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069B1 - Terrain Status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Ground Control Point and GPS - Google Patents
Terrain Status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Ground Control Point and GP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1069B1 KR100791069B1 KR1020070064717A KR20070064717A KR100791069B1 KR 100791069 B1 KR100791069 B1 KR 100791069B1 KR 1020070064717 A KR1020070064717 A KR 1020070064717A KR 20070064717 A KR20070064717 A KR 20070064717A KR 100791069 B1 KR100791069 B1 KR 100791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data
- measuring device
- measuring
- terr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3/00—Testing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광범위한 지역에 전체적으로 발생되는 지형변화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지상기준점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 모니터링시스템은 각 지점에 분산설치되어 지면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다수개의 측정장치(10)와, 각 측정장치(10)의 좌표와 각도변화량을 수집하는 단말기(20)와, 상기 단말기(20)에 연결되며 연산프로그램(31)이 탑재되어 단말기(20)에 수집된 각 측정장치(10)의 좌표데이터와 각도변화량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지점의 높낮이 변화를 측정하는 연산장치(30)로 구성되어, 각 지점의 높낮이변화에 따른 지형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rain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ground control points and GPS, which enables the easy measurement of terrain changes occurring in a wide range of regions in real time. The terrain chan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ributed to each point of the ground. A plurality of measuring devices 10 for measuring the angular change, a terminal 20 for collecting the coordinates and the angle change amount of each measuring device 10,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20, the calculation program 31 is mounted Comprising a calculation device 30 for measuring the height change of each point using the coordinate data and the angle change amount data of each measuring device 10 collected in the terminal 20, the change of the terrain according to the height change of each point It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very easy to us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기준점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rain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the ground reference point and G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기준점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의 단말기를 도시한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of a terrain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the ground reference point and G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기준점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의 연산프로그램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이다.3 to 5 are reference diagrams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alculation program of the terrain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the ground reference point and G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측정장치, 11; 지지대,10; Measuring device, 11; support fixture,
12; 하우징, 13; 기울기감지장치,12; A housing, 13; Tilt sensor,
14; 측정제어부, 15; 무선송출부,14; A
16; 출력단자, 17; 측정콘트롤패널,16;
18; 고정장치, 10a; 결합부,18; Fixture, 10a; Coupling,
20; 단말기, 21; 케이스,20;
22; GPS유닛, 23; 무선수신부,22;
24; 입력단자, 25; 단말기제어부,24; Input terminal, 25; Terminal control unit,
26; 단말기콘트롤패널 27; 방위각측정장치,26;
30; 연산장치, 31; 연산프로그램.30; Computing device, 31; Operation program.
본 발명은 광범위한 연약지반에서의 지형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된 지상기준점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ospatial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the ground control point and the GPS to be able to monitor the terrain changes in a wide range of soft ground in real time.
일반적으로, 항만이나 공항 등과 같은 대규모 건축물의 경우, 지반의 침하나 융기와 같은 지형변화에 대비하여야 한다.In general, for large buildings such as harbors and airpor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opographical changes such as settlement and elevation of the ground.
이러한 경우, 지형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수준측량의 경우, 각 지점을 기준으로 다른 지점의 상대높이를 측정하여 전체적인 지형을 측정하므로, 측정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생되는 전체적인 지형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에 충분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change of terrain in real time. However, in the case of leveling, which is generally performed, the overall terrain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relative height of another point based on each poi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is not enough to monitor the real-time topographical changes occurring in a wide area.
또한, 일반적인 수준측량으로 지형의 변화량을 계산하기 위하여는, 기초적으 로 지형의 각 지점의 높낮이를 측정하여 기본데이터를 구축한 후, 필요할 때, 재차 각 지점의 높낮이를 측정하여 기본데이터와 새로 측정된 데이터의 높이차이를 일일이 계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of the terrain by using general level surveying, basically, the height of each point of the terrain is measured to construct basic data, and when necessary, the height of each point is measured again to measure the basic data and the new measuremen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lculate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collected data one by one.
한편, 일반적으로 지형이 변화될 경우, 한지점에 구멍이 파이듯이 침하가 발생되거나 한지점만 볼록하게 솟아오르기 보다는, 일정 지역의 지면이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면서 오목하게 침하되거나, 볼록하게 솟아오르게 되므로, 각 지점의 경사각 변화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지면의 침하 또는 융기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when the terrain is changed, rather than causing a hole to sink into one point or convexly rising to one point, the ground of a certain area is concave or raised convexly while forming a gentle slo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monitor the settlement or elevation of the ground by measuring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angle at each poin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범위한 지역에 전체적으로 발생되는 지형변화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지상기준점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rain status measurement correction system using the ground reference point and the GPS so that it is easy to measure in real time the terrain changes occurring in a wide area as a who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지면(1)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에 구비되며 하우징(12)의 기울기값을 측정하는 기울기감지장치(13)와, 식별을 위한 고유 ID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4a)가 구비되며 상기 기울기감지장치(13)에 연결되어 기울기감지장치(13)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값을 메모리(14a)에 저장하는 측정제어부(14)와, 상기 측정제어부(14)에 연결되어 측정제어부(14)에서 출력되는 ID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를 무선송출하는 무선송출부(15)와, 상기 측정제어부(14)에 연결되어 ID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6)와, 상기 측정제어부(14)에 연결된 측정콘트롤패널(17)과, 상기 하우징(12)에 연결되어 하우징(12)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장치(18)를 포함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지역에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측정장치(10)와;A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에 구비되며 좌표를 측정하여 측정된 좌표데이터를 출력하는 GPS유닛(22)과, 각 측정장치(10)의 무선송출부(15)에서 출력된 ID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23)와, 상기 측정장치(10)의 출력단자(16)에 연결되는 입력단자(24)와, 상기 GPS유닛(22)과 무선수신부(23) 및 입력단자(24)를 통해 수집된 ID데이터와 좌표데이터 및 기울기값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5a)가 구비된 단말기제어부(25)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제어부(25)에 연결된 단말기콘트롤패널(26)을 포함하는 단말기(20)와;The
각 측정장치(10)에 의해 수집된 각 측정장치(10)의 좌표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의 변화량을 연산하는 연산프로그램(31)이 탑재되며, 상기 단말기(20)의 단말기제어부(25)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단말기제어부(25)의 메모리(25a)에 저장된 각 측정장치(10)의 기울기값과 좌표데이터를 수신하여 연산프로그램(31)을 이용하여 지형의 변화를 산출한 후 출력하는 연산장치(30)를 포함하며, On the basis of the coordinate data and the slope value data of each
상기 측정장치(10)의 하우징(12) 상면에는 단말기(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 되는 결합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20)에는 결합부(10a)에 결합된 단말기(20)의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위각측정장치(2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준점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이 제공된다. A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상기준점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은 1 and 2, the terrain status measurement correction system using the ground reference point and G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지역에 분산배치되어 각 지점의 기울기값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측정장치(10)와; 각 측정장치(10)의 좌표와 각 측정장치(10)에 의해 측정된 각 지점의 기울기 값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말기(20)와; 상기 단말기(20)에 연결되며 단말기(20)에 수집된 각 측정장치(10)의 좌표와 기울기값을 이용하여 지형변화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연산장치(30)로 구성된다.A plurality of measuring
상기 측정장치(10)는 지면(1)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에 구비되며 하우징(12)의 기울기값을 측정하는 기울기감지장치(13)와, 식별을 위한 고유 ID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4a)가 구비되며 상기 기울기감지장치(13)에 연결되어 기울기감지장치(13)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값을 메모리(14a)에 저장하는 측정제어부(14)와, 상기 측정제어부(14)에 연결되어 측정제어부(14)에서 출력되는 ID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를 무선송출하는 무선송출부(15)와, 상기 측정제어부(14)에 연결되어 ID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6)와, 상기 측정제어부(14)에 연결된 측정콘트롤패널(17)과, 상기 하우징(12)에 연결되어 하우징(12)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장치(18)를 포함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지역에 이격배치된다.The
상기 지지대(11)는 하측에 복수개의 레그(11a)가 구비되어, 앵커볼트(11b) 등으로 지면(1)에 고정설치되어, 지형변화가 발생되어 지면(1)이 기울어지면(1) 지면(1)에 추종하여 기울어진다.The
상기 하우징(12)은 지지대(11)의 상단에 베어링(12a)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19)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The
상기 기울기감지장치(13)는 하우징(12)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2개의 기울기감지센서를 평면상에 직각방향으로 배치하여, 수직방향에 대한 측정장치(1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는 하우징(12)이 기울어짐에 따라 유체가 이동하거나 금속추가 기울어지는 것을 측정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하우징(12)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 측정장치(10)에 구비된 기울기감지장치(13)는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특히, 기울기감지장치(13)에 구비된 기울기감지센서가 동서방향과 남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측정제어부(14)는 메모리(14a)에 저장된 ID데이터와 기울기감지장치(13)에 의해 측정된 측정장치(10)의 기울기값 데이터를 일정시간마다 무선송출부(15)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출력단자(16)는 후술하는 단말기(20)의 입력단자(24)와 연결되어, 단말기(20)로 ID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각 측정장치(10)의 메모리(14a)에 저장되는 ID데이터는 상호 다르게 설정되어, 각 측정장치(10)에 측정된 기울기값 데이터를 단말기(20)로 전송할 때, ID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므로써, 단말기(20)에 수신된 기울기값 데이터가 어느 측정장치(10)로 부터 송신된 것인 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In this case, the ID data stored in the
상기 측정콘트롤패널(17)은 하우징(12)의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측정콘 트롤패널(17)을 조작하여 측정장치(10)를 ON-OFF 시키거나, 측정제어부(14)에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고정장치(18)는 하우징(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핸들(18a)을 돌려 하우징(12)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측정장치(10)의 일측에는 상기 단말기(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0a)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0a)는 하우징(12)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결합부(10a)에 단말기(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단말기(20)와 측정장치(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출력단자(16)는 결합부(10a)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부(10a)에 단말기(20)를 결합하면 출력단자(16)와 단말기(20)의 입력단자(24)가 자동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이때, 상기 측정제어부(14)는 사용자가 측정장치(10)를 지면(1)에 고정한 후, 컨트롤패널을 이용하여 on 시키면, 상기 기울기측정장치(10)를 제어하여 최초에 측정장치(1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이를 기초측정값으로 상기 단말기(20)로 송신한 후, 일정시간마다 기울기를 반복측정하여 단말기(20)로 송신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단말기(20)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에 구비되며 좌표를 측정하여 측정된 좌표데이터를 출력하는 GPS유닛(22)과, 각 측정장치(10)의 무선송출부(15)에서 출력된 ID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23)와, 상기 측정장치(10)의 출력단자(16)에 연결되는 입력단자(24)와, 상기 GPS유닛(22)과 무선수신부(23) 및 입력단자(24)를 통해 수집된 ID데이터와 좌표데이터 및 기울기값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5a)가 구비된 단말기제어부(25)와, 상기 단말기제어부(25)에 연결된 단말기콘트롤패널(26)과,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되어 단말기(20)의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위각측정장치(27)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케이스(21)는 상기 측정장치(10)의 결합부(10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박스로 구성되어, 내부에 탑재되는 각 구성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GPS유닛(22)은 미리 알려진 정지궤도상에 떠있는 인공위성과의 상대위치를 측정하여, 현재위치를 측정하여는 것으로, 단말기(20)가 측정장치(10)의 결합부(10a)에 결합된 상태에서 단말기(20)의 현재위치를 측정하여 측정장치(1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의 좌표데이터를 단말기제어부(25)로 출력한다. 이때, GPS에 의해 측정되는 좌표데이터는 각 측정장치(10)의 수평방향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하방향의 위치 또는 고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The
상기 입력단자(24)는 상기 케이스(21)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단말기(20)를 측정장치(10)의 결합부(10a)에 결합고정하면 입력단자(24)가 측정장치(10)의 출력단자(16)와 상호 연결되어, 출력단자(16)에서 출력된 ID데이터를 단말기제어부(25)로 전송한다.The
상기 단말기제어부(25)는 입력단자(24)와 수신장치를 통해 수집된 각 측정장치(10)의 ID데이터와 좌표데이터 및 기울기값 데이터를 DB화하여 메모리(25a)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연산장치(3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 기 측정장치(10)의 단말기제어부(25)가 송신장치를 통해 측정장치(10)의 ID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므로, 상기 단말기제어부(25)는 입력단자(24)를 통해 각 측정장치(10)의 기울기값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이때, 각 측정장치(10)는 기울기값 데이터와 ID데이터를 함께 송신하므로써, 단말기제어부(25)는 수신된 ID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된 기울기값 데이터가 어느 측정장치(10)에서 송신된 것인지를 확인하여, 해당 측정정치의 기울기값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상기 방위각측정장치(27)는 사용자가 단말기(20)를 측정장치(10)의 결합부(10a)에 결합한 상태에서 단말기(20)의 방위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측정장치(10)의 하우징(12)과, 하우징(12)에 구비된 기울기감지장치(13)가 향하는 방향을 측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하우징(12)을 회전시켜 방위각측정장치(27)가 정해진 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동서남북방향)을 향하도록 하면, 경보음 등을 출력하여, 하우징(12)이 정확한 방향을 향하도록 된 것을 알려준다.The
상기 연산장치(30)는 연산프로그램(31)이 탑재되며, 상기 단말기(2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컴퓨터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연산장치(30)와 단말기(20)에는 각각 USB포트가 구비되어, USB라인을 통해 연산장치(30)를 단말기(20)의 단말기제어부(25)에 상호 통신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The
상기 연산프로그램(31)은 각 측정장치(10)의 좌표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의 변화량을 연산하는 기능을 한다.The
도 3내지 도 5는 이러한 연산프로그램(31)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지면(1)이 평면상태에서 지형변화를 일으켰을 때의 지형변화 연산방식을 예시한 것이다.3 to 5 illustrate the operation of such a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태의 지면(1)에 다수개의 측정장치(10)를 분산하여 설치한 후, 단말기(20)에 의해 수집된 각 측정장치(10)의 좌표데이터 및 기울기값 데이터가 연산장치(30)로 저송되면, 연산프로그램(31)은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측정장치(10)의 중간위치에 가상점(a∼e)을 설정하여, 측정장치(10)로부터 가상점까지의 수평거리를 산출한다. As shown in FIG. 3A, after distribut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measuring
그리고, 도 3의 (b)와 같이, 지형이 변화되어 지면(1)이 기울어짐에 따라 각 측정장치(10)의 기울기값이 변화되면, 연산프로그램(31)은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법을 이용하여 각 측정장치(10)와 가상점 간의 높이변화(h1,h2)를 산출하고,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점의 높이변화치만큼 측정장치(10)의 상하높이(h1+h2)를 변경하고, 변경된 측정장치(10)의 높이변화량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지역의 지형변화량을 측정하여, 모니터나 프린터로 출력한다. 이와같이 계산된 각 지점의 높이변화를 이용하여 측정된 지형변화값은 도 5의 점선(연산프로그램(31)에 의해 계산된 변형된 지형형태)과 실선(실제 지형의 변형형태)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의 오차만 있을 뿐 거의 유사하다. 이때, 각 측정장치(10)의 간격을 좁히면, 오차를 더욱 줄일 수 있다.And, as shown in (b) of FIG. 3, when the slope value of each measuring
그리고, 이러한 방법으로 X축방향과 Y축방향의 지형변화를 측정하므로써, 3차원의 지형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measuring the topographical change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the three-dimensional topographical change can be measured.
한편, 평면이 아니라 굴곡이 있는 면의 지형변화를 측정할 경우, 연산프로그 램(31)은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지면(1)의 실제 형태가 아니라, 지면(1)의 각부분의 높낮이변화만을 측정한다. 즉, 상기 연산프로그램(31)은 지면(1)의 실제 굴곡상태를 측량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31) 작동시, 각 측정장치(10)가 설치된 지점의 높이가 동일한 상태인 것으로 지면(1)의 상태를 모델링하여 설정한 후, 지면(1) 각 지점의 높낮이의 변화량만을 측정하며, 지면(1)의 지형변화가 발생되면, 지면(1)의 실제로 변형된 형태가 아닌 지형변화에 따른 지점의 높낮이변화양을 기초로한 지면(1)의 변형량만을 계산하여 변화량에 따른 지형변화양만을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measuring the topographical change of the curved surface rather than the plane, the
이와같이 구성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geospatial survey correc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우선, 사용자는 지형변화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역에 다수개의 측정장치(10)를 분산배치하여 고정하고, 측정장치(10)의 결합부(10a)에 단말기(20)를 결합한 후, 방위각측정장치(27)의 신호에 따라 하우징(12)을 회전시켜 방위각측정장치(27)가 정해진 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동서남북방향)을 향하도록 한 후, 상기 고정장치(18)를 이용하여 하우징(12)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First, the user distributedly arranges and fixes a plurality of measuring
그리고, 사용자가 측정장치(10)의 측정콘트롤패널(17)을 조작하여 측정장치(10)를 on 시키면, 측정장치(10)는 무선송출부(15)와 출력단자(16)를 통해 측정장치(10)의 ID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를 출력하며, 단말기(20)는 측정장치(10)의 출력단자(16)를 통해 출력되는 ID데이터와, GPS유닛(22)에서 출력되는 좌표데이터, 그리고, 측정장치(10)의 송신장치를 통해 송신되는 기울기값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25a)의 DB에 각 측정장치(10)의 ID별로 저장한다. 이때, 단말기(20)는 측정장 치(10)의 결합부(10a)에 결합된 상태에서 GPS유닛(22)을 이용하여 좌표를 측정하므로써, 단말기(20)가 결합된 측정장치(10)의 좌표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게 된다.Then, when the user operates the
그리고, 사용자가 모든 측정장치(10)에 단말기(20)를 차례대로 연결하여 각 측정장치(10)의 ID별로 좌표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를 수집한 후, 단말기(20)를 연산장치(30)에 연결하면, 연산장치(30)는 단말기(20)의 DB에 저장된 각 측정장치(10)의 좌표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측정장치(10)가 설치된 지점의 좌표값과 기울기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일차 저장한다.In addition, the user connects the
그리고, 지속적으로 각 측정장치(10)로부터 ID데이터와 기울기값 데이터가 송신되면, 단말기(20)는 이를 수신하여 각 측정장치(10)의 기울기값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측정장치(10)의 기울기값 데이터에 변경이 발생되면, 연산장치(30)는 연산프로그램(31)을 이용하여, 측정장치(10)가 설치된 지점의 높낮이변화를 산출하여 모니터나 프린터를 통해 수치 또는 그래프 등으로 출력한다. Then, when ID data and inclination value data are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each measuring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된 자료를 통해 각 지점의 높낮이변화와 이에따른 지형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height change of each point and the corresponding terrain change in real time through the outputted data.
이와같이 구성된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은 각 측정장치(10)가 각 지점의 기울기 변화를 측정하여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간접 수준측량법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지형변화를 측정하므로, 넓은 지역이라도 지형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terrain status measurement correc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easures the change of the slope of each point and measures the overall terrain change by using the indirect leveling method using triangulation, so that the terrain change is monitored in real time even in a large area.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또한, 상기 단말기(20)에 각종 장비가 집중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측정장 치(10)에는 기울기측정장치(10)를 비롯한 간단한 장비 만이 구비되므로, 코스트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20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equipment intensively, since the measuring
또한, 종래에 각 지점의 지형변화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실제 지형의 각 지점의 높낮이를 측정하여 기준이 되는 데이터에서 높낮이의 변화량을 계산하여야 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은 각 지점의 높낮이 변화량을 직접 측정하여 그래픽이나 수치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amount of terrain change at each point in the prior art, the height change of the height of each point of the actual terrain must be calculated from the reference data, while the terrain status measurement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it can measure the amount of change of height directly and output it as graphic or numerical valu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형현황 측량 보정시스템은 각 지점에 분산설치되어 지면(1)의 각도변화를 측정하는 다수개의 측정장치(10)와, 각 측정장치(10)의 좌표와 각도변화량을 수집하는 단말기(20)와, 상기 단말기(20)에 연결되며 연산프로그램(31)이 탑재되어 단말기(20)에 수집된 각 측정장치(10)의 좌표데이터와 각도변화량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지점의 높낮이 변화를 측정하는 연산장치(30)로 구성되어, 각 지점의 높낮이변화에 따른 지형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rain surveying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measuring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4717A KR100791069B1 (en) | 2007-06-28 | 2007-06-28 | Terrain Status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Ground Control Point and GP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4717A KR100791069B1 (en) | 2007-06-28 | 2007-06-28 | Terrain Status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Ground Control Point and GP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1069B1 true KR100791069B1 (en) | 2008-01-03 |
Family
ID=3921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4717A Active KR100791069B1 (en) | 2007-06-28 | 2007-06-28 | Terrain Status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Ground Control Point and GP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1069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0357B1 (en) | 2009-03-06 | 2009-08-04 | (주)새한지오텍 | Digital map update system of changed features through GPS confirmation |
KR100910359B1 (en) | 2009-03-06 | 2009-08-04 | (주)새한지오텍 | Numerical Verification System for Digital Map Production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GPS Inspection Information |
KR100910352B1 (en) | 2009-03-06 | 2009-08-04 | 새한항업(주) | Inspection system for coordination of coordinate information and topographic maps through numerical data verification |
KR100910356B1 (en) | 2009-03-06 | 2009-08-04 | (주)새한지오텍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Measuring Error of Reference Distance Using Mobile GPS System |
KR101017130B1 (en) | 2010-10-01 | 2011-02-25 |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 Image image processing system that improves the precision of image image through error correction |
KR101018078B1 (en) | 2010-10-01 | 2011-03-02 |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 Image Mapping Synthesis System for Drawing Image Images of Features |
KR101242566B1 (en) | 2012-12-31 | 2013-03-19 | (주) 한양지에스티 | Geospatial information survey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N112833851A (en) * | 2021-02-04 | 2021-05-25 | 乔晓冬 | Building slope deformation monitoring devic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80978A (en) * | 1992-04-01 | 1993-10-29 | Fujita Corp | Slope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
JPH09184719A (en) * | 1995-12-28 | 1997-07-15 | Chubu Electric Power Co Inc | Landslide detector |
KR100505388B1 (en) | 2004-08-21 | 2005-08-03 | (주)지엠지 | A transformation warning method of the underground |
-
2007
- 2007-06-28 KR KR1020070064717A patent/KR10079106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80978A (en) * | 1992-04-01 | 1993-10-29 | Fujita Corp | Slope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
JPH09184719A (en) * | 1995-12-28 | 1997-07-15 | Chubu Electric Power Co Inc | Landslide detector |
KR100505388B1 (en) | 2004-08-21 | 2005-08-03 | (주)지엠지 | A transformation warning method of the underground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0357B1 (en) | 2009-03-06 | 2009-08-04 | (주)새한지오텍 | Digital map update system of changed features through GPS confirmation |
KR100910359B1 (en) | 2009-03-06 | 2009-08-04 | (주)새한지오텍 | Numerical Verification System for Digital Map Production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GPS Inspection Information |
KR100910352B1 (en) | 2009-03-06 | 2009-08-04 | 새한항업(주) | Inspection system for coordination of coordinate information and topographic maps through numerical data verification |
KR100910356B1 (en) | 2009-03-06 | 2009-08-04 | (주)새한지오텍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Measuring Error of Reference Distance Using Mobile GPS System |
KR101017130B1 (en) | 2010-10-01 | 2011-02-25 |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 Image image processing system that improves the precision of image image through error correction |
KR101018078B1 (en) | 2010-10-01 | 2011-03-02 |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 Image Mapping Synthesis System for Drawing Image Images of Features |
KR101242566B1 (en) | 2012-12-31 | 2013-03-19 | (주) 한양지에스티 | Geospatial information survey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N112833851A (en) * | 2021-02-04 | 2021-05-25 | 乔晓冬 | Building slope deformation monitoring devices |
CN112833851B (en) * | 2021-02-04 | 2024-02-02 | 乔晓冬 | Building side slope deformation monitor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1069B1 (en) | Terrain Status Surveying Correction System using Ground Control Point and GPS | |
KR101116190B1 (en) | Geodetic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 |
US9377301B2 (en) | Mobile field controller for measurement and remote control | |
KR100923528B1 (en) | Numerical Information Confirmation System of Electronic Map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GPS Measurement Information Synthesis | |
US8705022B2 (en) | Navigation system using both GPS and laser reference | |
KR101217602B1 (en) | Geodetic survey system | |
EP1806559A1 (en) | Surveying procedure and system for a high-rise structure | |
EP3546885B1 (en) | Gnss device | |
KR100954221B1 (en) | Virtual information system for electronic map drawing using plane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gps fiducial point | |
US944197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lever arm values photogrammetrically | |
CN101526353A (en) | Geographical data collecting device | |
JP4997444B2 (en) | Rockfall risk assessment system | |
CN104541129A (en) | Inclination sensor | |
KR101789211B1 (en) | Horizontal sdjusting apparatus of tripod for efficient geodetic survey | |
US11703410B2 (en) | Pressire sensor including height determination with improved flexibility and reliability | |
CN208872295U (en) | Slope surface goniometer | |
KR101803603B1 (en) | Sinkhole monitoring system with gps | |
JP7494429B2 (en) | Surveying system, method for supporting installation of stakes, and program for supporting installation of stakes | |
KR100766070B1 (en) | Terrain change monitoring system using GPS | |
KR102766077B1 (en) | Position displacement monitoring method using GNSS and sensor data and a constant measurement system for hazardous areas using the same | |
KR20140078020A (en) | Realtime monitoring system of the sea circumstances using mobile network | |
EP1876420B1 (en) | Three dimensional terrain mapping | |
KR101116193B1 (en) | Geodetic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 |
KR100791082B1 (en) | Real-time Terrain Change Dete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Sensors and Leveling | |
JP6750915B1 (en) | Slope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7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