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249B1 - Alcohol start prevention device - Google Patents
Alcohol start preven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6249B1 KR100816249B1 KR1020070046360A KR20070046360A KR100816249B1 KR 100816249 B1 KR100816249 B1 KR 100816249B1 KR 1020070046360 A KR1020070046360 A KR 1020070046360A KR 20070046360 A KR20070046360 A KR 20070046360A KR 100816249 B1 KR100816249 B1 KR 1008162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vehicle
- rotating plate
- drinking
- prevention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9506 ci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3—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rectilinearl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측정하여 알콜 농도가 설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시동키의 회전을 방지하여 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한 음주시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that prevents driving by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ignition key when the alcohol concentration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by measuring the driver's drinking.
본 발명은 차량의 키 모듈에 일체로 장착되고, 키 삽입구에 끼워진 키의 회전에 따라서 일체로 회전하고, 일측에는 걸림 턱을 형성한 회전판; 상기 차량의 운전자 날숨을 통하여 알콜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센서에 의한 측정결과가 알콜 농도의 설정 기준치 이하이면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음주 측정 수단; 및 상기 음주 측정 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이동하는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회전판의 걸림 턱으로부터 후진되어 회전판에 끼워진 키의 회전을 허용하고 차량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mounted to the key module of the vehicle, the rotary plate integrally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port,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forming a locking jaw; Built-in sensor for measuring the alcohol concentration through the driver's exhal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lcohol measurement means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f the measurement result by the sensor is less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of the alcohol concentration; And a rod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drinking measuring means, wherein the rod is locked from the locking jaw of the rotating plate to allow rotation of a key fitted to the rotating plate and enable vehicle starting. Provide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는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만이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음주 운전에 관련된 안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does not start in a drunk state so that only a person who does not drink alcohol can drive, and accordingly, safety accidents related to drunk driving can be prevented drasticall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가 적용되는 키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key module to which the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가 적용되는 키 모듈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rotation state of a key module to which the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가 차량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vehic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에 구비된 음주 측정 수단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Figure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nking measurement means provided in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drinking st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가 적용된 키 모듈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rotation state of the key module to which the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에 구비된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1 .....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키 모듈 7.... 키 삽입구5 .....
10.... 차량 12.... 회전판10 ....
12a... 걸림 턱 12b... 절단부12a
12c... 키 구멍 20.... 덮개12c
22.... 안내 홈 24a... 스냅 피트(snap fit) 돌기22 ....
24b... 돌기 25.... 케이싱24b ... Turning 25 .... Casing
40.... 음주 측정 수단 42.... 거치대40 .... Means for measuring
46.... 센서 커버 48.... 하우징46 .... sensor cover 48 .... housing
50.... 커넥터 결합부 52.... 알콜센서 모듈50 ....
54.... 디스플레이 부 56.... 본체 PCB 기판(56)54 ....
60.... 알콜 센서 부 62.... PCB 기판60 ....
66.... 취입관 70.... 전원스위치66 ....
76.... 신호처리부 78.... 신호 송신부76 .... signal processor 78 .... signal transmitter
80.... 배터리 82.... 시가 잭 단자80 ....
90.... 잠금 수단 92.... 로드90 ... lock means 92 ... load
94.... 솔레노이드 밸브 96.... 관통 구멍94 .... solenoid valve 96 .... through hole
98.... 스프링 K.... 키98 .... Spring K .... Key
본 발명은 안전운행을 위한 음주운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측정하여 알콜 농도가 설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시동키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만이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한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nk driving prevention device for safe driving, and more specifically, if the alcohol concentration is more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by measuring the driver's drinking, the person who does not drink by preventing the start of the start by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ignition ke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nk start prevention device for allowing only driving and safe driving.
보다 편리한 차량의 개발 그리고 생활의 향상과 더불어 자동차 숫자가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증가에 따라 도로망의 확충, 교통사고 문제 등이 사회적인 문제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음주운전은 대형 사고와 무고한 인명 희생의 원인으로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과 단속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음주운전 예방 시행정책 등과 함께, 음주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와 시스템에도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re convenient vehicles and improvements in life, the number of automobiles is increasing year by year. As the number of vehicles increases, road network expansion and traffic accidents are increasing as social problems. In particular, drunk driving is a cause of large-scale accidents and innocent casualties, and measures and control to prevent them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Along with such active drunk driving prevention polic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devices and systems that can prevent drunk driving.
그러한 연구성과물들로서 생활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종래의 음주운전 방지장치나 시동 제어시스템의 예들을 살펴보면, 먼저 자동차 운전자의 호흡공기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나 회로를 구비하고 이러한 장치에 운전자가 입김을 분 다음, 여기서 측정되거나 검출된 수치가 일정 이상으로 나오면 경고를 하면서 시동을 중지시키게 되며, 비음주상태로 판명되거나 알콜 농도가 낮은 경우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작동제어회로나 시동회로를 기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동 제어 장치나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As examples of such research results, there are examples of conventional drunk driving prevention devices and starting control systems that can be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First of all, there is a sensing device or circuit for detecting breathing air of a motor vehicle driver and If the measured or detected value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it stops starting with a warning. If it turns out to be non-drinking or if the alcohol concentration is low, it starts the operation control circuit or starting circuit related to the starting of the vehicle. Start control devices or systems are known which allow operatio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기술적으로 미흡하여 음주 상태로 운전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음주 운전은 차량이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정상적인 운전이 이미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사고는 이미 예견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음주운전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상태이며, 사회적인 관심과 요구 또한 높은 실정이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s often technically insufficient to drive in a drunk state. Since drunk driving is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s normal driving is already impossible due to the large increase in vehicles, accidents are already foreseen and measures to prevent such drunk driving are urgent, and social attention and demand are also high. to be.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운전자의 실제 음주 여부를 설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 시동 전부터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알콜 농도가 설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운전을 중지시키는 제어장치를 제시한 기술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re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a control device that does not start or stops driving when the alcohol concentration is more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by continuously measuring whether the driver's actual drinking according to the set operating mode.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차량의 운전자의 호흡부위 근처에 설치구동되어 작동모드에 따라 시동전 및 운전중 운전자의 음주상태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음주 측정단과, 측정된 음주 측정데이타를 입력받아 음주상태 파악 및 차량의 시동 및 정지 여부를 결정하고 장치의 각 구성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릴레이박스들을 갖는 중앙 통제단과, 차량의 시동관련장치로 입력되는 동력선을 연결하여 중앙 통제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시동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시동 제어단을 포함하고 있다.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is installed near the driver's breathing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nking measurement stage for continuously measuring the drinking state of the driver before starting and during dri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the drinking state measurement by receiving the measured drinking measurement data and The central control stage having relay boxe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and stopped and controlling the overall components of the device and the power line input to the vehicle's starting-related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tar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 stage. A start control stage for controlling the start is included.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차량의 시동시나 운전중에 실제 운전자의 음주 여부나 상태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차량의 시동 및 운행에 반영하여 제어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음주운전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었다.Therefore, such a prior art is to fundamentally prevent drunk driving by being designed to continuously measure whether or not the actual driver's drinking or condition during the start or driving of the vehicle and reflecting it to the starting and running of the vehicle.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차량에 장착하는 데에 고가의 비용이 들어가고, 차량을 전면적으로 재정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기술은 그 설치 비용이 고가이고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므로 최고급 차량과 같이 고가의 차량이 아니고서는 실제로 차량에 적용되기 곤란한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an expensive cost is attached to the vehicle, and the vehicle must be completely rearranged. In particular, such a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actual vehicle unless the expensive vehicle such as a high-end vehicle because the installation cost is expensive and requires high technolog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는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만이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한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is that the driver does not start in the drunk state so that only people who do not drink alcohol driving, so that safe driving is made It is to provide a prevention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차량의 내부를 크게 개조할 필요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고, 그 설치 비용도 저가이며, 기계 동작도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작동하여 효과적으로 음주 운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the need to greatly modify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the mechanical operation is also safe and reliable operation to prevent drunk driving effectively to prevent drunk driving effectively In providing a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 차량 운행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that prevents a driver of a vehicle from driving in a drunk state,
차량의 키 모듈에 일체로 장착되고, 키 삽입구에 끼워진 키의 회전에 따라서 일체로 회전하고, 일측에는 걸림 턱을 형성한 회전판;A rotating plate integrally mounted to the vehicle's key module, integrally rotat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opening, and having a locking jaw formed at one side thereof;
상기 차량의 운전자 날숨을 통하여 알콜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센서에 의한 측정결과가 알콜 농도의 설정 기준치 이하이면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음주 측정 수단; 및Built-in sensor for measuring the alcohol concentration through the driver's exhal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lcohol measurement means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f the measurement result by the sensor is less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of the alcohol concentration; And
상기 음주 측정 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이동하는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회전판의 걸림 턱으로부터 후진되어 회전판에 끼워진 키의 회전을 허용하고 차량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And a rod configured to move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drinking measurement means, wherein the rod is locked from the locking jaw of the rotary plate to allow rotation of a key fitted to the rotary plate and enable vehicle starting. It provides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음주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로드가 몸체의 내부로 후진 삽입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is made of a solenoid valve that the rod is inserted backward into the body by the signal from the drinking measurement means.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키 모듈의 일측에 내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is built in one side of the key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판은 호형의 절단 부를 형성하여 걸림 턱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plate is formed by the cutting jaw to form a locking jaw.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수단은 그 로드가 상기 회전판을 에워싼 덮개의 안내 홈 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is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by moving the rod toward the guide groove side of the cover surrounding the rotating plate.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판은 그 외경에 해당하는 안내 홈을 일측에 형성한 덮개에 의해서 상기 잠금 수단이 장착된 케이싱에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ry plate is coupled to the casing equipped with the locking means by a cover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판은 그 중앙에 형성된 키 구멍이 상기 키 모듈의 키 삽입구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키 구멍으로 끼워진 키와 함께 회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plat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key hole is larger than the key insertion hole of the key module, and rotates with the key inserted into the key hole. .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수단은 그 로드가 "IGN" 부분으로 돌출하여 상기 회전판의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못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protrudes to the "IGN" portion to prevent further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and consequently prevents the vehicle from starting. do.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주 측정 수단은 내장된 배터리 또는 시가 잭 단자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nking start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nking measurement means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built-in battery or a cigar jack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1)가 적용되는 일반적인 차량(10)의 키 모듈(5) 구조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키 모듈(5) 구조는 일측에 키 삽입구(7)가 형성되고 이러한 키 삽입구(7)에 키(K)를 꽂고서 회전시키게 되면 차량(10)의 시동이 걸리는 일반적인 구조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of a
이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10)의 키 모듈(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삽입구(7)를 통하여 키(K)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경우, 그 키(K)의 회전 위치별로 차량(10)에서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key K is inserted and rotated through the
예를 들면 상기 키 모듈(5)의 키 삽입구(7)에 키(K)가 꼽혀진 상태에서 "OFF" 위치에 키(K)가 끼워지면 차량(10)의 시동이 꺼진 상태이고, "ACC" 위치로 키(K)가 회전되면 차량(10)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시거 잭(미 도시)에 전원이 공급되고, 차량(10)의 오디오 장치(미 도시)를 동작시켜 음악 등을 감상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key K is inserted into the "OFF" position while the key K is inserted into the
그리고 "IGN" 위치로 키(K)가 회전되면 시동 예비 위치가 되며, 키(K)를 더 욱 회전시켜 "START" 위치로 회전시키면 차량(10)의 시동이 걸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And when the key (K) is rotated to the "IGN" position is a preliminary starting position, if the key (K) is further rotated to rotate to the "START" position is configured to start the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1)는 이와 같은 키 모듈(5)을 구비한 차량(10)에 장착되어 차량(10)의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 차량(10) 시동을 걸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키 모듈(5)에 일체로 장착된다.The drinking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1)는 키 삽입구(7)에 끼워진 키(K)의 회전에 따라서 일체로 회전하고, 일측에는 걸림 턱(12a)을 형성한 회전판(12)을 구비한다.Drinking
상기 회전판(12)은 도 5에 분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의 절단 부(12b)를 형성하여 걸림 턱(12a)을 형성한 구조로서, 그 중앙에는 키 구멍(12c)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exploded view in FIG. 5, the rotating
이와 같은 회전판(12)은 그 키 구멍(12c)이 상기 키 모듈(5)의 키 삽입구(7)에 비하여 다소 크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키 구멍(12c)은 각형의 단면 구조를 갖추어 상기 키 구멍(12c)으로 끼워진 키(K)와 함께 회전판(12)이 일체로 회전하는 구조이다. 상기에서 키 구멍(12c)은 상기 키 모듈(5)의 키 삽입구(7) 보다 크게 형성된 것으로서 여러 차종의 키 모듈에 적합하도록 된 구조이다. 예를 들면 소형차로부터 대형 트레일러나 버스에까지 모두 범용적으로 장착가능한 것이다.The rotating
이와 같은 회전판(12)은 그 위로 위치된 덮개(20)에 의해서 잠금 수단(90)이 내장된 케이싱(25)에 결합되는 데, 상기 덮개(20)는 회전판(12)의 외경에 해당하는 안내 홈(22)을 일측에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차량(10)의 키(K)가 상기 회전판(12)의 키 구멍(12c)으로 진입할 수 있는 원형의 내경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 수단(90)이 장착된 케이싱(25)에 일체로 결합한다.This
이를 위하여 상기 덮개(20)는 상기 회전판(12)에 접촉하는 측면에 원형의 안내 홈(22)을 형성하고, 그 외측 모서리에는 다수의 스냅 피트(snap fit) 돌기(24a)들을 형성하며, 이러한 스냅 피트 돌기(24a)들은 상기 케이싱(25)의 내측에 마련된 대응 돌기(24b)들에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덮개(20)는 회전판(12)을 케이싱(25) 과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한편 상기 회전판(12)은 그 외경이 상기 덮개(20)의 안내 홈(22)에 일치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내 홈(22)의 테두리에 상기 회전판(12)의 외주 모서리가 안내되어 상기 안내 홈(22) 내에서 제자리 회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차량(10)의 운전자 날숨을 통하여 알콜 농도를 측정하는 알콜센서 모듈(52)을 내장하고, 상기 알콜센서 모듈(52)에 의한 측정결과가 알콜 농도의 설정 기준치 이하이면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음주 측정 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음주 측정 수단(40)은 통상적인 음주 측정 장치일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내부에 마련된 거치대(42)에 쉽게 보관가능한 것 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이와 같은 음주 측정 수단(40)은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면에 센서 커버(46)가 구비된 하우징(48)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8)의 내측에는 커넥터 결합부(50)가 형성되고, 알콜센서 모듈(52)로부터 전달되는 센서신호에 기초하여 알콜 농도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부(54)에 표시하는 본체 PCB 기판(56)이 내장되는 구조이다.Such a drinking measurement means 40,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includes a
또한 상기 음주 측정 수단(40)은 상기 하우징(48)에 마련된 센서 커버(46)의 개폐를 통해 교체 가능하도록 센서 커버(46)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게 장착되고, 주입되는 호기 가스의 알콜 농도에 상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알콜 센서 부(6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PCB 기판(56)의 커넥터 결합부(50)에 연결되는 PCB 기판(62)에 일체로 결합된 알콜 센서모듈(52)을 구비하여, 주입되는 호기가스 중 일부를 샘플링하여 상기 알콜 센서부(60)의 알콜 센서모듈(52)로 공급하는 취입관(6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음주 측정 수단(40)의 하우징(48)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정면 중앙에 전원스위치(70)가 구비되고, 그 상단에는 디스플레이 부(54)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drinking measurement means 40 is mounted to correspon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48)의 내부에는 본체 PCB 기판(56)이 장착되는데, 그 본체 PCB 기판(56)의 상단 일측에는 커넥터 결합부(50)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 PCB 기판(56)에는 알콜센서 모듈(52)로부터 전달되는 센서신호에 기초하여 알콜 농도를 산출하는 신호처리부(76)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이와 같이 신호처리부(76)에서 산출된 알콜 농도의 수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54)에 표시되며, 상기 PCB 기판(56)의 기억장치에 마련된 알콜 농도 기준값과 비교되며, 만일 상기 알콜 농도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신호 송신부(78)를 통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잠금 수단(90)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발송한다. In this way, the numerical value of the alcohol concentration calculated by the
그리고 상기 음주 측정 수단(40)은 내장된 배터리(80) 또는 시가 잭으로 끼워지는 단자(82)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이다.The drinking measurement means 40 has a structur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hrough a built-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1)는 상기 음주 측정 수단(40)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이동하는 로드(92)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92)는 상기 회전판(12)의 걸림 턱(12a)으로부터 후진되어 회전판(12)에 끼워진 키(K)의 회전을 허용하고 차량(10)의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 수단(9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nking
상기 잠금 수단(9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주 측정 수단(40)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로드(92)가 몸체의 내부로 후진 삽입되는 솔레노이드 밸브(94)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92)의 솔레노이드 밸브(94) 내부로의 이동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소정 시간 후에 상기 로드(92)를 전진 돌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locking means 90 is composed of a
상기에서 잠금 수단(90)은 솔레노이드 밸브(94)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본 발 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로드(92)를 전기적인 동력으로 전후진 시키는 전동 실린더나 다른 구조의 액튜에이터(actuator)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 수단(90)은 상기 키 모듈(5)의 일측에 내장된 것 구조이다.The locking means 90 is made of a
상기에서 이와 같은 잠금 수단(90)은 키 모듈(5)의 일측에 내장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회전판(12)의 회전을 일정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차량(10)에 장착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 described locking means 90 is described as being embedded in one side of the
상기 잠금 수단(90)은 그 로드(92)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5)에 마련된 관통 구멍(96)을 통하여 상기 회전판(12)을 에워싼 덮개(20)의 안내 홈(22) 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회전판(12)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드(92)가 돌출하는 위치는 "IGN" 부분에 해당하여 상기 회전판(12)이 "IGN" 부분을 넘어서 더 이상의 회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차량(10)의 시동이 걸리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locking means 90 is formed by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1)는 차량(10)의 운전자가 차량(10)에 탑승하면 반드시 음주 측정 수단(40)을 통해 날숨(호기)을 불어넣어야 한다.Drinking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1)는 차량(10)이 정지된 상태, 즉 차 량(10)의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 수단(90)의 로드(92)가 전진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회전판(12)의 키 구멍(12c)을 통하여 상기 키 모듈(5)의 키 삽입구(7)로 키(K)를 끼우고 회전시켜 시동을 걸고자 하여도, 상기 키(K)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12)은 그 걸림 턱(12a)이 상기 잠금 수단(90)의 로드(92)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차량(10)의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The drinking
그렇지만 이와 같이 잠금 수단(90)의 로드(92)에 의해서 키(K)의 회전이 정지된 위치는 "IGN" 위치에 해당되어 차량(10)의 운전자는 차량(10)에 구비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차량(10)의 오디오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시거 잭 단자(82)를 통하여 전원을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position where the rotation of the key K is stopped by the
따라서 차량(10)의 운전자가 운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음주 측정 수단(40)을 통하여 상기 잠금 수단(90)의 로드(92)를 후진시켜야 한다. 운전자가 차량(10)을 운전하기 위하여 상기 음주 측정 수단(40)으로 날숨을 불어 넣으면 상기 음주 측정 수단(40)은 날숨의 알콜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설정 기준치와 비교하고, 디스플레이 부(54)에 표시함과 동시에 설정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즉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아서 운전을 하여도 좋은 상태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잠금 수단(90) 측으로 제공한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driver of the
만일 운전자가 음주를 하여 설정 기준치의 알콜 농도보다 높은 알콜 농도를 검출한 경우라면, 아무런 신호도 제공하지 않아서 잠금 수단(90)의 로드(92)는 잠김 상태(전진 상태)를 유지하고 운전자는 차량(10)의 운전이 불가능한 것이다. If the driver detects an alcohol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alcohol level of the set reference value by drinking, no signal is provided so that the
상기 잠금 수단(90)에서는 음주 측정 수단(40)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로드(92)를 후진시키고, 상기 덮개(20)의 안내 홈(22)으로부터 후퇴하도록 하여 상기 회전판(12)의 회전을 허용한다. 즉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 수단(90)의 로드(92)가 도 8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진된 상태이므로 운전자는 키(K)의 회전이 가능하고, 도 7에서 "START" 로 표시된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차량(10)을 시동시킬 수 있고 차량(10)을 운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The locking means 90 retracts the
한편 상기 잠금 수단(90)은 상기 로드(92)가 후진되어 회전판(12)의 회전을 허용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예를 들면 대략 30초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그 로드(92)가 전진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means 90 automatically advances the
이와 같이 상기 로드(92)가 전진하면 그 로드(92)의 끝단은 상기 회전판(12)의 일측면을 누르는 상태가 되며, 상기 회전판(12)은 이미 시동 위치로 돌아가 있으므로 차량(10)은 계속적으로 시동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그리고 차량(10)이 목적지에 도달하여 운전자가 차량(10)의 시동을 끄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는 키(K)를 "START" 위치로부터 "OFF" 위치로 역회전시키게 된 다. 따라서 키(K)의 역회전과 함께 회전판(12)도 역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은 역회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회전판(12)은 최초의 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로드(92)의 끝단을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통과하게 되고, 상기 로드(92)는 잠금 수단(90)의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98)의 작용력으로 추가적으로 전진하여 덮개(20)의 안내 홈(22)까지 도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로드(92)가 전진된 상태에서는 운전자는 다시 음주 측정 수단(40)을 통하여 상기 로드(92)의 후진을 이루어야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nd whe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음주시동 방지장치(1)는 잠금 수단(90)이 일단 회전판(12)을 "START" 위치 측으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막은 상태를 유지하며, 차량(10)을 운전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는 음주 측정 수단(40)을 통하여 음주 측정을 하고, 정상적인 운전 상태이어야 운전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drinking
만일 운전자가 차량(10)의 시동을 걸지 않은 상태로 차량(10)의 오디오를 이용하고자 하던가, 또는 시가 잭(미 도시)을 통하여 전원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음주 측정 수단(40)을 통하여 음주 측정을 하지 않고도, 차량(10)의 키(K)를 "IGN" 위치까지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10)의 전원을 원하는 대로 사용할 수 있다. If the driver wants to use the audio of the
그리고 만일 이 상태에서 운전을 하고자 한다면, 음주 측정 수단(40)을 통하 여 음주 측정을 하여 운전자의 상태가 운전을 하여도 좋은 상태임을 확인한 다음, 상기 음주 측정 수단(40)을 통하여 잠금 수단(90)의 로드(92)를 후진시키고 차량(10)의 시동을 걸어서 운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If the driver intends to drive in this state, the alcohol is measured through the alcohol measuring means 40 to confirm that the driver's state is good to drive, and then the locking means 90 is provided through the alcohol measuring means 40. ), The vehicle can be driven by reversing the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 수단의 위치를 키 모듈로부터 벗어나게 위치시켜 차량의 계기 판넬 외측에 장착하고 동일한 동작을 하게 하던가, 또는 음주 측정 수단을 계기 판넬 내부에 내장하고, 취입관 만을 외부로 돌출시켜 운전자의 음주 측정을 동일한 방식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pecific structu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locking means is located away from the key module so as to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or the alcohol measuring means is built into the instrument panel, and only the blowing pipe is protruded to the outside. You can also measure your breath in the same way. Nevertheless, it is intended that such simple modifications or design modifications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는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만이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음주 운전에 관련된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may not start the vehicle in a drunk state so that only a person who does not drink alcohol can driv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related to drunk driving.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를 크게 개조할 필요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설치 비용도 저가이며, 기계 동작도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작동하여 효과적으로 음주 운전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the need to greatly modify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due to the simple structure, the mechanical operation is also safe and reliable operation can effectively prevent drunk driving.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 수단 구조가 키 모듈과 함께 차량의 계기 판넬 내측에 장착가능한 소형의 크기이므로 쉽게 차량에 부착되어 효과적으로 음주 운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음주 운전 사고를 획기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king means structure is a small size that can be mounted inside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key module,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vehicle to effectively prevent drunk driving, thereby drastically preventing drunk driving accidents. The excellent effect is obtained.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6360A KR100816249B1 (en) | 2007-05-14 | 2007-05-14 | Alcohol start preven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6360A KR100816249B1 (en) | 2007-05-14 | 2007-05-14 | Alcohol start preven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6249B1 true KR100816249B1 (en) | 2008-03-24 |
Family
ID=3941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6360A Active KR100816249B1 (en) | 2007-05-14 | 2007-05-14 | Alcohol start preven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6249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7722A (en) | 2019-04-05 | 2020-10-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start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ing the same |
KR102433378B1 (en) | 2022-01-28 | 2022-08-19 | 주식회사 에이스큐브 | 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
KR20220125760A (en) | 2021-03-05 | 2022-09-1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
KR102598705B1 (en) | 2023-01-26 | 2023-11-07 | (주)센텍코리아 | Breathalyzer based on sensor fusion and a breathalyzer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breathalyzer |
KR102598724B1 (en) | 2023-01-26 | 2023-11-07 | (주)센텍코리아 | Breathalyz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according to the minimum measuremen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and a breathalyzer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breathalyzer |
KR102664525B1 (en) | 2024-01-26 | 2024-05-10 | 주식회사 에이스큐브 | Vehicle recording device with sudden acceleration detection function and real-time recording of drunk driving occurrenc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4387A (en) * | 1996-05-02 | 1997-12-10 | 박병재 | Key box control method to prevent theft and drunk driving |
KR20030096806A (en) * | 2002-06-17 | 2003-12-31 | 안영국 | Drunk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
KR20040009435A (en) * | 2002-07-23 | 2004-01-3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nking test of automobile |
KR20060087518A (en) * | 2003-09-17 | 2006-08-02 | 히로시 가미키 | Vehicle key and drunk driving prevention device |
-
2007
- 2007-05-14 KR KR1020070046360A patent/KR1008162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4387A (en) * | 1996-05-02 | 1997-12-10 | 박병재 | Key box control method to prevent theft and drunk driving |
KR20030096806A (en) * | 2002-06-17 | 2003-12-31 | 안영국 | Drunk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
KR20040009435A (en) * | 2002-07-23 | 2004-01-3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nking test of automobile |
KR20060087518A (en) * | 2003-09-17 | 2006-08-02 | 히로시 가미키 | Vehicle key and drunk driving prevention devic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7722A (en) | 2019-04-05 | 2020-10-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start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ing the same |
US11511624B2 (en) | 2019-04-05 | 2022-11-29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lcohol concentration, and system for controlling starting of vehicle |
KR20220125760A (en) | 2021-03-05 | 2022-09-1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
KR102433378B1 (en) | 2022-01-28 | 2022-08-19 | 주식회사 에이스큐브 | 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
KR102598705B1 (en) | 2023-01-26 | 2023-11-07 | (주)센텍코리아 | Breathalyzer based on sensor fusion and a breathalyzer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breathalyzer |
KR102598724B1 (en) | 2023-01-26 | 2023-11-07 | (주)센텍코리아 | Breathalyz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according to the minimum measuremen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and a breathalyzer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breathalyzer |
KR102664525B1 (en) | 2024-01-26 | 2024-05-10 | 주식회사 에이스큐브 | Vehicle recording device with sudden acceleration detection function and real-time recording of drunk driving occurrenc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6249B1 (en) | Alcohol start prevention device | |
ES2564788T3 (en) | Vehicle key with conduction prevention device in a state of ethyl poisoning | |
EP2212147B1 (en) | Preventive and persuasive actions against drunk driving | |
US7658255B2 (en) | Device for preventing a driver under the influence of drugs to use a motor vehicle | |
US7523802B2 (en) | Safe-driving promotion system and safe-driving promotion device | |
US9770984B2 (en) | Motion sensitive interlock for a vehicle having a breathe analyzer | |
JPH07111702A (en) | Remote indicator of residual battery capacity of motor vehicle | |
JPH09322313A (en) | Electric motorcar | |
JP2007269236A (en) | Headlight forgetting prevention device | |
WO2012054431A2 (en) | Cellular telephone detection and alarm activator for vehicular safety | |
CN201535764U (en) | Alcohol detection device and blowing device thereof | |
JP4087751B2 (en) | Portable device warning device | |
EP0646506B1 (en) | Anti-theft control procedure and device therefor, for vehicles with remote control access systems | |
JP2010143247A (en) | Notification device for vehicle | |
JP4525315B2 (en) | Vehicle anti-theft device | |
JP4533899B2 (en) | Device for reproducing information about automobiles | |
JP2010089553A (en) | Vehicle condition informing device | |
JP2005199819A (en) | Outside mirror device for vehicle | |
KR100740985B1 (en) | Door lock alarm device and method using a vehicle key holder | |
JP2601122Y2 (en) | Window closing forget prevention device for automobiles | |
JPH10236279A (en) | Device to confirm wearing or unwearing of seat belt | |
KR0116846Y1 (en) | Alarming device of safety unit for vehicles | |
JP2007137310A (en) | Seat belt device | |
HK1092511B (en) | Key for vehicle and drunken driving preventing device | |
JP2008257646A (en) | Drunk driving preven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