP 요청 메세지에 따라 수집한 웹 컨텐츠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는 캐쉬관리부와,A cache manager that checks whether the cache exists based on the HTTP request message and manages the web contents collected according to the HTTP request message;

DNS 탐색을 담당하는 DNS관리기와,DNS manager responsible for DNS discovery,

HTTP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을 담당하는 HTTP클라이언트와,HTTP client that is in charge of communication based on HTTP protocol,

TCP/IP를 통한 실질적인 통신 입출력 부분을 관리하는 TCP소켓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CP socket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actual communication input and output portion over TCP / IP.

상기 분석부는,The analysis unit,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웹 컨텐츠의 MIME 타입에 따라 해당 웹 컨텐츠를 분석하는 MIME타입분석부와,A MIME type analysis unit analyzing the web content according to the MIME type of the web content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on unit;

W3C가 배포하고 있는 HTML DTD를 해석하여 HTML 구문 분석을 위한 규칙을 형 성하는 SGML구문분석기와,An SGML parser that interprets the HTML DTDs distributed by the W3C to form rules for parsing HTML;

상기 SGML구문분석기에 의해 형성된 규칙에 기반하여 HTML의 유효성을 처리하는 HTML유효성처리기와,An HTML validity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validity of HTML based on a rule formed by the SGML parser;

HTML 구문을 분석하는 HTML구문분석기와,An HTML parser that parses HTML,

외부 DTD를 해석하여 XML 구문을 분석하는 XML구문분석기와,An XML parser for parsing XML by parsing an external DTD;

외부 CSS 객체가 존재하면 이를 수집부에 요청하여 수집된 CSS 구문을 분석하는 CSS분석기와,A CSS parser that parses the collected CSS by requesting the collection unit if an external CSS object exists,

상기 CSS분석기를 통해 분석이 마무리되면 CSS 룰의 우선순위를 재구성하여 유효성이 검증된 HTML 태그에 대해 CSS 룰을 적용하는 CSS규칙처리기와,A CSS rule processor that applies CSS rules to the validated HTML tags by reconstructing the priority of CSS rules when the analysis is completed through the CSS analyzer;

JavaScript 구문을 번역하는 JavaScript인터프리터와,A JavaScript interpreter that translates JavaScript syntax,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분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mage analyzer for analyzing the image.

또한, 상기 분석부는,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검증된 상황에서 HTML 문서에 대한 구조가 DOM 구조이며, 초기 분석부의 입력 데이터의 종류나, JavaScript, 또는 XSLT에 의해 DOM은 HTML DOM이 아닌 XML DOM으로도 표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erified situation, the structure of the HTML document is a DOM structure, and the DOM may be expressed as an XML DOM instead of an HTML DOM by the kind of input data of the initial analysis unit, JavaScript, or XSLT.

상기 변환부는,The conversion unit,

최초시점의 휴대단말기에서 수집된 휴대단말기의 단말기 정보 및 단말기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단말기에 전송할 결과물의 유형을 결정하는 변환프로세스생성부와,A conversion process generation unit for determining a type of a resul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llected by the mobile terminal at the first tim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present on the terminal;

레이아웃 과정을 수행하는 레이아웃처리부와,A layout processing unit which performs a layout process;

휴대단말기상 레이아웃팅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단순 분석에 기반한 래스터라이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는 래스터라이징처리부와,A rasterizing processor for performing a processing process for performing a rasterizing process based on a simple analysis without performing a layout process on a mobile terminal;

상기 레이아웃팅된 결과를 다시 벡터라이징하는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는 벡터라이징처리부와,A vectorizing processor for performing a processing process of vectorizing the laid-out result again;

변환결과 포맷을 관리하는 변환결과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version result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conversion result format.

상기 변환프로세스생성부는,The conversion process generating unit,

Markup 기반의 웹 컨텐츠를 동일 Markup 또는 변형된 Markup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Markup및텍스트데이터포맷변환부와,Markup and text data format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markup-based web content to the same or modified Markup and delivered,

변환의 포맷과는 상관없이 변환 결과물을 병합해야 할 경우에 병합 과정을 수행하는 mHTML포맷변환부와,MHTML format conversion unit that performs the merging process when merging the conversion result regardless of the conversion format,

화면상에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병합 과정을 수행하는 래스터이미지포맷변환부와,A raster image format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a merging process so as to be represented as a set of points on a screen;

포맷팅 레벨에서의 표현된 Markup으로 최종결과물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는 벡터데이터포맷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ctor data format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a processing process for generating the final result in the expressed Markup at the formatting level.

상기 동적압축부는,The dynamic compression unit,

변환프로세스수단을 통해 HTML DOM 또는 XML DOM을 전송받거나, 변환결과 포맷을 전송받는 동적압축인터페이스부와,A dynamic compression interface that receives the HTML DOM or the XML DOM through the conversion process means or receives the conversion result format;

이미지와 같은 손실이 가능한 영역에서 압축을 처리하는 손실압축처리부와,A lossy compression processor that processes compression in a lossy area such as an image,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손실이 없는 영역에서 압축을 처리하는 무손실압축처리부와,A lossless compression processor which processes compression in a lossless area such as text data,

웹 문서내의 모든 링크 URL을 임의의 웹 브라우징 과정내에서 단일한 정보로 표현하여 작은 정보용량이 필요한 영역에서는 매핑된 단일 인덱스를 사용하고 실제 처리과정에서는 해당 단일 인덱스로부터 원래의 정보를 복원하는 해쉬기반URL압축처리부와,Represents all the link URLs in a web document as a single piece of information in a random web browsing process, using a single mapped index in areas where small amounts of information are needed, and restoring the original information from the single index in actual processing. URL compression processing unit,

인덱스 기반의 URL 정보를 최초의 URL 정보로 다시 재구성하는 동적압축해제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ynamic decompression interface unit reconstructing the index-based URL information back to the first URL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Mobile web gateway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웹서버와 휴대단말기 사이에 구성하여 웹 서버상에 별도로 존재하는 웹 오브젝트들을 하나 또는 복수의 컨텐츠로 병합하여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onfigured between the web server and the mobile terminal, and merging web objects existing on the web server separately into one or a plurality of contents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mobile terminal.

이때, 상기 병합은,In this case, the merging,

MIME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uses a MIME encoding method.

또한, 다른 양상에 따른 상기 병합은,In addition, the mergin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AR 또는 GZIP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AR or GZIP compression method is used.

또한, 상기 병합은,In addition, the merging,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화면을 래스터라이즈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시간을 축소하기 위하여 래스터라이즈된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converts the image into a rasterized image in order to reduce data processing time for rasterizing the screen.

또한, 상기 병합은,In addition, the merging,

웹 오브젝트별로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timization is performed for each web object.

이때, 상기 최적화는,At this time, the optimization,

HTML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XHTML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verting to XHTML by checking the validity of HTML.

또한, 상기 최적화는,In addition, the optimization,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정보를 분석하여 레이아웃팅을 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시간을 축소하기 위하여 레이아웃 정보를 분석하여 절대 좌표 또는 폭과 높이를 포함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reduce the data processing time for the layout by analyz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the layout information is analyzed to include absolute coordinates or width and height.

또한, 상기 최적화는,In addition, the optimization,

CSS문서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여 불필요한 CSS룰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ecks the validity of the CSS document and removes unnecessary CSS rules.

또한, 상기 최적화는,In addition, the optimization,

이미지를 최종적으로 보여질 크기로 조정하는 방식 및 사용된 모든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a method of adjusting the image to the size to be finally displayed and merging all used images into one image.

또한, 상기 최적화는,In addition, the optimization,

래스트라이즈된 웹 컨텐츠의 전송용량을 축소하기 위해서 해당 이미지를 특정사이즈의 페이지 기반으로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reduce the transfer capacity of the rasterized web content, the image is separated and transmitted based on a page of a specific size in order.

또한,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In addition,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에서 웹 문서 수집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가상의 HTTP 커넥션 유지 방식과 가상의 HTTP 커넥션기반 Pipelining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reduce web document collection time in mobile terminal, it uses virtual HTTP connection maintaining method and virtual HTTP connection based pipelining method.

또한,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In addition,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에서 DNS 탐색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웹 URL을 모두 IP주소로 바꾸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reduce the DNS search time in a mobil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converting all web URLs to IP addresses.

또한,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In addition,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에서 HTTP 링크정보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모든 웹 링크를 임의의 해쉬로 변환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HTTP link information in a mobile terminal, all web links are converted into arbitrary hashes.

상기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는,The gateway interface unit,

휴대단말기로부터의 HTTP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HTTP요청수신부와,An HTTP request receiver for receiving an HTTP request message from a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 정보 및 휴대단말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따라 포맷변환규칙을 관리하는 포맷변환규칙관리부와,A format conversion rul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format conversion rules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 information;

변환 프로세싱을 통해 변환된 결과를 송신하는 HTTP응답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HTTP respons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result of the conversion through the conversion processing.

본 발명의 핵심 내용은 다양한 무선환경의 휴대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징의 효율화를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해 최적화하는 기술이다.(이하, 무선환경의 휴대단말기에서의 웹 브라우징을 모바일 웹이라 칭함.)A ke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optimizing the efficiency of web browsing in a mobile terminal in various wireless environments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Hereinafter, web browsing in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environment is called a mobile web.)

모바일 웹을 실현함에 있어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를 활용한 방법은, 인터넷상의 특정 위치에서 성능개선을 한다는 점에서, 제한된 환경하에서 이루어지는 휴대단말기상의 웹 브라우저 기술개선, 휴대단말기 하드웨어 기술 개선, 무선 네트웍 전송 대여폭 개선과는 매우 상이한 기술기법이다.In realizing the mobile web, the method using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improves web browser technology on mobile terminals, improves mobile terminal hardware technology, and wireless network transmission in a limited environment in that performance is improved at a specific location on the Internet. This technique is very different from the rental width improvement.

이런 이유로, 본 발명의 주요 특성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의 주요 작동원리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발명의 이점과 종래의 방법과의 근본적인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For this reas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lated to the main operation principle of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explain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damental differences from the conventional methods.

또한 이러한 설명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한 것이 아니며,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이점은, 후술하는 설명에 기재되어 있고, 부분적으로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습득될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to further refine this description. In addition, these specific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re partially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r through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earned.

본 발명의 특성 및 이점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지적한 구성 요소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얻을 수 있으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The nature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elements and combinations thereof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and will become more apparent.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8 illustrates a mobile web service under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This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n Eatway server.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은,As shown in Figure 7 to 8, the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휴대단말기(200)와;A mobile terminal 200 capable of viewing contents provided by a web server;

휴대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에서 휴대단말기의 웹 브라우징 성능을 개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web browsing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web server 300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유알엘(URL)과 단말기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해당 휴대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징 방법을 WML, XHTML, 변형된 형태의 HTML, 래스터라이즈 이미지 또는 특정 뷰어의 인식 가능한 형태의 포맷 기반으 로 지원하는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sed on WML, XHTML, modified HTML, rasterized image or recognizable format of specific view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web gateway server 100 to support.

이때,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100)는,At this time,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100,

휴대단말기의 정보 및 휴대단말기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정보관리부(110)와,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for manag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pplication information existing on the portable terminal;

변환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최종 결과메세지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프로세스수단(120)과,A conversion process means 120 for performing a conversion process and transmitting a final resul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ateway interface unit 130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의 정보 및 휴대단말기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정보관리부(110)와,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for manag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pplication information existing on the portable terminal;

변환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최종 결과메세지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프로세스수단(120)과,A conversion process means 120 for performing a conversion process and transmitting a final resul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130)와,A gateway interface 130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로 전송되는 웹 컨텐츠의 전송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하여 낮은 전송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적압축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ynamic compression unit (not shown) to use a low transmission bandwidth by compressing to reduce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web content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 버(100)를 통한 모바일 웹 기술은 다음과 같은 차원에서 그 의미성을 갖는다. In more detail, the mobile web technology through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100, which is a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eaning in the following dimensions.

기본적으로 웹 페이지라 함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특정 웹 브라우저에 의해 보여지는 하나의 화면임에도 불구하고, 이는 HTTP 프로토콜 기반에서 존재하는 웹 오브젝트의 집합임과 동시에 다양한 표준과 기술들의 집합이며, 계속해서 나오는 새로운 기술과 표준, 포맷들을 포함해 나가는 개념이다. 현재 시점에서 웹 페이지를 일반론적으로는 HTML 또는 XHTML로 단순하게 표현하지만, 그 내부에는 Gif, Jpeg, Bmp, Png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DOM, JavaScript 와 같은 프로그래밍적 인터페이스도 포함하고 있고, CSS Level 1, 2, 3과 같은 스타일시트, XML, XSL, SVG, VML 같은 XML 기반의 표준들도 포함하고 있고, 오디오 및 비디오, 플래쉬 등과 같은 오브젝트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XSLT, XML 프로세서와 AJAX와 같은 기술들까지도 포함되어 가고 있다. Basically, a web page is a set of various standards and technologies, as well as a collection of web objects existing on the HTTP protocol, even though it is a screen displayed by a specific web browser from a user's point of view.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new technologies, standards and formats. At the present time, web pages are generally represented simply in HTML or XHTML, but inside they contain various image objects such as Gif, Jpeg, Bmp, Png, and so on, as well as programming interfaces such as DOM and JavaScript. It also includes stylesheets such as CSS Level 1, 2, and 3, XML-based standards such as XML, XSL, SVG, and VML. It also includes objects such as audio, video, and flash. Recently, technologies such as XSLT, XML processors and AJAX have also been included.

이렇게 진화해 나가는 웹을 현재 또는 앞으로 탑재될 휴대단말기상의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이 충분히 보여준다는 것은, 휴대단말기 및 무선네트웍의 제약으로 인하여 제한될 수 밖에 없다. This evolving web is sufficiently limited by the present and future web browsing applications on mobile terminals, which are limited by the limitations of mobile terminals and wireless networks.

그리고, 이러한 제약을 충분히 해결하는 휴대단말기용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웹이라 함은 진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계속 부분적인 제약을 가질 수 밖에 없으며, 더불어 새로운 휴대단말기용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기존에 이미 존재하는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 제약성은 분명히 존재한다.And even if there is a web browser application for a mobile terminal that sufficiently solves these limitations, the web is evolving, so that the application will have partial restrictions, and a new web browser application for a mobile terminal has already been developed. The constraints clearly exist because the method of installation on an existing terminal is not effective.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기술은, 유 선인터넷상에서 존재한다는 것과 충분한 컴퓨팅 파워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잠재성이 존재하며, 이런 기반하에서 휴대단말기상의 웹 브라우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On the contrary, the mobile web gateway technology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otential in that it exists on the wired Internet and can provide sufficient computing power, thereby improving the web browsing capability on the mobile termina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1, 휴대폰 #2, 휴대폰 #3, PDA 폰이 특정 URL을 접근하고자 함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1에 탑재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 WAP 브라우저이고, 휴대폰 #2에 탑재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XHTML 브라우저이고, 휴대폰 #3에 탑재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WIPI 기반의 단순 이미지 뷰빙 또는 WIPI 기반의 단순 뷰어가 존재하고, PDA 폰에는 일반 상용 웹 브라우저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As shown in FIG. 8, although the mobile phone # 1, the mobile phone # 2, the mobile phone # 3, and the PDA phone want to access a specific URL, the browser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phone # 1 is a WAP browser, and the mobile phone # 2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 2. It is assumed that the browser application is an XHTML browser, the browser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 3 has WIPI-based simple image viewing or WIPI-based simple viewer, and the PDA phone has a general commercial web browser.

그리고 해당 단말기에서 웹 URL을 접속하고자 할 경우, 휴대단말기의 특정 환경 설정을 통해 웹 프락시 서버를 설정하였거나, 무선망 사업자의 인프라 환경설정에 의해 모든 유.무선 통합시에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를 경우한다고 가정하자. If the terminal wants to access the web URL, the web proxy server is configured through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is used for all wired / wireless integrations according to the infrastructur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operator. Suppose

이런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100)는 휴대단말기로부터 URL과 단말기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해당 휴대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징 방법을 WML, XHTML, 변형된 형태의 HTML, 래스터라이즈 이미지 또는 특정 뷰어의 인식 가능한 형태의 포맷기반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Under this environment,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100 receives URL and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s input, and at the same time, WML, XHTML, modified HTML, rasterized image, or specific viewer for web browsing method optimized for the mobile terminal. It is responsible for supporting the format based on the recognizable form of.

또한, 변환프로세스수단(120)은,In addition, the conversion process means 120,

상기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된 최초의 HTTP 요청 메세지에 기반하거나 변환부와 분석부에서 요구되는 추가적인 웹 컨텐츠에 대한 입출력을 담당하 는 수집부(120c)와,A collection unit 120c based on the first HTTP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interface unit or in charge of input / output of additional web content required by the conversion unit and the analysis unit;

상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웹 컨텐츠의 MIME 타입에 따라 해당 웹 컨텐츠를 분석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수집을 수행하여 수집과 분석이 종료되면 최종 결과 메세지를 휴대단말기에 보내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변환부를 호출하기 위해 변환부에 분석 결과를 전달하는 분석부(120b)와,A conversion unit for analyzing the web content according to the MIME type of the web content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and performing additional collection if necessary, and sending the final resul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ollection and analysis is completed. An analysis unit 120b which delivers the analysis result to the conversion unit for calling;

상기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HTML DOM 또는 XML DOM에 대한 프로세싱을 통해 최종 휴대단말기에 전송할 결과물을 생성하는 변환부(120a)로 구성된다.The conversion unit 120a generates a result to be transmitted to the final mobile terminal through processing on the HTML DOM or the XML DOM generated by the analysis unit.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gateway interface unit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130)는,As shown in Figure 9, the gateway interface unit 130,

휴대단말기로부터의 HTTP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HTTP요청수신부(130a)와,An HTTP request receiver 130a for receiving an HTTP request message from a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 정보 및 휴대단말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따라 포맷변환규칙을 관리하는 포맷변환규칙관리부(130b)와,A format conversion rule management unit 130b for managing format conversion rules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 information;

변환 프로세싱을 통해 변환된 결과를 송신하는 HTTP응답송신부(130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HTTP response transmitter 130c for transmitting the result of the conversion through the conversion processing.

본 발명의 시스템이 변환을 위해 해당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가 어떤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가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1을 통해 상세하게 언급하고자 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how the mechanism of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to operat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rsion.

상기한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130)는 휴대단말기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간의 통신을 담당하게 된다. 도 10 내지 도11을 통해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에서 휴대단말기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는 HTTP 요청 메시지의 두 가지 예시를 나타내었다.The gateway interface unit 130 is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10 to 11 illustrate two examples of an HTTP request message that can be accepted from a mobile terminal in the gateway interface unit.

이러한 HTTP 요청 메시지는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부,분석부,변환부로 구성되어 있는 변환프로세스수단을 수행하기 위해, 변환프로세스 인터페이스에 전송되며, 변환프로세스 인터페이스부(미도시)에 의해 휴대단말기로 전송될 최종 결과 메시지를 받게 되며, 이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is HTTP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process interface to perform the conversion process means consisting of a collecting unit, an analysis unit, and a conversion unit through the gateway interface unit, and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by the conversion process interface unit (not shown). The final result message will be received and it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it to the mobile terminal.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수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llection unit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부(120c)는As shown in FIG. 12, the collection unit 120c

HTTP 요청 메세지에 기반하여 캐쉬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며 HTTP 요청 메세지에 따라 수집한 웹 컨텐츠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는 캐쉬관리부(120ca)와,A cache management unit 120ca which checks whether a cache exists based on an HTTP request message and manages web content collected according to an HTTP request message;

DNS 탐색을 담당하는 DNS관리기(120cb)와,DNS manager (120cb) in charge of DNS search,

HTTP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을 담당하는 HTTP클라이언트(120cc)와,HTTP client (120cc) in charge of communication based on HTTP protocol,

TCP/IP를 통한 실질적인 통신 입출력 부분을 관리하는 TCP소켓관리부(120c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CP socket management unit (120cd) for managing the actual communication input and output portion via TCP / IP.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수집부는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전달된 최초의 HTTP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거나, 추후 설명할 분석부나 변환부에서 요구되는 추가적인 웹 컨텐츠에 대한 입출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수집한 웹 컨텐츠에 대한 관리를 위한 캐쉬 관리부와 DNS 탐색을 담당하는 DNS 관리기, HTTP 프로토콜 기 반의 통신을 담당하는 HTTP 클라이언트, 더불어 TCP/IP를 통한 실질적인 통신 입출력 부분인 TCP소켓관리부로 구성된다. In more detail, the collection unit is based on the first HTTP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interface unit 130 or is responsible for input and output of additional web content required by the analysis unit or the convers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To this end, it consists of a cache manager for managing collected web content, a DNS manager responsible for DNS discovery, an HTTP client responsible for HTTP protocol-based communication, and a TCP socket manager, which is the actual input / output part of TCP / IP. .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수집부는 수집된 웹 컨텐츠를 해당 웹 컨텐츠 처리를 위해 분석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Based on this configuration, the collection unit is responsible for delivering the collected web content to the analysis unit for processing the corresponding web content.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분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alysis unit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석부(120b)는 As shown in FIG. 13, the analysis unit 120b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웹 컨텐츠의 MIME 타입에 따라 해당 웹 컨텐츠를 분석하는 MIME타입분석부(120ba)와,MIME type analysis unit 120ba for analyzing the corresponding web content according to the MIME type of the web content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ng unit;

W3C가 배포하고 있는 HTML DTD를 해석하여 HTML 구문 분석을 위한 규칙을 형성하는 SGML구문분석기(120bb)와,An SGML parser (120bb) that parses the HTML DTDs distributed by the W3C to form rules for HTML parsing,

상기 SGML구문분석기에 의해 형성된 규칙에 기반하여 HTML의 유효성을 처리하는 HTML유효성처리기(120bc)와,HTML validity processor (120bc) for processing the validity of the HTML based on the rules formed by the SGML parser,

HTML 구문을 분석하는 HTML구문분석기(120bd)와,HTML parser (120bd) to parse HTML,

외부 DTD를 해석하여 XML 구문을 분석하는 XML구문분석기(120be)와,An XML parser (120be) that parses an external DTD to parse XML;

외부 CSS 객체가 존재하면 이를 수집부에 요청하여 수집된 CSS 구문을 분석하는 CSS분석기(120bf)와,CSS analyzer 120bf that analyzes the collected CSS by requesting the collection unit if the external CSS object exists,

상기 CSS분석기를 통해 분석이 마무리되면 CSS 룰의 우선순위를 재구성하여 유효성이 검증된 HTML 태그에 대해 CSS 룰을 적용하는 CSS규칙처리기(120bg)와,CSS rule processor (120bg) to apply the CSS rule to the validated HTML tag by reconfiguring the CSS rules prior to the analysis through the CSS parser,

JavaScript 구문을 번역하는 JavaScript인터프리터(120bh)와,JavaScript interpreter (120bh) which translates JavaScript syntax,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분석기(120bi)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mage analyzer 120bi for analyzing the image.

또한, 상기 분석부는,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검증된 상황에서 HTML 문서에 대한 구조가 DOM 구조이며, 초기 분석부의 입력 데이터의 종류나, JavaScript, 또는 XSLT에 의해 DOM은 HTML DOM이 아닌 XML DOM으로도 표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erified situation, the structure of the HTML document is a DOM structure, and the DOM may be expressed as an XML DOM instead of an HTML DOM by the kind of input data of the initial analysis unit, JavaScript, or XSLT.

상기한 바와 같이, 분석부는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웹 컨텐츠의 MIME 타입에 따라, 해당 웹 컨텐츠를 분석함과 동시에,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수집을 수행하여, 모든 수집과 분석이 종료되면, 최종 결과 메시지를 단말기에 보내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변환부를 호출하기 위해 변환부 인터페이스에 분석결과를 전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nalysis unit analyzes the web content according to the MIME type of the web content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and additionally collects it if necessary, and when all collection and analysis are completed, the final result message is output. The analysis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of the converter in order to call the converter performing a process for sending to the terminal.

도13에 도신된 분석부의 구조는 현재 PC상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웹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도식이다. The structure of the analysis section shown in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for processing all types of web content currently seen on a PC.

하지만,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본 실시예에서 모두 정의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최초시점에 HTML 문서를 수신했을 경우에 기초하여, 분석부의 역할을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define all of the detailed descriptions in this embodiment, the role of the analysis un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HTML document is received at the initial time.

분석부는 최초 HTML 문서를 입력으로 받게 되면, HTML 구문분석을 위해 SGML 구문분석기를 호출한다. 이때, SGML 구문 분석기는 W3C가 배포하고 있는 HTML DTD를 해석하여, HTML 구문분석을 위한 규칙을 형성한다. 이 규칙에 기반하여 HTML 유효성처리기는 HTML문서에 대한 구문분석을 실시한다. When the parser receives the first HTML document as input, it calls the SGML parser to parse the HTML. At this time, the SGML parser parses the HTML DTD distributed by the W3C to form a rule for HTML parsing. Based on this rule, the HTML validator parses the HTML document.

이 과정에서 HTML 문서 외부에 존재하는 웹 오브젝트 객체가 존재한다면, 수 집부에 해당 오브젝트를 요청하고 계속 구문을 분석한다. 단, 외부 JavaScript 오브젝트 객체가 요구될 경우에는, 해당 객체가 수집부의 의해 수집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왜냐하면, JavaScript 오브젝트는 지금까지 분석된 HTML 구문을 삭제하거나 추가할 수 있으며, 이는 HTML 유효성 검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HTML 구문을 분석해 나가면선 CSS 구문 분석을 수행한다. CSS 구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외부 CSS 객체가 존재하면 이를 수집부에 요청하여 수집하여야 하며, 모든 CSS가 수집되고 CSS구문 분석이 마무리 되면, CSS 룰의 우선순위를 재구성하게 되면, 이를 기반으로 하여 유효성이 검증된 HTML 태크에 대해 CSS 룰을 적용하게 된다. 더불어 JavaScript를 통한 결과 중에 CSS Rule과 관련된 부분이나, 이벤트 관련된 부분이 있다면, 이를 CSS가 적용된 유효화되고 계층화된 HTML 문서 구조에 반영한다. 이렇게 모든 것이 검증된 상황에서의 HTML 문서에 대한 구조가 DOM 구조이며, 초기 분석부의 입력 데이터의 종류나, JavaScript, 또는 XSLT 등에 의해 DOM은 HTML DOM이 아닌 XML DOM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If there is a web object object that exists outside the HTML document during this process, it will request that object from the collector and continue parsing. However, if an external JavaScript object object is required, it must wait until the object is collected by the collector. Because JavaScript objects can delete or add HTML syntax parsed so far, which affects HTML validation. In this process, when you parse HTML, you do CSS parsing. In the process of parsing the CSS, if the external CSS object exists, it should be collected by requesting the collection unit.When all the CSS is collected and the CSS parsing is finished, the priority of the CSS rule is reconstructed. Apply CSS rules for validated HTML tags. In addition, if there is a part related to CSS Rule or an event related part in the result through JavaScript, it is reflected in the valid and layered HTML document structure to which CSS is applied. In this situation, the structure of the HTML document is the DOM structure, and the DOM may be represented as an XML DOM instead of an HTML DOM by the kind of input data of the initial analysis unit, JavaScript, or XSLT.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변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rsion unit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부(120a)는As shown in FIG. 14, the conversion unit 120a

최초시점의 휴대단말기에서 수집된 휴대단말기의 단말기 정보 및 단말기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단말기에 전송할 결과물의 유형을 결정하는 변환프로세스생성부(120aa)와,A conversion process generation unit 120aa for determining a type of a result to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llected by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first tim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present on the terminal;

레이아웃 과정을 수행하는 레이아웃처리부(120ab)와,A layout processor 120ab which performs a layout process;

휴대단말기상 레이아웃팅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단순 분석에 기반한 래스터라이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는 래스터라이징처리부(120ac)와,Rasterizing processing unit 120ac for performing a processing process for performing a rasterizing based on a simple analysis without performing a layout process on a mobile terminal,

상기 레이아웃팅된 결과를 다시 벡터라이징하는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는 벡터라이징처리부(120ad)와,A vectorizing processor 120ad which performs a processing process of vectorizing the laid out result again;

변환결과 포맷을 관리하는 변환결과관리부(120a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version result management unit 120ae for managing the conversion result format.

이때, 상기 변환프로세스생성부는,At this time, the conversion process generating unit,

Markup 기반의 웹 컨텐츠를 동일 Markup 또는 변형된 Markup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Markup및텍스트데이터포맷변환부(120af)와,Markup and text data format converter 120af for converting the markup-based web content into the same markup or modified markup, and transmitting the same.

변환의 포맷과는 상관없이 변환 결과물을 병합해야 할 경우에 병합 과정을 수행하는 mHTML포맷변환부(120ag)와,MHTML format conversion unit 120ag which performs the merging process when merging the conversion result regardless of the conversion format,

화면상에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병합 과정을 수행하는 래스터이미지포맷변환부(120ah)와,A raster image format conversion unit 120ah for performing a merging process so as to be represented as a set of points on the screen;

포맷팅 레벨에서의 표현된 Markup으로 최종결과물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는 벡터데이터포맷변환부(120ai)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vector data format conversion unit 120ai which performs a processing for generating a final result with the expressed Markup at the formatting level.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분석부에 의해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HTML DOM 또는 XML DOM에 대한 프로세싱을 통해, 최종 휴대단말기에 전송할 결과물을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최초시점의 휴대단말기에서 수집된 휴대단말기의 단 말기 정보 및 단말기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단말기에 전송할 결과물의 유형을 결정한다. 이 결과물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등록될 수도 있으며, 휴대단말기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임의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반하에서 최종 결과물의 유형이 결정나면, 변환부는 해당 결과물을 만들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 처리 과정은 크게 Markup 기반의 웹 컨텐츠를 동일 Markup 또는 변형된 Markup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Markup및텍스트데이터포맷변환부(120af)와,In more detail, the processing of the resulting HTML DOM or XML DOM by the analysis unit plays a role in producing a result to be sent to the final mobile terminal. To this end, the type of the resul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ll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t the first tim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present on the terminal. Determining the type of this result may be manually registered by an administrator managing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or arbitrarily determined by a request of an application on the mobile terminal. On this basis, once the type of the final product is determined, the transformation unit performs a process for producing the result. This processing process is largely the Markup and text data format conversion unit 120af for converting the Markup-based web content into the same Markup or transformed Markup and delivering it,

변환의 포맷과는 상관없이 변환 결과물을 병합해야 할 경우에 병합 과정을 수행하는 mHTML포맷변환부(120ag)와,MHTML format conversion unit 120ag which performs the merging process when merging the conversion result regardless of the conversion format,

화면상에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병합 과정을 수행하는 래스터이미지포맷변환부(120ah)와,A raster image format conversion unit 120ah for performing a merging process so as to be represented as a set of points on the screen;

포맷팅 레벨에서의 표현된 Markup으로 최종결과물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는 벡터데이터포맷변환부(120ai)를 통해 결과물을 만들게 된다.The result is generated through the vector data format converter 120ai which performs a processing for generating the final result with the expressed Markup at the formatting level.

즉, Markup및텍스트데이터포맷변환부(120af)는 Markup 기반의 웹 컨텐츠를 동일 Markup 또는 변형된 Markup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방식이며, 이를 위해서는 변환 규칙을 정의한 XSL에 기반한 XSLT 프로세싱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That is, the Markup and text data format conversion unit 120af converts and delivers the Markup-based web content into the same Markup or modified Markup, and this is performed by an XSLT processing process based on XSL defining a conversion rule.

mHTML포맷변환부(120ag)는 변환의 포맷과는 상관없이 변환 결과물을 병합해야 할 경우에는 병합과정을 수행한다. 단, 병합과정의 병합 구성물이 여전히 분리된 웹 오브젝트 객체에 기반할 경우에만 이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한다.The mHTML format conversion unit 120ag performs a merging process when merging the conversion result regardless of the format of the conversion. However, this processing is only performed if the merging component of the merging process is still based on the separated web object object.

래스터이미지포맷변환부(120ah)는 병합의 한 형태이지만, 화면상에 점들의 집합으 로 표현될 수 있는 수준으로의 병합과정으로써, 주로 이러한 것을 래스터라이제이션이라 한다. 이런 래스터라이즈를 위해서는 먼저 레이아웃팅을 수행해야하는데, 이를 위해 레이아웃처리부를 통한 레이아웃팅을 수행한 후 래스터라이징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한다.The raster image format conversion unit 120ah is a form of merging, but is a merging process to a level that can be expressed as a set of points on the screen, and this is mainly called rasterization. For such rasterization, layout must be performed first. For this purpose, layout is performed through a layout processing unit and then rasterizing processing is performed.

벡터데이터포맷변환부(120ai)는 Markup 레벨의 표현임에도 불구하고, 포맷팅 레벨에서의 표현된 Markup으로 최종결과물을 만들기 위한 프로세싱 과정이다. 이는 휴대단말기상 레이아웃팅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단순 분석에 기반한 래스터라이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싱 과정으로 레이아웃팅 결과를 다시 벡터라이징하는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한다.Although the vector data format conversion unit 120ai is a representation of the markup level, the vector data format conversion unit 120ai is a processing process for making a final result with the representation markup at the formatting level. This is a processing process for performing rasterization based on simple analysis without performing a layout process on a mobile terminal, and performs a processing process of vectorizing the layout result again.

이러한 과정은 단일한 프로세싱의 과정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과정과 혼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최종결과물 포맷별로 프로세싱 과정이 모바일웹 관리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더불어 휴대단말기 사양과 휴대단말기 애플리게이션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is process performs a single processing process,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processing processes. The processing process can be configured by the mobile web manager for various end result formats. It may also be configured by an application.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의 환경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방법들로 웹 컨텐츠를 변환하여 서비스하는 기법을 설명하였다.Until now,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que for converting and serving web content in a displayable method based on the environment of a mobile terminal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has been described.

이러한 서비스 기법은 휴대단말기상에서 모바일 웹을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기반들에 대한 표현을 하기 위한 보다 상세한 기술기법을 설명하기로 한다.Such a service technique is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 mobile web through a gateway server in a mobile terminal. In the following, more detailed technical techniques for expressing the core technical b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앞선,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했듯이 웹 브라우저의 성능은 웹 컨텐츠의 수집속도와 컴퓨팅 파워, 네트웍 대여폭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성능개선 기법은 Persistent Pipelining 기반의 HTTP 커넥션 성능향상과 웹 컨텐츠의 압축기법을 통한 전송용량 축소를 통한 성능향상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휴대단말기 환경에서는 이러한 기법들이 매우 효과적이지 않다. 그 이유는 제한된 전원용량과 무선네트웍이라는 특수한 환경이 휴대단말기의 컴퓨팅 파워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수성은 특히 휴대 단말기 상에서의 웹 브라우징 성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As mentioned earlier, the performance of a web browser is affected by the speed of collecting web content, computing power, and network bandwidth. Therefore, the conven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 mentioned tha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 by reducing the transmission capacity through the HTTP connection performance improvement and the compression method of the web content based on Persistent Pipelining is used. However, these techniques are not very effective in a portable terminal environment. The reason is that the limited power capacity and the special environment of the wireless network limit the computing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This particularity has a great impact on web browsing performance, especially on portable terminals.

휴대단말기 환경과 웹 브라우징 성능간의 상관관계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광대역 무선네트웍하에서의 성능평가 결과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mobile terminal environment and web browsing performance, we present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in the following broadband wireless networks.

도 15에 나타낸 성능평가 결과는 TCP 커넥션 수와 HTTP 프로토콜 간의 상관관계를 지적한 것이다. HTTP 1.1에서 제공되고 있는 Persistent Connection과 Pipelining 기법은 TCP 커넥션의 수를 줄여주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shown in FIG. 15 indic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CP connections and the HTTP protocol. Persistent Connections and Pipelining techniques provided by HTTP 1.1 show that the number of TCP connections is being reduced.

도 16에 나타낸 성능평가 결과는 TCP 커넥션 수와 다운로드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준 것이다. 즉 커넥션이 많을수록 다운로드 시간이 많은 걸렸음을 알 수 있다.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shown in FIG. 16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CP connections and the download time. In other words, the more connections, the longer the download time.

도 17에 나타낸 것은 각 사이트를 광대역 무선네트웍 환경에서 접속시 사용된 각 구성요소별 사용된 시간이다. 도 17에서 Payload는 실제 유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된 시간을 나타내며, DNS 시간은 해당 웹 사이트를 접속하는데 사용된 DNS 탐색시간이며, TCP 3W/SS는 TCP의 초기 3-way handshake와 슬로우 스타트로 인해서 낭비된 시간이며, Other under utilization은 무선네트웍이라는 물리적인 환경으로 인한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소비된 시간을 의미한다.17 shows the time used for each component used when accessing each site in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In Figure 17, Payload represents the time used to transmit the actual useful data, DNS time is the DNS lookup time used to access the website, and TCP 3W / SS is due to TCP's initial 3-way handshake and slow start. Other under utilization means wasted time due to inefficiency due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wireless network.

또한,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성능평가 데이터는 유무선 통합환경인 휴대단말기상에서 웹 브라우징 속도 향상을 위해 종래의 기술기법과는 다른 기법을 요구한다고 것을 입증하게 되며, 모바일에서의 웹 브라우징 성능은 주로 애플리케이션 영역과 세션영역에서 최적화될 수 있는 방안이 많이 존재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한 웹 컨텐츠 압축 기법의 새로운 형태를 제시함과 동시에 TCP 커넥션 수를 현격히 감소시킴으로서, 휴대단말기 환경에서의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8, the performance evaluation data demonstrates that a techniqu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techniques is required to improve web browsing speed on a mobile terminal which is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environment. There are many methods that can be optimized mainly in the application area and the session area. 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form of a web content compression schem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and reduces the number of TCP connections significa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in a mobile terminal environment.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압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ression unit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적압축부(140)는,As shown in Figure 19, the dynamic compression unit 140,

변환프로세스수단을 통해 HTML DOM 또는 XML DOM을 전송받거나, 변환결과 포맷을 전송받는 동적압축인터페이스부(140a)와,A dynamic compression interface unit 140a which receives the HTML DOM or the XML DOM through the conversion process means or receives the conversion result format;

이미지와 같은 손실이 가능한 영역에서 압축을 처리하는 손실압축처리부(140b)와,A lossy compression processor 140b which processes compression in a lossy area such as an image;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손실이 없는 영역에서 압축을 처리하는 무손실압축처리부(140c)와,A lossless compression processor 140c which processes compression in a lossless area such as text data, and

웹 문서내의 모든 링크 URL을 임의의 웹 브라우징 과정내에서 단일한 정보로 표현하여 작은 정보용량이 필요한 영역에서는 매핑된 단일 인덱스를 사용하고 실제 처리과정에서는 해당 단일 인덱스로부터 원래의 정보를 복원하는 해쉬기반URL압축 처리부(140d)와,Represents all the link URLs in a web document as a single piece of information in a random web browsing process, using a single mapped index in areas where small amounts of information are needed, and restoring the original information from the single index in actual processing. URL compression processing unit 140d,

인덱스 기반의 URL 정보를 최초의 URL 정보로 다시 재구성하는 동적압축해제인터페이스부(140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ynamic decompression interface unit 140e for reconstructing the index-based URL information back to the first URL information.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과 웹 컨텐츠 전송용량의 상관관계는 낮은 전송 대여폭일수록 그 영향이 크다. 이를 위해 웹 컨텐츠를 압축하는 기법들이 존재한다. 주로 압축기법은 손실압축과 비손실압축으로 구분된다. 손실압축은 이미지등과 같은 손실이 가능한 영역에 사용되며, 비손실압축은 텍스트데이타 같은 곳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손실압축처리부와 무손실압축처리부에서도 동일한 기술을 사용한다.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provement of web browsing performance and the capacity of web content delivery is the greater the lower the transmission rental width. To this end, techniques for compressing web content exist. Compressor methods are mainly classified into lossy compression and lossless compression. Lossy compression is used for lossy areas such as images, and lossless compression is used for text data. The same technique is used in the lossy compression processing section and the lossless compression process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단 웹 문서의 특수성은 웹 컨텐츠의 내용 중 링크영역의 사이즈를 매우 증가시키고 있는바, 웹 링크정보를 최소하하기 위한 해슁(Hash)기반 압축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해쉬기반URL압축처리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해슁기반 URL 압축기법은 웹 문서내의 모든 링크 URL을 임의의 웹 브라우징 과정내에서 단일한 정보로 표현함으로써, 작은 정보용량이 필요한 영역에서는 매핑된 단일 인덱스를 사용하고, 실제 처리과정에서는 해당 단일 인덱스로부터 원래의 정보를 복원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However, the specificity of the web document greatly increases the size of the link area among the contents of the web content. Therefore, the hash-based URL compression processor employing a hash-based compression method for minimizing the web link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do. The hash-based URL compression method expresses all the link URLs in a web document as a single piece of information in a random web browsing process, using a single mapped index in areas where small amounts of information are needed, and from the single index in actual processing. This is a method of restoring original information.

이를 위해 웹 브라우징의 각 페이지별로 단일한 세션을 부여하여야 하며, 이 부여된 세션하에서 웹 문서내의 모든 링크정보에 순차적 인덱스를 부여한다. 이 과정은 URL 변환 루틴에 의해 수행된다. 이렇게 부여된 인덱스를 기반으로 웹 문서의 모든 링크를 재구성한다. 이렇게 변형된 문서정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분석부나 변환부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To this end, a single session must be assigned to each page of web browsing, and a sequential index is assigned to all the link information in the web document under this assigned session. This process is performed by the URL conversion routine. Reorganize all the links in the web document based on the index. The modified document information affects the result of the analyzing unit or the converting uni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더불어, 이러한 영향의 결과는 이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웹 링크 접근시와 관련성이 있게 된다. 이 과정을 처리하기 위해 동적압축해제인터페이스부는 이러한 인덱스 기반의 URL 정보를 최초의 URL 정보로 다시 재구성한다. 그리고 이 결과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분석부,변환부, 특별히 캐쉬부분 처리에서 사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sequences of this influence are related to the web link access of the mobile terminal. In order to process this process, the dynamic decompression interface unit reconstructs the index-based URL information back to the original URL information. And this result will be used in the analyzing part, the converting part, especially the cache part processing in the previous embodiment.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휴대단말기상에서 TCP 커넥션 수를 줄이는 가상 persistent Pipelining 기법에 대한 상세 도면이다. 20 is a detailed view of a virtual persistent pipelining technique for reducing the number of TCP connections on a mobile terminal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 성능은 컨텐츠 전송속도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유선인터넷상에서의 Persistent 커넥션과 Pipelining 기법이 해당 웹서버의 설정에 의해 무시되거나,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효과적이 못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가상 커넥션 유지기법이다.As shown in FIG. 20, web browsing performance is also greatly affected by the content delivery speed. In particular, the persistent connection and pipelining techniques on the wired Internet are ignored by the web server configuration or are not effective in the wired / wireless integration environment.

현재 국내외 주요 포탈들의 초기화면을 구성하는 웹 페이지는 2006년 11월 13일 현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As of November 13, 2006, the web page constituting the initial screen of major portals at home and abroad is composed as follows.

네이버 : 파일 수 (79개), 파일 사이즈 (207,280 Byte)NAVER: Number of files (79), File size (207,280 Byte)

다음 : 파일 수 (124개), 파일 사이즈 (341,285 Byte)Next: Number of files (124), File size (341,285 Byte)

파란 : 파일 수 (113개), 파일 사이즈 (263,210 Byte)Blue: Number of files (113), File size (263,210 Byte)

네이트 : 파일 수 (111개), 파일 사이즈 (391,633 Byte)Nate: Number of files (111), File size (391,633 Byte)

야후 코리아 : 파일 수 (131개), 파일 사이즈 (562,630 Byte)Yahoo Korea: Number of files (131), File size (562,630 Byte)

조선일보 : 파일 수 (110개), 파일 사이즈 (499,184 Byte) Chosun Ilbo: Number of files (110), File size (499,184 Byte)

야후 USA : 파일 수 (52개), 파일 사이즈 (293,219 Byte)Yahoo USA: Number of files (52), File size (293,219 Byte)

CNN : 파일 수 (206개), 파일 사이즈 (489,560 Byte)CNN: Number of files (206), File size (489,560 Byte)

이와 같이 하나의 웹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서 HTTP 프로토콜에 의해 수집되어야 하는 웹 오브젝트들의 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해당 웹서버의 설정이나, 유.무선 환경의 특수성이 HTTP Persistent 커넥션기법과 Pipelining 기법을 사용할 수 없게 한다면, 이를 수집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만이 존재한다. 하나의 방법은 하나의 커넥션을 반복적으로 열고 닫으면서, 해당 페이지의 모든 웹 오브젝트를 순차적으로 가져오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임의의 수만큼의 커넥션을 동시에 열고 닫음을 반복하면서, 웹 오브젝트를 순차적으로 가져오는 것을 병렬처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후자의 방법을 휴대단말기에서 수행하기 위해서는 CDMA 채널을 동시에 여러 개 확보해야하는 물리적 한계와 휴대단말기의 컴퓨팅 파워어 한계로 제약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하나의 커넥션을 열고 닫으면서 순차적으로 웹 객체를 수행할 수 밖에 없다. As such, the number of web objects to be collected by the HTTP protocol in order to construct a single web screen is very large. However, if the configuration of the web server or the specificity of the wired / wireless environment prevents the use of the HTTP Persistent Connection and Pipelining techniques, there are only two methods of collecting them. One way is to open and close a connection repeatedly and retrieve all the web objects on the page sequentially. The other is to parallelize the fetching of Web objects sequentially, opening and closing any number of connections simultaneously. However, in order to perform the latter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it is constrained by the physical limitation of securing multiple CDMA channels at the same time and the computing power limi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refore, web objects are executed sequentially while opening and closing one connection. Have no choice but to.

여기에서 언급하는 가상 커넥션 유지기반 병렬처리기법은, 휴대단말기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웹 URL에 대해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가상으로 휴대단말기와 커넥션을 유지해 줌과 동시에 가상 Pipelining 기법을 제공해 줌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컨텐츠 전송속도를 개선하는 것이다.The virtual connection maintenance-based parallel processing technique referred to here maintains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virtually at the gateway server for the web URL to be access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es a virtual pipelining technique, thereby providing a content transmission speed of the mobile terminal. To improve it.

이를 위해 가상커넥션 유지 관리부는 휴대단말기로부터의 최초의 HTTP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함에 있어서, 휴대단말기가 접근하고자 했던 URL이 무엇이든지 상관없이 HTTP1.1기반의 커넥션유지기법과 Pipelining기법이 유효하다는 응답메시지를 보낸다. 이를 기반으로 휴대단말기와의 HTTP 커넥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세션이 종료될때까지, 커넥션을 유지하면서 Keep-Alive 요청과 Pipelining 요청을 유효화시켜준다. For this purpose, the virtual connection maintenance unit responds to the first HTTP request message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TTP1.1-based connection maintenance and pipelining techniques are valid regardless of the URL that the mobile terminal attempts to access. Send a message. Based on this, the keep-alive request and the pipelining request are validated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until the session is terminated while maintaining the HTTP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이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가 동시에 많은 접속자에 응답하기 위해 모든 URL 정보를 MD5로 해슁(Hashing)한 후, 이를 병렬처리되고 있는 HTTP 프락시 서버의 수로 나눈 나머지를 해당 URL에 접근하기 위한 프락시 서버로 지정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동시접속자 환경하에서 동일 URL에 대한 캐싱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다수의 동시접속자 환경하에서도 가상 커넥션 유지기반 병렬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process,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hashes all URL information to MD5 to respond to many users at the same time, and divides it by the number of HTTP proxy servers being processed in parallel to access the URL. Specify as a proxy server. By maximizing the caching effect for the same URL in various simultaneous accessor environments, it is possible to enable parallel connection processing based on virtual connection maintenance even under multiple simultaneous accessor environments.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휴대단말기상에서 DNS 탐색 시간을 제거하기 위한 URL 재구성 기법에 대한 상세 도면이다.21 is a detailed diagram of a URL reconstruction technique for removing DNS search time on a portable terminal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 상에서의 DNS탐색시간 축소를 통한 성능개선 기법은 앞선 해슁기반 URL 압축과 가능커넥션기반 병렬처리 기법과 혼재되어 운용될 수 있는 기법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웹 컨텐츠의 모든 URL에 존재하는 호스트명을 IP주소로 바꾸어 휴대단말기에 전달함으로써, 웹 컨텐츠 접근 시, 휴대단말기상에서의 DNS탐색 요청을 제거하는 기법이다. As shown in FIG. 21, the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 by reducing the DNS search time on the mobile terminal is a technique that can be mixed with the hash-based URL compression and the connection-based parallel processing technique. Briefly, this method is a technique of removing the DNS search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when accessing the web content by converting the host name existing in all URLs of the web content into an IP address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bile terminal.

이를 위해 최초시점에서 휴대단말기에서 요청하는 HTTP 메시지에 대한 결과 컨텐츠 내의 모든 호스트명을 IP주소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더불어 이러한 IP주소 변경시 앞선 기술 기법 중 가상 커넥션 유지지법을 결합시켜 특정 IP주소기반 URL 접속시 사용되는 HTTP 프락시 서버를 통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캐싱효과와 동시접속자 처리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To this end, all host names in the resultant content for the HTTP messag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are converted to IP addresses and transmitted at the initial poi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aching effect and the concurrent user throughput by combining the virtual connection maintenance method among the preceding technical techniques in maintaining the HTTP proxy server used when accessing a specific IP address-based URL.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의 휴대단말기상에서 웹 컨텐츠 다운로드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웹 구문 분석을 통한 웹 문서 병합기법에 대한 상세 도면이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b document merging method through web parsing for improving web content download speed on a mobile terminal of 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rawing.

앞에서 언급했던, URL 압축기법, DNS 탐색시간 제거기법, 가상 커넥션 유지기반 병렬처리기법 등은 휴대단말기와 웹 서버간의 전송속도라는 측면에서만 활용되는 기술기법이다. 위의 도면에서 설명되는 웹 컨텐츠 병합기반 성응 개선 기법은 전송속도 향상 및 웹 컨텐츠 표현방식 개선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기법이다.As mentioned earlier, the URL Compressor, DNS Search Time Elimination Technique, and Virtual Connection Maintenance Based Parallel Processing Technique are used only in terms of transmission spe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eb server. The web content merging-based adaptation improvement method described in the above drawings is a technique capable of simultaneously satisfying two purposes of improving transmission speed and improving web content presentation.

이 방식은, 기본적으로 휴대단말기 상에서 웹 서버 접근 횟수를 줄이는 효과를 만든다. 최초 시점에서 HTTP 요청 메시지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수되면, 게이트웨이 서버는 해당 휴대단말기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웹 컨텐츠를 병합하여 병합결과를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법은 휴대단말기가 MIME 기반 웹 컨텐츠 병합을 지원하면, 인터넷메일에서 첨부파일 등을 전송하는 기법 등에 사용되는 MIME 인코팅으로 웹 오브젝트를 병합하여 전송하거나, 단순 압축기법을 지원하면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로 병합하는 Tar와 같은 방법의 압축기법을 사용하여 병합하며, 래스터이미지 수준의 병향을 지원하면, 래스터라이즈된 구조로 병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This approach basically reduces the number of web server accesses on the handset. When the HTTP request message is received at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at the first time point, the gateway server merges the web content in a manner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understand and transmits the merged result. If the mobile terminal supports MIME-based web content merging, MIME encoding is used to transfer attachments from Internet mail. Merge using the same compression method as Tar, which merges multiple files into one, and merges into rasterized structures if it supports raster image level parallelism.

더불어, 병합시 최적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병합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 다. 이에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은 휴대단말기 상에서 HTML 구문분석의 편리성을 위해 HTML 유효성 검사결과인 XHTML로의 최적화 기법과, HTML에 CSS를 적용한 결과로 최적화하는 기법, 여백이나 불필요한 태크를 제거하는 최적화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CSS 최적화를 위해서는 HTML 문서 외부에 존재하는 CSS를 내부 영역으로 변환하는 REL 스타일 대체기법과 CSS내의 Import 구문에 의해 외부 CSS영역으로 존재하는 CSS를 내부 영역으로 변환하는 Import 대체기법, 그리고 CSS적용후, 미사용된 CSS 규칙들을 미리 제거해주는 미사용룰 제거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Script 최적화를 위해서는 Script SRC에 의해 HTML 외부에 존재하는 Script객체를 내부 영역으로 변환하는 Script SRC 대체기법과, Script의 전처리 또는 사전적 실행을 통한 결과를 HTML 문서에 미리 반영해 주는 SCRIPT 전처리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이미지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사용된 모든 이미지를 레이아웃팅 결과상의 위치로 둔 상태에서 하나의 이미지로 변환하여 압축하는 이미지 병합후 JPEG압축기법과 실제 사용될 이미지크기보다 물리적 크기가 크다면 이를 통해 이미지 용량을 줄이는 이미지 크기 조절 기법이 활용될 수 이다. 전처리 기반 최적화는 HTML내에 DOM 인터페이스를 Javascript이외의 방법으로 프로세싱할 경우, 이를 미리 전처리해서 그 결과물을 병합하는 방식으로 주로 XSLT관련 프로세싱의 결과를 병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최적화 기법은 이미 실시예에서 언급된 분석부의 기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timization method can be used to maximize the merging effect. The techniques that can be used are XHTML optimization, which is the result of HTML validation for the convenience of HTML parsing on a mobile terminal, optimization techniques that result from applying CSS to HTML, and optimization techniques that remove margins or unnecessary tags. Can be. In addition, to optimize CSS, REL style substitution method that converts CSS existing outside HTML document into internal area, Import substitution method that converts CSS existing as external CSS area into internal area by import statement in CSS, and after applying CSS For example, an unused rule elimination technique may be used to remove unused CSS rules in advance. For script optimization, Script SRC replacement method that converts script object existing outside HTML into internal area by Script SRC and SCRIPT preprocessing method that reflects the result of preprocessing or preexecution of script in HTML document in advance Can be. For the optimization of the image, after combining all the used images into a position on the layout result and converting them into a single image and compressing them, if the physical size is larger than the JPEG compression technique and the actual image size, the image is reduced. Scaling techniques can be utilized. Preprocessing-based optimization can be used to merge the results of XSLT-related processing primarily by preprocessing and merging the results of DOM interfaces in HTML other than JavaScript. This optimization technique may be implemented by the function of the analysis unit already mentioned in the embodiment.

또한 위에 언급한 병합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방법들로 운용될 수 있으며, 해당 병합방식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 관리자 및 휴대단말기 애플리케이션의 요청 등에 의해 동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rging techniques mentioned above may be operated in one or more ways, and the merging method may be dynamically managed by a request of a mobile web gateway server manager and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described above may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o.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은,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단말기상에서 유선인터넷상의 웹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브라우징할 수 있다는 효과와 더불어 모바일 웹 접근성 개선 방안으로 기존의 휴대단말기 애플리케이션 개선방법과는 달리 게이트웨이 상의 서비스 및 제품을 통한 해결방법이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축소, 휴대단말기의 전원과 같은 컴퓨팅 파워의 절약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effectively browsing the web contents on the wired Internet on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web accessibility improvement method is a solution through services and products on the gateway unlike the existing method of improving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 It can reduce the overhead for installation and provide savings of computing power such as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보하는 웹 관련 기술에 대한 반영을 휴대단말기가 아닌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효율성 및 경제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efficiency and the economic effect because the reflection of the constantly changing and evolving web related technology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rather than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범위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의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물의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o be embraced within their scope.

Claims (24)

삭제delete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휴대단말기와;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contents provided by a web server; 휴대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에서 휴대단말기의 웹 브라우징 성능을 개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web browsing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web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유알엘(URL)과 단말기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해당 휴대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징 방법을 WML, XHTML, 변형된 형태의 HTML, 래스터라이즈 이미지 또는 특정 뷰어의 인식 가능한 형태의 포맷 기반으로 지원하는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Based on WML, XHTML, modified HTML, rasterized image or recognizable format of specific view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bile web gateway server that supports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의 정보 및 휴대단말기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정보관리부와,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pplication information present on the portable terminal; 변환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최종 결과메세지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프로세스수단과,A conversion process means for performing a conversion process and sending a final resul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ateway interface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휴대단말기와;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contents provided by a web server; 휴대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에서 휴대단말기의 웹 브라우징 성능을 개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web browsing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web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유알엘(URL)과 단말기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해당 휴대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징 방법을 WML, XHTML, 변형된 형태의 HTML, 래스터라이즈 이미지 또는 특정 뷰어의 인식 가능한 형태의 포맷 기반으로 지원하는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Based on WML, XHTML, modified HTML, rasterized image or recognizable format of specific view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bile web gateway server that supports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의 정보 및 휴대단말기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정보관리부와,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pplication information present on the portable terminal; 변환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최종 결과메세지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프로세스수단과,A conversion process means for performing a conversion process and sending a final resul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와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와,A gateway interface unit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로 전송되는 웹 컨텐츠의 전송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하여 낮은 전송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적압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Improved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ynamic compression to compress to reduce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web content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o use a low transmission bandwidth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변환프로세스수단은,The conversion process means, 상기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된 최초의 HTTP 요청 메세지에 기반하거나 변환부와 분석부에서 요구되는 추가적인 웹 컨텐츠에 대한 입출력을 담당하는 수집부와,A collection unit for input / output of additional web content based on the first HTTP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interface unit or required by the conversion unit and the analysis unit; 상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웹 컨텐츠의 MIME 타입에 따라 해당 웹 컨텐츠를 분석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수집을 수행하여 수집과 분석이 종료되면 최종 결과 메세지를 휴대단말기에 보내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변환부를 호출하기 위해 변환부에 분석 결과를 전달하는 분석부와,A conversion unit for analyzing the web content according to the MIME type of the web content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and performing additional collection if necessary, and sending the final resul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ollection and analysis is completed. An analysis unit which passes the analysis results to the conversion unit for calling, 상기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HTML DOM 또는 XML DOM에 대한 프로세싱을 통해 최종 휴대단말기에 전송할 결과물을 생성하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broadband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a result to be transmitted to the final mobile terminal through processing on the HTML DOM or XML DOM generated by the analysis unit Improvement system.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수집부는,The collection unit, HTTP 요청 메세지에 기반하여 캐쉬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며 HTTP 요청 메세지에 따라 수집한 웹 컨텐츠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는 캐쉬관리부와,A cache manager that checks whether the cache exists based on the HTTP request message and manages the web contents collected according to the HTTP request message; DNS 탐색을 담당하는 DNS관리기와,DNS manager responsible for DNS discovery, HTTP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을 담당하는 HTTP클라이언트와,HTTP client that is in charge of communication based on HTTP protocol, TCP/IP를 통한 실질적인 통신 입출력 부분을 관리하는 TCP소켓관리부를 포함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CP socket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actual communication input and output through TCP / IP.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분석부는,The analysis unit,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웹 컨텐츠의 MIME 타입에 따라 해당 웹 컨텐츠를 분석하는 MIME타입분석부와,A MIME type analysis unit analyzing the web content according to the MIME type of the web content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on unit; W3C가 배포하고 있는 HTML DTD를 해석하여 HTML 구문 분석을 위한 규칙을 형성하는 SGML구문분석기와,An SGML parser that interprets the HTML DTDs distributed by the W3C to form rules for parsing HTML; 상기 SGML구문분석기에 의해 형성된 규칙에 기반하여 HTML의 유효성을 처리하는 HTML유효성처리기와,An HTML validity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validity of HTML based on a rule formed by the SGML parser; HTML 구문을 분석하는 HTML구문분석기와,An HTML parser that parses HTML, 외부 DTD를 해석하여 XML 구문을 분석하는 XML구문분석기와,An XML parser for parsing XML by parsing an external DTD; 외부 CSS 객체가 존재하면 이를 수집부에 요청하여 수집된 CSS 구문을 분석하는 CSS분석기와,A CSS parser that parses the collected CSS by requesting the collection unit if an external CSS object exists, 상기 CSS분석기를 통해 분석이 마무리되면 CSS 룰의 우선순위를 재구성하여 유효성이 검증된 HTML 태그에 대해 CSS 룰을 적용하는 CSS규칙처리기와,A CSS rule processor that applies CSS rules to the validated HTML tags by reconstructing the priority of CSS rules when the analysis is completed through the CSS analyzer; JavaScript 구문을 번역하는 JavaScript인터프리터와,A JavaScript interpreter that translates JavaScript syntax,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분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broadband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mage analyzer for analyzing the imag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분석부는,The analysis unit, 검증된 상황에서 HTML 문서에 대한 구조가 DOM 구조이며, 초기 분석부의 입력 데이터의 종류나, JavaScript, 또는 XSLT에 의해 DOM은 HTML DOM이 아닌 XML DOM으로도 표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In the verified situation, the structure of the HTML document is a DOM structure, and the type of input data of the initial analysis unit, the JavaScript, or XSLT, the DOM may be represented as an XML DOM instead of the HTML DOM. Improved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mobile web gateway serv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변환부는,The conversion unit, 최초시점의 휴대단말기에서 수집된 휴대단말기의 단말기 정보 및 단말기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단말기에 전송할 결과물의 유형을 결정하는 변환프로세스생성부와,A conversion process generation unit for determining a type of a resul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llected by the mobile terminal at the first tim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present on the terminal; 레이아웃 과정을 수행하는 레이아웃처리부와,A layout processing unit which performs a layout process; 휴대단말기상 레이아웃팅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단순 분석에 기반한 래스터라이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는 래스터라이징처리 부와,A rasterizing processing unit which performs a processing process for performing rasterization based on simple analysis without performing a layout process on a mobile terminal; 상기 레이아웃팅된 결과를 다시 벡터라이징하는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는 벡터라이징처리부와,A vectorizing processor for performing a processing process of vectorizing the laid-out result again; 변환결과 포맷을 관리하는 변환결과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using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rsion result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conversion result format.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변환프로세스생성부는,The conversion process generating unit, Markup 기반의 웹 컨텐츠를 동일 Markup 또는 변형된 Markup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Markup및텍스트데이터포맷변환부와,Markup and text data format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markup-based web content to the same or modified Markup and delivered, 변환의 포맷과는 상관없이 변환 결과물을 병합해야 할 경우에 병합 과정을 수행하는 mHTML포맷변환부와,MHTML format conversion unit that performs the merging process when merging the conversion result regardless of the conversion format, 화면상에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병합 과정을 수행하는 래스터이미지포맷변환부와,A raster image format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a merging process so as to be represented as a set of points on a screen; 포맷팅 레벨에서의 표현된 Markup으로 최종결과물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하는 벡터데이터포맷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vector data format convers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processing process for generating a final result with a expressed markup at a formatting level.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동적압축부는,The dynamic compression unit, 변환프로세스수단을 통해 HTML DOM 또는 XML DOM을 전송받거나, 변환결과 포맷을 전송받는 동적압축인터페이스부와,A dynamic compression interface that receives the HTML DOM or the XML DOM through the conversion process means or receives the conversion result format; 이미지와 같은 손실이 가능한 영역에서 압축을 처리하는 손실압축처리부와,A lossy compression processor that processes compression in a lossy area such as an image,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손실이 없는 영역에서 압축을 처리하는 무손실압축처리부와,A lossless compression processor which processes compression in a lossless area such as text data, 웹 문서내의 모든 링크 URL을 임의의 웹 브라우징 과정내에서 단일한 정보로 표현하여 작은 정보용량이 필요한 영역에서는 매핑된 단일 인덱스를 사용하고 실제 처리과정에서는 해당 단일 인덱스로부터 원래의 정보를 복원하는 해쉬기반URL압축처리부와,Represents all the link URLs in a web document as a single piece of information in a random web browsing process, using a single mapped index in areas where small amounts of information are needed, and restoring the original information from the single index in actual processing. URL compression processing unit, 인덱스 기반의 URL 정보를 최초의 URL 정보로 다시 재구성하는 동적압축해제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broadband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ynamic decompression interface unit for reconstructing the index-based URL information back to the first URL information.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휴대단말기와;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contents provided by a web server; 휴대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에서 휴대단말기의 웹 브라우징 성능을 개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web browsing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web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유알엘(URL)과 단말기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해당 휴대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징 방법을 WML, XHTML, 변형된 형태의 HTML, 래스터라이즈 이미지 또는 특정 뷰어의 인식 가능한 형태의 포맷 기반으로 지원하는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Based on WML, XHTML, modified HTML, rasterized image or recognizable format of specific view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bile web gateway server that supports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웹서버와 휴대단말기 사이에 구성하여 웹 서버상에 별도로 존재하는 웹 오브젝트들을 하나 또는 복수의 컨텐츠로 병합하여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broadband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etween the web server and the mobile terminal to merge the web objects existing separately on the web server into one or a plurality of contents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mprovement system.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병합은,The merging is, MIME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using a MIME encoding method.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병합은,The merging is, TAR 또는 GZIP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using TAR or GZIP compression.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병합은,The merging is,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화면을 래스터라이즈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시간을 축 소하기 위하여 래스터라이즈된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converting a rasterized image in order to reduce data processing time for rasterizing a corresponding screen in a mobile terminal.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병합은,The merging is, 웹 오브젝트별로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performing optimization for each web object.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최적화는,The optimization is HTML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XHTML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validity of HTML is converted to XHTML.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최적화는,The optimization is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정보를 분석하여 레이아웃팅을 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시간을 축소하기 위하여 레이아웃 정보를 분석하여 절대 좌표 또는 폭과 높이를 포함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In order to reduce the data processing time for the layout by analyz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s analyzed through 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the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which includes the absolute coordinates or the width and height. 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최적화는,The optimization is CSS문서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여 불필요한 CSS룰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broadband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removing CSS rules by checking the validity of CSS documents.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최적화는,The optimization is 이미지를 최종적으로 보여질 크기로 조정하는 방식 및 사용된 모든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s finally adjusted to a size to be shown and merging all used images into a single image.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최적화는,The optimization is 래스트라이즈된 웹 컨텐츠의 전송용량을 축소하기 위해서 해당 이미지를 특정사이즈의 페이지 기반으로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s separated and transmitted sequentially based on a page of a specific size in order to reduce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rasterized web contents.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휴대단말기와;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contents provided by a web server; 휴대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에서 휴대단말기의 웹 브라우징 성능을 개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web browsing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web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유알엘(URL)과 단말기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해당 휴대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징 방법을 WML, XHTML, 변형된 형태의 HTML, 래스터라이즈 이미지 또는 특정 뷰어의 인식 가능한 형태의 포맷 기반으로 지원하는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Based on WML, XHTML, modified HTML, rasterized image or recognizable format of specific view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bile web gateway server that supports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에서 웹 문서 수집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가상의 HTTP 커넥션 유지 방식과 가상의 HTTP 커넥션기반 Pipelining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using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which uses a virtual HTTP connection maintaining method and a virtual HTTP connection based pipelining method to reduce web document collection time in a mobile terminal.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휴대단말기와;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contents provided by a web server; 휴대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에서 휴대단말기의 웹 브라우징 성능을 개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web browsing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web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유알엘(URL)과 단말기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해당 휴대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징 방법을 WML, XHTML, 변형된 형태의 HTML, 래스터라이즈 이미지 또는 특정 뷰어의 인식 가능한 형태의 포맷 기반으로 지원하는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Based on WML, XHTML, modified HTML, rasterized image or recognizable format of specific view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bile web gateway server that supports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에서 DNS 탐색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웹 URL을 모두 IP주소로 바꾸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all web URLs are changed to IP addresses to reduce DNS search time in a mobile terminal.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는 휴대단말기와;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contents provided by a web server; 휴대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에서 휴대단말기의 웹 브라우징 성능을 개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web browsing performance of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web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유알엘(URL)과 단말기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해당 휴대단말기에 최적화된 웹 브라우징 방법을 WML, XHTML, 변형된 형태의 HTML, 래스터라이즈 이미지 또는 특정 뷰어의 인식 가능한 형태의 포맷 기반으로 지원하는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Based on WML, XHTML, modified HTML, rasterized image or recognizable format of specific view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bile web gateway server that supports 상기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는,The mobile web gateway server, 휴대단말기에서 HTTP 링크정보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모든 웹 링크를 임의의 해쉬로 변환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A 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converting all web links into an arbitrary hash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HTTP link information in a mobile terminal.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는,The gateway interface unit, 휴대단말기로부터의 HTTP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HTTP요청수신부와,An HTTP request receiver for receiving an HTTP request message from a mobile terminal, 휴대단말기 정보 및 휴대단말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따라 포맷변환규칙을 관리하는 포맷변환규칙관리부와,A format conversion rul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format conversion rules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 information; 변환 프로세싱을 통해 변환된 결과를 송신하는 HTTP응답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System for improving web browsing performance through a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a wireless broadband network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HTTP respons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result converted by the conversion processing.
KR1020060118536A 2006-11-28 2006-11-28 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through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Expired - Fee Related KR1008277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36A KR100827752B1 (en) 2006-11-28 2006-11-28 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through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36A KR100827752B1 (en) 2006-11-28 2006-11-28 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through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752B1 true KR100827752B1 (en) 2008-05-07

Family

ID=3964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5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7752B1 (en) 2006-11-28 2006-11-28 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through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75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104B1 (en) 2008-08-05 2010-06-16 (주) 엘지텔레콤 Optimized Transmission System by Selective Compression of Wireless Network Data and Its Method
KR101068004B1 (en) * 2008-06-19 2011-09-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JavaScript file serving method and system
KR101472685B1 (en) * 2013-09-12 2014-12-16 (주)쓰리에스소프트 Network connection gateway, a network isolation method and a computer network system using such a gatewa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691A (en) * 2000-10-23 2002-05-03 이철호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transforming internet contents
KR20030095868A (en) * 2002-06-15 2003-12-24 (주) 고미드 Web-content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pda
KR20050024550A (en) * 2003-09-03 2005-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ireless Internet Service System Categorized by Extended Identifier and Method Thereof
KR20060007739A (en) * 2004-07-21 2006-01-26 아이넥스네트워크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MWCL (Mobile
KR20060069051A (en) * 2004-12-17 2006-06-2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691A (en) * 2000-10-23 2002-05-03 이철호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transforming internet contents
KR20030095868A (en) * 2002-06-15 2003-12-24 (주) 고미드 Web-content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pda
KR20050024550A (en) * 2003-09-03 2005-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ireless Internet Service System Categorized by Extended Identifier and Method Thereof
KR20060007739A (en) * 2004-07-21 2006-01-26 아이넥스네트워크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MWCL (Mobile
KR20060069051A (en) * 2004-12-17 2006-06-2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004B1 (en) * 2008-06-19 2011-09-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JavaScript file serving method and system
KR100964104B1 (en) 2008-08-05 2010-06-16 (주) 엘지텔레콤 Optimized Transmission System by Selective Compression of Wireless Network Data and Its Method
KR101472685B1 (en) * 2013-09-12 2014-12-16 (주)쓰리에스소프트 Network connection gateway, a network isolation method and a computer network system using such a gatew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077B2 (en) Mobile cache for dynamically composing user-specific information
CA2491740C (en) Method for caching and delivery of compressed content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Ma et al. Framework for adaptive content delivery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s
US2013027549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ndering Web Page
US77477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content
CN102325188B (en) Method for realizing webpage browsing on a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US20100050089A1 (en) Web browser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proxy server
US20030115365A1 (en) Transcoding information in a first markup language into a second markup language
KR100967337B1 (en) Web browser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proxy server
KR100456022B1 (en) An XML-based method of supplying Web-pages and its system for non-PC information terminals
KR100624142B1 (en) Gateway device for wireless data service and wireless data service processing method in gateway device
KR100827752B1 (en) Web Browsing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through Mobile Web Gateway Server in Wireless Wide Area Network Environment
US2001005649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nstant information service for various devices
Mogul Server-directed transcoding
JP4308448B2 (en)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device
KR200100351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lating web information
Cisco Introduction to the Cisco Content Optimization Engine 1.2 for ACNS 4.1
Cisco Introduction to the Cisco Content Optimization Engine 1.2 for ACNS 4.1
KR20100030833A (en) Web viewer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system for providing markup page comprising the web viewer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00067045A (en) Image transcoding apparatus for reducing gif size and it's method
KR101050174B1 (en) Wireless network system, wireless network web accelerator, and wireless network support method
Gu et al. An XML based solution to delivering adaptive web content for mobile clients
Tam et al. ICAP solution to Internet content adaptation for pervasive computing
Suryanarayan Small Devices and the Wireless Internet
Jou A Semantics-Based Mobile Web Content Transcoding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4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43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