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464B1 -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interworking method between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interworking method between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6464B1 KR100726464B1 KR1020060002522A KR20060002522A KR100726464B1 KR 100726464 B1 KR100726464 B1 KR 100726464B1 KR 1020060002522 A KR1020060002522 A KR 1020060002522A KR 20060002522 A KR20060002522 A KR 20060002522A KR 100726464 B1 KR100726464 B1 KR 1007264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communication terminal
- communication module
- dmb
- multimedia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WLAN(Wireless LAN) 통신 모듈, UWB(Ultra WideBand) 통신 모듈, Zigbee 통신 모듈,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단말기 간의 DMB 데이터, 맵 데이터, 음악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방법과, 상기 방법이 적용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terworking between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LAN (WLAN) communication module, an ultra wideband (UWB)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 method of linking multimedia data such as DMB data, map data, music data, video data, image data, and text data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communication module and interworking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device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차의 출력 장치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map data to an output device of a vehicle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출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제2 통신 단말기로 DMB 데이터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DMB data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통신 단말기 210: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00: communication terminal 210: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메모리 수단 230: 데이터 변환부220: memory means 230: data conversion unit
240: 전송 제어부240: transmission control uni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WLAN(Wireless LAN) 통신 모듈, UWB(Ultra WideBand) 통신 모듈, Zigbee 통신 모듈,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단말기 간의 DMB 데이터, 맵 데이터, 음악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방법과, 상기 방법이 적용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terworking between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LAN (WLAN) communication module, an ultra wideband (UWB)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 method of linking multimedia data such as DMB data, map data, music data, video data, image data, and text data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communication module and interworking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오늘날 정보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통신 단말기(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손쉽게 연락할 수 있게 되어 종래보다 의사 소통이 빈번해지게 되었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Today's remarkabl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rapidly promoted the popularization of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devices), so that most ordinary people always hav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ommunicate with the counterpart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communication is more frequent than before, and user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re gradually increasing.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들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문자 서비스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욕구에 맞게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Such communication terminals are provided with more various functions to meet the needs of users as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use of users increase, thereby providing user convenience.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출력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타 사용자와 함께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통신 단말기의 작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시청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In general, when a user of a communication terminal views the multimedia data output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outputting multimedia data with another user, the users output the multimedia data through a small liquid crystal display (LCD) scree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was inconvenience such as watching.
또한, 통신 단말기에서 MP3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오디오 입출력(I/O) 단자와 연결된 이어폰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이어폰 수단에 포함된 스테레오 출력을 위한 두 개의 유닛을 한 개씩 나누어 들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대로 청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multimedia data such as MP3 data through the earphone means connected to the audio input / output (I / O) terminal, users must divide two units for stereo output included in the earphone means one by one.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multimedia data cannot be properly listened to.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둘 이상의 통신 단말기 간에 어느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각자의 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통한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수익 모델(revenue model)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을 안출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simultaneously reproduces the multimedia data stored in any one communication terminal between two or more communication terminals,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multimedia data in each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venue model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same (revenue) We have come up with a structure that can secure a mode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multimedia data stored in on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reproduced in the second device, so that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convenient to use the multimedia data For that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보다 큰 출력 화면을 갖거나 보다 좋은 음질을 재생할 수 있는 제2 디바이스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사용자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used by the miniaturiz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by allowing the video data or audio data included in the multimedia data to be output from the second device having a larger output screen or can reproduce a better sound quality Its purpose is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둘 이상의 통신 단말기 간에 채팅 프로세스 또는 게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의 활용도는 물론 사용자의 흥미를 제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the user's interest as well as the utiliz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by allowing a chat process or a game to be performed between two or more communication terminal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가공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predetermined multimedia data to a second devic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vice and the short-range wireless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Memory means for recording the multimedia data; A data converter which processes the multimedia data recorded in the memory means into a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ransmission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the processed multimedia data to the second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 기 가공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n operation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to a second devic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reading the multimedia data from a memory means; Processing the read multimedia data into a data format according to a protocol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multimedia data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는 컴퓨터 단말기, 이동 통신 단말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 는 상술한 통신 단말기일 수 있고, (1) 영상 출력용 디스플레이 수단과 근거리 통신 모듈이 결합된 장치, (2) 스피커 수단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근거리 통신 모듈이 결합된 장치, (3)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근거리 통신 모듈이 결합된 장치 등 상술한 통신 단말기의 출력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장치일 수 있다.As used herein,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omputer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terminal, VoIP,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gaco,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cellular phone, and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s, Hand-Held PCs, CDMA-2000 (1X, 3X) phones, Wideband CDMA phones, Dual Band / Dual Mode phones, GSM ( Global Standard for Mobile (MBS) phone,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 satellite /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hon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concept. In addition, the "second device" may be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include (1) a device in which a display means for video output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re combined, and (2) a device in which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combined with an audio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means. And (3) a new concept device capable of assisting the output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video and audio and a device in which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is comb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디바이스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device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구비하고, 제2 디바이스와 소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 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DMB 데이터, 네비게이션(navigation)용 맵 데이터, 음악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은 WLAN(Wireless LAN) 통신 모듈, UWB(Ultra WideBand) 통신 모듈, Zigbee 통신 모듈,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rt range
통신 단말기(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MB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DMB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100)는 도로의 주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네비게이션용 맵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MP3 재생 모듈 등의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통신 단말기(100)는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통해 제2 디바이스(110)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제2 디바이스(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에 대응되는 소정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제2 디바이스(110)는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수단 또는 스피커 수단 등의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 전체 다운로드(download) 방식, 또는 분할 다운로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asically includ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multimedia data as image data or audio data, and may include a DMB receiving module to output the DMB data.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 navigation system to output the map data for navigation for providing peripheral information of a road, and may include a decoder such as an MP3 playback module to output the music data.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application for outputting video data, image data, and the text data.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multimedia data to the second device 110 through the short range
일례로, 통신 단말기(100)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T-DMB 수신 모듈 또는 S-DMB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지상파 DMB 시스템 또는 위성 DMB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에, 상기 DMB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1)을 통해 제2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 이에, 제2 디바이스(110)는 상기 DMB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수단 및 스피커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이로써,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뿐만 아니라, 제2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도 통신 단말기(100)가 수신한 상기 DMB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T-DMB receiving module or an S-DMB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DMB data, and receives the DMB data from a terrestrial DMB system or a satellite DMB system. Accordingly, the DMB data is recorded in a predetermined memory means for buffering, processed into a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110 through the short range
다른 일례로, 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 수단에 소정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MP3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100)는 하나의 오디오 입출력(I/O) 단자에 연결된 스테레오 출력을 위한 두 개의 유닛을 포함하는 이어폰 수단에 상기 MP3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상기 MP3 데이터를 청취하려는 경우,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원음을 제대로 감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100)는 디코더를 통해 상기 MP3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D/A(Digital/Analog) 컨버터를 통해 아날로그 형태의 음원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상기 음원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되고, 스피커, MP3 플레이어, 또는 제2 통신 단말기 등의 제2 디바이스(110)로 전송된다. 상기 가공된 음원을 수신한 제2 디바이스(110)는 가공되기 이전 원래의 음원으로 재가공하여 스피커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을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MP3 데이터를 함께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ores MP3 data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content providing server in a memory means. In gener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utputs the MP3 data to earphone means including two units for stereo output connected to one audio input / output (I / O) terminal. This is a problem that if more than one user wants to listen to the MP3 data, it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can not properly listen to the original sound.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codes the MP3 data through a decoder, and converts the MP3 data into an analog sound source through a digital / analog (D / A) converter. The converted sound source is processed into a data format according to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transmitted to a second device 110 such as a speaker, an MP3 player, or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Upon receiving the processed sound source, the second device 110 reprocesses the original sound source before being processed and outputs the sound source through speaker means.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for multiple users to listen to MP3 data stored in on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geth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0), 메모리 수단(220), 데이터 변환부(230), 및 전송 제어부(240)를 포함한다.The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0)은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0)은 WLAN(Wireless LAN) 통신 모듈, UWB(Ultra WideBand) 통신 모듈, Zigbee 통신 모듈,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등의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0 perform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evic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ne of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reless LAN (WLAN) communication module, an ultra wideband (UWB)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ommunication module. have.
메모리 수단(220)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수단(220)은 맵 데이터, 음악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 수단(220)으로부터 독출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T-DMB 데이터 또는 S-DMB 데이터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인 경우, 메모리 수단(220)은 소정의 지상파 DMB 시스템 또는 위성 DMB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DMB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출력 수단에 전달한다.The memory means 220 may include a buffer for buffering the multimedia data. The memory means 220 stores multimedia data such as map data, music data, video data, image data, and text data, and the multimedia data is read from the memory means 220 at the request of a user. In addition, when the multimedia data is DMB data including T-DMB data or S-DMB data, the memory means 220 buffers the DMB data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terrestrial DMB system or a satellite DMB system to output means. To pass.
데이터 변환부(230)는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0)은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데이터 변환부(230)는 메모리 수단(220)에 기록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하여 포맷팅한다.The
전송 제어부(2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0)을 제어하여 상기 가공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The transmission controller 240 control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0 to transmit the processed multimedia data to the second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네비게이션용 맵 데이터이다.The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p data for navigation.
통신 단말기(200)는 소정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GPS 위성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 및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지도 정보를 참조하여 네비게이션용 맵 데이터로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즉, 통신 단말기(20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지도 정보에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맵핑하여 네비게이션용 맵 데이터를 출력 함으로써, 차량용 항법 장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200)에서 가공된 상기 네비게이션용 맵 데이터는 통신 단말기(200)의 출력 수단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0)을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된 네비게이션용 맵 데이터를 LCD 등의 출력 수단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등과 같이 출력 수단의 크기가 작은 단말 기이고 제2 디바이스가 출력 수단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패널 중심의 단말기인 경우 유용할 수 있다. 도 3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차의 출력 장치로 네비게이션용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That is,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11)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출력 수단(310)의 일측에 위치한다. 통신 단말기(300)는 소정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GPS 위성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상기 지도 정보를 참조하여 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통신 단말기(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01)을 통해 상기 맵 데이터를 자동차의 출력 수단(310)으로 전송한다. 이에, 출력 수단(310)은 상기 맵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분하여 운전자에게 이동 경로, 주변 정보, 위험 지역 등의 차량용 항법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도 3의 실시예에서, 출력 수단(3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이며, 종래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수단에 블루투스 모듈이 결합된 형태이거나 또는 스피커 수단에 블루투스 모듈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출력 수단(310)은 상기 맵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LCD(Liquid Crystal Display) 수단을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용 맵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채팅 데이터일 수 있다.The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t data.
이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200)는 소정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또한, 통신 단말기(200)와 채팅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이를 구동한다. 각각의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채팅 프로세스의 수행을 위해 시간적으로 또는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채팅 데이터에 대해 동기화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0)을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소정의 동기화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동기화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통신 단말기(200)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채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또한, 통신 단말기(200)는 상술한 일례에 따른 1:1 채팅을 응용하여, 다자간 채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해당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하나 이상의 제2 디바이스와의 동기화를 통해 채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게임 데이터일 수 있다. The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ame data.
이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200)는 소정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게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또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통신 단말기(200)와 게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각각의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게임 수행을 위해 시간적으로 또는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게임 데이터에 대해 동기화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출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400)는 DMB 수신 모듈(401), 블루투스 모듈(402), 제어부(403)를 포함한다. 또한, 맵 데이터(411) 및 GPS 수신 모듈(412)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출력 수단(420)은 블루투스 모듈(421), DMB 신호 처리부(422), 및 디스플레이 수단(42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in order to implement the embodiment of FIG. 3, the
먼저, 출력 수단(420)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신호, T-DMB 신호, 또는 S-DMB 신호 등을 포함하는 DMB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400)는 DMB 수신 모듈(401)을 포함한다. DMB 수신 모듈(401)은 소정의 DMB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신호, T-DMB 신호, 또는 S-DMB 신호 등의 DMB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상기 DMB 신호는 블루투스 모듈(402)을 통해 출력 수단(420)의 블루투스 모듈(421)로 전송되며, 상기 DMB 신호는 출력 수단(420)의 DMB 신호 처리부(422)를 통해 디코딩 등의 처리 과정을 통해 가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423)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며, 가공된 상기 DMB 신호를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신호, T-DMB 신호, 또는 S-DMB 신호 등을 포함하는 DMB 신호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거나 소정 지역의 교통 정보, 도로 정보 등을 제공 받을 수 있다.First, in order for the output means 420 to output a DMB signal including a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ignal, a T-DMB signal, an S-DMB signal, or the like, the
또한, 출력 수단(420)이 소정의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MSM, 403)는 네비게이션 시스템(410)으로부터 맵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에, GPS 수신 모듈(412)을 통해 적어도 세 개 이상의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GPS 위성 신호를 통해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제어부(403)로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403)는 상기 맵 데이터 및 현재 위치를 블루투스 모듈(402)을 통해 출력 수단(420)의 블루투스 모듈(421)로 전송하고, 상기 맵 데이터 및 상기 현재 위치는 디스플레이 수단(423)을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400)는 인접한 위치의 출력 수단(420)으로 DMB 신호의 출력 또는 네비게이션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for the output means 420 to output predetermined navigation data, the control unit MSM 403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map data from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모듈(401) 및 블루투스 모듈(402)는 상기 DMB 신호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모듈(402) 및 블루투스 모듈(421) 간에도 보다 신속한 정보의 전송을 통해 실시간 전송에 근접하도록 상기 스트리밍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도 5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제2 통신 단말기로 DMB 데이터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DMB data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DMB 데이터일 수 있다.The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MB data.
이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510)는 소정의 지상파 DMB 시스템(512)으로부터 T-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T-DMB 수신 모듈 또는 위성 DMB 시스템(511)으로부터 S-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S-DMB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T-DMB 데이터 또는 S-DMB 데이터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기(510)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 및 스피커 수단을 통해 상기 DMB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DMB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디바이스(520)로 전송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제2 디바이스(520)로 통신 단말기가 사용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는 DMB 데이터의 수신 모듈이 없이도 각자의 통신 단말기로 통신 단말기(520)가 수신하는 DMB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단계(601)).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통신 모듈, UWB(Ultra WideBand) 통신 모듈, Zigbee 통신 모듈,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evice (step 601).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ny one of a wireless LAN (WLAN) communication module, an ultra wideband (UWB)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는 단계(602)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 수단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내장 또는 외장 메모리의 형태를 모두 포함하며, 플래쉬 메모리, SD카드, MMC 메모리, 메모리 스틱, 또는 자기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stores, in
만약,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소정의 서버로부터 스트리밍(streaming) 방 식으로 수신하는 DMB 데이터인 경우,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기 DMB 데이터를 일시 보관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multimedia data is DMB data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server in a streaming manner, the memory means may include a buff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MB data.
통신 단말기는 단계(603)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2 디바이스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이에, 상기 통신 단말기는 단계(604)에서,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포맷을 가공한다.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는 가공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at 603, receive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from the user to the second device via the user interface. Accordingly, in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단계(605)). 이에,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가공 이전으로 재 가공한다(단계(606)). 재 가공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단계(607)에서, 제2 디바이스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출력 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 및 스피커 수단을 포함한다. The second device includ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corresponding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605). Accordingl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econd device receives the multimedia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processes the multimedia data processed into a specific data format before processing (step 606). The reprocessed multimedia data is output a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맵 데이터이다. 이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는 메모리 수단에 좌표 정보 및 지도 정보를 더 저장한다. 또한, 소정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GPS 위성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좌표 정보에 매칭하며, 매칭된 상기 좌표 정보 및 상기 지도 정보에 따른 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상기 맵 데이터는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 보다 큰 영상을 제공하는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다.The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p data. For this purpose, th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stores coordinate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in the memory means. In addition, by analyzing at least three or more GPS satellite signals received by a predetermine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ing module to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calculate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the matched coordinates Information and map data according to the map information. The generated map data may be transmitted and output to a second device that provides a larger image than the display mean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DMB 데이터이다. 이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는 T-DMB 수신 모듈 또는 S-DMB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을 통해 소정의 DMB 시스템으로부터 DMB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상기 DMB 데이터는 버퍼 기능을 제공하는 메모리 수단에 일시 기록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디바이스로 전송 후 출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DMB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텔레비전에서 출력될 수 있다.The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MB data.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T-DMB receiving module or an S-DMB receiving module, and receives the DMB data from a predetermined DMB system through the receiving module. The received DMB data is temporarily recorded in a memory means that provides a buffer function, and may be output after being transmitted to a second device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DMB data may be output from a television includ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이로써, 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른 출력 수단의 성능 저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output means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olv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ntain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media data stored in on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produced in the second device, so that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use the multimedia data more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보다 큰 출력 화면을 갖거나 보다 좋은 음질을 재생할 수 있는 제2 디바이스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사용자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video data or audio data included in the multimedia data to be output from the second device having a larger output screen or a better sound quality, it can be caused by the miniaturiz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meet the needs of us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의 통신 단말기 간에 채팅 프로세스 또는 게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의 활용도는 물론 사용자의 흥미를 제고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a chat process or a game can be performed between two or more communication terminals,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the user's interes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2522A KR100726464B1 (en) | 2006-01-10 | 2006-01-10 |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interworking method between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2522A KR100726464B1 (en) | 2006-01-10 | 2006-01-10 |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interworking method between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6464B1 true KR100726464B1 (en) | 2007-06-11 |
Family
ID=3835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2522A Active KR100726464B1 (en) | 2006-01-10 | 2006-01-10 |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interworking method between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6464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005B1 (en) * | 2007-06-13 | 2008-06-24 | (주)씨랩시스 | 네트워크 Car naviga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network |
WO2010147321A3 (en) * | 2009-06-17 | 2011-03-10 | Sung-Hwan Han | Personal gps control system, and posi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83138B1 (en) * | 2010-07-01 | 2011-11-11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WO2013176342A1 (en) * | 2012-05-23 | 2013-11-2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user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
KR101403427B1 (en) * | 2007-07-27 | 2014-06-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dia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progra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4455A (en) * | 1999-12-06 | 2001-07-02 | 서평원 | Imag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 Image data using the same |
KR20050018261A (en) * | 2003-08-16 | 2005-02-23 | 주식회사 휴노랩스 | Intelligent bluetooth module device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050027656A (en) * | 2003-09-16 | 2005-03-21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Handset for offer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gps and method thereof |
KR20050029937A (en) * | 2003-09-24 | 2005-03-29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Audience history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broadcasting service |
-
2006
- 2006-01-10 KR KR1020060002522A patent/KR1007264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4455A (en) * | 1999-12-06 | 2001-07-02 | 서평원 | Imag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 Image data using the same |
KR20050018261A (en) * | 2003-08-16 | 2005-02-23 | 주식회사 휴노랩스 | Intelligent bluetooth module device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050027656A (en) * | 2003-09-16 | 2005-03-21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Handset for offer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gps and method thereof |
KR20050029937A (en) * | 2003-09-24 | 2005-03-29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Audience history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broadcasting servic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005B1 (en) * | 2007-06-13 | 2008-06-24 | (주)씨랩시스 | 네트워크 Car naviga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network |
KR101403427B1 (en) * | 2007-07-27 | 2014-06-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dia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program |
WO2010147321A3 (en) * | 2009-06-17 | 2011-03-10 | Sung-Hwan Han | Personal gps control system, and posi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71648B1 (en) | 2009-06-17 | 2011-10-10 | 이정재 | Personal gps position control system,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83138B1 (en) * | 2010-07-01 | 2011-11-11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WO2013176342A1 (en) * | 2012-05-23 | 2013-11-2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user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13730B2 (en) |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of a wireless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 |
US9071792B2 (en) | Adaptive media content scrubbing on a remote device | |
US20080046239A1 (en) | Speech-based file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 |
US944876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based control | |
CN104205038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terminal device | |
JP2004502340A (en) | Local audio data distribution | |
KR100726464B1 (en) |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interworking method between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 |
US20040189791A1 (en) | Videophone device and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applied thereto | |
US1127213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ultimedia informa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KR100931843B1 (en) | Multimedia processor chip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 |
JP5920104B2 (en) | Voice control device for vehicle | |
WO2017101260A1 (en) |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audio switching | |
US2007018675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ng music in a portable terminal | |
CN109155803B (en) |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 |
US20240040191A1 (en) | Livestreaming audi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CN113395581B (en) | Audio play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20120015048A (en) | Content playback dongle with CPU protocol and content playback method of the dongle | |
KR10082595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broadcast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 |
KR100646837B1 (en) |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ent playback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 |
KR20070067284A (en) | Method for performing information retrieval on multimedia data a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arch engine server employing the method | |
KR100709986B1 (en) | Operation method of a video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transmitt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video information to one or more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a local area network, operation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video data and providing image information employing the method system | |
US8954834B1 (en) |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using portable code widgets | |
JP2008259068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KR100766815B1 (en) |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for managing error when switching channel of program for DMB contents and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above method | |
KR200400330Y1 (en) | Apparatus of controlling a Multimedia Player using Cellular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5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