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87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6874B1 KR100746874B1 KR1020060024456A KR20060024456A KR100746874B1 KR 100746874 B1 KR100746874 B1 KR 100746874B1 KR 1020060024456 A KR1020060024456 A KR 1020060024456A KR 20060024456 A KR20060024456 A KR 20060024456A KR 100746874 B1 KR100746874 B1 KR 1007468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pad
- input
- mobile terminal
- screen
- tou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의 키패드를 이용한 조작 방법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A to 1C schematically illustrate an example of an operation method using a keypad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조작 방법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4a to 4c schematically illustrate an example of an operation method using a touchpa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의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6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retrieval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미지 선택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7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selection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선택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8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n image search / selection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패드(Touch Pad)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에서 보다 편리한 컨텐츠(content)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tation (M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more convenient content in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일반적으로, 현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통신 사업자들은 가입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즉,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업자들은 공간 및 시간에 구애됨이 없는 통화는 물론, 무선 인터넷,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및 이미지, 화상,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spread of mobile terminal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and as the spread of mobile terminals is generalized, communication providers are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subscribers. In other word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currently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wireless Internet,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multimedia services such as image, video, and video, as well as calls without regard to space and time. To provide.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을 임의로 이동하면서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해 일반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가입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개인 정보관리 및 컴퓨터와의 정보교류를 수행하는 등의 부가적 기능을 가진다. 근래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화상이나 동영상의 송수신, 가상 3차원 음향 및 스테레오 사운드 구현, MP3 플레이어 기능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내장 등 하루가 다르게 그 성능이 향상된 이동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The mobile terminal perfor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ormation exchange with a computer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making a call with a general telephone subscriber 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through a base station (BS) while arbitrarily mov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It ha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Recently, mobile terminals having improved performances have emerged differently each day, such a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mages and videos, implementation of virtual 3D sound and stereo sound, MP3 player functions, and a built-in camera capable of taking pictures.
또한, 기능에 따라서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장치, 문자 전송을 위한 단말기 장치, 동영상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장치, 사용자의 건강을 체크해 줄 수 있는 위한 단말기 장치 및 게임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TV나 주문형 영상(비디오)서비스(VOD: Video On Demand) 등과 같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용화 되고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function, it may be classified into a terminal device having an Internet function, a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a text, a terminal device having a video function, a terminal device for checking a user's health, and a terminal device having a game function. . In addition, digital multimedia services such as digital TV and video on demand (VOD) services are provided and commercialized.
또한 현재 이동 단말기는 단순한 텍스트만을 이용한 게임뿐만 아니라 현재 3D까지 구현하는 게임 기능들을 수행하고 메신저 기능까지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키패드를 사용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터치 패드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능을 사용한 휴대용 단말기 장치까지 등장하고 있다. 현재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방법뿐만 아니라 많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 기능들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the current mobile terminal is not only a game using only text, but also currently performing game functions that implement 3D and providing a messenger function. In addition, not only an input method using a keypad but also a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a function of inputting using a touch pad has emerged. Currently, not only the method but also many application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functions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are increasing.
상기와 같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들을 수용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면서 상기 이동 단말기 자체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때, 상기 기능들을 기반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 예컨대, 이미지, 화상, 동영상 등에 대한 검색 또는 조작 방법 등과 같은 기능 수요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As the mobile terminal accommodates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demand for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itself is increasing. In addition, when various functions are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demand for functions such as a search or manipulation method for a function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functions such as an image, an image, a video, etc. is also increasing. hav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사용자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research on user interface for more efficient use of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nd user convenienc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new user interface for user convenience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niently providing a variety of services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 검색/열람에 따른 방향키 조작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which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manipulating direction keys according to data search / view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법에 상응하여 데이터 제공 화면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that can variably change a data providing screen corresponding to an input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터치패드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 신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신호가 터치패드를 이용한 드래그(Drag)로 판단되면, 상기 드래그 방향에 상 응하여 현재 제공된 화면을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드래그 방향에 상응하여 목표 지점으로 화면 이동 후, 상기 이동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input from the touch pad, the input signal is determined If the input signal is determined to be a drag (Drag) using the touch pad, moving the currently provided screen in response to the drag direction, and after moving the screen to the target point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the movement Including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screen.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드래그 및/또는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의 입력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하는 드래그 및/또는 터치 입력 신호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된 화면의 이동/전환, 데이터 검색/선택/확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drag and / or touch input And a touch pad for providing an input signal, a touch signal for determining the input signal of the touch pad, and moving / switching a screen and searching / selecting / confirming a data provided through a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drag and / or touch input sig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드래그 및/또는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입력이 발생하면, 그에 상응하여 화면 이동을 표시하고, 상기 드래그 및/도는 터치 입력에 따른 상하좌우 및/또는 사선 방향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상에 제공된 데이터의 이동/선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소정의 입력이 전달되면, 상기 입력을 판단하고 그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의 포인터 동작 제어, 데이터 드래그(Drag) 동작을 통해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and a touch pad for provid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drag and / or touch input; When an input through the touch pad occurs, a screen movement is displayed accordingly, and the drag and / or movement / selection of data provided on the scree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up, down, left and right and / or diagonal movements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input when the input is transmitted through the touch pad,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through a pointer operation control and a data drag operation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put. d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 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the inventors in their best wa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the concept of ter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제안하는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터치패드(Touch Pad)를 적용하고,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조작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문서, 인터넷 보기, 게임 및 동영상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for user convenience in a mobile station (MS). In particula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operation method for applying a touch pa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user convenience using the touch pad.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touch pad in using various services such as an image, a document, an internet view, a game, and a video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터치패드를 적용하고,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달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 등을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빠르고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검색된 이미지에 대하여 상하좌우에 관계없이 손동작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이 미지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touch pad to a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user's hand gesture to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touch pad, various images and the like can be quickly and easily searched with a simple ope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the image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 gesture regardless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earched image.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단문 메시지 송/수신을 비롯하여 각종 단말기의 풀-다운 메뉴 선택 등의 조작이 디스플레이부인 액정화면에 나타난 정보를 방향키 등의 버튼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performs information such as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a pull-down menu selection of various terminals by using button buttons such as direction keys to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display, which is a display unit.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송수신된 단문 메시지 또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저장부 예컨대, 메모리(memory)에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검색하기 위한 선택 버튼들이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selection buttons for displaying or retrieving a short message or image data or information data stored in a storage unit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memory, or searching. do.
이러한 선택 버튼들은 버튼의 눌림에 따라 해당 정보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액정화면에 풀-다운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해당 정보 데이터로 예컨대, 방향키 조작을 통해 이동시킨 다음 선택하여 정보 데이터의 검색 및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These selection buttons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pull-down method on the LCD screen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and then moved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data, for example, by operating a direction key, and then selected to search and confirm the information data. Is done in a way.
상기와 같이 메뉴 검색/선택 버튼 및 방향키 등의 조작을 통해 해당 정보를 검색 및 확인하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된 해당 정보를 버튼 스크롤링(scrolling) 방식으로 검색하게 된다. 즉, 메뉴 검색/선택 버튼 및 방향키 등의 조작 순서 조합에 의해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해당 정보가 상하 스크롤링 및 좌우 스크롤링 되면서 검색 및 확인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that searches for and confirm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by operating a menu search / selection button and a direction key, the displayed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searched by a button scrolling method. That i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CD screen is searched and confirmed while scrolling up and down and scrolling left and right by a combination of an operation sequence such as a menu search / selection button and a direction key.
그러나,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메뉴 검색/선택 버튼 및 방향키의 조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액정화면에서 좌우 및 상하 스크롤링하면서 정보를 검색 및 확인하나, 이러한 버튼 스크롤 방식의 이동 단말기는 대용량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 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환경 하의 데이터 송수신에 적합하지 않다.However, the mobile terminal searches and confirms information while scrolling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sequentially on the LCD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enu search / selection button and direction keys. However, such a button scroll type mobile terminal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rge amounts of data. It is not suitabl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der the Graphic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즉, 전송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이 액정화면의 화면 크기에 2~3배 정도의 크기인 경우 사용자는 전송된 데이터를 스크롤링 시키기 위해 수회 내지 수십 회의 반복적인 메뉴 검색/선택 버튼 및 방향키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검색 및 확인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at is, when the transmitted data, for example, an image file is about 2 to 3 times larger than the screen size of the LCD screen, the user may press the menu search / select button and the arrow keys repeatedly for several to several tens of times to scroll the transmitted data. There is a hassle to operate. Hereinafter, a method for searching and verifying an image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서의 키패드를 이용한 조작 방법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A to 1C schematically illustrate an example of an operation method using a keypad in a general mobile terminal.
상기 도 1a 내지 도 1c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1a 및 도 1b는 기존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가 확대되어 일부분만 보이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의 다른 영역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도 1a 및 도 1b에서는 상하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 1c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여러 가지의 이미지를 일일이 하나하나 방향키로 선택하여 검색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도 1c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한 화면상에 여러 가지의 이미지가 동시에 제공되는 경우에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기 위한 특화되어 있는 버튼 예컨대, 볼륨 업/다운(Volume Up/Down) 버튼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1A to 1C, FIGS. 1A and 1B illustrate an operation for identifying another area of an image when an image is enlarged and only a part of the image is seen in an existing mobile terminal. That is, in FIGS. 1A and 1B, the user moves to a desired point by using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FIG. 1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various images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re selected and searched one by one with direction keys. In addition, in FIG. 1C, when various images are simultaneously provided on on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 search is performed using a specialized button for moving to the next page, for example, a volume up / down button. It includes an action.
따라서 상기 도 1 및 도 1c와 같은 경우, 이미지의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려면 여러 단계의 버튼 조작을 수행해야 하며, 또한 사선으로 움직이는 경우 이미지를 상하+좌우 동작을 합쳐서 이동해야 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FIGS. 1 and 1C, when moving from one area of the image to another area, button operations of various steps must be performed, and when moving diagonally, the image must be moved by combining up, down, left, and right motions.
상기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도 1a는 이동 단말기에서 예컨대, 확대된 이미지를 키패드를 이용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는 조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상에 제공되는 이미지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 기존 키패드에 구비된 방향키 등의 조작을 통해 우측 방향으로 소정 횟수 예컨대, X번의 이동 조작을 통해 이동한다.Referring to FIG. 1A, FIG. 1A sequentially illustrates an operation method of moving an enlarged image to the right using a keypad, for example, in which a user is provided on a screen as shown in FIG. 1A. When moving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image, the user moves to the right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X times, through manipulation of an arrow key provided in the existing keypad.
상기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도 1b는 이동 단말기에서 예컨대, 확대된 이미지를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선으로 이동하는 조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상의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이동시, 기존 키패드에 구비된 방향키 등의 조작을 통해 우측 및 하측으로 수회 내지 수십 회의 반복 이동 조작을 통해 이동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우측으로 소정 횟수 예컨대, X번의 이동 조작 후 하측으로 소정 횟수 예컨대, Y번의 이동 조작을 통해 이동한다.Referring to FIG. 1B, FIG. 1B sequentially illustrates an operation method of moving an enlarged image diagonally using a keypad, for example, in a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When moving to the lower right, it moves through the repetitive movement operation several times to several times to the right and the lower sid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s and the like provided on the existing keypad. For example, the user moves to the right through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Y movements,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X movements.
상기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도 1c는 이동 단말기에서 예컨대, 다수개의 이미지를 키패드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조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검색시, 기존 키패드에 구비된 방향키 등의 조작을 통해 소정 횟수 예컨대, X번의 이동 조작을 통해 검색한다.Referring to FIG. 1C, FIG. 1C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operation method of searching a plurality of images using a keypad, for example, in a mobile terminal. The user may search for an image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s illustrated in FIG. 1C. At the time, a search is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X movement, through manipulation of a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existing keypa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예컨대, 이미지, 화상 및 동화상 등의 검색 및 확인시 이 동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 예컨대,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수회 내지 수십 회의 조작을 통해 상하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느린 검색, 여러 번의 조작을 통한 검색 및 확인 절차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즉,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검색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방향키를 이용하여 여러 번의 조작을 통해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searching and confirming data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n image, an image, a moving image, and the like, the keypad is provided several times or several times using a keypad, for example, a direction key. As the user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through the operation, a lot of inconveniences are caused by the user due to the slow search, the search and confirmation procedure through the multiple operations. That is, in the case of searching using the direction keys, the user should perform an operation through several operations using the direction key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함에 있어서, 2개의 터치패드를 사용해야 하며, 상기 터치패드와 더불어 별도의 보조 버튼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이 터치패드를 이용한다는 개념만 기술하고 있을 뿐,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보다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ethods using a touch pad have been proposed in the related art. However, in the related art using the touch pad, two touch pads should be used, and a separate auxiliary button should be provided along with the touch pad. In addition, the prior art only describes the concept of using the touch pad as described above, and does not describe a more specific method of using the touch pad.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패드를 이용한 방안들은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목적 지점과 조작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주어지는 손동작에 따른 속도와 힘을 이용할 수 없으며, 터치패드를 이용한 슬라이딩(Sliding) 기능의 부재로 인하여 데이터 검색에 대한 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methods using the touch pa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o not know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desired destination point.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it is not possible to use the speed and force according to the hand gestures given by the use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eed for data retrieval is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the absence of a sliding function using the touch pad.
이에 제안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데이터 일예로 이미지의 검색 및 확인 등의 동작 수행시 하나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빠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활용 방안에 대하여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버튼의 필요 없이 하나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이동, 스크롤 등의 기능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현재의 이동 단말기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터치패드 상의 포인트 이동을 스크롤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by the user using the touch pad in the mobile terminal to enable the user to quickly move with a simple operation by using a single touch pad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searching and checking the image as an example of data Present the plan.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ingle touch pa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button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moving, scrolling,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That is,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current mobile terminal use state and makes use of the point movement on the touch pad as a scroll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동작과 이미지의 움직임을 일치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에 따른 명쾌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손동작을 이동 단말기에서 인식함으로써 데이터의 목적 지점까지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동시 손동작의 힘과 속도를 이용하여 데이터 검색 또는 확인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tch the motion of the user's hand and the image of the user to give the user a clear feel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 addition, the user's hand gestures are recognized by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ser's hand movement can be easily moved to a target point of the data, and the data can be efficiently searched or verified by using the force and speed of the hand gesture during the move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소정 데이터의 검색 또는 확인 등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고,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의 손동작에 상응하여 검색 또는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방식의 데이터 검색 또는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onvenience caused by searching or confirming predetermined data in the mobile terminal is improved, and the user can search or confirm corresponding to the hand gesture of the user using the touch pad, thereby making it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To provide data retrieval or verification services.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노트북(Notebook),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오디오(Audio) 기기, 텔레비전,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obil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Preferably,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P3 players, notebooks, personal computers, audio devices, televisions, digital cameras, and the like, and applic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는 상기 터치패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와 같이 상기 터치패드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모든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touch pad. For example, all devices having a function equivalent to the touch pad, such as a pointing device, and the same, may be used.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ppl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먼저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크게, 입력 수단, 처리 수단, 저장 수단, 출력 수단 및 통신 수단으로 구분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2,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put means, a processing means, a storage means, an output means, and a communication means.
상기 입력 수단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207), 사용자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입력부(209) 및 외부 소정 물체의 촬영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카메라(213) 및 압력 감지기를 포함하는 작은 평판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하여 접촉하면 압력을 인지하고, 이에 상응하여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19)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포인터를 동작, 화면상의 데이터의 검색 또는 이동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패드(223)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와 같은 구성 장치들을 통해,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input means includes an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카메라(21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15), 상기 신호 처리부(215)에서 디지털 처리된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217), 상기 오디오 처리부(207)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키입력부(209)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 등의 처리를 담당하는 데이터 처리부(205), 상기 이동 단말기 내부 블록들의 일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201)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패드(223)를 통해 전달되는 소정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상기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부가기능 각각에 대응하는 일련의 처리를 담당한다.The processing means may include a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부가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메모리(211) 등을 포함한다.The storage means is responsible for storing use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and storing an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또는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부가기능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9)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207)를 포함한다. 즉,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 관련된 데이터 및 각 부가기능에 따른 화면을 출력한다.The output means includes a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사용자 등으로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의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며,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 처리부(203) 및 안테나(Antenna) 등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means is responsib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user data to another external user or the like an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ent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web server, and will be referred to as a radio frequen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RF'). A
상기한 바와 같은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RF 처리부(203)는 휴대전화 통신,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 처리부(20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처리부(205)는 상기 RF 처리부(203)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RF 처리부(20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복조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at each of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the
상기 오디오 처리부(207)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05)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처리부(20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입력부(209)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숫자, 문자 및/또는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The
상기 메모리(211)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패드(223)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각각의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데이 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모든 상위/하위 메뉴, 각 메뉴에 상응하는 어플레이션 및 사용자 데이터 등이 서로간에 매핑(mapping)되어 각각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The
또한 상기 터치패드(223)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터치패드(223)의 입력에 대한 결과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터치패드(223)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터치패드(223)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인식되는 정보의 변환 및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gram module according to the
상기 제어부(201)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키입력부(209)로부터 모드 설정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되는 모드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0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22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이 전달되면, 상기 입력을 판단하고 그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19) 화면상의 포인터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19) 화면상의 데이터를 드래그(Drag) 동작을 통해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터치패드(223)의 동작에 상응하여 포인터 등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처리한다.The
상기 카메라(213)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인코 더(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처리부(215)는 상기 카메라(21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The
상기 영상처리부(217)는 상기 신호처리부(215)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215)는 상기 제어부(201)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9)의 규격에 맞추어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219)는 상기 영상처리부(217)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223)를 통한 입력이 발생하면, 그에 상응하여 포인터의 이동을 표시하고, 드래그 방식 예컨대, 상하좌우 동작에 상응하여 화면상에 제공된 데이터의 이동을 표시한다.The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1)는 상기 터치패드(223)로부터 전달되는 소정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한다. The analog /
상기 터치패드(223)는 압력 감지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 등을 통한 접촉이 발생하면, 그에 상응하여 압력을 인지하고, 화면상의 포인터 동작 또는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1)로 전달한다. 상기 터치패드(223)는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포인터 동작 또는 드래그 동작 등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19)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메뉴, 데이터 등의 검색 또는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패드(221) 는 예컨대, 포인팅 디바이스와 같이 상기 터치패드(221)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모든 기기 또는 그에 대한 응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에서 살펴본 제어부(201), RF 처리부(203), 데이터처리부(205), 오디오처리부(207), 메모리(211), 신호처리부(215), 영상처리부(217)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1) 등은 상기 도 3과 같은 이동 단말기(310)에 내장된다. 상기 도 2에서 살펴본 디스플레이부(219)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 330의 일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3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도 2에서 살펴본 키입력부(209)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 350의 일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3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Next, referring to FIG. 3, FIG. 3 shows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도 2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223)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 370의 일예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310) 상에 숫자키 등의 입력 버튼들을 포함하는 상기 키입력부(35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 선택 기능, 드래그 기능 등을 포함하는 기능키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도 3에서 터치패드(370)가 형성되는 위치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터치패드(370)는 상기 키입력부(350)의 하부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310)의 전체 구조에 상응하여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드(370)를 이동 단말기(310)에 포함하여 방향키, 선택 및 드래그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빠르고, 간편한 데이터의 검색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350)의 키 버튼들이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상기 터치패드(370)는 사용자의 메뉴 사용, 데이터 검색 또는 확인 등의 조작성을 높여주고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조작 방법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A to 4C schematically illustrate examples of an operation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a 내지 도 4c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가 확대되어 일부분만 보이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의 다른 영역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도 4a 및 도 4b에서는 터치패드의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여 상하좌우 방향키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희망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 4c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여러 가지의 이미지를 터치패드의 드래그 방식 및/또는 터치 방식을 통해 검색 및/또는 선택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도 4c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한 화면상에 여러 가지의 이미지가 동시에 제공되는 경우에 다음 페이지로 자동으로 넘어가기 위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슬라이딩 동작의 예를 나타낸다.4A to 4C, FIGS. 4A and 4B are examples of an operation for identifying another area of the image when the image is enlarged and only a part of the image is seen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is, FIGS. 4A and 4B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user moves to a desired point by providing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using a drag method of the touch pad. 4C illustrates an example of searching and / or selecting various images provided on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through a drag method and / or a touch method of a touch pad. In addition, FIG. 4C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liding operation using a touch pad for automatically moving to the next page when various images are simultaneously provided on on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도 4a는 이동 단말기에서 예컨대, 확대된 이미지를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는 조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상에 제공되는 이미지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 상기 터치패드를 우측 방향으로 문지르는 동작과 같은 드래 그 방식 또는 상기 터치패드 상의 우측 부분을 누르는 동작 즉, 클릭과 같은 스크롤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 조작을 통해 이동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이동 시작 지점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목표 지점으로 이동시, 사용자에 의한 손동작의 속도 예컨대, 드래그 속도 또는 눌러지는 힘 예컨대, 클릭 강도 등에 따라 이미지의 움직임 속도 및/또는 거리를 그에 상응하여 변경시킬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A, FIG. 4A sequentially illustrates an operation method of moving an enlarged image to the right using a touch pad, for example, in a mobile terminal. The user provides the image on a screen as shown in FIG. 4A. When moving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image, a drag operation such as an operation of rubbing the touch pad in a right direction or an operation of pressing a right portion on the touch pad, that is, a scroll method such as a click, moves through a movement operation.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moving start point of the image to the desired target point by using the touch pad as described above, the speed of the hand gesture by the user, for example, the drag speed or the pressing force, for example, a click The speed and / or distance of movement of the ima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r the like.
상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번의 조작을 통해 상기 확대된 이미지의 검색 및 확인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여러 번의 조작 횟수를 단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도 1a에서 나타낸 4번의 방향키 클릭의 동작을 한번의 동작으로 단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operation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may be reduced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searching and confirming the enlarged image through one operation.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clicking the four direction keys shown in FIG. 1A can be shortened to one operation.
상기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도 4b는 이동 단말기에서 예컨대, 확대된 이미지를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사선으로 이동하는 조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상에 제공되는 이미지의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이동시, 상기 터치패드를 우측 하단 방향으로 문지르는 동작과 같은 드래그 방식 또는 상기 터치패드 상의 우측 하단 부분을 누르는 동작과 같은 클릭/스크롤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 조작을 통해 이동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이동 시작 지점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목표 지점으로 이동시, 사용자에 의한 손동작의 속도 예컨대, 드래그 속도 또는 눌러지는 힘 예컨대, 클릭 강도 등에 따라 이미지의 움직임 속도 및/또는 거리를 그에 상응하여 변경시킬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B, FIG. 4B sequentially illustrates an operation method of moving an enlarged image diagonally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and a user provides it on a screen as shown in FIG. 4B. When moving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right of the image, the movement is performed by using a drag method such as rubbing the touch pad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or a click / scroll method such as pressing the lower right part of the touch pad. do.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moving start point of the image to the desired target point by using the touch pad as described above, the speed of the hand gesture by the user, for example, the drag speed or the pressing force, for example, a click The speed and / or distance of movement of the ima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r the like.
상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상기 확대된 이미지의 검색 및 확인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여러 번의 조작 경로 예컨대, '좌측 X번 + 하측 Y번'과 같은 여러 번의 분할된 조작 방법에 따른 경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4B,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arch and confirmation operation of the enlarged image is performed through a simple operation, several operation path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r example, 'left X' + 'down 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ath according to several divided operation methods such as.
상기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도 4c는 이동 단말기에서 예컨대, 다수개의 이미지를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방식 및 클릭 방식으로 이미지의 이동/검색 및 선택하는 조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수개의 이미지 이동/검색시, 터치패드를 이용한 드래그 방식 또는 클릭/스크롤 방식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개의 이미지간 이동/검색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의 클릭 방식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해서 이동 단말기는 다른 이미지들에 비해 소정 크기로 확대된 형태로 보여준다. Referring to FIG. 4C, FIG. 4C sequentially illustrates an operation method of moving, searching, and selecting an image in a mobile terminal by sliding and clicking a plurality of images, for example, using a touch pad. As illustrated in FIG. 4C, when moving / searching a plurality of images provided by a mobile terminal, a plurality of images are moved / searched by a sliding method using a drag method or a click / scroll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ddition, the user may select a predetermined image from the image moved by the sliding method using a click method of the touch pad.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preferably shows the selected image enlarged to a predetermined size compared to other images.
또한 상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되는 이미지에서 터치패드의 클릭과 같은 소정의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 상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를 선택 창 등을 통해 이미지 선택 화면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슬라이딩을 종료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 이미지를 화면상에 바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슬라이딩시 터치패드를 통해 최초 이벤트 예컨대, 한번의 클릭 등이 입력되면 해당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이미지 선택 화면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의 클릭 이벤트 예컨대, 한번의 클릭 또는 두번의 클릭 등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 이미지를 활성화하여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event such as a click of a touch pad occurs in the sliding image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as shown in FIG. 4C, an image selection screen is provided through a selection window or the like, or When the above event occurs, the sliding may be terminated and the selected image may be directly provided on the screen. In addition, preferably, when the first event, for example, a single click, is input through the touch pad during the sliding of the image, the corresponding image is selected, and at least one click event, for example, one click or two clicks, is selected on the image selection screen. When inputted, the selected image is activated and provid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가 선택 또는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드래그 또는 이동 단말기에 설정된 클릭 횟수, 스크롤 동작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슬라이딩을 재개하도록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when the image is selected or activated, sliding is resumed when an event such as a number of clicks or a scroll action set in the mobile terminal is dragged through the touch pad.
또한 상기 도 4c에서와 같은 경우에서도 터치패드에 가해지는 사용자에 의한 손동작의 속도 예컨대, 드래그 속도 또는 눌러지는 힘 예컨대, 클릭 강도 등에 따라 이미지의 움직임 속도 즉, 슬라이딩 속도 및/또는 거리를 그에 상응하여 변경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패드에 가해지는 터치 속도에 상응하여 이미지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패드를 터치 속도에 상응하여 이미지 검색 속도는 가변되며, 가속도에 의한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이미지 검색시 별도의 입력키가 필요 없이 한번의 터치로 여러 장의 이미지에 대한 검색, 이동 및 선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FIG. 4C, the movement speed of the image, that is, the sliding speed and / or the distance, is corresponding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hand gesture applied to the touch pad, for example, the drag speed or the pressing force, for example, the click intensity. You can also change it. As described abov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creen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touch speed applied to the touch pad. In this case, the image search speed is variable to correspond to the touch speed of the touch pad, and the search may be performed by acceleration. 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touch can perform a function such as searching, moving, and selecting a plurality of images without a separate input key when searching a plurality of images.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의 동작 활용 방안에 대하여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Next, a method of using the touch pa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의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손동작 또는 펜 동작에 상응하는 터치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5,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operation of a touch pad corresponding to a hand gesture or a pen gesture of a user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여 좌로 이동 또는 우로 이동하는 드래그/스크롤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As shown in (a) of FIG. 5, the touch pad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drag / scroll to move left or right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상기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여 사선 동작 예컨대,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이동 또는 우측 하단에서 좌측 상단으로 이동하는 드래그/스크롤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As shown in (b) of FIG. 5, the touch pad performs an oblique operation, for example, a drag / scroll movement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right or the lower right to the upper left in response to the user's motion. do.
상기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여 사선 동작 예컨대,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이동 또는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으로 이동하는 드래그/스크롤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As shown in (c) of FIG. 5, the touch pad performs an oblique operation, for example, a drag / scroll movement from the upper right to the lower left or the lower left to the upper right in response to a user's motion. do.
상기 도 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여 터치 동작 예컨대, 원 클릭(One Click) 또는 더블 클릭(Double Click)에 의한 선택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As shown in (d) of FIG. 5, the touch pad performs a touch operation, for example, selection by one click or double click, in response to a user's ac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retrieval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예컨대, 슬라이드 자동 미리보기(Preview) 화면에서 이미지 검색 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상기 슬라이드 이미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속도에 상응하여 스크롤링(scrolling)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search method in, for example, an automatic preview screen of a slid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ome embodiments, the scrolling may be scrolled according to the touch speed.
상기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각 이미지들이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이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개별적인 이미지들간 화면 전환 또는 페이지 이동과 같은 개념을 포함한다. As shown in (a) of FIG. 6, it can be seen that image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or images received from the outside are sequentially moved by a slide method. Here, the movement preferably includes concepts such as screen switching or page movement between individual images.
상기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미지 이동 중,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좌 또는 우로 드래그하면, 그 속도의 비율에 상응하여 이미지의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드래그에 상응한 화면 전환 후에는, 바람직하게는 처음 설정된 속도로 변경된다. As shown in (b) of FIG. 6, when the user drags the touchpad to the left or the right while moving the image in the slide method in (a), the screen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speed. After switching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drag, it is changed to the initially set speed.
상기 도 6에서는 각 이미지들의 슬라이드 제공 방식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공되는 예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초기 기본 설정 값에 따른 이미지의 슬라이드 제공 중에, 터치패드에 의해 드래그가 발생하면 그에 상응하여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 6, the slide providing method of each image is provided as an example provided from left to righ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during the provision of the slide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initial default setting value, if a drag occurs by the touch pad, it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ly from left to right or from right to lef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미지 선택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selection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예컨대, 슬라이드 자동 미리보기 화면에서 이미지 선택 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7,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selection method in, for example, a slide auto preview scree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각 이미지들이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이라 함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개별적인 이미지들간 화면 전환 또는 페이지 이동과 같은 개념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a) of FIG. 7, it can be seen that image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or images received from the outside are sequentially moved by a slide method. Here, the movement preferably includes a concept such as screen switching or page movement between each individual image as described above.
상기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미 지 이동 중, 사용자에 의해 터치패드를 통해 소정의 이벤트 예컨대, 터치가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에서는 화면상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화면상의 가운데에 소정의 이미지 선택 창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이미지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소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포함하며, 또한 설정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 등에 의해 눌려지는 상태 즉,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7, when a predetermined event, for example, a touch occurs through a touch pad by a user while moving the image in the slide method in (a), the mobile terminal is preferably on the inside of the screen. Preferably, while providing a predetermined image selection window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he sliding speed of the image is reduced and provided. Here, the predetermined event may include a touch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and may also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touch pad is pressed by the user's finger or pen according to a setting, that is,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
또한, 상기 슬라이딩 속도가 감소하면서 이동하던 임의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선택 창 안에 위치하면 상기 이미지를 소정 크기로 확대하여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이미지 슬라이딩을 설정된 소정의 시간만큼 정지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시간이라 함은 이동 단말기에 초기 설정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상응하여 사용자 임의의 시간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상기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들의 슬라이딩을 재개한다.In addition, when an arbitrary image that is moving while the sliding speed is decreased is positioned in the image selection window, the image is enlarged and provid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image sliding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predetermined time is initially set in the mobile terminal, and of course, the predetermined time valu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ereafter,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sliding of the images is preferably resumed.
상기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b)에서 소정의 이미지가 선택되어 소정 크기로 확대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소정의 이벤트 예컨대, 적어도 한번 이상의 터치(원 클릭 또는 더블 클릭 등)가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에서는 현재 화면상에 선택된 이미지를 화면의 전체 크기(Full size)로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a)의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터치패드를 터치 예컨대, 원 클릭 또는 더블 클릭을 이용하여 화면상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이미지를 상기 (c)에서와 같이 바로 전체 크기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c) of FIG. 7, on a screen in which a predetermined image is selected and enlarged to a predetermined size in (b), a predetermined event, for example, at least one touch (through at least one touch) When one click or double click occurs),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the image selected on the current screen in the full size of the screen. Also, preferably, in the state of (a), the touchpad may be touched, for example, by using one-click or double-click, to provide the image most frequ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in full size as in (c). Of course you can.
상기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c)에서와 같이 소정의 이미지가 선택되어 전체 크기로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소정의 이벤트 예컨대, 터치 또는 드래그 등이 발생하면 상기 (a)로 이동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a)로 이동시 미리 설정된 방식에 상응하여 초기 이미지에서 슬라이딩을 재개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 이미지의 다음 이미지부터 슬라이딩을 재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c)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상기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와 같이 (a)로 이동하도록 하고, 드래그가 발생하면 상기 전체 크기 상태에서 다음 이미지 또는 이전 이미지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d) of FIG. 7,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image is selected and provided in full size as in (c), a predetermined event, for example, touch or drag, is perform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pad. If this occurs, go to (a) above. In this case, preferably, when moving to (a), the sliding is resumed in the initial image or the sliding is resumed from the next image of the select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method. Also preferably,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uch occurs through the touch pad in the same state as in (c), the mobile terminal moves to (a)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you can move to the next or previous image in siz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선택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n image search / selection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예컨대, 분할 형태 예컨대, 3 x 3 미리보기 화면에서 이미지 검색 및 선택 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8,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search and selection method in, for example, a divided form, for example, a 3 × 3 preview scree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각 이미지들이 화면상에 분할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분할 형태의 각 이미지들이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이라 함은, 상기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이미지 선택 창 예컨대, 분할 형태의 이미지 크기에 상응하는 사각 박스가 이동하는 개념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a) of FIG. 8, the image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or the images received from the outside are provided in a divided form on the screen, and the divided images are sequentially moved by a slide method. Able to know. Here, the movement preferably includes the concept of moving a rectangular box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image selection window, for example, a divided image size, as shown in (a) of FIG. 8.
상기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에서와 같이 제공되는 초기화면 또는 상기 (a)에서 상기 이미지 선택 창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미지 이동 중, 사용자 터치패드를 상하좌우 또는 사선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상하좌우 또는 사선 방향의 드래그 또는 스크롤 기능에 상응하여 상기 이미지 선택 창을 이동하여 해당 이미지에 오버레이(overlay) 한다. As shown in (b) of FIG. 8, the user's touch pad is moved up, down, left, or rightwards while moving the image in the initial screen provided as in (a) or the image selection window in a slide manner in (a). When the drag or scroll function is performed, the mobile terminal moves the image selection window corresponding to the drag or scroll function in the up, down, left, or right directions and overlays the image on the corresponding image.
또한 상기 도 8의 (b)에서, 상기 도 7의 (b) 및 (c)에서와 같이 상기 이미지 선택 창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미지 이동 중, 터치패드를 통해 소정의 이벤트 예컨대, 터치 또는 소정의 압력이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이미지 선택 창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소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속도가 감소하면서 이동하던 임의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선택 창 안에 위치하면 상기 이미지를 소정 크기로 확대하여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이미지 슬라이딩을 설정된 소정의 시간만큼 정지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시간이라 함은 이동 단말기에 초기 설정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상응하여 사용자 임의의 시간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상기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들의 슬라이딩을 재개한다.In addition, in (b) of FIG. 8, as shown in (b) and (c) of FIG. 7, a predetermined event, for example, a touch or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touch pad while the image selection window is moved in a slide manner. When generated, the mobile terminal reduces and provides a sliding speed of the image selection window. In addition, when an arbitrary image that is moving while the sliding speed is decreased is positioned in the image selection window, the image is enlarged and provid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image sliding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predetermined time is initially set in the mobile terminal, and of course, the predetermined time valu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ereafter,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sliding of the images is preferably resumed.
또한 상기 도 8의 (b)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이미지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소정의 이벤트 예컨대, 적어도 한번 이상의 터치(원 클릭 또는 더블 클릭 등)가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에서는 현재 화면상에 선택된 이미지를 화면의 전체 크기(Full size)로 제공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B, when a predetermined event, for example, at least one touch (one click or double click, etc.) occurs through the touch pad while the predetermined image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the selected image on the current screen in full siz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검색 및 보기 예컨대, 이미지 검색, 이미지 보기, 텍스트 보기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속도 감응 및 자유방향 지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미지 또는 문서 검색, 선택 및 확인 등을 터치패드를 이용한 드래그/터치/스크롤 등의 동작을 통해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include software such as data search and view, for example, image search, image view, text view, and the like, and the touch pad may also include a speed response and Free direction perception i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or document search, selection, and confirmat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easily through operations such as drag / touch / scroll using a touch pad.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바람직한 동작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먼저, 901단계에서 터치패드로부터 소정의 입력 신호 예컨대, 소정 크기의 압력이 인가됨을 인지하면 9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903단계에서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판단한다. 상기 90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 신호가 터치패드를 이용한 드래그 방식으로 판단되면 90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90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 신호가 터치패드를 이용한 드래그 방식이 아니면 9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입력이 터치 방식인지를 판단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at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for example, a predetermined magnitude of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touch pad in
상기 905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상기 드래그 방향 예컨대, 상하좌우 또는 사선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방향에 상응하여 현재 제공된 화면을 이동한 후 907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화면 제공시,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드래그 되는 속도 및/또는 힘에 상응하여 화면 이동의 속도를 가변적으로 제공한다.In
상기 907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드래그에 상응하여 목표 지점으로 이동 후, 상기 이동에 따른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후 사용자 입력을 대기한다. 상기 907단계에서 사용자 입력 대기 중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소정 입력이 발생하면 909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소정 입력이 상기한 903단계에서와 같이 드래그에 의한 방식이 입력되면, 바람직하게는 해당 화면에서 상기한 절차를 수행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In
상기 909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이 터치 방식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909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이 터치 방식이면 91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909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이 터치 방식이 아니면 91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소정 시간 대기한다.In
상기 911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터치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방식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입력에 상응하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다수개의 이미지에서 상기 터치 방식을 통해 임의의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전체 크기의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제공 방식이 슬라이딩 또는 스크롤링 방식이 제공되는 경 우 미리 설정된 값에 상응하여 슬라이딩 또는 스크롤링 속도를 감소하고 소정의 선택 창을 화면상에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상기 913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한 입력 종료로 판단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 설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입력 종료 판단시, 사용자 설정에 의해 모든 플로우를 종료하거나, 또는 마지막 제공화면 예컨대, 상기 907단계에서 제공된 화면 상태는 유지하며, 화면 전원만 오프(Off)하도록 설정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동작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모든 응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상기 913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하면, 사용자 요청에 따른 상기 입력에 상응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I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제공 화면보다 크게 나타나는 데이터 예컨대, 이미지, 텍스트 등을 검색/선택/확인 등을 수행할 때, 상하좌우, 사선 및 이들의 조합에 상응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데이터 검색시 상기 터치패드를 드래그 또는 터치하는 속도에 상응하여 검색 가능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데이터 검색시, 이동 단말기의 자동 슬라이딩 또는 스크롤 링 미리보기 기능과 연동하여 보다 편리한 데이터 검색/선택/확인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a search / selection / confirmation of data, for example, an image or a text, which is larger than a screen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up, down, left, right, diagonal lines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that can move freely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rchabl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peed of dragging or touching the touch pad during the data search. In addition, when searching data using the touch pad, an operation such as data searching / selection / confirmation may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by interworking with the automatic sliding or scroll ring preview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패드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터치패드를 비롯하여 그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응용 기기 예컨대, 포인팅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pad fo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and may also include an application device, such as a pointing device, and the like, including the touch pad. hav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of cours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최근 이동 단말기에서 증가하고 있는 이미지, 지도정보, 웹 문서 및 기타 문서 파일 등을 검색하고 열람할 때,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의 빠른 검색 및 열람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화명상의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해당 정보를 보다 정밀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검색 및 열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touchpad 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searches for and views images, map information, web documents, and other document files, which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When doing so, it is possible to quickly search and view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using the touchpa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earch and view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in the image data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in a more precise and various manner using the touchpad.
또한 기존 이동 단말기에서 수회 내지 수십 회의 방향키 조작 및 그에 따른 경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이동 단말기에서 방향키 조작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제거하고, 보다 간편한 조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데이터 검색에서 기존에 부가적으로 적용된 버튼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several times or several times in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in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operation metho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additionally applied buttons from the data search using the touchpad.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providing a variety of services using the touchpad.
Claims (25)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4456A KR100746874B1 (en) | 2006-03-16 | 2006-03-16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
EP07102219A EP1835386A3 (en) | 2006-03-16 | 2007-02-13 | Touchpad-based input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
CN200710005837.5A CN101038524B (en) | 2006-03-16 | 2007-02-25 | Touchpad-based input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
US11/717,527 US20070236477A1 (en) | 2006-03-16 | 2007-03-13 | Touchpad-based input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4456A KR100746874B1 (en) | 2006-03-16 | 2006-03-16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6874B1 true KR100746874B1 (en) | 2007-08-07 |
Family
ID=3806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4456A Active KR100746874B1 (en) | 2006-03-16 | 2006-03-16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236477A1 (en) |
EP (1) | EP1835386A3 (en) |
KR (1) | KR100746874B1 (en) |
CN (1) | CN101038524B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1474B1 (en) | 2008-12-04 | 2011-01-28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Thumbnail image retrieva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KR101080676B1 (en) | 2009-05-11 | 2011-11-08 | 주식회사 텔레칩스 | Image zooming, reducing, moving method by one point touch handling on touch screen |
US8365099B2 (en) | 2007-09-28 | 2013-01-29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KR101549558B1 (en) * | 2009-03-18 | 2015-09-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10917B2 (en) | 1998-05-15 | 2003-08-26 | Lester F. Ludwig | Activity indication, external source, and processing loop provisions for driven vibrating-element environments |
US8683362B2 (en) | 2008-05-23 | 2014-03-25 | Qualcomm Incorporated |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
US8296684B2 (en) | 2008-05-23 | 2012-10-2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
US8302033B2 (en) | 2007-06-22 | 2012-10-30 | Apple Inc. |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maps, directions,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
US8327272B2 (en) | 2008-01-06 | 2012-12-04 | Apple Inc. |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nd managing electronic calendars |
WO2009114009A1 (en) * | 2008-03-11 | 2009-09-1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touchpad input |
EP2141574B1 (en) | 2008-07-01 | 2017-09-27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US8345014B2 (en) | 2008-07-12 | 2013-01-01 | Lester F. Ludwig | Control of the operating system on a computing device via finger angle using a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touch user interface |
US8482381B2 (en) * | 2008-07-31 | 2013-07-09 | Palm, Inc. | Multi-purpose detector-based input feature for a computing device |
CN101639753A (en) * | 2008-08-01 | 2010-02-03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Electronic equipment with touch screen and aspect ratio adjusting method thereof |
KR20100027686A (en) * | 2008-09-03 | 2010-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JP2010165337A (en) * | 2008-12-15 | 2010-07-29 | Sony Corp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US8464182B2 (en) * | 2009-06-07 | 2013-06-11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maps, directions,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
US8797364B2 (en) * | 2009-10-23 | 2014-08-05 |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
JP5738889B2 (en) | 2009-12-18 | 2015-06-24 | シナプ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Transcapacitance type sensor device including OHMICSEAM |
US8862576B2 (en) | 2010-01-06 | 2014-10-14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pping directions between search results |
US9417754B2 (en) | 2011-08-05 | 2016-08-16 | P4tents1, LLC |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JP5866957B2 (en) * | 2011-10-17 | 2016-02-24 | ソニー株式会社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US10191641B2 (en) | 2011-12-29 | 2019-01-29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on of information in a map-based interface |
CN109298789B (en) | 2012-05-09 | 2021-12-31 | 苹果公司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on activation status |
WO2013169842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
EP2847659B1 (en) | 2012-05-09 | 2019-09-04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display states in response to a gesture |
WO2013169865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
WO2013169849A2 (en) | 2012-05-09 | 2013-11-14 | Industries Llc Yknots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
DE112013002409T5 (en) | 2012-05-09 | 2015-02-26 | Apple Inc. | Apparatus,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
WO2013169851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
WO2013169845A1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
WO2013169877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
EP3594797B1 (en) | 2012-05-09 | 2024-10-02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
WO2013169843A1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
WO2013169875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
WO2013169882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
EP2850510A2 (en) * | 2012-05-18 | 2015-03-2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
JP6080461B2 (en) * | 2012-10-01 | 2017-02-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Operatio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
US9229632B2 (en) * | 2012-10-29 | 2016-01-05 | Facebook, Inc. | Animation sequence associated with image |
US9081410B2 (en) | 2012-11-14 | 2015-07-14 | Facebook, Inc. | Loading content on electronic device |
US9507483B2 (en) | 2012-11-14 | 2016-11-29 | Facebook, Inc. | Photographs with location or time information |
US9547416B2 (en) | 2012-11-14 | 2017-01-17 | Facebook, Inc. | Image presentation |
US9684935B2 (en) | 2012-11-14 | 2017-06-20 | Facebook, Inc. | Content composer for third-party applications |
US9245312B2 (en) | 2012-11-14 | 2016-01-26 | Facebook, Inc. | Image panning and zooming effect |
US9606695B2 (en) | 2012-11-14 | 2017-03-28 | Facebook, Inc. | Event notification |
US9547627B2 (en) | 2012-11-14 | 2017-01-17 | Facebook, Inc. | Comment presentation |
US9607289B2 (en) | 2012-11-14 | 2017-03-28 | Facebook, Inc. | Content type filter |
US9218188B2 (en) | 2012-11-14 | 2015-12-22 | Facebook, Inc. | Animation sequence associated with feedback user-interface element |
US9696898B2 (en) | 2012-11-14 | 2017-07-04 | Facebook, Inc. | Scrolling through a series of content items |
US9507757B2 (en) | 2012-11-14 | 2016-11-29 | Facebook, Inc. | Generating multiple versions of a content item for multiple platforms |
US9235321B2 (en) | 2012-11-14 | 2016-01-12 | Facebook, Inc. | Animation sequence associated with content item |
US9606717B2 (en) | 2012-11-14 | 2017-03-28 | Facebook, Inc. | Content composer |
EP2939095B1 (en) | 2012-12-29 | 2018-10-03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
HK1212064A1 (en) | 2012-12-29 | 2016-06-03 | 苹果公司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
HK1215091A1 (en) | 2012-12-29 | 2016-08-12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user interface hierarchies |
JP6097843B2 (en) | 2012-12-29 | 2017-03-15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etermining whether to scroll or select content |
WO2014105279A1 (en) | 2012-12-29 | 2014-07-03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
WO2014105275A1 (en) | 2012-12-29 | 2014-07-03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
CN104035686B (en) * | 2013-03-08 | 2017-05-24 | 联想(北京)有限公司 | Document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CN103440097A (en) * | 2013-07-29 | 2013-12-11 |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touch pad cursor to slide on the basis of pressure |
JP6206250B2 (en) * | 2014-02-26 | 2017-10-0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
US9645732B2 (en) | 2015-03-08 | 2017-05-09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
US10048757B2 (en) | 2015-03-08 | 2018-08-14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
US9990107B2 (en) | 2015-03-08 | 2018-06-05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
US10095396B2 (en) | 2015-03-08 | 2018-10-09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
US9632664B2 (en) | 2015-03-08 | 2017-04-25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
US9785305B2 (en) | 2015-03-19 | 2017-10-10 | Apple Inc. |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
US9639184B2 (en) | 2015-03-19 | 2017-05-02 | Apple Inc. |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
US20170045981A1 (en) | 2015-08-10 | 2017-02-16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
US10152208B2 (en) | 2015-04-01 | 2018-12-11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
US9860451B2 (en) | 2015-06-07 | 2018-01-02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
US9674426B2 (en) | 2015-06-07 | 2017-06-06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
US9891811B2 (en) | 2015-06-07 | 2018-02-13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
US10200598B2 (en) | 2015-06-07 | 2019-02-05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
US9830048B2 (en) | 2015-06-07 | 2017-11-28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
US10346030B2 (en) | 2015-06-07 | 2019-07-09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
US10416800B2 (en) | 2015-08-10 | 2019-09-17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
US10235035B2 (en) | 2015-08-10 | 2019-03-19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
US10248308B2 (en) | 2015-08-10 | 2019-04-02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
US9880735B2 (en) | 2015-08-10 | 2018-01-30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
EP3416036A4 (en) * | 2016-02-29 | 2019-01-16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SLIDING PAGE, AND USER TERMINAL |
CN110321449B (en) * | 2019-06-28 | 2021-07-2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A pictur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
CN113497888B (en) * | 2020-04-07 | 2023-05-02 | 华为技术有限公司 | Photo preview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KR20230010759A (en) | 2020-05-18 | 2023-01-19 | 애플 인크. | User interfaces for viewing and ref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
US11409410B2 (en) | 2020-09-14 | 2022-08-09 | Apple Inc. | User input interfaces |
CN117561497A (en) * | 2021-05-19 | 2024-02-13 | 斯纳普公司 | Touch pad input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96015A (en) | 2002-01-30 | 2003-10-17 | Casio Comput Co Ltd | Electronics |
JP2003330613A (en) | 2002-05-13 | 2003-11-21 | Mobile Computing Technologies:Kk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information, and display control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23473A (en) * | 1999-07-07 | 2001-01-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transparent touch panel switch used therefor |
CN1241109A (en) * | 1999-07-19 | 2000-01-12 | 王德洪 | Method for manufacturing big water tank type electric conducting compound tile |
JP2001076582A (en) * | 1999-09-01 | 2001-03-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Electronics |
US6690365B2 (en) * | 2001-08-29 | 2004-02-10 | Microsoft Corporation | Automatic scrolling |
US7433546B2 (en) * | 2004-10-25 | 2008-10-07 | Apple Inc. | Image scaling arrangement |
JP2003316502A (en) * | 2002-04-25 | 2003-11-07 | Sony Corp | Terminal equipment and character input method |
JP3977684B2 (en) * | 2002-05-21 | 2007-09-19 | 株式会社東芝 | Digital still camera |
US7495659B2 (en) * | 2003-11-25 | 2009-02-24 | Apple Inc. |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
NZ553141A (en) * | 2004-07-19 | 2009-08-28 | Creative Tech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scrolling |
US20060176403A1 (en) * | 2005-01-05 | 2006-08-10 | Hillcrest Laboratories, Inc. | Distributed software construction for user interfaces |
US7760189B2 (en) * | 2005-01-21 | 2010-07-20 | Lenovo Singapore Pte. Ltd | Touchpad diagonal scrolling |
US20060164382A1 (en) * | 2005-01-25 | 2006-07-27 | Technology Licensing Company, Inc. | Image manipulation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a display |
TWM283240U (en) * | 2005-08-02 | 2005-12-11 | Quanta Comp Inc | Touch scroller |
US7786975B2 (en) * | 2005-12-23 | 2010-08-31 | Apple Inc. | Continuous scrolling list with acceleration |
-
2006
- 2006-03-16 KR KR1020060024456A patent/KR100746874B1/en active Active
-
2007
- 2007-02-13 EP EP07102219A patent/EP1835386A3/en not_active Ceased
- 2007-02-25 CN CN200710005837.5A patent/CN101038524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3-13 US US11/717,527 patent/US20070236477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96015A (en) | 2002-01-30 | 2003-10-17 | Casio Comput Co Ltd | Electronics |
JP2003330613A (en) | 2002-05-13 | 2003-11-21 | Mobile Computing Technologies:Kk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information, and display control method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65099B2 (en) | 2007-09-28 | 2013-01-29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KR101011474B1 (en) | 2008-12-04 | 2011-01-28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Thumbnail image retrieva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KR101549558B1 (en) * | 2009-03-18 | 2015-09-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080676B1 (en) | 2009-05-11 | 2011-11-08 | 주식회사 텔레칩스 | Image zooming, reducing, moving method by one point touch handling on touch scree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835386A2 (en) | 2007-09-19 |
CN101038524A (en) | 2007-09-19 |
EP1835386A3 (en) | 2013-02-20 |
CN101038524B (en) | 2015-06-10 |
US20070236477A1 (en) | 2007-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687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terminal | |
CN105512086B (en) |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US11054988B2 (en) |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US9280278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o organize and manipulate inform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via multi-touch gestures | |
US9274705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251761B1 (en) | Method for Data Transferring Between Applications and Termin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 |
CN110663016B (en) |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 |
KR101523979B1 (en) | A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in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thereof | |
KR10119961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creen Split Displaying | |
US861068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US2010009732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touch screen operation | |
US20130120271A1 (en) |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 |
EP3495933A1 (en) |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 |
EP2565769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icon in a portable terminal | |
US20130111346A1 (en) | Dual function scroll wheel input | |
US956909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keypad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
US10289298B2 (en) | Interface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 |
CN101655769A (en) |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
KR20150032392A (en) | Terminal including fingerprint reader and method for processing a user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reader | |
KR20100014095A (en) | Electronic apparatus implement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 |
US20140068484A1 (en) | Interface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 |
CN108958580A (en) | A kind of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 |
CN108170329A (en) | A kind of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 |
KR20100042405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 thereof | |
KR20110015747A (en) |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and a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on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