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4114B1 -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록매체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록매체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114B1
KR100714114B1 KR1020050121044A KR20050121044A KR100714114B1 KR 100714114 B1 KR100714114 B1 KR 100714114B1 KR 1020050121044 A KR1020050121044 A KR 1020050121044A KR 20050121044 A KR20050121044 A KR 20050121044A KR 100714114 B1 KR100714114 B1 KR 10071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
identifier
information
naptr
cli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운
이준섭
유상근
김형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1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114B1/ko
Priority to PCT/KR2006/005187 priority patent/WO2007066941A1/en
Priority to US12/086,088 priority patent/US2010003691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11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52Lookup mechanisms between a plurality of directories; Synchronisation of directories, e.g. metadirec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55Directories for electronic mail or instant mess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록매체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클라이언트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NAPTR : Naming Authority Pointer)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메시지를 DNS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네이밍 권한 포인터 중에서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되는 URI를 선택하는 URI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이밍 권한 포인터는 URI 및 상기 URI를 사용하는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NS 서버에 대한 클라이언트가 URI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URI 중에서, 사용할 URI를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록매체 및 그 방법{Client, computer-readable media and method for acquiring URI}
도 1은 DNS 서버에 저장되는 zone 설정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APTR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은 E.164 도메인 이름에 대해 NAPTR의 "SERVICES" 필드를 구성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숫자 코드에 대해 NAPTR의 "SERVICES"필드를 구성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c는 도 3b의 필드 구성 구조에 따른 서비스 필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NAPTR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4의 NAPTR 구조를 DNS 서버의 zone 파일에 표시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zone 파일로 추출된 URI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50.40.30.20.10.odsroot.or.kr"도메인 이름에 대해 서비스 이용자 대상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DNS 서버의 zone 설정 파일에 저장한 NAPTR 레코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RI를 획득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 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RI를 획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URI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Naming Authority Pointer : 이하 NAPTR이라 칭함)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를 통해 도메인 이름 서비스(Domain Name Service : 이하 DNS라 칭함) 응답 메시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RI 중에서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URI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이밍 권한 포인터는 전화번호, 바코드, RFID(Radio Frequency Indentification) 코드와 같이 숫자로 된 인터넷 도메인 이름에 대해 자원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이하 URI라 칭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NAPTR은 어떤 임의의 응용 서비스와 관련된 프로토콜에 대한 표시를 목적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URI형태의 결과를 보여준다. 클라이언트 예컨대, TV 판매자의 응용프로그램이 판매할 TV의 "1.2.3.4"라는 RFID 코드를 도메인 이름 "4.3.2.1.odsroot.or.kr"으로 변환한 후 DNS 서버에 전송한다. 이에 DNS 서버는 상기 도메인 이름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URI를 포함하는 NAPTR 레코드를 DNS 응답 메시지에 담아서 DNS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것이다. 여기서, DNS 응답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URI가 포함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복수 개 존재한다. 예컨대, DNS 응답메시지가 두 개의 NAPTR 레코드를 포함하고, 각각의 NAPTR 레코드가 "sip:info@ pbx.example.com" 및 "mailto:info@example.com"인 URI를 포함하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2개의 URI와 관련된 정보를 받는 셈이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2 개의 URI 중에서 사용할 URI를 결정하게 되는 데, 이를 결정하는 동작 우선순위는 NAPTR 필드 중 "ORDER"와 "PREFERENCE"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동작 규칙은 URI를 사용할 주체 즉, 클라이언트에 대한 고려는 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종래의 NAPTR 구조에 따르면, DNS 응답메시지에 복수 개의 URI가 존재하며, 그 URI 각각에 적합한 클라이언트가 있는 경우, 각각의 URI와 그에 적합한 클라이언트를 연결해주는 정보가 DNS 응답메시지에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불편한 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한 점에 대한 예로, TV 판매자가 TV에 대한 가격 정보를 이마트의 구매자 및 월마트의 구매자에게 가격 정보를 제공하며, 이마트에서의 TV 가격이 A이고, 월마트에서의 TV 가격이 B인 경우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마트의 판매자용 응용프로그램 및 월마트의 판매자용 응용프로그램에 판매할 TV의 RFID에 대응하는 DNS 응답메시지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DNS응답메시지에는 이마트용 가격A를 획득하게 하는 URI와 월마트용 가격B를 획득하게 하는 URI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이마트의 판매자용 응용프로그램 및 월마트의 판매자용 응용프로그램은 각각 가격A 및 가격B를 획득해야 하는데, 상기 DNS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기존의 NAPTR 규격을 가지고서는,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은 자신에게 적합한 가격를 제공하는 URI가 둘 중 어느 것인지를 구별할 수 없다. NAPTR 레코드에는 서비스 필드가 있어서 HTTP, FTP, TELENET, VoIP 등 어떤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체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의 예 뿐만 아니라, 개인, 기관, 회사, 또는 사업자 등과 같이 서비스 이용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DNS 응답 메시지에 NAPTR 레코드 형식으로 포함된 복수 개의 URI 중에서, 사용할 URI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URI 정보 기반의 클라이언트, 기록매체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URI 정보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메시지를 DNS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URI 중에서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되는 URI를 선택하는 URI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이밍 권한 포인터는 URI 및 상기 URI를 사용하는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URI 정보; 및 상기 URI를 사용하는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 함하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의 데이터 구조를 수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클라이언트의 URI 정보 사용 방법은 네이밍 권한 포인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메시지를 DNS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URI 중에서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되는 URI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이밍 권한 포인터는 URI 및 상기 URI를 사용하는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TV, 영화, 쇠고기 등과 같은 어떤 대상에 관련된 정보 서비스 즉, 자원(resource)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자 할 때 서비스 이용 대상에 적합한 자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NAPTR 레코드를 통해 이들을 식별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즉, 클라이언트가 TV, 영화, 쇠고기 등에 대한 이력, 가격 정보 등의 정보 서비스를 획득하고자 할 때, 상기 정보 서비스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 들 중에서 클라이언트가 획득하고자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NAPTR 레코드를 선택하는 이유는, 전화번호, 바코드, 또는 RFID 코드 등과 같이 숫자 형태로 식별하는 어떤 대상에 대해 미리 설정된 URI 정보를 DNS 프로토콜을 통해 제공하는 수단이 NAPTR 레코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NAPTR 정보를 통해 서비스 이용 대상에 대한 식별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DNS 서버에 저장되는 zone 설정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클라이언트에 RFID 코드가 입력되어, 그에 해당하는 URI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에 "1.2.3.4" 라는 RFID 코드가 입력되면, 클라이언트는 이 RFID 코드를 도메인 이름인 "4.3.2.1.odsroot.or.kr"로 변환하여 DNS 요청(query) 메시지를 도메인 이름 서비스 서버에 송신한다. 이에 DNS 서버는 도 1과 같이 설정되어 있는 zone 파일에서 "4.3.2.1.odsroot.or.kr" 도메인에 대해 설정된 NAPTR 레코드를 찾아서 DNS 응답 메시지로 보낸다. 이 도메인 이름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URI 정보를 DNS 응답 메시지에 담아서 DNS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1.2.3.4"라는 RFID 코드에 대해 도 1가 같이 zone 설정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두 개의 NAPTR 레코드를 받고 결과적으로 "sip:info@ pbx.example.com" 및 "mailto:info@example.com" 두 개의 URI를 응답으로 받게 된다.
한편, NAPTR 레코드는 "ORDER", "PREFERENCE", "FLAGS", "SERVICES", "REGEXP", 및 "REPLACEMENT" 등의 6개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SERVICES" 필드는 응용 서비스 및 프로토콜에 관한 사항을 표시하도록 하여 식별 및 관련 정보 획득의 수단으로 활용한다. 도 1의 경우에 "SERVICES" 필드에 해당하는 "sip+C2U" 및 "smtp+C2U"는 RFID 코드를 URI로 변환하고(Code To URI), SIP 및 SMTP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도 1의 예에서 RFID 코드를 통해 만들어진 도메인 이름에 대해 최종 획득한 URI 정보는 "sip:info@pbx.example.com" 및 "mailto:info@example.com"이기 때문에, SIP 응용 으로 "info@pbx.example.com" 주소의 사용자와 VoIP 통신을 시도할 수 있고, 실패한다면 SMTP 응용으로 "info@example.com" 주소에 전자우편을 보낼 수 있게 된다. 두 가지에 대한 동작 우선순위는 "ORDER"와 "PREFERENCE" 두 가지 필드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동작 규칙은 개인, 기관, 회사, 또는 사업자 등과 같이 서비스 이용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요구는 만족시킬 수가 없다. 다시 말해, 도 1의 예에서 한 개 RFID 코드에 대해 A라는 이용자 대상에게는 a라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B라는 이용자 대상에게는 b라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종래의 NAPTR 레코드 형식은 이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복수 개의 NAPTR 각각에 포함된 URI 중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진정으로 원하는 URI를 상기 복수 개의 URI 중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NAPTR을 설계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NAPTR 설계를 두 가지 방식을 예를 들어 기술할 것이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NAPTR 설계 방식은 상술할 두 가지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첫 번째 방법은 NAPTR의 구조를 확장하여 새로운 필드를 추가하는 방법이다. 현재 RFC 3403 규격에 NAPTR 구조에 대해 정의되어 있으며, "ORDER", "PREFERENCE", "FLAGS", "SERVICES", "REGEXP", "REPLACEMENT" 등의 6개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또 하나의 필드를 추가하여 (예를 들어, "SERVICE_USER") 식별자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APTR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에 예시된 각각의 NAPTR 레코드에, URI의 사용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7번째 필 드에 추가한 것이다.
각각의 NAPTR 레코드 끝에 있는 "ABC" 및 "DEF"는 정보 서비스 이용 주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이에,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누구 용도의 응용인지 알기 때문에 상기 식별자를 통해 자신에 맞는 NAPTR 레코드를 선택하고, 설정되어 있는 URI 정보를 바탕으로 최종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이마트 쇼핑 응용 프로그램은 자신이 이마트 용도인지 알고 있으며, 인터넷 뱅킹 응용 프로그램은 자신의 어느 은행의 용도인지 알고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응용 서비스와 프로토콜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용도로 쓰이는 NAPTR의 "SERVICES" 필드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새로운 필드를 추가하여 7 개 필드를 사용하는 구조인 첫 번째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존 시스템과의 연동문제가 없다는 면에서 유리하다. 기존의 시스템은 6개 필드의 NAPTR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 3a은 E.164 도메인 이름에 대해 NAPTR의 "SERVICES" 필드를 구성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숫자 코드에 대해 NAPTR의 "SERVICES"필드를 구성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SERVICES" 필드 구조는 NAPTR의 활용에 따라 다르게 규정될 수 있는데, E.164 도메인 이름에 대한 URI를 전달하는 용도에서는 RFC 3760에 도 3a과 같은 구조로 정의되어 있으며, RFID 코드에 대한 URI를 전달하는 용도에서도 같은 구조를 채택하여 도 3b와 같은 구조로 정의된다.
도 3c는 도 3b의 필드 구성 구조에 따른 서비스 필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3b의 규격 정의에 따라 "SERVICES" 필드는 도 3c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응용 서비스나 관련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는 "type" 및 "subtype" 두 가지의 결합에 의해 결정된다. 도 3c의 예시에서 "web", "web:http", "voip", "voip:sip", "smtp" 등이다.
이상과 같은 "SERVICES" 구조에서 "type"의 활용을 응용 서비스 종류 표시 용도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응용 서비스 이용 대상에 대한 표시 즉, URI 사용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 기능까지 가능하도록 하면, 원하는 최종 서비스 대상에 대한 식별 표시 요구가 지원될 수 있게 된다.
"SERVICES" 필드에 대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해석의 원칙은 이해하지 못 하는 것은 무시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것만 선택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많은 응용 서비스 관련 사항을 표시하기 위해 확장되는 것들을 응용 프로그램이 모두 지원하지 않더라도 이해하고 필요한 것만 선택하여 원하는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이 NAPTR 레코드의 "SERVICES" 필드에서 "C2U+web:http+voip+smtp" 이러한 값을 받았고, "voip"와 "smtp"에 대한 처리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는 요소로서 판단하여 무시하고, "web:http"만을 이해하여 웹 관련한 응용 서비스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SERVICES" 구조에서 "type"의 활용을 서비스 이용 대상에 대해 표시하도록 확장한다고 할 때, 별도의 RFC 또는 ITU-T Recommendation, ISO/IEC International Standard 등의 표준화를 통해 ABC라는 서비스 대상에 대해 "type"의 정의를 "ABC"라고 하고, DEF라는 사업자에 대해 "DEF"라고 한다고 정의를 해두고, 서비스 이용 대상 식별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때 이러한 규정 사항을 반영하여 개발함으로써 서비스 이용 대상을 식별하여 자신에게 맞는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type"의 활용에 대한 표준화는 RFC 4002에서 하나의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RFC 4002에는 웹과 파일 송수신 관련 두 가지 서비스 형태에 대해 "web"와 "fp"가 규정되어 있고, 보조 서비스 형태 (subtype) 표시를 포함하여 "web:http"와 "fp:ftp" 표시가 정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NAPTR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서비스 이용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NAPTR의 "SERVICES" 필드 내에 표시하는 것이다.
도 5a는 도 4의 NAPTR 구조를 DNS 서버의 zone 파일에 표시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와 같이 zone 파일에 NAPTR 레코드가 등록되어 있을 때, 응용 프로그램이 "1.2.3.4"라는 RFID 코드에 대해 가능한 응용 서비스를 알아내고자 한다면, 코드를 도메인 이름으로 바꾸어 "4.3.2.1.odsroot.or.kr."를 만들고 DNS 서버에게 NAPTR 레코드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른 응답으로 도 5b과 같은 두 개의 NAPTR 레코드 정보를 얻는다.
응응 프로그램은 NAPTR 레코드 구조를 해석하여 각각의 값들을 해석하게 되는데, 이 가운데 "SERVICES" 필드를 해석하여 "ABC"라는 파라미터를 발견하고, 이 를 통해 서비스 이용 대상 식별 파라미터라는 것을 인식하여 자신이 ABC용의 응용 프로그램이라면 뒤이어 나오는 웹 응용 서비스를 동작할 수 있게 하고, ABC용의 응용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후속 기능 및 동작을 무시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DEF"용의 응용 프로그램은 웹 또는 전자우편 서비스를 지원하게 되고 뒤따라 나오는 URI 정보를 통해 전자우편 주소로 전자우편을 보낼 수 있게 된다.
도 6은 "50.40.30.20.10.odsroot.or.kr"도메인 이름에 대해 서비스 이용자 대상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DNS 서버의 zone 설정 파일에 저장한 NAPTR 레코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 관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할 때 일반 고객 개인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하이마트와 같은 할인점의 매장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및 냉장고 제조사의 고장수리 담당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가 달라져야 한다. 즉, 냉장고를 식별하는 숫자 코드가 "10.20.30.40.50" 이러한 값이라고 할 때, 일반 개인에게는 냉장고 이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판매점의 직원에게는 냉장고 판매 가격 및 할인율 정보를 제공하고, 제조사의 고장수리 담당자에게는 냉장고 구조, 고장 진단, 및 고장 수리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각 이용자의 응용 프로그램은 숫자 코드를 "50.40.30.20.10.odsroot.or.kr" 도메인 이름으로 바꾸어 DNS 서버에게 NAPTR 레코드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DNS 서버는 도 6과 같이 설정되어 있는 zone 파일에서 해당 NAPTR 레코드 정보를 이용자 응용 프로그램에게 응답으로 보내준다.
이때, 일반 이용자의 응용 프로그램은 자신이 일반 이용자용 응용 프로그램 임을 알기 때문에 복수 개의 NAPTR 레코드에서 일반 이용자 대상 식별자를 가진 NAPTR 레코드를 선택하고, 냉장고 판매자가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자신이 판매자용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기 때문에 판매자 대상 식별자를 가진 NAPTR 레코드를 선택하고, 고장수리 담당자가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자신이 고장수리 정보 서비스용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기 때문에 고장수리 대상 식별자를 가진 NAPTR 레코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떤 하나의 정보 서비스 대상은 서비스 이용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정보 서비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RI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크게 클라이언트(700) 및 서버(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700)는 URI 정보 요청부(702), 메시지 수신부(704) 및 URI 선택부(7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서버(720)는 URI 정보 저장부(722) 및 메시지 송신부(7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URI는 NAPTR 레코드 형태로 송신, 수신 및 저장된다.
URI 정보 요청부(702)는 요청하는 URI 정보를 특정하는 신호를 서버(7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서버(720)가 DNS 서버라면, 상기 요청하는 URI 정보를 특정하는 신호는, 상기 NAPTR이 포함된 DNS 질의(Query) 메시지가 이에 해당된다.
URI 정보 저장부(722)는 하나의 URI 및 상기 URI를 사용하는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NAPTR 레코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한다. NAPTR 레코드 URI를 사용하는 서비스 종류, URI를 사용하는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를 특정하는 정보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URI 정보가 네이밍 권한 포인터 기록(NAPTR record) 형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식별자를 상기 NAPTR 정보에 포함시키는 방법의 예로는, 도 2와 같이 상기 식별자를 네이밍 권한 포인터의 7번째 필드에 기록되거나, 도 4와 같이 네이밍 권한 포인터의 서비스 필드에 기록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시지 송신부(724)는 상기 요청하는 NAPTR 정보를 특정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URI 정보 저장부(722)로부터 요청된 NAPTR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NAPTR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클라이언트(7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서버(720)가 DNS 서버인 경우, DNS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URI 정보 저장부(722)에 존재하는 도 5a와 같은 zone 파일로부터 도 5b와 같이 요청된 NAPTR 정보를 추출하여 DNS 응답 메시지 형식으로 클라이언트(700)에 송신한다.
메시지 수신부(704)는 적어도 하나의 NAPTR 레코드를 통해 URI 및 상기 URI를 사용하는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서버(720)로부터 수신한다. 즉, 메시지 송신부(724)에서 송신한 DNS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다.
URI 선택부(706)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NAPTR 중에서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사용할 URI를 결정한다. 즉, 수신된 DNS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NAPTR 중에서 클라이언트(700) 자신이 사용할 URI를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결정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RI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적어도 하나의 URI 및 상기 URI를 사용하는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NAPTR 정보가 URI 정보 저장부(722)에 저장된다(S800). 상기 식별자는와 별도로, URI를 사용하는 서비스 종류, URI를 사용하는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를 특정하는 정보도 NAPTR의 "SERVICE"필드에 저장된다.
다음, 요청하는 URI 정보를 특정하는 신호가 URI 정보 요청부(702)에 의해 서버(720)로 전송된다(S810). 여기서, 서버(720)가 DNS 서버라면, 상기 요청하는 URI 정보를 특정하는 신호는, 상기 NAPTR이 포함된 DNS 질의(Query) 메시지가 이에 해당된다.
상기 요청하는 URI 정보를 특정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 신호를 기초로, URI 정보 저장부(722)로부터 요청된 NAPTR 정보가 추출되고, 상기 추출된 NAPTR 정보가 메시지에 포함되어 메시지 송신부(724)에 의해 클라이언트(700)로 송신된다(S820). 여기서, 서버(720)가 DNS 서버인 경우, DNS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URI 정보 저장부(722)에 존재하는 도 5a와 같은 zone 파일로부터 도 5b와 같이 요청된 NAPTR 정보를 추출하여 DNS 응답 메시지 형식으로 클라이언트(700)에 송신한다.
상기 메시지가 메시지 수신부(704)에 의해 서버(700)로부터 수신된다(S830). 즉, URI 정보 송신부(724)에서 송신한 DNS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NAPTR 중에서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URI 선택부(706)에 의해, 사용할 NAPTR이 결정되고, 결정된 NAPTR 속에 기록된 URI가 선택된다(S840). 즉, 수신된 DNS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NAPTR 중에서 클라이언트(700) 자신이 사용할 URI를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결정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NAPTR에 기록되는 상기 식별자를 적용시키는 예로서, 도 2와 같이 NAPTR 구조를 확장하여 표시하는 방법과 도 4와 같이 NAPTR의 "SERVICE" 필드를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상의 두 가지 예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가능한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개발 및 구현에 따라 두 가지 방법의 세부 사항을 바꿀 수도 있고, NAPTR 구조 내에 다른 표시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실시 예를 모두 나열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핵심은 NAPTR에 여하한 방법으로 서비스 이용 대상 식별의 수단을 제공한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문화재 등에 대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정보 서비스 이용 주체가 상기 정보 서비스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문화재, 전자제품, 영화 포스터 등의 정보 서비스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가 복수 개 있더라도, 상기 문화재, 전자제품에 관련된 정보 중 상기 클라이언트 각각에게 적합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URI 및 상기 URI를 사용하는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네이밍 권한 포인터를 DNS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네이밍 포인터 각각에 포함된 URI 중에서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되는 URI를 선택하는 URI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의 기존 필드에 임의의 형식으로 추가하여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의 기존 필드에 더하여 새로운 필드로 추가하여 임의의 형식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의 서비스 필드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
  5. 복수의 네이밍 권한 포인터에 포함된 복수의 URI 중에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URI를 선택하기 위해서,
    URI 정보; 및
    상기 URI를 사용하는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진 네이밍 권한 포인터를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의 기존 필드에 임의의 형식으로 추가하여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를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의 기존 필드에 더하여 새로운 필드로 추가하여 임의의 형식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를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URI 및 상기 URI를 사용하는 주체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네이밍 권한 포인터를 DNS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네이밍 포인터 각각에 포함된 URI 중에서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되는 URI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의 URI 획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의 기존 필드에 임의의 형식으로 추가하여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의 URI 획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의 기존 필드에 더하여 새로운 필드로 추가하여 임의의 형식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의 URI 획득 방법.
KR1020050121044A 2005-12-09 2005-12-09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록매체 및 그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1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044A KR100714114B1 (ko) 2005-12-09 2005-12-09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록매체 및 그 방법
PCT/KR2006/005187 WO2007066941A1 (en) 2005-12-09 2006-12-05 Client, computer-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acquiring uri
US12/086,088 US20100036915A1 (en) 2005-12-09 2006-12-05 Client, Computer-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Acquiring UR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044A KR100714114B1 (ko) 2005-12-09 2005-12-09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록매체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114B1 true KR100714114B1 (ko) 2007-05-02

Family

ID=3812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0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4114B1 (ko) 2005-12-09 2005-12-09 Uri를 획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록매체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036915A1 (ko)
KR (1) KR100714114B1 (ko)
WO (1) WO20070669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5975A1 (en) * 2008-11-11 2010-05-20 Psolenoid,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record on relationship between uri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computer program that enables implementation of same method
KR101426012B1 (ko) * 2013-01-25 2014-08-06 한국인터넷진흥원 객체 식별자를 이용한 확장된 해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7862B2 (en) * 2008-12-12 2016-07-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leting a circuit switched service call i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US8649496B2 (en) * 2009-12-14 2014-02-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all classification and forwarding
US11190397B2 (en) 2015-05-11 2021-11-30 Verisign, Inc. Identifying truste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perform service discovery
US9705682B2 (en) * 2015-07-06 2017-07-11 Verisign, Inc. Extending DNSSEC trust chains to objects outside the DNS
US9705851B2 (en) * 2015-07-06 2017-07-11 Verisign, Inc. Extending DNSSEC trust chains to objects outside the D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810A (ko) * 2000-05-31 2001-12-08 채정한 상품모델 식별코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6619A (ko) * 2001-12-05 2002-01-23 김학수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020027921A (ko) * 2000-10-06 2002-04-15 안정만 인터넷상에서 오프 라인상 각종 영업점에서 고객 맞춤서비스를 실현하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62599A (ko) * 2001-11-01 2004-07-07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특정 인터넷 유저 타겟 광고 대체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1717B2 (en) * 1999-03-22 2015-09-22 Esdr Network Solutions Llc Methods, systems, products, and devices for processing DNS friendly identifiers
WO2001093145A1 (en) * 2000-05-31 2001-12-06 Chae Jung H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US7027582B2 (en) * 2001-07-06 2006-04-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ving an entity identifier into an internet address using a domain name system (DNS) server and an entity identifier portability database
JP4279135B2 (ja) * 2003-12-26 2009-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ホームゲートウェイ装置
JP4384529B2 (ja) * 2004-03-22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電話機、ネットワークサーバ、通話方法及び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
KR101088162B1 (ko) * 2004-04-27 2011-12-0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텔레폰 넘버 매핑 정보 또는 네이밍 권한 포인터 정보 자동 전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
KR101073575B1 (ko) * 2004-05-03 2011-10-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이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5333374A (ja) * 2004-05-19 2005-12-02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ブリッジ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20784B2 (ja) * 2004-07-20 2010-08-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Enumシステム、enum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端末情報取得方法
JP4426920B2 (ja) * 2004-08-04 2010-03-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p電話システム、ip電話装置及び宛先ユーザ識別方法
JP4511901B2 (ja) * 2004-10-05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p端末装置および通信機能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810A (ko) * 2000-05-31 2001-12-08 채정한 상품모델 식별코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7921A (ko) * 2000-10-06 2002-04-15 안정만 인터넷상에서 오프 라인상 각종 영업점에서 고객 맞춤서비스를 실현하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62599A (ko) * 2001-11-01 2004-07-07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특정 인터넷 유저 타겟 광고 대체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06619A (ko) * 2001-12-05 2002-01-23 김학수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5975A1 (en) * 2008-11-11 2010-05-20 Psolenoid,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record on relationship between uri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computer program that enables implementation of same method
KR101426012B1 (ko) * 2013-01-25 2014-08-06 한국인터넷진흥원 객체 식별자를 이용한 확장된 해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6941A1 (en) 2007-06-14
US20100036915A1 (en) 201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884B1 (ko) 채팅 시스템, 채팅봇 서버 장치, 채팅봇 id 관리장치, 채팅 중개 서버 장치, 프로그램, 채팅 방법 및 채팅 중개 방법
HK1231588A1 (zh) 用户端页面渲染方法及装置
US200700789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web service policy agreement
KR20100048571A (ko) 다중 사용자-다중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8200077B (zh) 一种调用接口的方法及装置
CN113706299B (zh) 数据处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Leong et al. EPC network architecture
US20100036915A1 (en) Client, Computer-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Acquiring URI
JP2005078525A (ja) 検索方法及び検索ブローカ
CN111464574A (zh) 调用、加载、注册、管理方法和路由、服务器、节点和介质
ZA200903243B (en) A method of processing a credit application
JP5403725B2 (ja) サーバによる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KR101981203B1 (ko) 사용자 계정 동기화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188748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determine a graph associated with a data item
KR100947114B1 (ko) 더미 메시지를 이용하여 웹 서비스의 품질 데이터를추출하는 방법
KR100788935B1 (ko) Api 연동방식의 상위 쇼핑몰과 독립 쇼핑몰 연계 시스템및 연계 방법
US201201855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KR101736954B1 (ko) 가상 주소를 이용한 배달 처리시스템 및 방법
JP2004178340A5 (ko)
KR20090002420A (ko) 복수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결합서비스의 판매를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3923B1 (ko) 액세스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0670814B1 (ko) 정보 기록 매체를 이용한 컨텐츠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US20240273543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network connections between a client, an originating traceability application and a first computer system in a network and evoking functions on data from both systems
JP7145547B1 (ja) 埋込コンテンツウェブサーバ上で動作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装置ならびにユーザ装置上で動作するプログラム
KR20170136481A (ko) Gs1 코드를 사용하는 비콘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비콘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304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4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