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948B1 - Personalized Video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System - Google Patents
Personalized Video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1948B1 KR100711948B1 KR1020007009264A KR20007009264A KR100711948B1 KR 100711948 B1 KR100711948 B1 KR 100711948B1 KR 1020007009264 A KR1020007009264 A KR 1020007009264A KR 20007009264 A KR20007009264 A KR 20007009264A KR 100711948 B1 KR100711948 B1 KR 1007119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y
- segment
- segments
- user
- vide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7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in form of a video summary, e.g. the video summary being a video sequence, a composite still image or having synthesized fram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3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audio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4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original textual content or text extracted from visual content or transcript of audio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비디오 검색 시스템은 유저가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관심이 있는 스토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비디오 검색 시스템은 스토리를 분류하여, 각 유저의 현재 선호도와 매칭하는 선택된 스토리의 샘플을 전달한다. 유저의 선호도는 특정한 방송망, 사람, 스토리 주제, 키워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선택된 스토리의 키 프레임들은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며, 유저가 관심이 있는 프레임을 볼 때, 유저는 더 상세하게 보기 위하여 키 프레임과 연관된 스토리를 선택한다. 본 발명은 특히 타겟화된 뉴스 검색을 위해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뉴스 스토리는 저장되고, 연관된 키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세히 보기 위한 새로운 스토리의 선택은 선택된 뉴스 스토리의 재생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또한 유저가 다른 형태의 방송의 직접적인 서치를 수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직접적인 채널 서핑과 유사한 유저의 현재 선호도와 일치하는 방송의 샘플을 제시하는 자동화된 스캔을 개시할 수 있다. Video retrieval systems allow users to quickly and easily select and receive stories of interest from a video stream. The video retrieval system categorizes the stories and delivers samples of selected stories that match each user's current preferences. The user's preference may include a specific broadcasting network, a person, a story topic, a keyword, and the like. The key frames of each selected story are displayed in succession, and when the user views the frame of interest, the user selects the story associated with the key frame to view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argeted news retrieval.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news story is stored and the selection of a new story to view in detail based on the associated key frame performs playback of the selected news stor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 the user to perform a direct search of other forms of broadcast. For example, a user may initiate an automated scan that presents a sample of a broadcast that matches the user's current preferences similar to direct channel surfing.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 분류 시스템, 유저 선호도, 키 프레임Story segment identifier, classification system, user preference, key fr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 및 정보 처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분류 및 검색 분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field of video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고객들은 증가하는 정보 공급 및 오락 선택을 제공받는다. 수 백 개의 텔레비전 채널들이 방송, 케이블 및 위성 통신 시스템을 통해 고객에게 이용 가능하다. 정보의 공급이 증가하기 때문에, 고객이 특정한 정보나 특별한 흥미를 제공하는 정보원을 효율적으로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많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고객이 12개의 텔레비전 채널중에서 이 고객이 관심이 있는 주제에 대하여 랜덤하게 서치("채널 서프(surf)")한다고 가정한다. 고객이 특별하게 관심이 있는 주제는 대중적인 주제가 아니면, 오직 하나 또는 두 개의 방송자만이 상기 주제를 짧은 기간 동안만 다루는 스토리를 방송하게 된다. 고객이 미리 권고 받지 않는다면, 관심을 갖고 있는 고객은 관심이 있는 스토리가 방송될 때 특정한 방송자의 채널로 턴시킬 수 없게 될 것이다. 반대로, 관심이 있는 주가가 매우 대중적인 것이라면, 많은 방송자들이 주제를 다루는 스토리를 방송하고, 채널 서핑 고객은 과잉 정보로 충만될 것이다.Customers are provided with an increasing supply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choices. Hundreds of television channels are available to customers through broadcast, cable and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As the supply of information increases, it becomes more difficult for customers to efficiently select information sources that provide particular information or special interests. For example, suppose that a customer randomly searches (“channel surfs”) a topic of interest among the 12 television channels. If the topic of particular interest to the customer is not a popular topic, only one or two broadcasters will broadcast a story dealing with the topic for a short period of time. If the customer is not advised in advance, the interested customer will not be able to turn to the particular broadcaster's channel when the story of interest is broadcast. Conversely, if the stock price of interest is very popular, many broadcasters will broadcast stories that cover the topic, and channel surfers will be overfilled with excess information.
자동화된 스캐닝은 일반적으로 라디오 방송에서 이용되며,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소 적게 이용된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스캔은 각 방송 채널의 단 기간 샘플을 제공한다. 유저가 채널을 선택하면, 튜너는 상기 채널로 턴되어 남아있게 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스캔은 다음에 발견된 채널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스캔은 지시되거나 선택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저가 라디오의 뉴스국이나 또는 텔레비전의 스포츠 쇼를 특별하게 스캔하기 위해서 제공된 어떠한 보조물도 없다. 각 발견된 채널은 유저의 현재 관심과 상관없이 유저에게 샘플되어 제시될 수 있다. Automated scanning is generally used in radio broadcasts and somewhat less commonly in television broadcasts. Traditionally, these scans provide short term samples of each broadcast channel. When the user selects a channel, the tuner is turned to remain on that channel, otherwise the scan proceeds to the next found channel. However, the scan is not directed or selected. For example, there is no aid provided for the user to specifically scan a news station on the radio or a sports show on the television. Each found channel can be sampled and presented to the user regardless of the user's current interest.
컴퓨터와 텔레비전의 지속적인 집적화로 특정하게 관심이 있는 정보가 고객에게 제공될 기회가 주어진다. 예를 들면, 많은 웹사이트가 청각-시각과의 링크를 갖는 뉴스 요약 및 현재의 뉴스 스토리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세그먼트를 제공한다. 상기 뉴스 요약의 분류 및 표현은 각 고객에 대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고객은 우선 날씨, 다음에 세계 뉴스, 이어서 로컬 뉴스를 보기를 원할 수 있고, 반면 다른 고객은 스포츠 스토리와 투자 기사만을 보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장점은 유저에게 제시되는 뉴스의 최적화이고, 누군가가 요약을 준비해야될 필요가 있으며, 스토리가 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고객이 요약을 읽어야될 필요가 있는 단점이 있다. The continued integration of computers and televisions gives customers the opportunity to provide information of particular interest. For example, many websites provide news summaries with links to hearing-visual and multimedia segments corresponding to current news stories. The classification and presentation of the news summary can be optimized for each customer. For example, one customer may want to see weather first, then world news, then local news, while another customer may want to see only sports stories and investment articles. The advantages of such a system are the optimization of the news presented to the user, the need for someone to prepare a summary, and the need for the customer to read the summary to determine whether the story is worth seeing. .
MITRE사의 BNE(Broadcast News Editor) 및 BNN(Broadcast News Navigator)(Andrew Merlino, Daryl Morey, and Mark Maybury, MITRE Corporation, Berford MA, Broadcast News Navigation using Story Segmentation, ACM Multimedia Conference Proceedings, 1997, pp. 381-389)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된 스토리 구획 및 식별의 분야에서 지속적인 진보가 있어왔다. BNE를 이용하여, 뉴스캐스트는 각 스토리 세그먼트로 자동적으로 분할되고, 세그먼트와 연관된 자막 텍스트의 제 1 라인이 각 스토리의 요약으로 이용된다. 자막 텍스트나 오디오로 된 키워드는 각 스토리 세그먼트마다 결정된다. BNN은 고객이 서치 워드를 기입하도록 하는데, BNN은 서치 워드를 매칭시킨 각 스토리 세그먼트 내의 키워드의 수로 스토리 세그먼트를 분류한다. 매칭하는 키워드의 발생 빈도에 기초하여, 유저는 관심이 있는 스토리를 선택한다. 유사한 서치 및 검색 기술이 기술적으로 공통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텍스트 서칭 기술은 사람이 특정한 쇼 제목, 특정한 공연자, 특정한 타입의 쇼 등에 대하여 서치할 수 있도록 컴퓨터 기초 텔레비전 안내에 적용될 수 있었다. MITRE's Broadcast News Editor (BNE) and Broadcast News Navigator (BNN) (Andrew Merlino, Daryl Morey, and Mark Maybury, MITRE Corporation, Berford MA, Broadcast News Navigation using Story Segmentation, ACM Multimedia Conference Proceedings, 1997, pp. 381- As indicated by 389, there has been continuous progress in the field of automated story partitioning and identification. Using BNE, the newscast is automatically split into each story segment, and the first line of subtitle text associated with the segment is used as the summary of each story. Subtitled text or audio keywords are determined for each story segment. The BNN allows the customer to enter a search word, which classifies the story segment by the number of keywords in each story segment that matched the search word. Based on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matching keyword, the user selects a story of interest. Similar search and search techniques are technically common. For example, conventional text search techniques could be applied to computer based television guidance to allow a person to search for a particular show title, a particular performer, a particular type of show, and the like.
기존의 서치 및 검색 기술들의 단점은 명확한 서치에 기초하여 다른 것들 중에 대응하는 선택 및 명확한 서치 작업을 필요로 하는데 있다. 그러나, 종종 유저는 마음속으로 명확한 서치 주제를 갖지 못한다. 기존의 채널-서핑 시나리오에서는, 유저가 명확한 서치 주제를 갖지 못한다. 채널 서핑 유저는 특별하게 특정한 주제를 서칭하는 것보다는 관심이 있는 다수의 주제들중 어떤 수의 주제에 대하여 다양한 채널들을 랜덤하게 샘플한다. 즉, 예를 들면, 유저는 마음속에 특정한 주제없이 랜덤한 샘플링을 개시할 수 있으며, 샘플링 시간에 상기 채널에 제시되는 주제에 기초하여 샘플된 많은 채널중 하나를 선택한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유저는 독서나 요리 같은 다른 작업을 수행하면서 "배경" 모드에서 텔레비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관심이 있는 주제가 제시될 때, 유저는 텔레비전에 관심이 있는 그의 초점을 재지정하며, 보다 적은 관심이 있는 주제가 제시되면 그의 관심을 다른 작업으로 돌린다. A disadvantage of existing search and search techniques is that they require a corresponding search and clear search operation among others based on clear search. However, often the user does not have a clear search topic in mind. In existing channel-surfing scenarios, the user does not have a clear search topic. Channel surfing users randomly sample various channels on any number of topics of interest, rather than searching for a particular topic. That is, for example, the user may initiate random sampling without a particular subject in mind, and select one of the many channels sampled based on the subject presented to the channel at the sampling time. In another scenario, the user may monitor the television in "background" mode while performing other tasks such as reading or cooking. When a topic of interest is presented, the user reassigns his focus on television and redirects his attention to other work when a topic of less interest is presented.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가 관심이 있는 스토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택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뉴스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저가 잠재적으로 관심이 있는 방송을 식별하고, 상기 방송의 랜덤하거나 또는 계통적인 샘플링을 다음의 선택을 위해 유저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s retrieval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quickly and easily select and receive stories of interest.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dentify broadcasts of potential interest to the user and to provide a user with a random or systematic sampling of the broadcasts for subsequent selection.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은 새로운 스토리를 특징화하고 각 유저의 현재의 선호도(preference)를 매칭시키는 선택된 뉴스 스토리의 샘플을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달성된다. 유저의 선호도는 특정한 방송망, 앵커, 스토리 주제, 키워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선택된 스토리의 키 프레임들은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유저가 관심이 있는 프레임을 볼 때, 유저는 더 상세하게 보기 위하여 키 프레임과 연관된 스토리를 선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뉴스 스토리는 저장되고, 상세히 보기 위한 새로운 스토리의 선택은 선택된 뉴스 스토리의 재생을 수행한다. These and other objects are achieved by providing a system that delivers samples of selected news stories that characterize new stories and match each user's current preferences. The user's preferences may include a particular broadcast network, anchors, story topics, keywords, and the like. The key frames of each selected story are displayed in succession, and when the user views the frame of interest, the user selects the story associated with the key frame to view in more detail.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news story is stored and the selection of a new story to view in detail performs playback of the selected news story.
본 발명이 특히 타겟화된 뉴스 검색에 적합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또한 유저가 다른 형태의 방송의 직접적인 서치를 수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직접적인 채널 서핑과 유사한 유저의 현재 선호도와 일치하는 방송의 샘플을 제시하는 자동화된 스캔을 개시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argeted news retrieval,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 the user to perform a direct search of other forms of broadcast. For example, a user may initiate an automated scan that presents a sample of a broadcast that matches the user's current preferences similar to direct channel surf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비디오 서치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rsonalized video search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뉴스 방송의 일례의 비디오 스트림(200)을 도시한 도면. 2A shows a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의 스토리 세그먼트로부터 키 프레임들을 추출한 것을 도시하는 도면. FIG. 2B illustrates extraction of key frames from a story segment of a video stre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검색 시스템에 대한 일례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3 illustrates an example user interface for a video retrieval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제품(400)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개인화된 비디오 서치 시스템의 일례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비디오 검색 시스템은 비디오 스트림의 각 세그먼트를 분류하는 분류 시스템(100) 및 하나 이상의 유저 선호도와 매칭하는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검색 시스템(150)으로 구성된다. 비디오 검색 시스템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튜너 또는 위성 수신기 같은 방송 채널 선택기(105)로부터 비디오 스트림(101)을 수신한다. 비디오 스트림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일 수 있으며, 방송은 포인트 투 포인트 통신을 포함한 비디오 스트림을 통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어떤 형태 또는 매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원리를 다른 비디오 서치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장할 수 있음이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이해될 수 있지만, 이해를 쉽고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시적 비디오 서치 시스템이 유저 선호도의 세트에 따르는 뉴스 스토리에 대한 서치 시스템으로 제시된다. 1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personalized video search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retrieval system comprises a classification system 100 for classifying each segment of a video stream and a retrieval system 150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segments that match one or more user preferences. The video retrieval system receives the
도 1의 예시적 분류 시스템(100)은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 분류기(120), 및 시각적 특성화기(130)를 포함한다.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는 비디오 스트림(101)을 처리하고, 비디오 스트림(101)의 분리 세그먼트(111)를 식별한다. 예시적 내용에서, 비디오 스트림(101)은 뉴스 방송에 대응하고, 광고 또는 상업용으로 확산되는 다중 뉴스 스토리를 포함한다.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는 각 분산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비디오 스트림(101)으로부터 저장 디바이스(115)로 카피하거나, 또는 비디오 스트림(101)의 카피상의 각 분산 스토리 세그먼트(111)의 처음과 끝을 식별하는 위치 파라미터의 세트를 형성함으로써 비디오 스트림(101)을 새로운 스토리 세그먼트(111)로 분할한다. 점선(106)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디오 스트림(101)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레이저 디스크, DVD, DVR, 컴퓨터 파일 시스템 등의 매체상의 세그먼트(111)의 위치에 기초하여 세그먼트(111)의 재생을 허용하는 저장 디바이스(115)에 저장된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 디바이스(115)상에 저장된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갖는 것으로 제시된다.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이것은 전체 비디오 스트림(101)을 기록하며 비디오 스트림(101)에 대한 각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인덱싱하는 것과 같다. The example classification system 100 of FIG. 1 includes a story segment identifier 110, a classifier 120, and a visual characterizer 130. Story segment identifier 110
스토리 세그먼트(111)는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식별된다. 기존의 뉴스 방송에는 특히 스토리 세그먼테이션에 적합한 공통 포맷이 따른다. 도 2a는 뉴스 방송의 일례의 비디오 스트림(200)을 예시한다. 서문(201) 후, 뉴스 보도자, 즉 앵커가 출현해서(211), 제 1 뉴스 스토리 세그먼트(221)를 소개한다. 제 1 뉴스 스토리 세그먼트(221)가 완료된 후, 앵커는 다음 스토리 세그먼트(222)를 소개하기 위하여 다시 출현한다(222). 스토리 세그먼트(222)가 완료된 후, 광고 방송(228)을 위해 커트한다(218). 광고 방송(228) 후, 앵커는 다시 출현해서(213), 다음 스토리 세그먼트(223)를 소개한다. 방송 광고로 배포된 상기 앵커 스토리의 시퀀스는 뉴스 방송이 끝날 때까지 반복된다.
일반적으로 동일하게 스테이지된 장소에서의 앵커의 반복된 출현들(211-214)은 새로운 세그먼트의 처음과 기존 뉴스 세그먼트 또는 광고 방송의 끝을 명확하게 식별하는 작용을 한다. 기술은 일반적으로 예컨대 광고 방송이 제시될 때 사운드를 소음(mute)시키는 디바이스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광고 방송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광고 방송(228)은 스토리 세그먼트(222) 내에서 또한 발생할 수 있다. 광고 방송(228)에 대한 커트(218)는 또한 앵커의 반복된 출현을 포함할 수 있지만, 광고 방송(228)의 발생은 새로운 뉴스 세그먼트의 소개보다는 커트(218)에 따른 출현을 식별하는 작용을 한다. 앵커는 스토리 세그먼트(221-224)의 방송중에 출현하지만, 대부분의 방송자는 스토리 소개를 위해 하나의 스테이지된 장소 및, 광고 방송 후 대화 샷(shot) 또는 반복된 출현을 위해 다르게 스테이지된 출현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앵커는 스토리 소개를 위해 뉴스데스크에 앉아 있는 것으로 도시되며, 뉴스캐스터의 다음 영상은 영상에서 뉴스데스크 없이 클로즈업된다. 또는, 앵커가 스토리를 소개하기 위해 전체 스크린에 제시되고, 야외 리포터와 대화할 때 분할 스크린상에 제시된다. 또는, 앵커 샷은 스토리를 소개하기 위해 전체 얼굴이 잡히고, 스토리 내에서 측면이 잡힌다. 특징적인 스토리 소개 영상이 식별되면, 기술적으로 일반화된 영상 매칭 기술이 스토리 세그먼테이션 처리를 자동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자동화된 스토리 세그먼테이션을 제공하는 스토리 세그먼테이션 브레이크를 갖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수동 또는 반자동 기술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최적화 가능한 비디오 압축 및 스플라이싱을 위해 MPEG 같은 표준이 개발됨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은 스트림 내의 독립된 세그먼트의 처음과 끝을 식별하는 명시된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In general, repeated occurrences of anchors 211-214 at the same staged place serve to clearly identify the beginning of a new segment and the end of an existing news segment or commercial. The technique is generally used to identify a commercial in a video stream, such as in a device that mutes the sound when the commercial is presented. Commercial 228 can also occur within
또한,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230)이 연관되고, 대부분의 경우에, 자막 스트림(240)이 오디오 스트림(230)에 대응한다. 도 2a의 각 스토리 세그먼트(221-224)는 연관된 오디오 세그먼트(231-234) 및 가능한 자막 텍스트(241-244)를 갖는다. 오디오 세그먼트(231-234)는 비디오 세그먼트와 동시에 발생하며, 각 스토리 세그먼트(221-224)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및 텍스트의 상이한 전송 회수 때문에, 자막 세그먼트들(241-244)은 반드시 각 오디오 세그먼트들(221-224)과 동일한 시간 간격을 소비하지는 않는다.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는 또한 각 오디오 세그먼트들(231-234)에 대응하는 텍스트 세그먼트들(241-244)을 생성하는 음성 인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video stream and an
오디오 세그먼트의 복사와 더불어, 텍스트 세그먼트들(241-244)도 또한 다른 소스로부터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비 뉴스 방송에서, 텔레비전 가이드는 각 스토리의 일람표, 등장 인물의 리스트, 시청률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뉴스 방송에서, 온-라인 가이드는 헤드라인 리스트, 뉴스캐스터의 리스트, 방송에 참여한 회사나 사람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방송 및 각 스토리 세그먼트는 각 스토리를 소개하는 각 앵커뿐만 아니라 "ABC", "NBC", "CNN" 같은 방송 채널 선택기(105)에 의해 모니터 되는 방송 채널을 표시하는 문자 주석과 연관될 수 있다. 앵커의 이름은 영상 인식 기술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주석들은 방송 시간, 각 스토리의 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텍스트 포맷된 정보 세그먼트들 각각은 그 대응하는 스토리 세그먼트와 연관될 수 있다. 텔레텍스트 포맷된 데이터는 또한 텍스트 세그먼트(241-244)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copying the audio segment, text segments 241-244 also include text from other sources. For example, in non-news broadcasting, the television guide can provide a list of each story, a list of characters, an audience rating, and the like. In a news broadcast, the on-line guide may provide a list of headlines, a list of newscasters, and a list of companies or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broadcast. In addition, each broadcast and each story segment may be associated with a text annotation indicating the broadcast channel monitored by the broadcast channel selector 105, such as "ABC", "NBC", "CNN", as well as each anchor introducing each story. Can be. The name of the anchor may be determined automatically or manually based o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Other annotations may include broadcast time, location of each story, and the lik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text formatted information segments may be associated with its corresponding story segment. Teletext formatted data may also be included in text segments 241-244.
도 2a의 스토리 세그먼트들(221-224), 오디오 세그먼트들(231-234), 및 텍스트 세그먼트들(241-244)은 도 1의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로부터의 스토리 세그먼트들(111), 오디오 세그먼트들(112), 및 텍스트 세그먼트들(113)에 대응하며, 비디오(228), 오디오(238) 및 텍스트(248) 세그먼트들은 광고 방송에 대응한다. The story segments 221-224, the audio segments 231-234, and the text segments 241-244 of FIG. 2A include the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의 스토리 세그먼트로부터 키 프레임의 추출을 예시한다. 스토리 세그먼트(221)는 다수의 장면(scene; 251-253)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스토리 세그먼트(221)의 제 1 장면(251)은 스토리 세그먼트(221)를 소개하는 앵커의 영상(211)에 대응한다. 다음 장면(252)은 스토리 등을 보도하는 원격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일 수 있다. 각 장면은 프레임들로 이루어진다. 각 장면(251, 252, 253)의 제 1 프레임(261, 271, 281)은 스토리(221)와 연관된 키 프레임들(291, 292, 293)의 세트를 형성하고, 키 프레임들은 스토리 세그먼트(221)의 그림 요약을 형성한다. 도 2b의 키 프레임(291, 292, 293)은 도 1의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로부터의 키 프레임(114)에 대응한다. 2B illustrates extraction of key frames from story segments of a video stream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장면의 제 1 프레임은 프레임들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앵커가 스토리의 소개중에 이동하면, 예컨대 시각차 만이 프레임마다 표시될 수 있다. 뉴스데스크 또는 뉴스 룸 배경에 대응하는 영상의 영역은 실질적으로 프레임마다 변화하지 않는다. 예컨대, 원격 카메라로의 스위칭에 의해 장면 변화가 일어나면, 실질적으로 전체 영상은 변화한다. 다수의 영상 압축 또는 변환 구조는 영상의 시퀀스를 다른 프레임의 시퀀스로서 기억 또는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차이가 많다면, 뉴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기준 프레임의 시퀀스로서 직접 인코딩 되고, 다음 프레임은 상기 기준 프레임과의 차로서 인코딩된다. 도 2b는 각 장면(251-253)에서의 각 프레임 F의 상대 크기로 상기 구조를 예시한다. 각 장면(251, 252, 253)의 제 1 프레임(261, 271, 281)은 상당한 양의 정보를 포함한 기준 프레임으로 인코딩되거나, 또는 이들의 이전 프레임으로부터의 상당한 양의 차를 포함한 다른 프레임으로 인코딩된다. 장면의 변화 후, 다음 프레임은 프레임 내의 객체의 이동에 의한 최소 변화나 카메라 앵글 또는 확대로의 변화와 함께 전체 장면을 반영하면 작다. 각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량은 한 프레임에서 다음 프레임으로의 변화에 직접 관련된다. MPEG 압축 구조에서, 예를 들면 영상은 한 프레임에서 다음 프레임으로의 랜덤한 변화량에 밀접하게 관련된 크기를 갖는 각 프레임의 인코딩을 생성하는 이산 코사인 변환(DCT)을 이용하여 변환된다. 즉, 예를 들면 프레임(262, 263, 264)은 실질적으로 프레임(261) 보다 작게 도시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장면 변화에 대응하는 프레임인 프레임(261) 보다 적은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키 프레임(291, 292, 293)은 세그먼트(221) 내의 최대 정보(261, 271, 281)를 포함한 프레임들에 대응한다. 키 프레임을 선택하는 다른 기술들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한 기술은 각 장면의 중심에서 프레임을 선택하거나, 또는 예컨대 최소 제곱 결정 등을 이용하여 장면에서의 모든 다른 프레임으로부터 최소 차를 갖는 프레임을 선택한다. 스토리 세그먼테이션의 경우에, 수동 및 반자동 기술이 또한 키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해 이용되며, 이를 합성한 것이 각 스토리 세그먼트의 그림 요약을 형성한다. 또한, 스토리 세그먼테이션의 경우에서와 같이, 차후의 인코딩 표준은 각 스토리 세그먼트 내의 상기 키 프레임의 직접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rame of each scene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ames. If the anchor moves during the introduction of the story, only the visual difference may be displayed for each frame. The area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news desk or news room background does not substantially change from frame to frame. For example, when a scene change occurs by switching to a remote camera, substantially the entire image changes. Multiple image compression or transform structures provide the ability to store or transmit a sequence of images as a sequence of other frames. If there are many differences, the news frame is generally encoded directly as a sequence of reference frames, and the next frame is encoded as a difference from the reference frame. 2B illustrates the structure with the relative size of each frame F in each scene 251-253. The
분류기(120)는 도 1의 각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특징화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류기(120)는 수동 또는 반자동 기술이 또한 이용될 수 있지만 자동으로 특징을 부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특징의 주요 수단은 세그먼트 식별기(110)로부터의 텍스트 세그먼트(113)에 기초한다. 텍스트 세그먼트들(113)이 방송 채널 및 앵커의 이름 같은 주석을 포함하면, 상기 주석은 "방송자" 및 "앵커"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스토리 세그먼트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텍스트 세그먼트들(113)이 스토리 세그먼트의 복사 또는 요약이면, "희생자", "경찰", "범죄", "피고" 같은 키워드가 "범죄"의 주제하에서 새로운 스토리를 특징화하기 위해 이용된다. "민주주의자", "공화주의자", "하우스", "의회", "장관" 같은 키워드는 "정치"의 주제하에서 새로운 스토리를 특징화하기 위해 이용된다. 보조 카테고리화들은 또한 "홈런"이 카테고리 "스포츠"하의 보조 카테고리 "야구"로서 스토리를 특징화하도록 정의되며, 반면 "터치 다운"은 동일한 카테고리 "스포츠"하의 보조 카테고리 "미식축구" 로서 스토리를 특징화한다. 마찬가지로, "클린턴", "빌 게이츠", "존 웨인" 같은 특정한 이름은 각각 "정치", "컴퓨터", "오락" 같은 카테고리 스토리로 이용된다. 스토리 세그먼트는 다중 카테고리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빌 게이츠"는 "컴퓨터" 및 "재정" 모두로서 스토리를 카테고리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스토리에서 "피고" 및 "민주주의자"가 있으면, 스토리를 "범죄", "정치" 모두로서 카테고리화된다. 같은 방식으로, 오디오 세그먼트들(112)은 카테고리화를 위해 이용된다. 간접적인 방식으로, 오디오 세그먼트(112)는 텍스트와 텍스트에 적용되는 카테고리로 전환된다. 직접적인 방식으로, 오디오 세그먼트(112)는 "코미디", "폭력", "축제" 같은 적절한 특징화를 결정하기 위하여 웃음, 분노, 포격, 환호 같은 사운드로 분석된다. Classifier 120 characterizes each
선택적으로, 시각적 특징화기(130)는 그 시각적 콘텐트에 기초하여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특징화한다. 시각적 특징화기(130)는 시각적 인식 기술에 기초하여 스토리 세그먼트에 제시되는 사람을 식별하기 위해서, 또는 영상 배경 정보의 분석에 기초하여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시각적 특징화기(130)는 주석화 가치가 있는 사람의 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 시각적 특징화기(130)는 단일 또는 지배적인 그림을 포함한 영상을 식별하고, 상기 영상들은 라이브러리 내의 영상과 비교된다. 시각적 특징화기(130)는 또한 콘텐트 장면과 이와 연관된 주제 카테고리의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등압선을 갖는 맵에 사람을 포함한 영상은 "날씨"로서 특징적으로 주제를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 처리 기술들은 "실내" 또는 "실외", "도시", "지방" 또는 "바다" 장소 등을 영상으로 특징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특징화들(131)은 각 스토리 세그먼트(111)와 연관된 텍스트(113) 및 오디오(112)로 형성된 카테고리화를 부가, 변경 또는 공급하기 위해 분류기(120)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스토리 세그먼트(111) 내의 연기의 출현은 오디오 세그먼트(112) 내의 사이렌 사운드의 특징을 "경찰" 보다는 "화재"로서 개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Optionally, visual characterizer 130 characterizes
시각적 특징화기(130)는 또한 키 프레임들을 우선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뉴스캐스트는 각 새로운 장면의 선택에 기초하여 수 십개 또는 수 백개의 키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키 프레임의 수는 다른 것 보다 많은 정보를 가질 수 있는 영상을 선택함으로써 감소된다. 특정 영상 콘텐트는 중요한 콘텐트를 갖는 영상의 표시이다. 예를 들면, 사람의 이름은 종종 사람이 우선 뉴스캐스트중에 소개될 때 사람의 영상 아래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사람과 텍스트의 합성은 일반적으로 스토리 세그먼트(111)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사람의 클로즈업 또는 작은 그룹의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먼 거리 장면 또는 큰 그룹의 사람의 장면보다는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다수의 영상 분석 기술들이 통상 사진들, 살색들, 텍스트, 및 영상에서의 다른 분별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키 프레임들은 장면의 연대 같은 다른 단서와 함께 상기 영상 콘텐트 분석에 의해 우선화된다. 일반적으로, 더 중요한 장면은 보다 중요한 장면 보다 스토리 세그먼트(111)에 빨리 디스플레이된다. 키 프레임들의 우선화는 또한 우선 순위대로 주어진 수의 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비디오 스트림(101)용 콘텐트의 시각적 테이블과 함께 스토리 세그먼트들(111)용 콘텐트들의 시각적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Visual feature 130 may also be used to prioritize key frames. A newscast can have dozens or hundreds of key frames based on the selection of each new scen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number of key frames is reduced by selecting an image that can have more information than others. Specific image content is a representation of an image having important content. For example, a person's name is often displayed below the person's video when the person is first introduced during the newscast. This composition of the person and the text generally conveys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분류 시스템(100)은 특징화의 세트, 즉 각 스토리 세그먼트(111)의 분류(121)를 분류기(120)로부터 및, 각 스토리 세그먼트(111)용 키 프레임(114)의 세트를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로부터 검색 시스템(150)으로 공급한다. 분류기(121)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방송자", "앵커", "시간", "장소" 및 "주제" 같은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중 엔트리를 허용하는 "장소" 및 "주제" 같은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로 제공된다.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이용되는 다른 분류 방법은 스토리 세그먼트(111)에서 언급된 사람 또는 조직의 리스트 또는 선택 키워드의 히스토그램이다. 분류 시스템(100)에서 이용되는 분류(121)는 검색 시스템(150)의 필터(160)에서 이용된 필터링 시스템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지만 일관되거나 호환 가능해야 한다.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분류 트랜슬레이터가 분류(121) 또는 분류(121)의 일부를 필터(160)에서 이용되는 필터링 시스템과 호환 가능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분류 시스템(100)과 검색 시스템(150) 사이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슬레이션은 자동, 수동 또는 반자동일 수 있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분류 시스템(100)에 의한 각 스토리 세그먼트(111)의 분류(121)가 검색 시스템(150)의 필터(160)와 호환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The classification system 100 receives a set of characterizations, that is, a
검색 시스템(150)의 필터(160)는 스토리 세그먼트(111) 각각의 분류(121)에 기초하여 유저 선호도(191)의 세트와 일치하는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저는 유저 입력의 세트를 필터(160)의 필터링 시스템과 호환 가능하며 분류(121)와 호환 가능한 선호도(191)로 인코딩 하는 프로파일러(190)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면, 분류(121)는 방송 채널 또는 앵커의 식별을 포함하며, 프로파일러(190)는 필터(160)에 의한 포함 또는 배제를 위한 특정 채널 또는 앵커를 지정하는 옵션을 유저에게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로파일러(190)는 "순간적인" 선호도와 함께 "일정한" 선호도를 모두 포함하여, 전체 선호도의 세트를 유지하면서 유저 마인드의 현재 상태에 따르는 상기 선호도를 유저가 용이하게 변경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일시적 세트에서는, 예를 들면 "스포츠" 및 "날씨" 같은 주제의 선택이 있을 수 있다. 일정한 세트에서는, 예를 들면 앵커가 관심이 있는 현재 주제를 어드레싱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배제하기 위한 앵커의 리스트가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정한 세트는 순간적인 선택에 상관없이 포함될 수 있는 "야구" 또는 "주식 시장" 같은 주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서치를 위해 이용되는 일반 기술과 같이, 프로파일러(190)는 결합 및 분리 등을 이용하여 기준의 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회사명의 지정된 리스트와 매칭하는 하나 이상의 워드를 포함한 "주식 시장" 스토리에 지속적인 관심을 지정한다.The filter 160 of the search system 150 identifies the
필터(160)는 유저 선호도(191)와 매칭하는 분류(121)를 갖는 스토리 세그먼트(111) 각각을 식별한다. 매칭의 정도, 즉 필터의 조밀도는 유저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극단적으로, 유저는 유저의 선호도(191)중 어떤 것과도 매칭하는 모든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요구할 수 있으며, 다른 극단으로서, 유저는 유저의 선호도(191) 모두와 일치하는 모든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요구할 수 있다. 유저는 3개의 주제 영역중 적어도 2개와 매칭하는 모든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요구할 수 있으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들 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는 또한 유저가 예컨대 "스포트"는 원하지 않지만 "하키"는 원하는 상기 주제 또는 키워드 같은 부정 선호도(191)를 가질 수 있다. 필터(160)는 유저의 선호도(191)를 식별하는 스토리 세그먼트(111) 각각을 필터링된 세그먼트(161)로서 식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컨대 스토리 세그먼트(111)의 각 분류(121)에서의 각 주제의 키워드 수의 카운트를 이용하여 분류(121)와 유저 선호도(191)간의 매칭의 정도에 따라 각 스토리를 랭크하는 분류기를 포함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랭킹은 다차원 랭킹 또는 벡터 랭킹이 기술적으로 일반화되어 있지만, 단방향 스칼라양으로서 제안된다. 다중 방송 채널상에 보도되는 동일한 스토리의 경우에, 랭킹(162)은 또한 유저가 원하는 앵커 또는 유저가 원하는 방송 채널에 의해 크게 가중화될 수 있으며, 상기 랭킹(162)은 또한 가장 최근의 스토리로의 선호도에서 각 뉴스캐스트의 시간에 의해 가중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저는 가중화 인자를 조정하기 위한 선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부정 선택 절대치를 작성할 수 있으며, 세그먼트가 부정된 주제 또는 키워드를 포함하면, 다른 매칭 선호도와 상관없이 최하위 등급으로 할당된다. 어떤 수의 일반적인 기술이 지식 기반 시스템, 퍼지 논리 시스템, 전문가 시스템, 학습 시스템 같은 인공 지능 기술의 이용을 포함한 상기 우선화를 실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필터(160)는 상기 랭킹(162)에 기초하여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또는 필터링된 세그먼트(161) 각각의 랭킹(162)을 검색 시스템(150)의 표현기(170)에 제공한다. Filter 160 identifies each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160)는 또한 일반적으로 "톱 스토리"로 불리우는 인기 있는 스토리를 식별하기 위하여 다중 스토리 세그먼트에서 동일한 스토리의 발생을 식별한다. 상기 식별은 유저의 선호도(191)에 독립적인 스토리 세그먼트들(111) 중에서 분류들의 유사도에 의해 결정된다. 유사도 측정은 키워드의 히스토그램들 사이의 상관도에 따라 다른 스토리 세그먼트(111)에 적용되는 동일한 주제 분류에 기초한다. 유사한 스토리의 방생 횟수에 기초하여, 필터(160)는 유저의 선호도(191)와 독립적인 스토리 세그먼트(111)중에서 가장 인기있는 현재의 스토리를 식별한다. 또한, 필터(160)는 선호도(191)와 적어도 일부 동일성을 갖는 가장 인기 있는 스토리를 식별한다. 상기 가장 인기 있는 현재의 스토리로부터, 필터는 방송 채널, 앵커에 대한 유저의 선호도(191)에 기초하여 표현기(170)에 의한 표현을 위하여 한 이상의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선택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lter 160 also identifies occurrences of the same story in multiple story segments to identify popular stories, commonly referred to as "top stories." The identification is determined by the similarity of the classifications among the
본 발명에 따르면, 표현기(170)는 디스플레이(175)상에 필터링된 스토리 세그먼트(161)의 키 프레임(114)을 제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각 스토리 세그먼트(161)와 연관된 키 프레임의 세트는 각 스토리 세그먼트(111)의 그림 요약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표현기(170)는 유저 선호도(191)에 대응하는 상기 스토리 세그먼트(161)의 그림 요약(171)을 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스토리 세그먼트(161)에 디스플레이되는 키 프레임의 수는 영상 콘텐트, 연대, 이와 연관된 텍스트 등에 기초하여 상술된 우선화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그림 요약의 표현은 스토리 세그먼트(111)와 연관된 오디오 세그먼트 부분을 재생함으로써 수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세그먼트 부분은 앵커에 의한 스토리 세그먼트의 소개에 대응하는 각 스토리 세그먼트의 제 1 오디오 세그먼트일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텍스트 세그먼트의 요약은 또한 그림 요약(171)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특정한 필터링된 스토리 세그먼트의 그림 요약(171)은 유저의 관심을 일으키고, 유저는 검색 시스템(150) 내의 재생기(180)에 의해 완전 재생을 위해 필터링된 스토리 세그먼트를 선택한다. 일반적인 기술에서, 유저는 예컨대 마우스를 이용하여 관심이 있는 스토리의 디스플레이된 키 프레임을 지시함으로써, 또는 음성 명령, 제스쳐, 키보드 입력 등에 의해 선택을 실행할 수 있다. 유저 선택(1876)의 수신시, 재생기(180)는 선택된 스토리 세그먼트(181)를 디스플레이(175)상에 디스플레이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er 170 presents the key frame 114 of the filtered
도 3은 검색 시스템(150)용의 일례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디스플레이(175)는 필터링된 스토리 세그먼트 키 프레임(171)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창들(panes)(310)을 갖는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75)는 4개의 창(310a, 310b, 310c, 310d)을 포함하지만, 더 적거나 또는 더 많은 창이 표현 제어기(350)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표현기는 창들(panes)(310) 내의 키 프레임(171) 각각을 연속적으로 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스토리 세그먼트(161)에 대응하는 키 프레임(171) 각각은 창들(310a, 310b, 310c, 310d)중 하나에 연속적으로 제시된다. 즉, 도 3에서, 4개의 스토리 세그먼트(161)의 키 프레임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며, 각 창은 그림 요약을 스토리 세그먼트(161) 각각에 제공한다. 유저는 각 키 프레임(171)의 기간 및, 다른 스토리 세그먼트(161)로부터의 키 프레임(171)의 세트가 상기 창에 제시되기 전의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 스토리 세그먼트(161)로부터의 키 프레임들(171)이 반복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선택을 갖는다. 모든 필터링된 스토리 세그먼트(161)의 모든 키 프레임(114)기 제시된 후, 사이클은 유저의 선호도와 일치하는 스토리 세그먼트의 키 프레임의 지속적인 슬라이드 쇼를 제공함으로써 반복된다. 다른 디스플레이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리 세그먼트(161)로부터의 4개의 세그먼트가 4개의 창(310a-310d) 모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창이 다른 창이 낮은 우선 순위 장면을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스토리 세그먼트(161)의 높은 우선 순위 장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주요 창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디오 표현을 위한 상기한 기술 및 이외의 기술들은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명백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표현 제어기(350)는 키 프레임(171)의 선택 및 표현의 최적화를 위하여 제공된다. 3 illustrates an example user interface for search system 150.
필터(160)가 각 필터링된 스토리 세그먼트(161)와 연관된 랭킹(162)을 제공하면, 표현기(170)는 키 프레임(171)의 각 제시된 세트의 빈도 또는 기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랭킹(162)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표현기(170)는 필터링된 세그먼트(161)와 유저 선호도(191) 사이의 일치도에 비례하는 반복률로 필터링된 세그먼트(161)의 키 프레임(114)을 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큰 수의 필터링된 세그먼트(161)가 필터(160)에 제공되면, 표현기(170)는 매 사이클마다 유저 선호도(191)와의 높은 일치도를 갖는 세그먼트(161)의 키 프레임(114)을 제시할 수 있지만, 매 사이클보다 적은 유저 선호도(191)와 낮은 일치도를 갖는 세그먼트의 키 프레임(114)을 제시할 수 있다. Once filter 160 provides a ranking 162 associated with each
표현 제어기(350)는 또한 표현기(170)와 재생기(180) 사이의 상호 작용을 유저가 제어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저는 한 창(310)에서 선택된 스토리 세그먼트(181)를 동시에 볼 수 있으며, 다른 스토리 세그먼트로부터의 키 프레임(171)은 계속해서 다른 창에 디스플레이된다. 대안으로는, 선택된 스토리 세그먼트(181)는 디스플레이(175)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위한 상기 선택 및 다른 선택은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명백하다. 유저는 또한 볼륨 제어, 반복, 고속 진행, 역 진행 같은 기존의 재생 기능을 위해 350 내에 재생 제어 기능부를 제공받는다. 스토리 세그먼트(111)는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 내의 장면들로 분할되기 때문에, 재생 기능들(350)은 다음 장면, 이전 장면 등과 같은 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프로파일러(190)와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또한 디스플레이(175)를 통해 제공된다. 도 3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에서, 버튼(320)은 유저가 선택 카테고리에서 선호도(191)를 설정하도록 제공된다. "매체" 버튼(320a)은 필터(160)에서의 훨씬 뒤의 시간이 어떻게 스토리 세그먼트를 고려하는지 같은 시간 설정에 관한 유저 옵션을 제공한다. "시간" 버튼(320b)은 필터(160)가 스토리 세그먼트들을 고려해야하는 시간에 얼마나 뒤떨어져 있는지와 같은 시간 세팅들에 관한 유저 옵션들을 제공한다. "주제" 버튼(320c)은 유저가 스포츠, 예술, 금융, 범죄 같은 주제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장소" 버튼(320d)은 유저가 인기 있는 스토리 세그먼트의 상술된 식별에 적용되는 필터 파라미터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탑 스토리들(top stories)" 버튼(320e)은 유저가 대중 스토리 세그먼트들의 미리 언급괸 식별에 적용되는 필터 파라메터들을 지정하도록 한다. "키워드" 버튼(320f)은 유저가 관심이 있는 특정한 키워드를 지정하도록 한다. 다른 카테고리들 및 옵션들은 또한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A user interface with profiler 190 is also provided via
도 3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또한 표현(330)과 재생기(340) 모드들의 선택을 할 수 있다. 표현기(170)는 유저의 선호도 설정에 의해 선택된 스토리 세그먼트들의 키 프레임들 또는 "탑" 스토리들 세그먼트들의 키 프레임들을 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재생기(180)는 상술된 동작에 대응하는 브라우즈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저는 키 프레임을 브라우즈하고, 관심이 있는 스토리 세그먼트를 선택하거나, 또는 재생 모드에서 재생기(180)는 연속적으로 필터링된 스토리 세그먼트(161) 각각을 제시하며, 스캔 모드에서, 재생기(180)는 연속적으로 각 필터링된 제 1 장면을 제시한다. The user interface of FIG. 3 may also make selection of the
키 프레임과 이와 연관된 자료를 제시하는 다른 수단이 제공된다. 표현은 다차원일 수 있으며, 예컨대 유저의 인터페이스(191)로의 세그먼트(111)의 상관도는 깊이를 식별하고, 키 프레임은 키프레임이 사용자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서 나타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깊이를 이용하여 다차원 시각 뷰에서 제시된다. 마찬가지로, 유저 선호도의 다른 카테고리들(320)은 뷰의 다른 면과 연관될 수 있으며, 각 카테고리 내의 유저 선호도와의 강한 상관도를 갖는 각 세그먼트의 키 프레임은 각 대응하는 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및 다른 표현 기술들은 본 발명의 관점에서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자명하다. Other means for presenting key frames and associated materials are provided. The representation may be multidimensional, for example the correlation of the
본 발명이 주로 뉴스 검색 시스템의 내용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명세서에서 나타난 원리들이 다른 검색 작업들에도 적용 가능함을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은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나타난 본 발명의 원리들은 직접 채널 서핑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 서핑 유저는 방송 프로그램들중 하나가 유저의 관심에 맞는 것일 때까지 다수의 방송 채널들을 랜덤하게 또는 계통적으로 샘플링함으로써 관심이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서치를 한다. 온-라인 모드에서 분류 시스템(100) 및 검색 시스템(150)을 이용함으로써, 일부 처리 지연이 있더라도 관심이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더 효율적인 서치가 실행될 수 있다. 온-라인 모드에서,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는 방송 채널의 현재의 비상업적 부분에 대응하는 텍스트 세그먼트(113), 오디오 세그먼트(112) 및 키 프레임(114)을 제공한다. 분류기(120)는 상기 제시된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부분들을 분류한다. 필터(160)는 사용자의 선호도(191)에 일치하는 부분들을 식별하고, 표현기(170)는 필터링된 부분들(161) 각각으로부터 키 프레임(171)의 세트를 제시한다. 유저가 키 프레임(171)의 특정 세트를 선택하면, 방송 채널 선택기(105)는 선택된 키 프레임(171)에 대응하는 채널로 턴되며,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 저장 디바이스(115) 및 플레이어(180)는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101)을 제시하도록 바이패스 모드에 위치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primarily in the context of a news retrieval system,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inciples presented herein are applicable to other retrieval tasks as well. For example,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herein can be used for direct channel surfing. Generally, a channel surfing user searches for a program of interest by randomly or systematically sampling a number of broadcast channels until one of the broadcast programs suits the user's interest. By us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100 and the retrieval system 150 in the on-line mode, a more efficient search for the program of interest may be performed even with some processing delay. In the on-line mode, story segment identifier 110 provides text segment 113,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제시된 원리 및 기술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의 고객 제품(400)을 예시한다. 제품(400)은 가정 컴퓨터 또는 텔레비전일 수 있으며, VCR, CD-R/W 또는 DVR 디바이스 같은 비디오 기록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시적 제품(400)은 유저에 의한 표현 및 선택을 위해 잠재적으로 관심이 있는 스토리 세그먼트(111)를 기록한다. 스토리 세그먼트들(111)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분류 시스템(100)에 의해 비디오 스트림(101)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101)은 선택기(420) 및 튜너(410)를 통해 케이블 또는 안테나 입력 같은 다채널 입력부(401)로부터 선택된다.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presented herein may comprise a variety of embodiments. 4 illustrates an
도 4의 한 실시예에서, 선택기(420)는 종래의 VCR 디바이스들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가능한 다-사건 채널 선택기이다. 유저는 지정된 기간동안 각 특정한 사건 시간에서 관심이 있는 특정한 채널로 튜너(410)를 맞추기 위해 선택기(420)를 프로그램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한 채널에서의 아침 뉴스, 다른 채널에서의 저녁 뉴스, 또 다른 채널에서의 최종 밤 뉴스의 시간 및 기간을 프로그램 할 수 있다. 각 채널이 실질적으로 선택기(420)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스토리(111)는 또한 각 세그먼트(111)를 분류하는 분류 시스템(100)을 통해 레코더(430)상에 세그먼트되어 저장되며, 상술된 바와 같이 입력/출력 디바이스(440)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관련 키 프레임(171)을 추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코더(430)는 기록 매체가 허용함에 따라 여러 개의 최근 세그먼트(111)로 연속해서 제공되도록 가장 최근의 세그먼트(111) 각각을 기록함에 따라 가장 오래된 세그먼트(111)를 자동적으로 제거하는 연속적인 조사 레코더 또는 연속적인 원형 버퍼 레코더이다. 유저는 입력/출력 디바이스(440)를 통해 시스템에 액세스하고, 유저의 선호도와 매칭하는 가장 최근의 세그먼트(111)의 키 프레임에 제시된다. 이후, 유저는 제시된 키 프레임(171)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세그먼트(181)를 선택한다. In one embodiment of FIG. 4, the selector 420 is a programmable multi-event channel selector as identified in conventional VCR devices. The user programs the selector 420 to tune the tuner 410 to the particular channel of interest at each particular event time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a user may program the time and duration of morning news on one channel, evening news on another channel, and last night's news on another channel. As each channel is substantially selected by the selector 420, the
다수의 선택적 기능이 또한 도 4에 예시된다. 이용 가능한 기록 매체의 이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기록 시스템(150)은 상술된 가장 오래된 기록 가능한 구조 보다는 (451)을 통해 선택 가능한 제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새로운 세그먼트(111)가 기록 매체의 할당을 필요로 하면, 검색 시스템(150)은 유저의 선호도와의 최소 상관도를 갖는 기록 매체상에 있는 세그먼트(111)를 식별한다. 가장 오래된 세그먼트를 가장 최근의 세그먼트로 대체하는 대신에, 유저로의 최소의 잠재적으로 관심이 있는 세그먼트가 가장 최근의 세그먼트로 대체될 수 있다. 검색 시스템(150)은 또한 분류 시스템(100)에 의해 가장 최근의 세그먼트의 분류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의 세그먼트가 유저 선호도에 기초하여 유저가 관심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가장 최근의 세그먼트의 기록을 전송한다. Many optional functions are also illustrated in FIG. 4. In order to optimize the use of available recording media, recording system 15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selectable removal through 451 rather than the oldest recordable structure described above. If the
대시선들(dashed lines)(191, 402)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제품(400)은 선필터(425)를 통해 선택기(420)에 의해 채널의 선택을 위해 제공된다. 선필터(425)는 선택기(420) 및 튜너(410)를 통해 채널(401)의 선택을 제어함으로써 세그먼트(111)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된 바와 같이, 부가 텍스트 정보는 일반적으로 다채널(401)의 채널 입력부(401) 각각에 제시될 프로그램을 설명하는데 이용 가능하다. 대시선들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가 정보, 즉 프로그램 가이드는 독립 프로그램 가이드 접속(402)을 통한 다채널 입력부(401)의 일부일 수 있다. 상술된 필터(160)와 유사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선필터(425)는 유저 선호도(191)와의 강한 상관도를 갖는 프로그램 가이드(402) 내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고, 상술된 바와 같이 기록, 분류 및 검색을 위한 상기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해 선택기(420)를 프로그램한다. As illustrated by dashed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 및 파라미터는 각 특정한 실시예의 기능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품(400)은 라이브 뉴스캐스트를 보기 위한 시간이 없는 고객을 위한 팜탑 시청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근자는 잠재적으로 관심이 있는 스토리(111)를 기록하기 위해 전날 밤에 제품을 다채널 입력부(401)의 소스에 접속한다. 이때, (승객으로의)통근자는 상기 기록된 스토리(111)로부터 관심이 있는 스토리(181)를 검색하기 위해 제품(400)을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원들은 제한되고, 각 성분의 파라미터는 이에 따라 조정된다. 예를 들면, 각 세그먼트(111)와 연관된 키 프레임(114)의 수는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선필터(425) 또는 필터(160)는 실질적으로 더 선택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의 분류기(100) 및 검색 시스템(150)은 이들이 부가되는 성분에 기초하여 이들의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류 시스템(100)은 다양한 유저들에게 스토리 세그먼트를 분류하기 위해 이용되는 매우 크고 다용도의 시스템일 수 있으며, 각각이 다른 레벨의 복잡도와 비용을 갖는 다른 모델의 검색 시스템(150)이 선택된 스토리 세그먼트를 검색하기 위하여 유저에게 제공된다.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functions and parame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each particular embodiment. For example,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그 사상 및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디바이스들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프레임(114)은 키 프레임이 짧은 비디오 칩 같은 일련의 영상과 동등하더라도 본 명세서에서는 단일 영상으로 나타나며, 키 프레임의 표현은 상기 비디오 칩들 각각의 표현일 수 있다. 분류 시스템(100)과 검색 시스템(150)의 성분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성분은 전문가 시스템, 지식 기반 시스템 등을 포함한 분류와 검색 기술에 공통인 툴과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퍼지 논리, 신경망, 다양한 복귀 분석, 비-단조적 합리화, 의미 처리 및 기술적으로 일반적인 다른 툴 및 기술이 본 발명에서 제시된 기능 및 성분을 실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처리기(170) 및 필터(160)는 이들의 선호도(191)와의 상관도와 관계없이 랜덤하게 선택된 세그먼트의 키 프레임(114)을 갖는 유저 선호도(191)와의 높은 상관도를 갖는 세그먼트(161)의 키 프레임(114)의 표현을 증대시키는 랜덤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101)의 소스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일 수 있으며, 스토리 세그먼트(111)는 비디오 스트림(101)의 소스와 관계없이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텔레비전 방송의 내용으로 제시되었지만, 본 명세서에 제시된 기술은 또한 인터넷과 월드 와이드 웹을 포함한 공중, 개인 네트워크 같은 소스로부터 비디오 정보의 분류, 검색 및 표현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 프레임(114)의 세트와 스토리 세그먼트(111)간의 관계는 웹 사이트 어드레스를 포함한 삽입된 HTML 명령을 통한 것일 수 있으며, 선택된 스토리 세그먼트(181)의 검색은 대응하는 웹 사이트의 선택을 통한 것일 수 있다. The forego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ly various devices within its spirit and scope even if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For example, key frame 114 is represented as a single image in this specification even if the key frame is equivalent to a series of images such as a short video chip,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key frame may be a representation of each of the video chips. The components of classification system 100 and retrieval system 15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Components can include tools and techniques common to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techniques, including expert systems, knowledge-based systems, and so on. Fuzzy logic, neural networks, various regression analysis, non-monotonic rationalization, semantic processing, and other technically general tools and techniques can be used to implement the functions and components presented herein. The processor 170 and the filter 160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the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 기의 분리는 예시만을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다. 예를 들면, 방송 채널 선택기(105)는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의 필요 부분이거나, 또는 분류 및 검색 시스템이 단일 소스 비디오 스트림 또는 이전에 기록된 비디오 스트림(101)으로부터 스토리 세그먼트를 검색하기 위해 이용되면 없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는 병렬 처리기를 동시에 이용하여 다중 방송 채널을 처리할 수 있다. 필터(160) 및 프로파일러(190)는 단일 선택 디바이스로서 통합될 수 있다. 키 프레임(114)은 재생기(180)에 의해 기능적으로 제공된 레코더(115) 및 표현기(170) 에 저장되거나, 이로부터 색인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스토리 세그먼트들(111)로부터 키 프레임들(114)의 추출은 스토리 세그먼트 식별기(110)나 표현기(170)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의 범위 내에서의 상기한 것 및 다른 분할 및 최적화 기술들은 당 기술에 숙련된 지식을 자진 자들에게는 자명하다.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eparation of groups presented herein is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For example, the broadcast channel selector 105 is a necessary part of the story segment identifier 110, or a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system is used to retrieve story segments from a single source video stream or previously recorded
Claims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2027798A | 1998-12-23 | 1998-12-23 | |
US09/220277 | 1998-12-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1194A KR20010041194A (en) | 2001-05-15 |
KR100711948B1 true KR100711948B1 (en) | 2007-05-02 |
Family
ID=2282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92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1948B1 (en) | 1998-12-23 | 1999-12-15 | Personalized Video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System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057129A1 (en) |
JP (1) | JP2002533841A (en) |
KR (1) | KR100711948B1 (en) |
CN (1) | CN1116649C (en) |
WO (1) | WO2000039707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630B1 (en) | 2009-07-31 | 2011-06-2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News delivery method and system |
KR101475479B1 (en) * | 2013-06-27 | 2014-12-2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for shi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RE47908E1 (en) | 1991-12-23 | 2020-03-17 | Blanding Hovenweep, Llc | Ergonomic man-machine interface incorporatin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
USRE48056E1 (en) | 1991-12-23 | 2020-06-16 | Blanding Hovenweep, Llc | Ergonomic man-machine interface incorporatin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
US6920281B1 (en) | 2000-06-30 | 2005-07-19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Video memory manager for use in a video recorder and method of operation |
EP1191460A1 (en) * | 2000-09-21 | 2002-03-27 | Swisscom AG |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digital audio and video files |
JP2002169819A (en) * | 2000-12-01 | 2002-06-14 | Kanebo Ltd | Video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ed therefor |
US7210157B2 (en) | 2000-12-18 | 2007-04-24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Apparatus and method of program classification using observed cues in the transcript information |
US20030023972A1 (en) * | 2001-07-26 | 2003-01-30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Method for charging advertisers based on adaptive commercial switching between TV channels |
US7096179B2 (en) | 2001-08-15 | 2006-08-22 |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 Text-based automatic content classification and grouping |
KR100888095B1 (en) * | 2001-09-07 | 2009-03-11 | 인터그래프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스 캄파니 |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method of image stabilization using color matching and computer readable code for image stabilization |
US20030101104A1 (en) * | 2001-11-28 | 2003-05-29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information related to targeted subjects |
US20030107592A1 (en) * | 2001-12-11 | 2003-06-12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information related to persons in video programs |
JP2007519053A (en) * | 2003-06-30 | 2007-07-12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ultimedia summary of a multimedia stream |
EP1538536A1 (en) | 2003-12-05 | 2005-06-08 |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 Visualization and control techniques for multimedia digital content |
KR100452085B1 (en) * | 2004-01-14 | 2004-10-12 | 엔에이치엔(주) | Search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Keyword Input Frequency By Category And Method Thereof |
JP4586446B2 (en) * | 2004-07-21 | 2010-11-24 | ソニー株式会社 | Content recording / playback apparatus, content recording / playback method, and program thereof |
KR100683501B1 (en) * | 2005-02-23 | 2007-02-15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Anchor Screen Extraction Device for News Video Using Neural Network and Its Method |
JP2006279429A (en) * | 2005-03-29 | 2006-10-12 | Kddi Corp | Video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
CN101151674B (en) * | 2005-03-31 | 2012-04-25 |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 Synthesis of Composite News Reports |
EP2041900A2 (en) * | 2006-07-04 | 2009-04-01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Method of content substitution |
KR20090027758A (en) * | 2006-07-04 | 2009-03-17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Method of content substitution |
US8671337B2 (en) | 2007-03-27 | 2014-03-11 |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ultimedia-content presentation |
JP4919879B2 (en) | 2007-06-07 | 2012-04-18 | ソニー株式会社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
US8588583B2 (en) * | 2007-08-22 | 2013-11-19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video frame selection |
US7836093B2 (en) * | 2007-12-11 | 2010-11-16 | Eastman Kodak Company | Image record trend identification for user profiles |
US20110184955A1 (en) * | 2008-10-31 | 2011-07-28 | April Sleyoen Mitchell | Organizing data |
JP5709359B2 (en) * | 2009-04-07 | 2015-04-30 | ソニー株式会社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
CN101887445B (en) * | 2009-05-12 | 2012-10-10 | 大相科技股份有限公司 | Dynamic image processing method, system and added value processing method |
WO2011039773A2 (en) * | 2009-09-14 | 2011-04-07 | Tata Consultancy Services Ltd. | Tv news analysis system for multilingual broadcast channels |
CN101894129B (en) * | 2010-05-31 | 2012-05-02 | 中国科学技术大学 | Method of Video Topic Discovery Based on Online Video Sharing Website Structure and Video Description Text Information |
EP2661863B1 (en) * | 2011-01-04 | 2016-07-20 | Thomson Licensing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live media content |
CN102184235A (en) * | 2011-05-13 | 2011-09-14 | 广州星海传媒有限公司 | Set top box-based digital television program recommending method and system |
CN106202421B (en) * | 2012-02-02 | 2020-01-31 | 联想(北京)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video and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video |
CN103258555A (en) * | 2012-02-16 | 2013-08-21 | 岳振华 | Video editing method and video editing device |
CN102799637A (en) * | 2012-06-27 | 2012-11-28 | 北京邮电大学 |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main character abstract in television program |
CN103200463A (en) * | 2013-03-27 | 2013-07-10 |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video summary |
CN106550254B (en) * | 2015-09-23 | 2020-02-18 | 北京丰源星际传媒科技有限公司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broadcasting of movie patch advertisements in theaters |
CN108959323B (en) * | 2017-05-25 | 2021-12-07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Video classification method and device |
CN108241729A (en) * | 2017-09-28 | 2018-07-03 | 新华智云科技有限公司 | Scre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video |
CN109241303B (en) * | 2018-06-29 | 2022-10-2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Video creation method and related product |
US20200159759A1 (en) * | 2018-11-20 | 2020-05-21 | Comcast Cable Communication,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indexing a content asset |
CN113704597A (en) * | 2020-05-21 | 2021-11-26 |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
CN113360709B (en) * | 2021-05-28 | 2023-02-17 |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hort video infringement risk and electronic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42263A (en) * | 1992-06-08 | 1993-12-24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Video data search support method |
JPH10111872A (en) * | 1996-10-08 | 1998-04-28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Video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
EP0976089A4 (en) * | 1996-11-15 | 2001-11-14 | Sarnoff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representing, storing and accessing video information |
JP3426960B2 (en) * | 1998-04-23 | 2003-07-14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Video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
-
1999
- 1999-12-15 WO PCT/EP1999/010221 patent/WO2000039707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9-12-15 JP JP2000591534A patent/JP2002533841A/en active Pending
- 1999-12-15 CN CN99805318A patent/CN111664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12-15 EP EP99965522A patent/EP1057129A1/en not_active Withdrawn
- 1999-12-15 KR KR1020007009264A patent/KR1007119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없음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630B1 (en) | 2009-07-31 | 2011-06-2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News delivery method and system |
KR101475479B1 (en) * | 2013-06-27 | 2014-12-2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data for shi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1194A (en) | 2001-05-15 |
CN1298522A (en) | 2001-06-06 |
CN1116649C (en) | 2003-07-30 |
JP2002533841A (en) | 2002-10-08 |
WO2000039707A1 (en) | 2000-07-06 |
EP1057129A1 (en) | 2000-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1948B1 (en) | Personalized Video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System | |
US20050028194A1 (en) | Personalized news retrieval system | |
KR100915847B1 (en) | Streaming video bookmarks | |
KR10115074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ultimedia summary of multimedia streams | |
KR10079415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udio / data / visual information | |
CA2924065C (en) | Content based video content segmentation | |
Dimitrova et al. | Applications of video-content analysis and retrieval | |
US7209942B1 (en) |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eption apparatus | |
KR100411437B1 (en) | Intelligent news video browsing system | |
US2003009379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information retrieval, update and presentation | |
KR100965457B1 (en) | Increase of content based on personal profile | |
US2003009358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alerts | |
US20070136755A1 (en) | Video content view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 |
EP1843262A2 (en) |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 |
JP2008148077A (en) | Movie playback device | |
Jasinschi et al. | Automatic TV program genre classification based on audio patterns | |
Slaughter et al. | Open video: A framework for a test collection | |
Smeaton et al. | TV news story segmentation, personalisation and recommendation | |
Dimitrova et al. | PNRS: personalized news retrieva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4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42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