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6327B1 -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Wireless Networks - Google Patents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Wireless Networ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327B1
KR100776327B1 KR1020060113239A KR20060113239A KR100776327B1 KR 100776327 B1 KR100776327 B1 KR 100776327B1 KR 1020060113239 A KR1020060113239 A KR 1020060113239A KR 20060113239 A KR20060113239 A KR 20060113239A KR 100776327 B1 KR100776327 B1 KR 100776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congestion
node
buffer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덕
이상헌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1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3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32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망 네트워크상에서 특정노드의 혼잡정도를 고려하여 라우팅함으로써, 패킷전송률 및 전달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스 노드에서 경로요청 메시지(Route Request : RREQ)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여 연결(connection)된 모든 제 1 이웃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이웃 노드에서 입력받은 경로요청 메시지에 자신의 버퍼 정보를 추가한 경로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모든 제 2 이웃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이웃 노드에서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버퍼 정보와 자신의 버퍼 정보를 비교하여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버퍼 정보를 최소값으로 갱신하고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목적 노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들로부터 받은 상기 경로요청 메시지의 버퍼 정보 중 갱신된 최소 유효 버퍼가 최대값을 갖는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oute Reply : 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packet transmission rate and delivery time by rout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congestion of a specific node in a wireless network, Route Request message (Route Request: Broadcasting a RREQ packet to all connected first neighbor nodes, and broadcasting a route request message in which its own buffer information is added to the route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first neighbor node. Transmitting the data to all other second neighbor nod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mparing the buff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nput from the second neighbor node with its own buffer information, and setting the buffer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to the minimum value. Updating, broadcasting, and transmitting to the connected destination node; And selecting a path having an updated minimum valid buffer having a maximum value among buffer information of the path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one or more paths, and transmitting a route reply (RREP) to a source node.

Description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Method for Dynamic Load-Balancing Routing in Radio Mesh Network}Dynamic Load-Balancing Routing in Radio Mesh Network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망 네트워크 노드의 구조도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wireless network network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동적인 노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ynamic node balancing routing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동적인 노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ynamic node balancing routing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S : 소스 노드 D : 목적 노드S: source node D: destination node

A~B, P~R, I~K : 연결 노드A ~ B, P ~ R, I ~ K: connection node

본 발명은 무선망 네트워크상에서 통신 및 응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로 설정시 트래픽 혼잡을 방지하고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mmunication and applications over a wireless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that can prevent traffic congestion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an entire network during routing.

무선망 네트워크(radio mesh network)는 무선 멀티홉(wireless multihop) 모 드 환경의 네트워크로써, 특성상 무선 노드들이 자가 구성이 가능한 네트워크 토폴로지이다. 이는 유동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중계기의 추가로 손쉬운 커버리지 확장과 전체 무선 네트워크의 용량(capacity) 향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A radio mesh network is a network in a wireless multihop mode environment, and is a network topology in which wireless nodes are self-configurable. This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easy coverage expansion and capacity enhancement of the entire wireless network by the addition of repeaters in a fluid network environment.

따라서 기반망(infrastructure)이 존재하지 않거나 기반망에 기초한 네트워크의 전개가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서 임시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최근 들어, 무선망 네트워크 기술은 홈 네트워킹, 센서 네트워크, PAN(Personal Area Net-work)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의 적용이 예상되고 있으며 차세대 네트워킹 방식의 하나로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무선망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은 노드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가장 중요한 연구 분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Therefore, it has been studied for the purpose of temporarily configuring a network in an area where an infrastructure does not exist or where an infrastructure based on the infrastructure is not easy to deploy. Recently, wireless network network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home networking, sensor network, and personal area network (PAN), and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s one of the next generation networking methods. In addition, the wireless network network routing protocol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research field as a technology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nodes.

그러나 아직까지 무선망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효율적인 라우팅 기법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efficient routing scheme for the wireless network network environment is still insufficient.

즉, 기존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기법들은 최소거리 및 전력기반 혹은 4계층의 혼잡제어 기법으로, 혼잡을 고려한 라우팅은 실시간 모니터링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망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DSR, AODY와 같은 에드혹(adhoc)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로드 밸런싱 라우팅의 경우 트래픽의 정보를 패킷 개수, 연결(connection) 개수 및 바이트 개수 등으로 정의하고 있어서 실제 혼잡이 집중된 노드의 핸들링은 다루지 않고 있다.That is, the routing schemes in the existing wireless network network are the minimum distance and power-based or four-layer congestion control scheme, and the routing considering the congestion does not consider the real-time monitoring. In addition, the routing protocol that supports most network networks in use is based on the adhoc routing protocols such as DSR and AODY.In the case of load balancing routing, the traffic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packets and the number of connections. And byte counts, etc., do not handle the handling of nodes where actual congestion is concentrated.

이처럼 실제로 혼잡이 일어나는 것은 경로 내에서도 특정 한 노드에서 일어나는데, 기존의 라우팅 기법들은 혼잡이 일어난 실제 특정노드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경로선택을 하지 않고 주로 최소홉 기반의 경로 등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낮은 성능을 보일 수밖에 없다.Such congestion actually occurs at a specific node even in a path. Existing routing techniques do not select paths us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ctual specific node where congestion occurs. I can't help seeing it.

이와 같은 문제점과 함께, 최근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높은 대역폭과 트래픽을 요구하고 있어서, 특정 노드에 트래픽 집중이 자주 일어나며 혼잡으로 인한 패킷 손실 및 통신지연이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기존에 사용되는 라우팅 기법은 라우트 캐시(route cache)를 이용하고 있어서 특정노드에 부하가 많아지는 것을 더욱 가중시켜 무선망 네트워크의 라우팅 성능을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In addition to these problems, as the demand for multimedia applications increases recently, higher bandwidths and traffic are required, and traffic concentrations frequently occur at specific nodes, and packet loss and communication delay due to congestion occur more frequently. In particular, the existing routing scheme uses a route cache, which increases the load on a particular node, resulting in worse routing performance of the wireless network.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라우팅 방법이 최근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routing method that can effectively solve such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무선망 네트워크상에서 특정노드의 혼잡정도를 고려하여 라우팅 함으로써, 패킷전송률 및 전달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packet transmission rate and delivery time by rout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congestion of a specific node on a wireless network.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적인 경로탐색 과정에서 노드의 실시간 혼잡상황을 측정하여 혼잡을 방지하고 로드 밸런싱을 이루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that measures congestion in real time to prevent congestion and achieves load balancing in a dynamic path discovery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로설정 과정에서 실제 혼잡이 집중된 특정노드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로드 밸런싱을 고려한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높은 성능의 프로토콜을 제안하는 라우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uting method that proposes a more accurate and higher performance protocol by selecting a path in consideration of load balancing by using state information of a specific node in which congestion is concentra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의 특징은 (A) 소스 노드에서 경로요청 메시지(Route Request : RREQ)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여 연결(connection)된 모든 제 1 이웃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이웃 노드에서 입력받은 경로요청 메시지에 자신의 버퍼 정보를 추가한 경로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모든 제 2 이웃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2 이웃 노드에서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버퍼 정보와 자신의 버퍼 정보를 비교하여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버퍼 정보를 최소값으로 갱신하고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D) 목적 노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들로부터 받은 상기 경로요청 메시지의 버퍼 정보 중 갱신된 최소 유효 버퍼가 최대값을 갖는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oute Reply : 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A feature of th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ource node connected by broadcasting a Route Request message (RREQ) packet (broadcast) transmitting to all connected first neighbor nodes; and (B) all other second neighbors connected by broadcasting a route request message with its buffer information added to the route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first neighbor node. (C) comparing the buff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nputted from the second neighbor node with its own buffer information, updating and broadcasting the buffer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to a minimum value. Transmitting to a connected destination node; and (D) a buffer of the route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at least one or more paths at the destination node. The minimum effective update of the buffer beam, select the path having the maximum value in response message to the source node may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Route Reply RREP).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연결 노드들이 자신의 인터페이스 버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인터페이스 버퍼에 쌓여있는 패킷의 개수와 여유로 남아있는 유효 버퍼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nodes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monitoring the state of its interface buff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ckets accumulated in the interface buffer and valid buffer space information remaining free.

바람직하게 상기 버퍼 정보는 인터페이스 버퍼에 쌓여있는 패킷의 개수 및 여유로 남아있는 유효 버퍼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uffer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number of packets accumulated in the interface buffer and the effective buffer space information remaining as a margin.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연결된 모든 이웃 노드들이 모두 적용될 때까지 반복하여 최소값으로 갱신된 버퍼 정보가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C)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to the destination node a path request message in which buffer information updated to a minimum value is repeatedly recorded until all connected neighbor nodes are applied.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D1) 목적 노드로 입력되는 경로요청 메시지의 버퍼 정보를 통해 최소 유효 버퍼를 검출하는 단계와, (D2) 상기 검출된 최소 유효 버퍼를 미리 정의한 혼잡 임계값과 비교하여 해당 경로의 혼잡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3) 상기 판단결과, 혼잡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상기 최소 유효 버퍼가 최대값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 comprises the steps of: (D1) detecting a minimum valid buffer through buffer information of a path request message input to a destination node, and (D2) comparing the detected minimum valid buffer with a predefined congestion threshold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path is congested; and (D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h is congested, selecting one path having the maximum value of the minimum valid buffer among a plurality of paths, and responding to the source node. RREP).

바람직하게 상기 (D2) 단계는 상기 최소 유효 버퍼가 정의된 혼잡 임계값 미만이면 해당 경로가 혼잡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h is determined to be congested if the minimum valid buffer is less than the defined congestion threshold.

바람직하게 상기 (D3)의 판단결과, 혼잡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최소 홉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D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ition is not in a congestion stat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electing a path having a minimum hop among a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do.

바람직하게 상기 혼잡 임계값은 노드의 혼잡에 따른 통신 지연시간과 홉수의 증가로 인한 통신 지연시간의 연관관계를 통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gestion threshold value is defined through a correlation between a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congestion of a node and a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ps.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Da)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로 각각 입력되는 경로요청 메시지의 버퍼 정보를 통해 제 1 최소 유효 버퍼 및 제 2 최소 유효 버퍼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와, (Db) 상기 제 1 최소 유효 버퍼와 제 2 최소 유효 버퍼 간의 차를 통해 오차 범위를 산출하는 단계와, (Dc) 상기 산출된 오차 범위와 미리 정의된 노드차이 임계값을 비교하여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Dd) 상기 판단결과,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가 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최소 유효 버퍼가 최대값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 comprises (Da) detecting a first minimum valid buffer and a second minimum valid buffer through the buffer information of the path request message respectively input to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and (Db); Calculating an error rang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inimum valid buffer and the second minimum valid buffer; and (Dc) comparing the calculated error range with a predefined node difference threshold to determine congestion between the two paths. (D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the two paths is severe, selecting one path having the maximum value of the least valid buffer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바람직하게 상기 (Dc) 단계는 상기 오차 범위가 정의된 혼잡 임계값 미만이면 두 경로는 혼잡정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c)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paths do not have a degree of congestion if the error range is less than the defined congestion threshold.

바람직하게 상기 (Dc)의 판단결과,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최소홉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Dc) determines that there is no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the two path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one path having the least hop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It is characterized by.

바람직하게 상기 노드차이 임계값은 노드간의 혼잡정도에 따른 통신 지연시간과 홉수의 증가로 인한 통신 지연시간의 연관관계를 통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node difference threshold value is defined through a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congestion between nodes and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ps.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로 각각 입력되는 경로요청 메시지의 버퍼 정보를 통해 제 1 최소 유효 버퍼 및 제 2 최소 유효 버퍼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제 1, 2 최소 유효 버퍼를 미리 정의한 혼잡 임계값과 비교하여 해당 경로의 혼잡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와, 상기 제 1 판단결과, 혼잡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최소 유효 버퍼와 제 2 최소 유효 버퍼 간의 차를 통해 오차 범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오차 범위와 미리 정의된 노드차이 임계값을 비교하여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와, 상기 제 2 판단결과,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가 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최소 유효 버퍼가 최대값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 first minimum valid buffer and a second minimum valid buffer through the buffer information of the path request message respectively input to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and the detected first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path is congested by comparing a minimum valid buffer with a predefined congestion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first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s that the path is congested, the first minimum valid buffer and the second minimum valid buffer are determined. Calculating an error range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valid buffers; and 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congestion degree between two paths by comparing the calculated error range with a predefined node difference threshold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gestion between the two paths is severe, it sends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by selecting one path having the maximum value of the least valid buffer among the multiple path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A preferred embodiment of a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망 네트워크 노드의 구조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동적인 노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wireless network network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ynamic node balancing routing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무선망 네트워크 노드의 구조는 하나의 소스 노드(S)와, 하나의 목적 노드(D)를 구비하며, 상기 소스 노드(S)와 목적 노드(D)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를 갖도록 연결(connection)되는 다수의 연결 노드들(A~C, P~R, I~K)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structure of a wireless network network node includes one source node S and one destination node D, and at least one path between the source node S and the destination node D.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connection nodes (A ~ C, P ~ R, I ~ K) to be connected (connection) to have.

이때, 다수의 연결 노드들(A~C, P~R, I~K)은 자신의 인터페이스 버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인터페이스 버퍼에 쌓여있는 패킷의 개수와 여유로 남아있는 유효 버퍼 공간 정보를 파악하고 있다. 참고로, 연결 노드(A)는 5, 연결 노드(B)는 2, 연결 노드(C)는 4, 연결 노드(I)는 3, 연결 노드(J)는 6, 연결 노드(K)는 5, 연결 노드(P)는 4, 연결 노드(Q)는 7 및 연결 노드(R)는 4의 여유 버퍼 공간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여유 버퍼 공간의 값은 버퍼의 크기 또는 용량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수로 나타낸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nnection nodes (A ~ C, P ~ R, I ~ K) monitors the state of its interface buff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ckets accumulated in the interface buffer and the information of the effective buffer space remaining as a free space have. For reference, connection node A is 5, connection node B is 2, connection node C is 4, connection node I is 3, connection node J is 6, connection node K is 5 It is assumed that the connection node P has 4, the connection node Q has 7 and the connection node R has 4 free buffer spaces.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free buffer space is a numerical value representing the size or capacity of the buffer, and is represented as a constant to help understand the description.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소스 노드(S)와 목적 노드(D)는 경로요청 메시지(Route Request : RREQ)와 응답 메시지(Route Reply : RREP)를 주고받아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라우팅을 수행하게 된다. Through this structure, the source node S and the destination node D exchange route request messages (RREQ) and response messages (Rute Reply: RREP) to select an optimal route and perform routing. .

도 2를 참조하여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동적인 노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2, the dynamic node balancing routing method in the wireless network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우선, 소스 노드(S)는 경로요청 메시지(Route Request : RREQ)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여 연결(connection)된 모든 이웃 노드로 전송한다. 이때, 소스 노드(S)와 연결된 이웃 노드는 연결 노드(A)이므로, 연결 노드(A)는 소스 노드(S)에서 전송되는 경로요청 메시지를 입력받게 된다(S100). First, the source node S broadcasts a Route Request Message (RREQ) packet and transmits it to all neighbor nodes which are connected. In this case, since the neighbor node connected to the source node S is the connection node A, the connection node A receives a path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ource node S (S100).

이어, 연결 노드(A)는 입력받은 경로요청 메시지(RREQ)에 자신의 버퍼 정보를 추가한다. 이때, 버퍼 정보로는 인터페이스 버퍼에 쌓여있는 패킷의 개수와 여유로 남아있는 버퍼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the connection node A adds its buffer information to the received route request message RREQ. In this case, the buffer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the number of packets accumulated in the interface buffer and the buffer space information remaining as a margin.

상기 버퍼 정보는 혼잡 상황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정보로서, 패킷의 개수가 클수록, 여유 버퍼 공간이 작을수록 해당 노드는 혼잡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버퍼 정보를 남은 버퍼 공간 정보로 한정하여 설명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 다. 또한 패킷의 개수에 따라서도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실시예가 가능한 것으로, 해당 노드의 혼잡 상황을 측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모두 사용 가능함을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The buff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used as a criterion for measuring a congestion situation. The larger the number of packets and the smaller the free buffer space, the corresponding node is determined to be congested. In this specification,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easi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uffer information is limited to the remaining buffer space information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ckets can be any number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ny information can be used as long as the information to measure the congestion status of the node.

이처럼, 연결 노드(A)는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5)가 포함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모든 이웃 노드로 전송한다. 이때, 연결 노드(A)와 연결된 이웃 노드로는 연결 노드(P), 연결 노드(B) 및 연결 노드(I)가 있다. 따라서 연결 노드(P), 연결 노드(B) 및 연결 노드(I)는 연결 노드(A)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5)가 포함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입력받게 된다(S200).As such, the connection node A broadcasts a route request message including its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to all connected neighbor nodes. At this time, neighboring node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A include a connection node P, a connection node B, and a connection node I. Therefore, the connection node P, the connection node B, and the connection node I receive a path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of the connection node A (S200).

이어 연결 노드들(P,B,I)은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비교하여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최소값으로 갱신한다. 그리고 갱신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가 포함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이웃 노드로 전송한다(S300).Next, the connection nodes P, B, and I compar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put path request message with their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and updat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to the minimum value. The path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updated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is broadcasted and transmitted to another connected neighbor node (S300).

그리고 모든 연결 노드들이 모두 적용될 때까지 상기 S300과정을 반복한다. 이를 통해 모든 연결 노드들을 거쳐 최소값으로 갱신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가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는 최종적으로 목적 노드(D)로 브로드캐스트하여 전송된다(S400).The process is repeated until all of the connection nodes are applied. Through this, the path request message in which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updated to the minimum value is recorded through all the connection nodes is finally broadcasted to the destination node D and transmitted (S400).

도 1과 같은 무선망 네트워크 노드의 구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모든 경로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all paths that may occur in the structure of a wireless network network node as shown in FIG. 1 is as follows.

먼저, S->A->P->Q->R->D 경로를 갖는 제 1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a first path having an S-> A-> P-> Q-> R-> D path is as follows.

연결 노드(P)는 연결 노드(A)를 거쳐 여유 버퍼 공간 정보 ‘5’가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은 후에,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 ‘5’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 ‘4’를 비교한다. 이때,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5)보다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4)가 작으므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4’로 갱신한다. 그리고 경로요청 메시지에 ‘4’로 갱신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기록한 후,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이웃 노드인 연결 노드(Q)로 전송한다.The connection node P receives the path request message in which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is recorded via the connection node A, and then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recorded in the input path request message and its own free space. Compare buffer space information '4'. At this time, sinc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is smaller than the recorded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s updated to '4'. In addition,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updated by '4' is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and then broadcast and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node Q, which is another connected neighbor node.

이어 연결 노드(Q)는 연결 노드(P)를 거쳐 여유 버퍼 공간 정보 ‘4’가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은 후에,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 ‘4’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 ‘7’을 비교한다. 이때,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4)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7)보다 작으므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4’로 유지한다. 그리고 경로요청 메시지에 ‘4’로 갱신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기록한 후,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이웃 노드인 연결 노드(R)로 전송한다.Subsequently, the connection node Q receives the path request message in which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is recorded via the connection node P, and then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recorded in the input path request message and its own. Compar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7'. At this time, since the recorded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is smaller than its own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7,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s kept at '4'. Then,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updated by '4' is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and then broadcas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node R, which is another connected neighbor node.

이어 연결 노드(R)는 연결 노드(Q)를 거쳐 여유 버퍼 공간 정보 ‘4’가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은 후에,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 ‘4’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 ‘4’를 비교한다. 이때,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4)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4)가 동일하므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4’로 유지한다. 그리고 경로요청 메시지에 4로 갱신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기록한 후,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 른 이웃 노드인 목적 노드(D)로 최종 전송한다.Subsequently, after the connection node R receives the path request message in which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is recorded via the connection node Q, the connection node R and its own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recorded in the input path request message are connected. Compar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At this time, since the recorded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and its own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are the sam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s maintained at '4'. Then,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updated to 4 is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and then broadcasted and finally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node D, which is another neighbor node connected thereto.

다음으로 S->A->B->C->D 경로를 갖는 제 2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second path having the path S-> A-> B-> C-> D is as follows.

연결 노드(B)는 연결 노드(A)를 거쳐 여유 버퍼 공간 정보 ‘5’가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은 후에,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 ‘5’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 ‘2’를 비교한다. 이때,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5)보다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2)가 작으므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2’로 갱신한다. 그리고 경로요청 메시지에 ‘2’로 갱신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기록한 후,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이웃 노드인 연결 노드(C)로 전송한다.After the connection node B receives the path request message with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recorded through the connection node A, the free node space information '5' and its free space recorded in the input path request message are received. Compare buffer space information '2'. At this time, sinc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2 is smaller than the recorded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s updated to '2'.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updated by '2' is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and then broadcas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node C, which is another connected neighbor node.

이어 연결 노드(C)는 연결 노드(B)를 거쳐 여유 버퍼 공간 정보 ‘2’가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은 후에,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 ‘2’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 ‘4’를 비교한다. 이때,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2)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4)보다 작으므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2’로 유지한다. 그리고 경로요청 메시지에 ‘2’로 갱신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기록한 후,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이웃 노드인 목적 노드(C)로 최종 전송한다.Subsequently, after the connection node C receives the path request message in which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2' is recorded via the connection node B, the connection node C and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2' recorded in the input path request message have their own. Compar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At this time, since the recorded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2 is smaller than its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4,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s maintained at '2'. Then,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updated by '2' is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and then broadcast is finally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node C, which is another connected neighbor node.

다음으로 S->A->I->J->K->D 경로를 갖는 제 3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third path having the path S-> A-> I-> J-> K-> D is as follows.

연결 노드(I)는 연결 노드(A)를 거쳐 여유 버퍼 공간 정보 ‘5’가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은 후에,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 ‘5’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 ‘3’을 비교한다. 이때, 기록된 여 유 버퍼 공간 정보(5)보다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3)가 작으므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3’으로 갱신한다. 그리고 경로요청 메시지에 ‘3’으로 갱신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기록한 후,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이웃 노드인 연결 노드(J)로 전송한다.After the connection node I receives the path request message with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recorded through the connection node A, the free node space information '5' recorded in the input path request message and its own free space Compare buffer space information '3'. At this time, sinc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3 is smaller than the recorded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s updated to '3'. In addition,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updated by '3' is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and then broadcasted to the connected node J, which is another neighboring node.

이어 연결 노드(J)는 연결 노드(I)를 거쳐 여유 버퍼 공간 정보 ‘3’이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은 후에,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 ‘3’과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 ‘6’을 비교한다. 이때,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3)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6)보다 작으므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3’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경로요청 메시지에 ‘3’으로 갱신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기록한 후,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이웃 노드인 연결 노드(K)로 전송한다.Subsequently, after the connection node J receives the path request message in which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3' is recorded via the connection node I, the connection node J and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3' recorded in the input path request message have their own. Compar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6'. At this time, since the recorded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3 is smaller than its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6,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s maintained at '3'.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updated by '3' is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and then broadcas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node K, which is another connected neighbor node.

이어 연결 노드(K)는 연결 노드(J)를 거쳐 여유 버퍼 공간 정보 ‘3’이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은 후에,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 ‘3’과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 ‘5’를 비교한다. 이때,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3)가 자신의 여유 버퍼 공간 정보(5)보다 작으므로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3’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경로요청 메시지에 ‘3’로 갱신된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기록한 후,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이웃 노드인 목적 노드(D)로 최종 전송한다.Subsequently, after the connection node K receives the path request message having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3' recorded through the connection node J, the connection node K and its own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3' recorded in the input path request message have their own. Compare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At this time, since the recorded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3 is smaller than its own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5,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s maintained at '3'. Then, the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updated to '3' is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and then broadcast is finally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node D, which is another neighboring node connected thereto.

이처럼, 각각의 경로들을 통해 소스 노드(S)에서 목적 노드(D)로 입력되는 경로요청 메시지에 최소값으로 갱신되어 기록된 최소 여유 버퍼 공간 정보를 최소 유효 버퍼라고 할 때, 제 1 경로(S->A->P->Q->R->D)를 통해서는 최소 유효 버퍼가 ‘4’를 갖는다. 그리고 제 2 경로(S->A->B->C->D)를 통해서는 최소 유효 버퍼가 ‘2’를 갖고, 제 3 경로(S->A->I->J->K->D)를 통해서는 최소 유효 버퍼가 ‘3’을 갖는다.As such, when the minimum free buffer space information updated and written to the minimum value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nput from the source node S to the destination node D through the respective paths is called the minimum valid buffer, the first path S− > A-> P-> Q-> R-> D), the minimum valid buffer has a '4'. The minimum valid buffer has '2' through the second path (S-> A-> B-> C-> D) and the third path (S-> A-> I-> J-> K- > D), the minimum valid buffer has '3'.

목적 노드(D)는 이와 같이 여러 경로들에서 받은 경로요청 메시지 중에서 상기 최소 유효 버퍼가 가장 큰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S)에 통신의 시작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Route Reply : RREP)를 전송하게 된다(S500).The destination node D selects the path with the largest valid buffer among the path request messages received from the various paths, and sends a route reply (RREP) to the source node S to start communication. It becomes (S500).

따라서 목적 노드(D)는 입력된 최소 유효 버퍼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제 1 경로를 선택하고, 소스 노드(S)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한다.Therefore, the destination node D selects the first path having the largest value among the minimum valid buffers input, 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S. FIG.

이처럼, 경로설정 과정에서 실제 혼잡이 집중된 특정노드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이용하여 로드 밸런싱을 고려한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더욱 높은 성능의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such, by selecting the path in consideration of load balancing by using the real-time state information of a particular node concentrated in the rou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er performanc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한편, 이처럼 특정노드의 상태정보만을 이용하여 라우팅을 수행하면 홉수(hop count)가 늘어나 오히려 전송지연이 커지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즉, 홉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소스 노드(S)에서 목적 노드(D)로의 통신 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자명하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outing is performed using only the state information of a specific node, a hop count may be increased and a transmission delay may be increased. In other words, it is obvious that as the number of hops increases, the communication time from the source node S to the destination node D becomes longer.

따라서 홉수(hop count)는 무시하고 단순히 특정노드의 혼잡상태 정보만으로 경로를 선택하게 되면, 최악의 경우 노드 혼잡으로 인한 통신 지연시간보다 홉수의 증가로 인한 통신 지연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refore, if the path is selected based on the congestion state information of a specific node simply by ignoring the hop count, in the worst case,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the increase in the hop number may be longer than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the node congestion. It could be.

따라서 노드의 혼잡 임계(threshold)값 및 노드차이 임계(threshold)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경우의 수를 해결한다.Therefore, the number of such cases is solved by using at least one of a node's congestion threshold value and a node difference threshold value.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동적인 노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ynamic node balancing routing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의 단계들(S100 내지 S400)을 통해 목적 노드(D)로 새로운 경로요청 메시지들이 도착하게 된다(S510).Referring to FIG. 3, new path request messages arrive at the destination node D through steps S100 to S400 of FIG. 2 (S510).

그리고 목적 노드(D)로 현재 입력되는 경로요청 메시지를 통해 제 2 최소 유효 버퍼(Qcur)를 검출하고, 또한 목적 노드(D)로 이전에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통해 제 1 최소 유효 버퍼(Qpre)를 검출한다(S520).The second minimum valid buffer Qcur is detected through the path request message currently input to the destination node D, and the first minimum valid buffer Qpre is detected through the path request message previously input to the destination node D. ) Is detected (S520).

이어, 제 2 최소 유효 버퍼(Qcur)를 미리 정의한 혼잡 임계값과 비교하여 해당 경로의 혼잡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 2 최소 유효 버퍼(Qcur)가 정의된 혼잡 임계값 미만이면 해당 경로는 혼잡상태로 간주한다(S530). 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sponding path is congested by comparing the second minimum valid buffer Qcur with a predefined congestion threshold. That is, if the second minimum valid buffer Qcur is less than the defined congestion threshold, the corresponding path is regarded as a congestion state (S530).

이때, 혼잡여부를 위한 비교 및 판단은 별도의 비교수단 및 제어수단을 이용한다. 상기 비교수단 및 제어수단은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기재할 수 있는 범주의 것으로 이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한다. At this time, comparison and determination for congestion use separate comparison means and control means. The comparison means and the control means is a category that can be easily describ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상기 판단결과(S530), 혼잡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기존 방법과 동일하게 최소 홉(hop)을 주요 매트릭(metric)으로 하여 라우팅을 수행한다. 즉, 목적 노드(D)는 다수의 경로 중 최소홉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S)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한다(S550).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result (S530) is not in a congestion state, routing is performed using the minimum hop as a major metric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is, the destination node D selects one path having the least hop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S (S550).

또한 상기 판단결과(S530), 혼잡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 2에서 기재된 로드 밸런싱 방법을 이용하여 라우팅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목적 노드(D)는 다수의 경로 중 제 2 최소 유효 버퍼(Qcur)가 최대값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S)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한다(S560).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gestion state (S530), the congestion state to perform the routing using the load balancing method described in FIG. That is, the destination node D selects one path having the maximum value of the second minimum valid buffer Qcur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S (S560).

상기 혼잡 임계값은 노드의 혼잡에 따른 통신 지연시간과 홉수의 증가로 인한 통신 지연시간의 연관관계를 서로 적용하여 통신 지연시간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gestion threshold is preferably defined as a value that minimizes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by apply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congestion of the node and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ps.

또한, 목적 노드(D)가 2개 이상의 경로 요청 메시지를 받았을 경우에는 검출된 제 2 최소 유효 버퍼(Qcur)와 제 1 최소 유효 버퍼(Qpre) 간의 오차 범위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오차 범위와 미리 정의된 노드차이 임계값을 비교하여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를 판단한다. 즉, 산출된 두 경로간의 오차 범위가 정의된 노드차이 임계값 미만이면 두 경로는 혼잡정도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S540). In addition, when the destination node D receives two or more path request messages, the error range between the detected second minimum valid buffer Qcur and the first minimum valid buffer Qpre is calculated. The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the two paths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error range with a predefined node difference threshold. That is, if the calculated error range between the two paths is less than the defined node difference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paths have little congestion (S540).

이때,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를 위한 비교 및 판단은 별도의 비교수단 및 제어수단을 이용한다. 상기 비교수단 및 제어수단은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기재할 수 있는 범주의 것으로 이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한다. At this time, the comparison and determination for the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the two paths uses separate comparison means and control means. The comparison means and the control means is a category that can be easily describ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상기 판단결과(S540), 경로간의 혼잡정도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존 방법과 동일하게 최소 홉(hop)을 주요 매트릭(metric)으로 하여 라우팅을 수행한다. 즉, 목적 노드(D)는 다수의 경로 중 최소홉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S)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550).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40 that there is little congestion between the paths, routing is performed using the minimum hop as a major metric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is, the destination node D selects one path having the least hop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source node S (S550).

또한 상기 판단결과(S540), 경로간의 혼잡정도가 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 2에서 기재된 로드 밸런싱 방법을 이용하여 라우팅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목적 노드(D)는 다수의 경로 중 최소 유효 버퍼가 최대값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S)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560).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540 that the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the paths is severe, routing is performed using the load balancing method described in FIG. 2. That is, the destination node D selects one path having the maximum value of the minimum valid buffer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source node S (S560).

상기 노드차이 임계값은 노드간의 혼잡정도에 따른 통신 지연시간과 홉수의 증가로 인한 통신 지연시간의 연관관계를 서로 적용하여 통신 지연시간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de difference threshold value is preferably defined as a value that minimizes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by apply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nodes and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p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th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무선망 네트워크상에서 노드의 혼잡정도를 고려하여 라우팅 함으로써, 패킷전송률 및 전달시간을 향상시켜 무선망 네트워크 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congestion of the nodes in the wireless network networ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acket transmission rate and transmission tim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network network communication.

둘째, 경로설정 과정에서 실제 혼잡이 집중된 특정노드의 상태정보를 이용하 여 로드 밸런싱을 고려한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높은 성능의 프로토콜을 제안할 수 있다.Second, more accurate and high-performance protocol can be proposed by selecting the path considering load balancing by us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a specific node that is actually congested during the routing process.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망 네트워크에서의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은 모바일 단말 및 망 라우터에 적용하여 이동성에 강건한 동시에 무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다.Third, th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th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network router, which is robust to mobility and can efficiently use the wireless bandwidth.

Claims (17)

(A) 소스 노드에서 경로요청 메시지(Route Request : RREQ)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여 연결(connection)된 모든 제 1 이웃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A) broadcasting a Route Request Message (RREQ) packet from a source node and transmitting it to all connected first neighbor nodes; (B) 상기 제 1 이웃 노드에서 입력받은 경로요청 메시지에 자신의 버퍼 정보를 추가한 경로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다른 모든 제 2 이웃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B) broadcasting a route request message with its buffer information added to the route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first neighbor node and transmitting the route request message to all other connected second neighbor nodes; (C) 상기 제 2 이웃 노드에서 입력된 경로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버퍼 정보와 자신의 버퍼 정보를 비교하여 경로요청 메시지에 기록된 버퍼 정보를 최소값으로 갱신하고 브로드캐스트하여 연결된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C) comparing the buff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inputted by the second neighbor node with its own buffer information, updating the buffer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th request message to a minimum value, and broadcasting the same to the connected destination node; Wow, (D) 목적 노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들로부터 받은 상기 경로요청 메시지의 버퍼 정보 중 갱신된 최소 유효 버퍼가 최대값을 갖는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oute Reply : 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 (D) sending a reply message (RUTE) to a source node by selecting a path having an updated minimum valid buffer among the buffer information of the path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at least one path at a destination node having a maximum valu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이웃 노드 및 제 2 이웃 노드들이 자신의 인터페이스 버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인터페이스 버퍼에 쌓여있는 패킷의 개수와 여유로 남아있는 유효 버퍼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And monitoring the state of the interface buffers of the first and second neighbor nodes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ckets accumulated in the interface buffer and valid buffer space information remaining free. In-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퍼 정보는 인터페이스 버퍼에 쌓여있는 패킷의 개수 및 여유로 남아있는 유효 버퍼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 And the buffer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packets accumulated in the interface buffer and valid buffer space information remaining fre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연결된 모든 이웃 노드들이 모두 적용될 때까지 반복하여 최소값으로 갱신된 버퍼 정보가 기록된 경로요청 메시지를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 And transmitting to the destination node a path request message recorded with the buffer information updated to the minimum value repeatedly until all connected neighbor nodes are appli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D) (D1) 목적 노드로 입력되는 경로요청 메시지의 버퍼 정보를 통해 최소 유효 버퍼를 검출하는 단계와, (D1) detecting the minimum valid buffer through the buffer information of the path request message input to the destination node; (D2) 상기 검출된 최소 유효 버퍼를 미리 정의한 혼잡 임계값과 비교하여 해당 경로의 혼잡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2)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path is congested by comparing the detected minimum valid buffer with a predefined congestion threshold value; (D3) 상기 판단결과, 혼잡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상기 최소 유효 버퍼가 최대값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D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gestion is in a congestion state, selecting one path having the maximum value among the minimum valid buffer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RREP) to a source nod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D2) 상기 최소 유효 버퍼가 정의된 혼잡 임계값 미만이면 해당 경로가 혼잡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And determining that the corresponding path is congested when the minimum valid buffer is less than a defined congestion threshold.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D3)의 판단결과, 혼잡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최소홉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gestion state (D3) is not in a congestion state,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lecting a path having the least hop of the plurality of paths to send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In-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혼잡 임계값은 노드의 혼잡에 따른 통신 지연시간과 홉수의 증가로 인한 통신 지연시간의 연관관계를 통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The congestion threshold is a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fin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the congestion of the node and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the increase in the hop nu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D) (Da)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로 각각 입력되는 경로요청 메시지의 버퍼 정보를 통해 제 1 최소 유효 버퍼 및 제 2 최소 유효 버퍼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와,(Da) detecting the first minimum valid buffer and the second minimum valid buffer through the buffer information of the path request message respectively input to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Db) 상기 제 1 최소 유효 버퍼와 제 2 최소 유효 버퍼 간의 차를 통해 오차 범위를 산출하는 단계와,(Db) calculating an error range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inimum valid buffer and the second minimum valid buffer; (Dc) 상기 산출된 오차 범위와 미리 정의된 노드차이 임계값을 비교하여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를 판단하는 단계와,(Dc) comparing the calculated error range with a predefined node difference threshold to determine a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two paths; (Dd) 상기 판단결과,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가 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최소 유효 버퍼가 최대값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D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the two paths is severe, selecting one path having the maximum value of the least valid buffer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Dc) step 상기 오차 범위가 정의된 혼잡 임계값 미만이면 두 경로는 혼잡정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And if the error range is less than a defined congestion threshold, determine that the two paths have no congestion.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Dc)의 판단결과,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최소홉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ongestion between the two path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Dc), selecting one path having the least hop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노드차이 임계값은 노드간의 혼잡정도에 따른 통신 지연시간과 홉수의 증가로 인한 통신 지연시간의 연관관계를 통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The node difference threshold value is def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ps and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nodes, th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D)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로 각각 입력되는 경로요청 메시지의 버퍼 정보를 통해 제 1 최소 유효 버퍼 및 제 2 최소 유효 버퍼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와,Detecting a first minimum valid buffer and a second minimum valid buffer through the buffer information of the path request message respectively input to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상기 검출된 제 1, 2 최소 유효 버퍼를 미리 정의한 혼잡 임계값과 비교하여 해당 경로의 혼잡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와,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path is congested by comparing the detected first and second minimum valid buffers with a predefined congestion threshold value; 상기 제 1 판단결과, 혼잡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최소 유효 버퍼와 제 2 최소 유효 버퍼 간의 차를 통해 오차 범위를 산출하는 단계와,Calculating an error rang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inimum valid buffer and the second minimum valid buff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gestion state is congested; 상기 산출된 오차 범위와 미리 정의된 노드차이 임계값을 비교하여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와,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two paths by comparing the calculated error range with a predefined node difference threshold value; 상기 제 2 판단결과,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가 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최소 유효 버퍼가 최대값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gree of congestion between the two paths is severe, selecting one path having the maximum value of the least valid buffer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단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상기 최소 유효 버퍼가 정의된 혼잡 임계값 미만이면 해당 경로가 혼잡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And determining that the corresponding path is congested when the minimum valid buffer is less than a defined congestion threshold.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 1 판단결과, 혼잡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최소홉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ffic is not congested, selecting one path having the least hop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Balancing routing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상기 오차 범위가 정의된 혼잡 임계값 미만이면 두 경로는 혼잡정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And if the error range is less than a defined congestion threshold, determine that the two paths have no congestion.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 2 판단결과, 두 경로간의 혼잡정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경로 중 최소홉을 갖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에 응답 메시지(RREP)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인 로드 밸런싱 라우팅 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ongestion between the two paths, selecting one path having the least hop among the plurality of path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RREP) to the source node.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KR1020060113239A 2006-11-16 2006-11-16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Wireless Networks Expired - Fee Related KR100776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239A KR100776327B1 (en) 2006-11-16 2006-11-16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Wireless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239A KR100776327B1 (en) 2006-11-16 2006-11-16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327B1 true KR100776327B1 (en) 2007-11-13

Family

ID=3906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2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6327B1 (en) 2006-11-16 2006-11-16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Wireless Networ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327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59B1 (en) 2008-01-21 2010-02-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Load Balancing Using Path Cache Information
KR100992485B1 (en) 2008-03-31 2010-11-08 한국과학기술원 Wireless mesh network device and routing method using same
KR101689532B1 (en) * 2015-07-07 2016-12-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ributed path setup method using load balancing for mobile ad hoc network
KR20210143021A (en) * 2020-05-19 2021-11-26 국방과학연구소 System for uav assisted relay ad-hoc network system and method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CN115277572A (en) * 2022-07-29 2022-11-01 山东大学 Conges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multi-source multi-sink network
KR102863030B1 (en) 2016-08-03 2025-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using a Plurality Communication Sche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418A (en) * 2003-05-09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t up of optimum routing path using tree-topology
US20040252643A1 (en) 2003-06-05 2004-12-16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the network performan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by finding an optimal route between a source and a destination
US20050185632A1 (en) 2004-02-23 2005-08-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nk quality source routing
JP2005303998A (en) 2004-03-18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oute search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418A (en) * 2003-05-09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t up of optimum routing path using tree-topology
US20040252643A1 (en) 2003-06-05 2004-12-16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the network performan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by finding an optimal route between a source and a destination
KR20060056899A (en) * 2003-06-05 2006-05-25 메시네트웍스, 인코포레이티드 Optimal Routing in Ad-hoc Wireless Networks
US20050185632A1 (en) 2004-02-23 2005-08-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nk quality source routing
JP2005303998A (en) 2004-03-18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oute search method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59B1 (en) 2008-01-21 2010-02-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Load Balancing Using Path Cache Information
KR100992485B1 (en) 2008-03-31 2010-11-08 한국과학기술원 Wireless mesh network device and routing method using same
KR101689532B1 (en) * 2015-07-07 2016-12-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ributed path setup method using load balancing for mobile ad hoc network
KR102863030B1 (en) 2016-08-03 2025-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using a Plurality Communication Scheme
KR20210143021A (en) * 2020-05-19 2021-11-26 국방과학연구소 System for uav assisted relay ad-hoc network system and method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KR102346653B1 (en) 2020-05-19 2022-01-03 국방과학연구소 System for uav assisted relay ad-hoc network system and method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CN115277572A (en) * 2022-07-29 2022-11-01 山东大学 Conges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multi-source multi-sink network
CN115277572B (en) * 2022-07-29 2023-10-13 山东大学 A conges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multi-source and multi-sink net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72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route improvement method and system
US8031720B2 (en) Packet transfer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packet transfer route optimization method
US9143975B2 (en) Topology aware MANET for mobile networks
Kumaran et al. Early congestion detection and adaptive routing in MANET
Zhou et al. Load-balanced wireless ad hoc routing
US7352750B2 (en)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EP2361485B1 (en) Selective a priori reactive routing
US7751332B2 (en) Data routing method and apparatus
US77874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path in wireless network
KR20040102085A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potential hidden node problems in multi-hop wireless ad-hoc networks
KR20080066536A (en) Mobile ad hoc network rout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based on hardware address
Kalpana et al. Bandwidth Constrained Priority Based Routing Algorith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in Mobile Ad hoc Networks
Okazaki et al. Ant-based dynamic hop optimization protocol: A routing algorithm for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CN110831006B (en) Ad hoc network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Parkash et al. QoS bandwidth estimation scheme for delay sensitive applications in MANETs
KR100776327B1 (en) Dynamic Load Balancing Routing Method in Wireless Networks
Mu An improved AODV routing for the zigbee heterogeneous networks in 5G environment
Hassanein et al. Load-aware destination-controlled routing for MANETs
JP2009218922A (en) Wireless ad-hoc terminal and ad-hoc network system
Gao et al. Multi-path routing protocol with unavailable areas identific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Basarkod et al. Node movement stability and congestion aware anycast rout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Basarkod et al. On-demand bandwidth and stability based unicast routing in mobile adhoc networks
Ghannay et al. Comparison of proposed path selection protocols for IEEE 802.11 s WLAN mesh networks
Saravanakumar et al. Bwiee protocol for route discovery and energy efficiency in MANET
Raja et al. Routing Protocols In Manet QoS Surv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1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10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