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175B1 - Fun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Fun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5175B1 KR100795175B1 KR1020040065337A KR20040065337A KR100795175B1 KR 100795175 B1 KR100795175 B1 KR 100795175B1 KR 1020040065337 A KR1020040065337 A KR 1020040065337A KR 20040065337 A KR20040065337 A KR 20040065337A KR 100795175 B1 KR100795175 B1 KR 100795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unit
- portable terminal
- input unit
- key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개폐감지신호 내지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1키입력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2키입력부로 구비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 및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폴더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위치감지신호 및 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제1스피커와 제1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부 및 제1스피커와 제2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제1개폐감지신호 내지 제4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과 상기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제1위치감지신호 및 제2위치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 control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agnet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magnet, the first folder housing and the second folder spaced apart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housing to generat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ignal to the fourth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ignal, a first key input unit consisting of an internal key and an external key and a second key input unit consisting of an internal key and an external key.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may include key input units respectively provided in two folder hous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first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nsor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position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 tooth direction and generate a first position detecting signal and a second position detecting signal, and a first audio input and output unit configured to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figured as a first speaker and a first microphone. A voice input / output unit comprising a speaker and a second microphone and having a second voice input / output unit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first rotatable type mounted on the first folder housing and the second folder housing, respectively;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rotatable speaker according to a speaker and a second rotatable speaker and the first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open / close detection unit, and the rotatable speak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oice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generated first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second position detection signal.
개폐감지부, 제1개폐감지신호 내지 제4개폐감지신호,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 및 제2키입력부, 위치감지신호, 제1위치감지신호 및 제2위치감지신호, 음성입출력부.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ignal to the fourth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ignal, the first display portion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the first key input portion and the second key input portio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the first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position detection signal, Voice input and output unit. 1st rotary speaker and 2nd rotary speak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개폐감지신호에 따른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A and 2D are diagrams for describing operations of a key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개폐감지신호에 따른 키입력부 및 표시부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key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개폐감지신호에 따른 회전형스피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A and 4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otary speaker according to an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개폐감지신호에 따른 회전형스피커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 rotary speak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1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position detection signal in a first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2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A to 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in the second ope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3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8A and 8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position detection signal in a third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4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9A and 9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position detection signal in a fourth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음성출력부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oice output unit according to a position detection signal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와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to control the key input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rotary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현재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즉, IMT 2000 규격의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카메라나 TV수신기 등을 부가하여 동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TV수신기를 구비하는 상기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현재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게임을 위한 휴대단말기의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다. 상기 게임을 위한 휴대단말기는 두 개의 키입력부를 구비시키는등 게임모드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게임수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자동으로 제어한다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리함을 제공할 것이다.
Currently,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verting to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high 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by implemen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IMT 2000 standar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 may be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a function of displaying a video signal by adding a camera or a TV receiv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as described above can take a video screen and display it as a moving picture and a still picture, and can also transmit the captured video screen.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TV receiver may display a received video signal. In addition, recently, the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for a game has been made in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game has a structure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in the game mode, such as having two key input units. As described above, if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made for convenient game performanc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e user will be provided with more convenie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키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open / closed state of a folder housing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open / closed state of a folder housing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otary speaker according to an open / closed state of a folder housing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음성출력부에 각각 구비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at least two voice output units according to the positional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 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1키입력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2키입력부로 구비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 및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폴더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magne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magne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 opening / closing sensing unit for sensing and generating an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and a first key input unit including an internal key and an external key, and a second key input unit comprising an internal key and an external key, wherein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are A key input unit provided in each of two folder hous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mobile terminal, a first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folder housing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mobile terminal.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open / close dete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개폐감지신호 내지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2키입력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되고, 상기 제2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 구성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magnet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magne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each in a different direction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er hous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enerate a first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to a fourth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and a first folder housing provid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A key input unit and a second key input unit provided in a second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first key input unit is composed of an internal key and an external key, and the second key input unit is a key composed of an internal key and an external key A display unit comprising an input unit, a first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opening / closing detecting unit Depending on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key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개폐감지신호 내지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2키입력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되고, 상기 제2키입력부는 내부키 및 외부키 구성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magnet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magne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each in a different direction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er hous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enerate a first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to a fourth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and a first folder housing provided in the first terminal housing of the mobile terminal. A key input unit and a second key input unit provided in a second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first key input unit is composed of an internal key and an external key, and the second key input unit is a key composed of an internal key and an external key A display unit comprising an input unit, a first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first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When it occurs, it activates the external key of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the ex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and deactivates the internal key of the second display unit,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the in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To; When the second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the internal key of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the ex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are activated, and the second screen and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second display unit are activated. Control to deactivate the external key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in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When the third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second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the external key of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the in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are activated, and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first Control to deactivate the internal key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ex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When the fourth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internal key of the second display unit,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the in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are activated, and an external key of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an ex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key to be inactivated.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개폐감지신호 내지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와,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 발생 시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rotary speaker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magne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magnet, which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irst folder housing and the second folder housing to generat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ignal to the fourth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ignal, and is mounted inside the first folder housing and the second folder housing, respectively, and rotate Possible first and second rotatable speakers, and the first rotatable speaker and the second rotatable speaker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o control,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ignal when the first Activates the rotary speaker and deactivates the second rotary speaker; deactivates the first rotary speaker and generates a second Controlled so as to enable the speaker and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etection signal generated when the fourth switching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o activate the first rotary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rotatabl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위치감지신호 및 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위치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oice input and output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first position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position sensing by sensing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voice input / output unit including a position detecting unit generating a signal, a first voice input / output unit mount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voice input / output unit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sition detec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oice output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위치감지신호 및 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 제1스피커와 제1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부 및 제1스피커와 제2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제1위치감지신호 발생 시,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위치감지신호 발생 시,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oice input and output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first position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position sensing by sensing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first voice input and out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al, a first speaker and a first microphone, mount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first speaker and a second microphone,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 voice input / output unit having a second voice input / output unit mounted thereon, and when the first position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activating a first microphone of the first voice output unit and a second microphone of the second voice output unit; To deactivate the first microphone of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speaker of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When the second position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first microphone of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speaker of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are activated, and the first microphone of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microphone of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are inactiv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mak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개폐감지신호 내지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개폐감지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1키입력부와 내부키 및 외부키로 구성된 제2키입력부로 구비되며, 상기 제1키입력부 및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폴더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방향을 감지하여 제1위치감지신호 및 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부와,제1스피커와 제1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제1음성입출력부 및 제1스피커와 제2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 측면에 장착된 제2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와, 상기 개폐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제1개폐감지신호 내지 제4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과 상기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제1위치감지신호 및 제2위치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control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folder housing is composed of a magne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ensor for sensing the magne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second folder housing to generate the first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to the fourth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a first key input unit comprising an internal key and an external key, and a second key composed of an internal key and an external key.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are provided as an input unit, the key input unit is provided in each of the two folder hous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 display unit including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provided in a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first voice mount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sition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a second position detection signal by sensing a position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voice input / output unit comprising an input / output unit, a first speaker, and a second microphone and having a second voice input / output unit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respectively mount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and the second folder housing to rotate.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rotatable speaker according to the first rotatable speaker and the second rotatable speaker, and the first to fourth open / close detection signals generated by the open / close detec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voice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posit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uni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opening and closing signal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ling a key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개폐감지신호이면,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4개폐감지신호이면,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opening and closing signal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cting a first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activating a first display unit, an external key of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an ex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and activating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first key input unit. Deactivating the internal key and the in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and if the detected signal is the second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the internal key of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the second key. Activating an external key of the key input unit, deactivating a second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an external key of the first key input unit, and an internal key of the second key input unit, and if the detected signal is a third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4개폐감지신호이면,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tary speaker in the portable termina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ignal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activating the first rotatable speaker and the second rotatable speaker if the detected signal is the first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and if the detected signal is the second open / closed detection signal, the first rotatable speake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the second rotary speaker; and if the detected signal is the third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deactivating the first rotary speaker and activating the second rotary speaker; If the four open detection signa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otary speaker and the second rotary speaker to activate the process.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출력부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oice input and output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posi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etected And controlling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of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g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위치감지신호이면,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위치감지신호이면, 제1음성출력부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oice input and output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posi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etected If the signal is a first position sensing signal, the first speaker of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microphone of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are activated, and the first microphone of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speaker of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are inactivated. And activating the first microphone of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speaker of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if the sensed signal is the second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voice of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deactivating the second microphone of the output uni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회전형스피커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출력부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nction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when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ignal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etected Controlling a key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open / close signal; controlling a rotatable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open / close signal;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cting a location signal according to a location state of the device and controll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of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location sig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를 구비하지 않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TV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V receiver as well as a general portable terminal without the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으로 구성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amera.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older housing and a second folder hous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 변환하여 음성입출력부117의 스피커 및 회전형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입출력부117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 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The
음성입출력부117은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오디오처리부125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상기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오디오처리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음성입출력부117은 제1음성입출력부115 및 제2음성입출력부1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음성입출력부115는 제1스피커 및 제1마이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2음성입출력부115는 제2스피커 및 제2마이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음성입출력부115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 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음성입출력부116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측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음성출력부 및 제2음성입출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 및 제2폴더하우징을 각각 연결하는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에 장착될 수 있다. The voice input /
회전형스피커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장착되며, 회전가능한다. 상기 회전형스피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로 구성되며,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는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회전형스피커는 양면스피커이며, 박막스피커 일 수 있다.The rotatable speaker is mounted in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rotatable. The rotatable speaker is composed of a first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와 회전형스피커의 기능을 제어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제어부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모뎀1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키입력부 및 표시부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1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2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제3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2표시부의 제2화면,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2표시부의 제1화면,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제4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2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고, 제1표시부, 제1키입력부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1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2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2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상측으로 회전된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3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비활성화 시키고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3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비활성화 시키고 상측으로 회전된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제4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하면, 상측으로 회전된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를 감지하여 음성입출력부117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제1위치신호를 리드하면,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제2우치신호를 리드하면,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마이크 및 상기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 및 상기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camera module 140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apturing image data,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Herein, it is assumed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60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제1표시부161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제2표시부162로 구성되면, 상기 제2표시부162는 제1화면 및 제2화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화면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폴더하우징이 닫혔을 때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2표시부의 화면이며, 상기 제2화면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이 닫혔을 때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2표시부의 화면이다.The
키입력부170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7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된 제1키입력부171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된 제2키입력부17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키입력부171은 상기 제1하우징 내측에 구비된 내부키 및 상기 제1하우징 외측에 구비된 외부키로 구성되며, 상기 제2키입력부172는 상기 제2하우징 내측에 구비된 내부키 및 상기 제2하우징 외측에 구비된 외부키로 구성된다. The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외부키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로, 상기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 및 외부키는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외부키는 상기 기능키로, 상기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 및 외부키는 상기 숫자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는 상기 기능키 및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외부키는 상기 숫자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는 상기 기능키 및 상기 제2키입력부171의 외부키는 상기 숫자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는 상기 숫자키 및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외부키는 상기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는 상기 숫자키 및 상기 제2키입력부171의 외부키는 상기 기능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ternal and external keys of the first
개폐감지부180은 휴대단말기의 하우징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개폐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휴대단말기의 하우징의 상태에 따른 개폐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개폐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2하우징이 닫혔을 때 접촉하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각각의 센서들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1-제2하우징에 각각에 고정된 자석을 장착하여, 상기 각각의 센서들이 감지하는 상기 자석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하우징이 놓여지는 4개의 개폐상태를 감지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개폐감지센서들이 홀 센서(Hall Effect IC)라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임의로 정한 상기 센서들과 자석의 장착위치 또는 개수들은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open /
상기 개폐감지부180을 통해 감지되는 4개의 개폐감지신호를 도 2a - 도 2d를 통해 설명하면, 상기 도 2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하우징200-1 및 제2하우징200-2가 모두 닫힌 제1개폐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2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하우징200-1이 열리고 상기 제2하우징200-2가 닫힌 제2개폐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2c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하우징200-1이 닫히고 상기 제2하우징200-2가 열린 제3개폐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하우징200-1 및 제2하우징200-2가 모두 열린 제4개폐상태를 의미한다.4A and 2D, the four open / close detection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open /
상기 도 2a 및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하우징200-1 및 제2하우징200-2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이 접촉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고, 상기 제2하우징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제1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As shown in FIGS. 2A and 4A, when both the first housing 200-1 and the second housing 200-2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closed, a sensor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 Not shown) detects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second housing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using When detecting a magnet (not shown), the opening and
또한 상기 도 2b 및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제2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B and 4B, when the second housing 200-2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losed, a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housing is in contact is the second sensor. When detecting the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housing, the opening and
또한 상기 도 2c 및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하우징200-1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제3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C and 4C, when the first housing 200-1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losed, a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first housing is in contact is the first sensor. When detecting the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housing, the opening and
또한 상기 도 2d 및 도 4d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하우징200-1 및 제2폴더하우징200-2가 모두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1폴더하우징이 접촉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Also, as shown in FIGS. 2D and 4D, when the first housing 200-1 and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open, the first housing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Sensor (not shown) does not detect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and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folder housing contacts is If the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folder housing is not detected, the opening /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위치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른 위치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위치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위치감지부180은 X축과 Y축을 감지할 수 있는 두 축의 가속도 센서라고 가정한다. The
상기 위치감지부190을 통해 감지되는 2개의 위치감지신호를 도 6 - 도 9를 통해 설명한다. 도 6a - 도 6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 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6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개폐상태에서 제1위치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6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개폐상태에서 제2위치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1위치상태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정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제2위치상태란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1위치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도 7a - 도 7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7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개폐상태에서 제1위치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7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2개폐상태에서 제2위치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도 8a - 도 8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3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8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3개폐상태에서 제1위치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8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3개폐상태에서 제2위치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도 9a - 도 9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4개폐상태에서 위치감지신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9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4개폐상태에서 제1위치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도 9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4개폐상태에서 제2위치상태를 의미한다. The two position detection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상기 도 6a, 도 7a, 도 8a 및 도 9a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방향인 상태이면,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제1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6A, 7A, 8A, and 9A,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forward direction, the
또한 상기 도 6b, 도 7b, 도 8b 및 도 9b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방향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이면,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6B, 7B, 8B, and 9B,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otated 180 degre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 및 키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a-도 2d와 같은 개폐감지부180으로 구성된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 및 키입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외부키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로, 상기 제2키입력부172는 내부키 및 외부키는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짐을 가정하여 설명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s of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key input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opening /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1단계에서 현재의 모드가 표시모드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표시모드라 함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폴더 하우징이 접촉되어 제1표시부161상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폴더 하우징이 이격되어 제2표시부162상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표시모드에서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는 상기 개폐감지부180의 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 및 키입력부170의 기능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의 출력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상기 표시부160 및 키입력부17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개폐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개폐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개폐감지부180에서 출력하는 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 다. Referring to FIG. 3, the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3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1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1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305단계에서 제1표시부161, 제1키입력부171의 숫자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외부키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305단계에서 제2표시부162,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 및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acts detects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When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is in contact detects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the opening / closing is performed. The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2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2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 에 상기 제어부110은 307단계에서 제1표시부161, 제2표시부의 제1화면162-1,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외부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307단계에서 제2표시부의 제2화면162-2, 제1키입력부171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열리고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However, a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acts, does not detect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If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contacts is detected, the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senses the above. The open /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3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3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3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309단계에서 제2표시부의 제2화면162-2, 제1키입력부171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309단계에서 제1표시부161, 제2표시부의 제1화면161-1,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c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닫히고 제2폴더하우징200-2가 열린 상태를 보이고 있다.In addition, a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acts detects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If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is in contact does not detect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the The open /
마지막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 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3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4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311단계에서 제2표시부162, 제1키입력부171의 내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내부키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311단계에서 제1표시부161, 제1키입력부171의 외부키 및 제2키입력부172의 외부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d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 및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Finally, a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acts, may be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of th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is in contact does not detect the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If not, the open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회전형스피커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a-도 4d와 같은 개폐감지부180으로 구성된 휴대단말기에서 회전형스피커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회전형스피커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 및 제2폴더 내부 각각에 장착된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로 구성되며,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 및 제2회전형스피커는 상기 제1폴더 및 제2폴더의 일 측을 중심으로 상하회전가능하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function of a rotary speaker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method of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rotary speaker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opening /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1단계에서 현재의 모드가 표시모드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표시모드라 함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폴더 하우징이 접촉되어 제1표시부161상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폴더하우징이 이격되어 제2표시부162상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표시모드에서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5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는 상기 개폐감지부180의 개폐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의 기능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의 출력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자동표시 변경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개폐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개폐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개폐감지부180에서 출력하는 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5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1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1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1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505단계에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비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4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 및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acts detects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When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is in contact detects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the opening / closing is performed. The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5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2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2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2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507단계에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제1회전형스피커118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이 상측으로 회전되어 있을 때만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와 함께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도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4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열리고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However, a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acts, does not detect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If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contacts is detected, the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senses the above. The open /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 시)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5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3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3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3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509단계에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을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있을 때만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형스피커119와 함께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도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4c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닫히고 제2폴더하우징200-2가 열린 상태를 보이고 있다.In addition, a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acts detects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When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contacts is not able to detect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the The opening /
마지막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이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1폴더하우징200-1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가 접촉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부분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상기 제2폴더하우징200-2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개폐감지부180은 5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4개폐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개폐감지부180으로부터 상기 제4개폐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4개폐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511단계에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있을 때만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형스피커118 및 제2회전형스피커119와 함께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 및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도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4d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폴더하우징200-1 및 제2폴더하우징200-2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
Finally, a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acts detects a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first folder housing 200-1. If not, th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does not detect the magnet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folder housing 200-2. I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 - 도 9와 같은 위치감지부190으로 구성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상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제1폴더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힌지부210-1에 제2음성입출력부116이 장착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제2폴더하우징을 연결하는 제2힌지부210-2에 제1음성입출력부115가 장착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function of a voice input / output unit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1단계에서 현재의 모드가 통화모드인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통화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위치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위치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위치감지부190에서 출력하는 위치감지신호를 리드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 방향으로 위치하면,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8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1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 기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상기 제1위치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1위치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804단계에서 상기 제2힌지부210-2에 장착된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 및 상기 제1힌지부210-1에 장착된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마이크 및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6a, 도 7a, 도 8a 및 도 9a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4개폐상태 각각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At this time, i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를 통해 오디오처리부125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하면서 807단계의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수행을 종료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통화모드를 종료한다.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 방향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감지부190은 8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2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위치감지부190으로부터 상기 제2위치감지신호를 리드한다. 상기와 같이 제2위치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은 806단계에서 상기 제2힌지부210-2에 장착된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마이크 및 상기 제1힌지부210-1에 장착된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스피커 및 상기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마이크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6b, 도 7b, 도 8b 및 도 9b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개폐상태 내지 제4개폐상태 각각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정 방향에서 180도 회전되어 위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In addition, if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a state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rotated 180 degre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상기 제2음성출력부116의 제2스피커를 통해 오디오처리부125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음성출력부115의 제1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하면서 807단계의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수행을 종료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통화모드를 종료한다.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s a mobi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 및 위치상태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폴더하우징의 개폐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기능이 제어된 표시부 및 키입력부와 회전형스피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기능이 제어되는 음성입출력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n / closed state and position state of the folder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folder housing. And rotatable speaker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In addi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voice input and output uni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Claims (36)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119,800 US7774029B2 (en) | 2004-07-10 | 2005-05-03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
EP05013234A EP1615407A1 (en) | 2004-07-10 | 2005-06-20 |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the keypads and displays of a foldable wireless terminal depending on the folded state |
CN200510082646XA CN1719836B (en) | 2004-07-10 | 2005-07-06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wireless terminal |
EP05014991.3A EP1615409B1 (en) | 2004-07-10 | 2005-07-1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foldable wireless terminal with a rotary-type speaker depending on the folded st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3810 | 2004-07-10 | ||
KR20040053810 | 2004-07-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4876A KR20060004876A (en) | 2006-01-16 |
KR100795175B1 true KR100795175B1 (en) | 2008-01-16 |
Family
ID=3593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53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5175B1 (en) | 2004-07-10 | 2004-08-19 | Fun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5175B1 (en) |
CN (1) | CN1719836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4173B1 (en) * | 2004-11-05 | 2007-0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2-fold clamshell portable terminal |
WO2007086581A1 (en) * | 2006-01-30 | 2007-08-02 | Kyocera Corporation |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its direction display method |
EP2077682A1 (en) * | 2006-09-26 | 2009-07-08 | Qualcomm Incorporated | Sensor Networks Based on Wireless Devices |
US9167074B2 (en) * | 2007-03-13 | 2015-10-20 |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 Mobile terminal and function control method thereof |
CN102821186A (en) * | 2011-06-08 | 2012-12-12 | 基伍知识产权(新加坡)私人有限公司 | Mobile phone |
CN103389864B (en) * | 2012-05-11 | 2018-06-22 |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 Handheld device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
CN109391726A (en) * | 2017-08-03 | 2019-02-26 |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method and terminal playing soun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8079A (en) * | 2001-07-16 | 2003-01-2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f incoming call in folded portable mobile terminal |
KR20050108644A (en) * | 2004-05-12 | 2005-11-17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function mode auto sensing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04823B1 (en) * | 2000-01-06 | 2002-07-05 | Cegetel | METHOD FOR MULTIPLE USE OF A RADIOTELEPHONE, AND SYSTEM, RADIOTELEPHON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AND PRESENCE DETECTION DEVICE |
KR20040061041A (en) * | 2001-12-20 | 2004-07-06 | 노키아 코포레이션 |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foldable functional cover |
-
2004
- 2004-08-19 KR KR1020040065337A patent/KR1007951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7-06 CN CN200510082646XA patent/CN1719836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8079A (en) * | 2001-07-16 | 2003-01-2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f incoming call in folded portable mobile terminal |
KR20050108644A (en) * | 2004-05-12 | 2005-11-17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function mode auto sens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4876A (en) | 2006-01-16 |
CN1719836B (en) | 2011-01-12 |
CN1719836A (en) | 2006-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7402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 |
KR100504143B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angle in wireless terminal | |
KR100754681B1 (en) | How to detec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nd shooting modes | |
KR100678202B1 (en) |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same mode image regardless of rota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 |
CN100433754C (en) | Equipment and method used for display image in mobile terminal | |
KR100795175B1 (en) | Fun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0800801B1 (en) | Key control device of mobile terminal | |
KR10045673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 |
JP2004120513A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 |
KR20040098089A (en) | Device for speaker in wireless telephone | |
KR100735222B1 (en) | Display uni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0735289B1 (en) | How to perform call on mobile terminal | |
KR20070006334A (en) | How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rt in the mobile terminal | |
KR100689487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ontrols the screen display mod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 |
KR100605950B1 (en) | Camera mode switching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0703482B1 (en) | Data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0678130B1 (en) | How to perform call on mobile terminal | |
KR100547735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0617832B1 (en) | Mobile terminal with rotatable folder | |
KR200368659Y1 (en) | Folder type mobile phone which rotates an angle of 360 degrees | |
KR100532282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keys of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 |
JP4176431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451207B1 (en) | Apparatus for display of mobile image phone | |
KR20060026493A (en) | Rotary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136235A (en) |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1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