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310B1 -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systems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system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7310B1 KR100737310B1 KR20057011073A KR20057011073A KR100737310B1 KR 100737310 B1 KR100737310 B1 KR 100737310B1 KR 20057011073 A KR20057011073 A KR 20057011073A KR 20057011073 A KR20057011073 A KR 20057011073A KR 100737310 B1 KR100737310 B1 KR 100737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device
- communication
- personal information
- devices
- sto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통신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10)와의 통신이 가능하며 양자 모두의 통신 장치들이 정보 전송을 위해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서로 접속가능한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11,12)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통신 장치(11)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12)는 상기 제1 통신 장치(11)로부터 획득된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전용 메모리 영역(21)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의 개선되고 편리해진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장치(11)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장치(12)의 전용 메모리 영역(21) 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기 수단(22)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통신 장치(11)가 상기 제2 통신 장치(12)에 다시 접속될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 장치(12)에 저장된 상기 제1 통신 장치(11)로부터의 개인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장치(11) 내의 개인 정보와 비교한 후 단지 상기 제1 통신 장치(11)의 개인 정보의 변경들만이 상기 제2 통신 장치(12) 내에 저장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11, 12) in which each communication device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both communication devices are connectable to each other via a data link (17)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t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1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2 includes a dedicated memory area 21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1. Comparator means for compa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1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edicated memory area 21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2 to allow improved and convenient use of the system. 22 is provided. Therefore,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2 again, th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1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2 is stored. Only change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1 are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2 after comparison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1.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각의 통신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가능하며, 양자 모두의 통신 장치들이 정보 전송을 위해 데이터 링크를 통해 서로 접속가능한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each communication device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both communication devices compris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connectable to each other via a data link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t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on.
국제공개 특허출원 제WO 02/089449 A2호에는 제1 및 제2 무선 전화, 예컨대 이동 전화 및 카폰을 포함하는 무선 전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전화 시스템에서는 제2 무선 전화가 제1 무선 전화에 접속될 경우 제2 무선 전화가 통상의 채널 탐색 절차 등등을 수행하지 않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제1 무선 전화의 실제 접속 매개변수들 및 SIM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제1 무선 전화의 접속이 상기 제2 무선 전화로 전환될 수 있다.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02/089449 A2 discloses a radiotelephone system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radiotelephone,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car phone, in which the second radiotelephone is a first radiotelephone. When connected to the second wireless telephone may use the actual connection parameters and SIM information of the first wireless telephone to establish a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performing the usual channel search procedures and the like. Therefore, the connection of the first wireless telephone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switched to the second wireless telephone.
따라서, 예컨대 이동 전화 및 카폰을 소유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자는 상기 접속을 전환한 후에 자신의 이동 전화 대신에 자신의 차량 내에서 자신의 카폰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이동 전화의 가입자 번호를 사용하는 누군가에 의해 연 락을 받을 수 있다.Thus, for example, a user of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owns a mobile phone and a car can use his car in his vehicle instead of his mobile phone after switching the connection, but someone with the subscriber number of the mobile phone You can be contacted by
유사한 무선 시스템은 저전력 무선 주파수(low powered radio frequency; LPRF) 링크와 같은 로컬 무선 접속, 블루투스 접속, 또는 적외선 링크와 같은 다른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 장착된 휴대용 무선 전화들의 관리와 관련이 있는 국제공개 특허출원 제WO 02/21867 A2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한 무선 전화는 다른 한 무선 전화의 SIM이 한 무선 전화에 자체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과 같은 기능을 한 무선 전화가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무선 링크 기능의 적용 범위 내에 있는 다른 한 무선 전화 내에 포함된 SIM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한 무선 전화의 SIM 정보를 사용하는 무선 전화는 나머지 무선 전화에 이루어지는 모든 통화들이 나머지 무선 전화의 정보를 사용하는 무선 전화에 의해 수신되게 하기 때문에 통신 네트워크 내의 나머지 전화로서 간주된다. 그 외에도 한 무선 전화에 이루어진 임의의 통화들은 나머지 무선 전화에 의해 이루어진 것처럼 나타남으로써 요금이 청구된다. 더욱이,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각각의 사용자가 자기 자신의 (휴대용) 무선 전화를 지니는 한명의 사용자보다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하나의 무선 전화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Similar wireless systems include portable wireless telephones equipped with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 local wireless connection such as a low powered radio frequency (LPRF) link, a Bluetooth connection, or other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n infrared link. It is known from WO 02/21867 A2, which relates to management. Through the wireless link, one wireless telephone is within the coverage of the wireless link function to enable one wireless telephone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SIM of another wireless telephone is inserted into one wireless telephone by itself.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a SIM included in the wireless telephone. Thus, a wireless telephone using the SIM information of another wireless telephone is regarded as the remaining telephon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since all calls made to the other wireless telephone are received by the wireless telephone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remaining wireless telephone. In addition, any calls made to one wireless telephone are billed by appearing to be made by the other wireless telephone. Moreover,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one wireless telephone can be used by more than one user each user has his own (portable) wireless telephone.
유럽 특허 제EP 0 406 985 B1호는 제1 이동 셀룰러 무선 전화 및 고정 유선 전기 데이터 링크, 광 데이터 링크, 또는 무선 데이터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셀룰러 무선 전화에 접속될 수 있는 제2 핸드 포터블 셀룰러 무선 전화와 관련이 있다.EP 0 406 985 B1 discloses a first mobile cellular wireless telephone and a second hand portable cellular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cellular wireless telephone via a fixed wired electrical data link, an optical data link, or a wireless data link. Related to cordless phones
2개의 무선 전화들이 서로 접속될 경우, 상기 제1 이동 셀룰러 무선 전화는 가입자 번호 검색 형태,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핸드 포터블 셀룰러 무선 전화의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과 호환가능한 번호 할당 모듈(number assignment module; NAM)을 사용하지만 상기 제2 핸드 포터블 셀룰러 무선 전화의 R.F. 회로들은 오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한 특정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핸드 포터블 무선 전화의 NAM으로부터의 정보는 상기 제1 이동 셀룰러 무선 전화의 메모리 내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제2 핸드 포터블 무선 전화의 NAM에 연결된 제1 이동 셀룰러 무선 전화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동 셀룰러 무선 전화가 상기 제2 핸드 포터블 셀룰러 무선 전화의 식별 정보를 채용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핸드 포터블 무선 전화의 NAM 정보를 사용한다.When two wireless telephon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mobile cellular wireless telephone is in a subscriber number search form, that is, a number assignment module that is compatible with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f the second hand portable cellular wireless telephone. (number assignment module; NAM) but using the RF of the second hand portable cellular radio telephone The circuits are switched off. According to one particular embodiment information from the NAM of the second hand portable wireless telephone may be downloaded into the memory of the first mobile cellular wireless telephone. The microprocessor of the first mobile cellular radiotelephone coupled to the memory or the NAM of the second hand portable radiotelephone is configured to cause the first mobile cellular radiotelephone to empl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and portable cellular radiotelephone. 2 Use the NAM information of the hand portable wireless telephone.
그 외에도, 양자 모두의 무선 전화들에는 단축 다이얼 코드, 빈번한 발신지 전화번호,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가변 데이터용 RAM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2 핸드 포터블 무선 전화의 RAM 내에 저장된 가변 데이터는 상기 제1 이동 셀룰러 무선 전화의 RAM 내로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 셀룰러 무선 전화가 상기 제2 핸드 포터블 무선 전화의 식별 정보를 채용한 후에 상기 제1 이동 셀룰러 무선 전화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wireless telephones may be provided with RAM for variable data, such as speed dial codes, frequent source telephone numbers, or other data. In this case, the variable data stored in the RAM of the second hand portable wireless telephone can be downloaded into the RAM of the first mobile cellular wireless telephone and the first mobile cellular wireless telephone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and portable wireless telephone. It can be used with the first mobile cellular radiotelephone after employing.
더군다나, 양자 모두의 무선 전화들이 10미터 미만의 블루투스 범위 내에 있을 때 블루투스 SIM 액세스 프로토콜(SAP)에 기인하여 하나의 이동 무선 전화가 다른 한 무선 전화 내에 삽입된 SIM 카드에 원격 무선 방식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블루투스 특정 분야 소집단(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 BT SIG)산하의 차량 워킹 그룹(car working group)에서 표준화된 특정 블루투스 프로파일이다.Furthermore, due to the Bluetooth SIM Access Protocol (SAP), when both wireless phones are within the Bluetooth range of less than 10 meters, one mobile wireless phone can remotely access the SIM card inserted in the other wireless phone. have. This feature is a specific Bluetooth profile standardized in a car working group under the 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 (BT SIG).
이러한 특정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따른 주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 이동 무선 전화는 셀룰러 네트워크, 다시 말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로컬 SIM 카드로부터의 식별 정보로 등록된다. 제2 이동 무선 전화가 대략 10 미터미만의 범위(블루투스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 양자 모두의 무선 전화들은 자동적으로나 또는 수동적으로 소위 원격 SIM 모드로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에서 로컬 SIM 카드를 갖는 제1 이동 무선 전화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탈출하지만 상기 제2 이동 무선 전화는 블루투스 무선 데이터 링크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제1 이동 무선 전화의 SIM 카드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제1 이동 무선 전화는 무선 통신과 관련이 있는 모든 기능들을 비활성화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이동 무선 전화는 자신의 무선부를 비활성화시킨다. 이러한 모드 내에서 상기 제2 이동 무선 전화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 내에서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로 등록하기 위해 블루투스를 통해서 SIM 액세스를 통해 획득된 SIM 정보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 이동 무선 전화는 활성 상태의 무선 전화로 되지만 상기 제1 이동 무선 전화는 원격 SIM 모드가 활성 상태인 동안 비활성 상태로 된다.The main operations according to this particular Bluetooth profile are as follows: The first mobile radiotelephone is register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local SIM card in a cellular network, i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oth wireless telephones can be triggered automatically or manually in the so-called remote SIM mode when the second mobile radio telephone enters a range of less than approximately 10 meters (Bluetooth range). In this mode a first mobile radio phone with a local SIM card escap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le the second mobile radio phone can access the SIM card of the first mobile radio remotely via a Bluetooth radio data link. . In addition, the first mobile radio telephone deactivates all functions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 first mobile radio telephone deactivates its radio. Within this mode the second mobile radiotelephone uses the SIM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SIM access via Bluetooth to register with the sam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cellular network. Finally, the second mobile radio telephone becomes an active radio telephone but the first mobile radio telephone becomes inactive while the remote SIM mode is active.
원격 SIM 모드가 중지될 경우 양자 모두의 무선 전화들은 로컬 모드로 복귀하는 데, 이 경우 상기 제1 이동 무선 전화가 현재에는 다시 활성 상태이다.Both remote telephones return to local mode when the remote SIM mode is suspended, in which case the first mobile radio telephone is now active again.
상기 제1 이동 무선 전화가 이동 전화이고 상기 제2 이동 무선 전화가 카폰일 경우 사용자가 2개의 서로 다른 SIM 카드들을 사용하지 않고서 차량에 탑승할 때 이동 전화 무선부에서 카폰 무선부로의 무결절 "핸드 오버(hand over)"가 존재한다. 상기 원격 SIM 모드가 중지될 경우 상기 이동 전화가 다시 활성 상태로 되기 때문에, 예컨대 순찰국, 또는 폭발성 물질이 취급되는 다른 영역 부근에서 어느 한 무선 전화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문제가 존재하는 데, 그 이유는 이러한 경우에 양자 모두의 무선 전화들이 로컬 모드로 복귀되고 결과적으로는 상기 이동 전화가 다시 활성화되므로 상기 카폰의 단순한 오프 상태로의 스위칭으로 모든 전화들이 오프 상태로 스위칭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카폰과 동시에 오프 상태로 스위칭되지 않게 된다.If the first mobile wireless phone is a mobile phone and the second mobile wireless phone is a car phone, a seamless "handle from mobile phone radio to car phone radio" when the user boards the vehicle without using two different SIM cards. Hand over ". Since the mobile phone becomes active again when the remote SIM mode is suspended, it is a problem,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switch off either radio in the vicinity of patrol stations or other areas where explosive materials are handl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is case both wireless phones are returned to local mode and consequently the mobile phone is reactivated so that switching to the simple off state of the car phone does not switch all the phones to the off state. Because it does not. Thus, the mobile phone is not switched off at the same time as the car phone.
존재할 수 있는 다른 문제는 활성 상태의 제2 이동 무선 전화, 예컨대 카폰이 상기 제1 이동 무선 전화, 예컨대 이동 전화보다 적은 기능을 지닐 경우 수신 정보의 손실이다. 상기 이동 전화는 SMS, MMS, 캘린더 목록(vCal) 및 업무용 명함 등등의 수신이 가능할 수 있지만 상기 카폰은 그러한 특징들을 지원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징들에 의한 수신 정보는 손실될 수 있다. 제1 이동 무선 전화 대신에 제2 이동 무선 전화를 사용해야 하는 제1 무선 전화의 사용자가 차량에 내장된 무선 전화를 사용해야 할 때 자신의 이동 전화 내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카드, 전화번호부 목록, 캘린더 정보, 음성 텍스트, 메모 등등의 형태로 자신의 사용자 특정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또 다른 문제가 존재한다.Another problem that may exist is the loss of received information when an active second mobile radio, such as a car phone, has less functionality than the first mobile radio, such as a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may be capable of receiving SMS, MMS, calendar lists (vCal) and business cards, etc. but the car phone does not support such features. Therefore, the received information by these features can be lost. When a user of a first cordless phone that needs to use a second mobile cordless phone instead of a first mobile cordless phone needs to use a cordless phone built into a vehicle, the contact card, phonebook list, calendar information, stored in his or her mobile phone, Another problem exists when one wants to use his own user specific data in the form of voice text, notes and the like.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되고 편리해진 통신 시스템의 사용을 허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 system that allows the use of an improved and convenient communication system.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통신 시스템 및 청구항 제3항, 제8항, 제12항 및 제14항의 방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개선 및 개발은 각각의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the communication system of claim 1 and the methods of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획득된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전용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전용 메모리 영역 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가 이동 전화에서 상기 카폰 내의 전용 저장 영역으로 카피(copy)되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폰 내의 원래 데이터와 믹싱되지 않는다. 더욱이, 사용자는 비록 수신가능하지 않고 단지 무선으로 액세스가능하다 하더라도 자신의 전화의 개인 데이터에 액세스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private memory area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Comparator means for compa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edicated memory area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Since the data is copied from the mobile phone to a dedicated storage area in the car, the data is not mixed with the original data in the car. Moreover, a user has access to his phone's personal data even though it is not receivable and only accessible wirelessly.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다른 제1 통신 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의 재접속시 상기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2 통신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용 메모리 영역은 다른 제1 통신 장치들의 개인 정보를 개별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개별 부분들을 포함한다.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upon re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used with other first communication devices; The dedicated memory area includes at least two separate portions for separately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f other first communication devices.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장치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우선 상기 데이터 링크를 통해 서로 접속될 경우에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직접 액세스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획득된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다시 접속될 경우에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저장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개인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장치 내의 개인 정보와 비교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단지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개인 정보의 변경들만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th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store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re first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data link. 2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or direct access by the communication device, or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re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Compar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with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e only change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t includes a step.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저장된 정보가 허가를 받지 않고서는 사용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저장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개인 정보에 대한 액세스는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장치가 단절될 경우에 허용되지 않는다.In order to prev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rom being used without permission,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broken by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If allowed, it is not allow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저장된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개인 정보는 다른 한 제1 통신 장치가 우선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접속될 경우 상기 다른 한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개인 정보로 대체된다. 이는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다수의 고객들이 탑승한 임대 차량 내에 설치된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 경우에는 임대 차량 관련 정보가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단지 동일한 사용자가 상기 임대 차량 및 상기 임대 차량의 제2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에만 사용자 개인 정보가 개별 메모리 영역 내에 저장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determined from the other first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other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first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Will be replaced with your personal information. This is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rental vehicle with a large number of customer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ake the rental vehicle related information permanently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ut only when the same user uses the rental vehic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of the rental vehicle, user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 a separate memory area. Stored within.
식구들이 차량을 공유하는 가족이나 또는 동일한 회사 차량을 교대로 사용하는 회사원들과 같이 한그룹의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는 차량에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 만약 다른 한 제1 통신 장치가 우선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접속될 때 상기 다른 한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개인 정보가 다른 제1 통신 장치들의 다른 개인 정보와는 개별적으로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저장된다면 유리할 것이다.I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built into a vehicle used by a group of people, such as a family with whom the family shares a vehicle or an office worker who uses the same company vehicle alternately, It would be advantageous if first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other first communication device was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separately from other personal information of the other first communication devices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이 서로 접속될 때마다 상기 제1 통신 장치 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가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와 동일한 개인 정보이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이 상기 데이터 링크를 통해 서로 접속되는 동안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관련된 개인 정보의 변경들이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 모두에 저장된다.Whenever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are configured so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the same personal information as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Changes in pers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re stored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whil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data link.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임의 종류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 내에 적어도 2개의 논리 통신 장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논리 통신 장치들 중 하나에 상기 통신 장치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의 개인화된 다중 사용자의 사용을 허용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논리 통신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된 상기 통신 장치에 관련된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통신 장치(전화)가 다른 개인 환경 설정을 가지고 다른 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후에 각각의 사용자는 우선 자신의 개인 전화 데이터(환경 설정, 전화번화부 목록 등등)을 입력하고 나서 상기 통신 장치를 재설정할 필요 없이 자신의 개인 전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로, 단순히 각각의 논리 통신 장치에 대해 저장된 각각의 개인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데 사용되는 방식이나 또는 선호된 환경 설정에 상기 통신 장치(전화)를 다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ny kind of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providing at least two logical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th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at least two logical communication devices are provided. Assign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ne, and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assigned to one of the at least two logical communication devices to permit use of the personalized multi-user of the communication device. do. Therefore, after the communication device (telephone) is used by another user with different personal preferences, each user first inputs his personal phone data (configuration, phone book list, etc.) and then the communication device You can choose your own personal phone data without having to reset it. As a result, by simply selecting the respectiv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for each logical communication device, the user may again employ the communication device (telephone) in the manner in which the user is using his or her phone number, or in a preferr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통신 장치는 정보 전송을 위해 데이터 링크를 통해 내부에서 상기 논리 통신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된 제2 통신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개인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관련된 개인 정보로서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전달되며,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전달된 개인 정보가 상기 할당된 논리 통신 장치와 함께 내부에서 사용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저장된다. 따라서, 적합한 이동 전화를 소유한 각각의 사용자는 이러한 데이터가 편리한 방식으로 제2 통신 장치에서 사용가능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링크를 통해 상기 이동 전화 내에 저장된 자신의 개인 전화 데이터(SIM, 환경 설정, 전화번호부 등등)를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ssigned internally to one of the logical communication devices via a data link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communica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s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wherein the personal information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used internally with the assigned logical communication device. Are stored in. Thus, each user who owns a suitable mobile phone has his or her personal telephone data (SIM, preferences, stored in the mobile phone via the data link) to make such data availabl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n a convenient manner. Phonebook, etc.).
각각의 통신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가능하며, 양자 모두의 통신 장치들이 정보 전송을 위해 데이터 링크를 통해 서로 접속가능한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논리 통신 장치들이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제공되고, 상기 데이터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접속된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논리 통신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이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할당된 논리 통신 장치와 함께 상기 제2 통신 장치 내에 사용되기 위해 상기 데이터 링크를 통해 서로 접속될 경우에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전송되는 방법을 제공한다.For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each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both communication devices are connectable to each other via a data link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s provided with the logical communication devices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data link is assigned to one of the logical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data link for use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gether with a logical communication device assign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Provide a method of transmission.
그러므로, 이동 전화의 소유자는 자기 자신의 이동 전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통신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데, 이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채용한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제1 통신 장치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항상 통화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Therefore, the owner of the mobile phone can us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n the same manner as his own mobile phone, in which cas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dop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is is advantageous because the user can always be called by other people using the phone number of their first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보 전송은 사용자가 입력한 각각의 요구에 응답하여 수행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each request input by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인터럽트되게 하는 대기 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제2 통신 장치가 비활성 상태로 될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 간의 접속을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대기 모드에의 진입은 전용 입력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필요할 경우에 양자 모두의 무선부들이 신뢰성있게 오프 상태로 동시에 스위칭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enter a standby mode for causing a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be interrupted may become inactive. And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in an active state, wherein entering the standby mode is preferably performed by operating a dedicated input means. This allows both radios to be reliably switched off simultaneously when needed.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는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될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데이터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은 상기 제2 통신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제1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가 항상 이용가능하게 된다. 어느 경우든지 간에, 다시 말하면 비록 데이터가 사전에 제공되었거나 또는 데이터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처리 또는 조작될 수 없었더라도 데이터의 전송은 데이터 수신의 신뢰성을 개선하며 또한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장치보다 적은 기능을 포함할 경우에 특히 데이터 손실을 방지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data link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the data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data transmiss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n this way, the data receiv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always available to the user at the user's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 either case, in other words, the transmission of data improves the reliability of data reception even if the data has been provided in advance or the data could not be processed or manipulat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Data loss is prevented especially when including less functionality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이하 예시적으로 도면에서 보여주고 있는 실시예와 연관지어 본 발명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선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11,12)을 포함하며, 이러한 통신 장치들 각각은 통신 네트워크(10)와의 통신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first and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11,12) 각각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유닛(13), 상기 통신 네트워크(10)와의 통신용 무선 링크(15,15')를 확립하기 위한 무선(R.F.)부(14),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의 접속용 데이터 링크(17)를 확립하기 위한 저전력 무선(LPRF)부(1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8)를 포함한다. 각각의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18)는 키패드, 턴 푸시 버튼, 조그 다이얼, 전용 제어 버튼(18'), 온/오프 스위치, 음성 인식 수단 등등과 같은 사용자 커맨드들의 입력 수단, 및 디스플레이 및 라우드스피커와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and
더욱이, 상기 제1 통신 장치(11)에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19) 또는 번호 할당 모듈(NAM)과 같이 전용 가입자의 통신 장치로서 전용 통신 장치를 식별 하기에 적합한 기타의 식별 수단과 같은 가입자 식별 모듈(SIM)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1 통신 장치(11)는 전화번호부 목록, 연락처 카드, 캘린더 정보, 짧은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정보, 음성 텍스트, 메모 등등과 같은 사용자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SIM 카드(19)의 일부 및/또는 상기 통신 장치(11)에서 상기 SIM 카드(19)와는 별도로 제공되는 메모리(20)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같이 SIM 카드(19) 및 메모리(MEM I; 20)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원격 SIM 액세스 프로파일의 특징들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12)는 반드시 자기 자신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 그 이유는 상기 제2 통신 장치(12)가 SIM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10)와의 무선 통신 링크(15')를 확립하며 제1 통신 장치(11)의 식별 정보를 채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장치(11)가 상기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장치(12)에 접속될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12)가 상기 제1 통신 장치(11)의 가입자 식별 정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enerally includes a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 통신 장치(12)는 상기 제1 통신 장치(11)로부터 획득되는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전용 메모리 영역(MEM II; 21)과 아울러 예컨대 전용 애플리케이션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유닛(13)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전용 비교기 수단(22)을 포함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2 has a dedicated memory area (MEM II) 21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은 하나의 제1 통신 장치(11)로부터 개인 정보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용 영역이며, 이 경우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 내에 저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단지 각각의 제1 통신 장치(11)가 상기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장치(12)에 접속되는 동안에만 액세스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링크(17)가 인터럽트되는 즉시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은 내부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어떠한 액세스도 허용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른 한 제1 통신 장치(11)가 우선 접속될 경우,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은 소거되며 그러한 새로운 제1 통신 장치(11)로부터 획득되는 새로운 개인 정보가 이러한 전용 메모리 영역(21) 내에 저장된다.When the other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은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의 다른 부분들이 다른 제1 통신 장치(11)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개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개별 부분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장치(11)가 휴대용 무선 전화 또는 이동 전화이지만 상기 제2 통신 장치(12)가 차량 내에 설치된 카폰 또는 무선 전화인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그러한 시나리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통신 장치(11)보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2 통신 장치(12)가 이용될 수 있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2개의 통신 장치들을 소유하며 그 중 하나가 휴대하기에 편리하지만 다른 하나가 사용자의 사무실 내에서 사용하기에 보다 편리한 경우에 비록 사용자가 자신의 제2 통신 장치(예컨대, 노키아 커뮤니케이터)를 통한 자신의 제1 통신 장치의 가입자 식별 정보를 사용하도록 자신의 제2 통신 장치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항상 자신의 제1 통신 장치(예컨대, 초소형 이동 전화)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연락처 데이터가 예로서 사용되고 있다. 동일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는 다른 여러가지 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한다. 사용자의 이동 전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다른 한 통신 장치에 접속되도록 설정된 카폰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에 제1 통신 장치(11)로서 이동 전화를 지니는 사용자가 탑승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11,12),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 전화 및 카폰은 상기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ntact data is used as an example. There are many other possible data that can be manipulated in the same way. When the user carrying the mobile phone as the
양자 모두의 장치들 간의 접속이 우선 확립될 경우, 상기 이동 전화에 들어 있는 연락처 정보가 상기 이동 전화에서 상기 카폰으로 카피되어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 내에 저장된다. 이러한 전용 메모리 영역(21) 내의 데이터는 단지 데이터가 유출되는 이동 전화가 상기 카폰에 접속되는 동안에만 입수될 수 있다.When a connection between both devices is first established, contac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mobile phone is copied from the mobile phone to the car and stored in the
상기 이동 전화가 상기 카폰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는 현재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 내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 전화의 연락처 데이터를 사용할 지 아니면 대응하는 메모리 영역(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카폰의 연락처 데이터를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한번에 단지 하나의 데이터 메모리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면 카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메뉴 선택일 수 있다. 활성 상태의 데이터 저장 영역 선택은 중요한 데, 그 이유는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이 활성 상태일 경우 상기 활성 상태의 데이터 저영역 선택이 특별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연락처 데이터의 모든 변경들이 상기 통신 장치들(11,12),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 전화 및 상기 카폰의 메모리들(21,20) 간에 지속적으로 동기된다. 따라서, 연락처가 카폰 사용자 인터페이스(18)를 사용하여 추가될 경우, 그 결과로 얻어진 연락처는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 내에 저장된 다음에 상기 이동 전화의 메모리(20)에 자동적으로 카피된다.While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car, the user can use the contact data of the mobile phone currently stored in the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전화를 가지고 차량에서 내릴 경우, 상기 데이터 링크(17)가 종단된다. 그 결과로, 카폰의 전용 메모리 영역(21) 내의 데이터는 더 이상 사용가능하지 않지만, 이러한 데이터는 소거되지 않는다. 특히, 여기서 언급되어야 할 점은 데이터가 유출되는 제1 통신 장치(11)가 상기 제2 통신 장치(12), 다시 말하면 상기 카폰에 접속되지 않는 동안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 내의 데이터가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When the user gets out of the vehicle with his mobile phone, the
동일한 이동 전화가 각각의 LPRF부들(16)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상기 카폰에 다시 접속될 경우 상기 제어 유닛(13)의 비교기 수단(22)은 동일한 정보가 양자 모두의 메모리들(20,21) 내에 저장되는 지의 여부를 검사하도록 상기 이동 전화 내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카폰의 특정 메모리 영역(21)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한다. 상기 이동 전화 내에 저장된 정보가 일부 변경될 경우, 단지 이같은 변경들만이 상기 카폰의 전용 메모리 영역(21)에 카피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전화에서 상기 카폰으로 모든 연락처 데이터를 카피하는 대신에, 이러한 데이터는 단지 데이터 메모리들이 그후 일치하도록 동기된다. 동기화 이후의 동작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When the same mobile phone is reconnected to the car via the
다른 한 사용자가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상기 카폰에 접속될 수 있는 다른 한 이동 전화를 가지고 차량에 탑승할 경우, 상기 카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제어 유닛(13)은 카폰에 접속되는 이동 전화가 우선 접속되어 있는 지를 알아 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새로운 이동 전화의 연락처 데이터는 이전 이동 전화로부터 유출되는 연락처 정보가 소거되어 새로운 이동 전화의 연락처 정보로 대체되도록 상기 카폰의 전용 메모리 영역(21)에 카피된다.When another user boards a vehicle with another mobile phon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ar via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의 전용 부분은 연락처 정보가 정식으로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소거하지 않고서도 상기 전용 메모리 영역(21)의 다른 부분에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새로운 이동 전화에 할당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edicated portion of the dedicated memory area is such that the new mobile phone can be stored in another portion of the
이러한 경우에, 상기 카폰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이동 전화의 연락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전혀 가능하지 않다.In this case, it is not possible at all to use the contact data of the mobile phone not connected to the car.
상기 이동 전화 및 상기 카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 전화의 데이터를 일치하게 하는 데이터의 동기화가 위에서 언급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Synchronization of the data to match the data of the mobile phone and the mobile phone stored in the car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mention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제1 물리적 통신 장치들(11) 또는 SIM 카드들(19)을 각각 상기 제2 통신 장치(12)에 제공되는 논리 통신 장치들에 할당할 수 있게 해 준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상기 논리 통신 장치들은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전용 메모리 영역, 예컨대 전용 메모리 영역(21) 내에 저장되고, 상기 통신 장치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 예컨대 사용자 환경 설정, 전화번호부 등등과 같은 전화 관련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무선 전화의 개인화된 다중 사용자의 사용이 허용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first
제1 통신 장치(11), 예컨대 이동 전화가 상기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제2 통신 장치(12), 예컨대 카폰에 접속될 경우,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제2 통신 장치(12), 다시 말하면 상기 카폰 내에서 논리 통신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된다. 그후, 상기 이동 전화의 대응하는 전화 데이터, 예컨대 사용자 환경 설정 및 전화 번호부 목록이 상기 카폰의 사용자에게 자기 자신의 이동 전화로부터 알 수 있는 모든 전화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자동적으로나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대응하는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장치(12), 다시 말하면 상기 카폰에 전송된다.When a
그 외에도, 하나의 제1 통신 장치(11) 및 동일한 제1 통신 장치(11) 또는 상기 제1 통신 장치(11) 또는 상기 제2 통신 장치(12) 내에 제공되는 하나의 SIM 카드(19) 및 동일한 SIM 카드(19)를 다른 논리 통신 장치들에 할당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가 자기 자신의 환경 설정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전용 제1 통신 장치(11) 또는 이동 전화 또는 제2 통신 장치(12), 다시 말하면 카폰에서 다른 사용자 환경 설정 및 전화번호부가 여러 사용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로컬 SIM 카드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one
위에서 가정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이동 전화이고 상기 제2 통신 장치(12)가 카폰인 경우, 본 발명은 다른 이동 전화들 및/또는 다른 전화 데이터 또는 선호된 전화 환경 설정을 지니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한 카폰의 무결절 사용을 허용한다. 각각의 사용자에게는 SIM 카드들을 상호 교환하거나 또는 카폰을 재설정하여 자신의 선호된 전화 환경 설정에나 또는 자신이 자신의 이동 전화를 사 용하는 데 사용되는 방식에 상기 카폰을 채용해야 할 필요 없이, 자신의 개인 전화 데이터, 예컨대 SIM 카드, 전화 환경 설정, 전화번호부 등등이 제공될 수 있다.As assumed above,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a mobile phon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2 is a car ph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with different mobile phones and / or other phone data or preferred phone preferences. Allow users to use their car without any mistake. Each user does not have to adopt the car phone by exchanging SIM cards or resetting the car to adapt their car to their preferred phone preferences or the way they are used to use their mobile phone. Personal phone data may be provided, such as a SIM card, phone preferences, phone book and the like.
이동 전화(11)가 우선 데이터 링크를 통해 카폰에 자동적으로나 또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접속되는 경우에, 모든 전화(11) 관련 데이터가 상기 카폰에 전송된다. 상기 카폰에서는 상기 이동 전화 관련 데이터가 상기 카폰 내에 제공되는 특정 논리 전화에 할당된다. 그후, 각각의 논리 전화는 상기 이동 전화의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전화와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카폰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카폰의 추가 동작용으로 자동 선택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이동 전화가 다시 상기 카폰에 접속되는 경우, 모든 이동 전화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논리 전화는 자동적으로나 또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When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car again, the corresponding logical phone containing all the mobile phone related data can be selected automatically or according to user requirements.
다른 한 사용자의 다른 한 이동 전화가 우선 상기 카폰과 접속되는 경우 다른 한 이동 전화가 상기 카폰 내에서 다른 한 논리 전화에 할당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시스템의 동작은 위에서 언급된 것과 정확히 동일하다.When another mobile phone of another user is first connected with the car phone, the other mobile phone is assigned to another logical phone within the car phone.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system is exactly the same as mentioned above.
그러나, 어느 논리 전화가 새로운 이동 전화, 다시 말하면 주어진 환경 설정 또는 새로운 환경 설정을 지닌 전용 논리 전화 또는 어떠한 환경 설정도 지니지 않거나 또는 디폴트 환경 설정을 지닌 다른 한 (새로운) 논리 전화와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카폰에 대한 새로운 이동 전화의 접속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른 한 논리 전화가 사용되어야 할 경우, 개인 데이터, 특히 전화 환경 설정은 새로운 이동 전화로부터 회복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However, which logical phone should be used with a new mobile phone, i.e. a dedicated logical phone with a given preference or a new preference or with another (new) logical phone with no preference or with a default preference? It is also possible to inform the user of the connection of the new mobile phone to the car to determine. If another logical phone is to be used, personal data, in particular phone preferences, may be recovered from the new mobile phone or entered by the user.
더군다나, 상기 카폰(12)의 로컬 SIM 카드(19)는 상기 카폰의 다른 사용자들이 이동 전화를 이용해야 할 필요 없이 다른 방식으로 상기 카폰을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카폰(12) 내에 제공되는 다른 논리 전화에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화 환경 설정 및 전화번호부 목록은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8)를 통해 입력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카폰(12)의 로컬 SIM 카드(19)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동 전화(11) 내에 제공된 개인 정보가 상기 카폰에 용이하게 전송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카폰에서 로컬 SIM 카드(19)와 함께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카폰 및 상기 이동 전화(11) 간에 확립된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개인 정보, 다시 말하면 전화 환경 설정, 연락처 데이터 등등을 입력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Furthermore, the
온 상태로의 스위칭시 상기 카폰은 최종 동작 기간의 동작 상태에 진입한다. 상기 카폰이 로컬 SIM 카드(19) 및 단지 상기 카폰 내에만 저장된 환경 설정 A(다시 말하면 로컬 환경 설정)를 사용하여 사용자 A에 의해 동작된 경우, 상기 카폰은 상기 로컬 SIM 카드(19) 및 환경 설정 A를 사용하여 동일 상태에 다시 진입하며 바람직하게는 선택된 동작 상태를 확인하거나 또는 다른 한 동작 상태를 선택할 것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만일 상기 이동 전화가 상기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접속된다면 이같은 환경 설정(원격 환경 설정, 다시 말하면 상기 카폰 내에 저장될 수도 있고 저장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단지 환경 설정이 유출되는 이동 전화가 상기 카폰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에만 액세스가능할 수 있는 환경 설정)만이 오직 액세스가 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로컬 SIM 카드(19)가 이동 전화에 의해 제공된 환경 설정과 함께 마지막으로 사용된 경우, 상기 카폰은 대응하는 동작 상태에 다시 진입하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경우에 만일 대응하는 이동 전화가 상기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다면 상기 동작 상태는 확인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 전화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적합한 동작 상태, 다시 말하면 적합한 환경 설정을 선택하도록 통보를 받는다. 상기 카폰이 최종적으로 원격 SIM 카드(19)와 함께 사용된 경우, 상기 카폰(12)은 각각의 SIM 카드(19)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카폰은 각각의 SIM 카드(19)에 따른 식별 정보로 동작한다. 만약 상기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적합한 상태를 선택하도록 통보를 받는다.Upon switching to the on state, the car phone ente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st operating period. When the car phone is operated by user A using a
어느 경우든 간에, 다시 말하면 로컬 환경 설정을 갖는 로컬 SIM 카드(19)를 사용하든 원격 환경 설정을 갖는 로컬 SIM 카드(19)를 사용하든 아니면 원격 SIM 카드(19)를 사용하든 전화 환경 설정은 상기 카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8)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수정될 수 있다.In either case, in other words, whether using a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통신 장치(12), 예컨대 카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의 메뉴를 사용한 수동 선택을 통해서나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8)의 전용 부분인 전용 대기 모드(stand-by) 버튼(18')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2, such as a car phone, may be provided with a dedicated standby mode (either through manual selection using a menu of the
상기 대기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제1 통신 장치(11)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12) 간의 접속, 다시 말하면 상기 데이터 링크(17)는 활성 상태로 유지되지만 상기 제1 통신 장치(11)의 무선부(14)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12)의 무선부(14)가 동시에 오프 상태로 스위칭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장치(12)의 무선부(14)는 오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양자 모두의 통신 장치들(11,12)의 무선부들(14)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데이터 링크(17)는 통신 장치들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순찰국(patrol station) 부근 따위의 지역들 내에서 특히 제1 통신 장치(11)가 통신 네트워크(10)에 대한 무선 링크(15)를 확립하는 것을 개시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활성 상태이다.When the standby mode is selec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예컨대 캘린더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특징을 지원하지 못하는 것과 같이 상기 제2 통신 장치(12)가 상기 제1 통신 장치(11)보다 적은 기능을 지니는 경우에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장치(12)는 상기 제2 통신 장치(12)가 상기 제1 통신 장치(11)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통신 장치(11)의 식별 정보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통신 네트워크(10)로부터 상기 데이터 링크(17)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장치(11)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항상 자신의 제1 통신 장치 상에 모든 수신 데이터를 지닌다. 이러한 특징은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수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To prevent data loss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2 has less functionality than the
이러한 경우에, 특정 데이터가 상기 제2 통신 장치(12)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11)에 전송됨으로써 사용자가 즉시 통보를 받아서 상기 제1 통신 장치(11)를 상기 제2 통신 장치(12)로부터 단절시킴으로써 특정 데이터에 액세스할 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specific data is receiv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2 and transmitted to the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손실은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정보를 직접 수신했던 것처럼 수신함에서 수신 정보 또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그후, 상기 수신 데이터의 전형적인 처리 및/또는 조작이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this way data loss can be reliably prevented and the user can confirm the received information or data in the inbox as if the information had been received directly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hereafter, typical processing and / or manipulation of the received data may be performed in a conventional manner.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57011073A KR100737310B1 (en) | 2005-06-16 | 2002-12-20 |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system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57011073A KR100737310B1 (en) | 2005-06-16 | 2002-12-20 |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system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4334A KR20050084334A (en) | 2005-08-26 |
KR100737310B1 true KR100737310B1 (en) | 2007-07-09 |
Family
ID=3726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570110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7310B1 (en) | 2005-06-16 | 2002-12-20 |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system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7310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8450A (en) * | 1989-08-21 | 1991-04-03 | Toshiba Corp | Hydraulic thrust detector for electrical rotary machine directly coupled with hydraulic machine |
-
2002
- 2002-12-20 KR KR20057011073A patent/KR10073731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8450A (en) * | 1989-08-21 | 1991-04-03 | Toshiba Corp | Hydraulic thrust detector for electrical rotary machine directly coupled with hydraulic machin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037845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4334A (en) | 2005-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57729B2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 |
KR101863314B1 (en) | Apparatas and method of having a dual sim card in a portable terminal | |
EP2981113B1 (en) |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mobile devices sharing same phone number | |
KR100309526B1 (en) | Advanced short message service apparatus of digital portable terminal equipment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 |
KR2009007207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IM application toolki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11003158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SIM card in a portable terminal | |
JP5366782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 |
CN101820481A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 |
EP2043340B1 (en) |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KR100590349B1 (en) | How to control phone lock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20080182570A1 (en) |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ed Functionality-Based Selective Establishing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onnections | |
KR101978241B1 (en) | Apparatas and method of having a dual sim card in a portable terminal | |
EP2106168B1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ubscriber identity code notification apparatus | |
US20030114192A1 (en) | Method for accessing extended capabilitie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 |
KR100737310B1 (en) |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systems | |
JP2002291043A (en) |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onic equipment with communication function | |
CN101795452B (en) | Method for authenticating client identification module card and terminal | |
KR100832337B1 (en) | Data Management Method of Mobile Phone Using Internet Virtual Storage Space | |
JP2001016355A (en) | Wireless terminal | |
KR100850937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wo phone number service in thereof | |
KR100442632B1 (en) | Satellite / Code Division Multiple Processing How to Share Personal Information in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50679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wireless internet automatic switching connec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
KR100987878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uto dial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3256523B2 (en) |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 |
KR100986265B1 (en) | Receiving number input method in message transmission by 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7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70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