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992B1 -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is method - Google Patents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is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4992B1 KR100694992B1 KR1020060030779A KR20060030779A KR100694992B1 KR 100694992 B1 KR100694992 B1 KR 100694992B1 KR 1020060030779 A KR1020060030779 A KR 1020060030779A KR 20060030779 A KR20060030779 A KR 20060030779A KR 100694992 B1 KR100694992 B1 KR 1006949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nu
- user
- function
- basic
- men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조사에 의하여 구성되어 디폴트로 기본 메뉴로서 설정되는 사용자 조사 기반 메뉴와, 사용자의 취향 및 성향에 따라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능 메뉴들을 그루핑(Grouping)한 복수의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의 판단에 따라 선택된 세그먼트 기반 메뉴를 기본메뉴로서 설정하는 제3단계와; 사용자의 메뉴 로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설정된 기본 메뉴의 기능 메뉴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기본 메뉴를 갱신, 저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과, 이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figur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user survey based menu configured by user survey and set as a basic menu by default, and functional menus expected to be mainly used according to a user's taste and preference. Preparing a grouping of a plurality of segment-based menu sets;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egment based menu set is selected by a user; A third step of setting the selected segment-based menu as a basic menu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step;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ourth step of updating and storing the basic menu by rearranging the order of the function menu of the set basic menu based on the user's menu log data, and the movement in which the method is implemented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본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 : 제어모듈 12 : 이동통신모듈11: control module 12: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3 : 키입력모듈 14 : 저장모듈13: key input module 14: storage module
15 : 표시모듈 16 : MP3모듈15: display module 16: MP3 module
17 : 카메라모듈 18 : 오디오입출력모듈17: camera module 18: audio input and output modul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메뉴를 가장 빠른 시간내에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의 스마트 메뉴로 재구성해주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 및 이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onfiguring a menu basically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smart menu of a form most suitable for a us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method is implemented.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제조단계에서 그 기능에 따라서 메뉴 키를 두고 그 메뉴 키에 의하여 화면제공되는 트리 구조의 메인메뉴와 서브 메뉴들로 이루어지는 기본 메뉴를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메뉴 키의 조작하고 하위 메뉴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기능에 대하여 핫 키(hot key)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have evolved to have various functions, and user interfaces have been developed in these terminals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e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basic menu consisting of a main menu and submenus of a tree structure provided with a menu key according to the function at the manufacturing stage and provided by the menu key. In some cases, a hot key may be installed for a specific function in order to solve the trouble of operating a menu key and proceeding to a sub menu to execute a corresponding function.
이동통신단말기는 소형 및 박형화와 함께 그 기능도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작은 표시화면을 통하여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메뉴를 구성함에 따라 그 메뉴 구성이 복잡한 계층형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복잡한 키 입력 단계를 수반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의 사용자 조사에 따르면 휴대폰에서 사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6~8개 내외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come smaller and thinner, their functions are also diversifying. Accordingly, as a menu providing many functions through a small display screen has a complicated hierarchical structure. Therefore, the user must involve several complicated key input steps in order to use a specific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according to a recent user survey, there are about 6 to 8 functions that users frequently use in mobile phones.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자신이 즐겨 사용하는 메뉴를 등록하는 "나만의 메뉴"나 "즐겨 찾기" 등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중에서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기능 메뉴들을 특정한 핫 키에 대응시켜 등록 저장해놓는 기능이 제공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사용자는 그 등록하는 절차 자체에 어려움을 겪게 됨에 따라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In view of this, recently, the user can register a menu of the functions he / she mainly uses amo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My Menu" or "Favorite", in which the user registers his favorite menu on the mobile terminal. Although there is a function of registering and storing a key in correspondence with a key, most users are hardly used as they have difficulty in registering itself.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도 사용자별로 주요 사용기능 위주로 빠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user interface technolog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nables quick access based on a user's main use function without active intervention of a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ous function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요망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도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 메뉴를 사용자별로 주요 사용기능 위주로 빠른 시간 내에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의 스마트 메뉴로 재구성해줄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 및 이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meet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requirements, the basic menu provided basically without the active intervention of the us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orm of the most suitable for the user in the shortest time with a focus on the main use function for each us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method is implemen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조사에 의하여 구성되어 디폴트로 기본 메뉴로서 설정되는 사용자 조사 기반 메뉴와, 사용자의 취향 및 성향에 따라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능 메뉴들을 그루핑(Grouping)한 복수의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제2 단계의 판단에 따라 선택된 세그먼트 기반 메뉴를 기본메뉴로서 설정하는 제3단계와; 사용자의 메뉴 로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설정된 기본 메뉴의 기능 메뉴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기본 메뉴를 갱신, 저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configur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by user survey and is set as a default menu by default by user survey. And a first step of preparing a plurality of segment-based menu sets grouping functional menus that are expected to be mainly used according to a user's taste and preferences;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egment based menu set is selected by a user; A third step of setting the selected segment-based menu as a basic menu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step; And a fourth step of updating and storing the basic menu by rearranging the order of the function menus of the set basic menu based on the user's menu log data.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스마트 메뉴 구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 조사에 의하여 구성되어 디폴트로 기본 메뉴로서 설정되는 사용자 조사 기반 메뉴와, 사용자의 취향 및 성향에 따라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능 메뉴들을 그루핑한 복수의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과;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세그먼트 기반 메뉴를 기본메뉴로서 설정하고, 사용자의 메뉴 로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설정된 기본 메뉴의 기능 메뉴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기본 메뉴를 갱신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for storing a smart menu, a user survey-based menu configured by user survey and set as a default menu by default, and Storage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segment-based menu sets grouping function menus that are expected to be mainly used according to tastes and preferences; If a predetermined segment-based menu se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elected segment-based menu is set as the default menu, and the basic menu is updated by rearranging the order of function menus of the set basic menu based on the user's menu log data.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o store in the storage mean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 및 이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method is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본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 기능 및 MP3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구성은, 제어모듈(11)과 이동통신모듈(12), 키입력모듈(13), 저장모듈(14), 표시모듈(15), MP3 모듈(16), 카메라 모듈(17) 및 오디 오 입출력모듈(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and the MP3 func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이동통신모듈(18)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수생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CDMA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키입력모듈(13)은 다수의 수자 키, 다수의 문자 키 및 다수의 기능 키들로 구성되어,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각종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상기 저장모듈(14)은 이동통신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메뉴 구성을 위한 프로그램 및 메뉴 구성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예를 들면 MP3 기능 및 카메라 기능 등과 같은 각종 기능들을 위한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 상기 저장모듈(14)에는 제조시에 사용자 조사 기반 메뉴가 기본 메뉴로서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의 성향 및 취향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메뉴들을 그루핑(Grouping)하는 복수의 세그먼트 메뉴 세트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세그먼트 메뉴 세트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기본 메뉴로서 선택된 세그먼트 메뉴가 설정되고, 세그먼트 메뉴 세트가 선택되지 않으면 사용자 조사 기반 메뉴가 기본 메뉴로서 설정되며, 그후 사용자의 메뉴 로그 데이터에 따라서 제어모듈(11)의 제어에 의하여 기본 메뉴가 갱신 저장된다. 이에 따라 메뉴는 개인화 스마트 메뉴 형태로 진화된다. The
상기 표시모듈(15)은 통상의 액정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어모듈(11)의 제어에 따라서 액정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화면 출력하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 의하여 키입력모듈(13)의 메뉴 키가 선 택됨에 따라 제어모듈(11)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저장모듈(14)에 최근 갱신 저장된 스마트 메뉴 구성을 액정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화면 출력한다.The
상기 MP3 모듈(16)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어모듈(1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저장모듈(14)에 저장된 MP3 파일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입출력모듈(18)을 통해서 음향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MP3 module 16 is configured to decode the MP3 file stored in the
상기 카메라 모듈(17)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어모듈(11)의 제어에 의하여 미도시한 카메라를 작동시켜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모듈(14)에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상기 오디오 입출력모듈(18)은 기본적으로 전화통화를 위한 음성출력 및 음성 입력을 수행하며, MP3 파일의 재생시에 MP3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dio input /
상기 제어모듈(11)은 이동통신모듈(12), 키입력모듈(13), 저장모듈(14), 표시모듈(15), MP3 모듈(16), 카메라모듈(17) 및 오디오 입출력모듈(18)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은 기본 메뉴를 사용자의 메뉴 로그 데이터에 기반하여 개인화 스마트 메뉴로의 진화를 제어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스마트 메뉴 구성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 설계시에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에 따른 기본 메뉴를 구성한다(단계 S10). 이 기본 메뉴는 키입력모듈(13)의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표시되는 계층 구조를 갖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특정 메뉴는 키입력모듈(13)을 구성하는 핫 키가 할당될 수도 있다.First, in the initial desig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basic menu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step S10). This basic menu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is assigned to a menu key of the
그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 기능 중에서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표시가능한 메뉴를 사전에 사용자 조사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능 위주로 순서적으로 설정하여 사용자 조사기반 메뉴를 기본 메뉴로서 재구성한다(단계 S12). 예를 들면 도 3의 20과 같이 초기 설계시에 기본 메뉴를 구성한 상태에서 사용자들에게 주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능을 설문조사하여, 도 3의 30과 같이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표시가능한 메뉴를 사용자 조사 기반으로 재구성한다.Thereafter, among the functions commonly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nus assigned to the menu keys and displayed through the
다음으로, 사용자의 직접적인 개입 부분을 줄여주기 위해 사전에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를 사용자의 취향 및 성향에 따른 사용 스타일에 따라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능 메뉴들을 그루핑(Grouping)하여 대표적인 사용 계층(segmentation)을 나누어 복수의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를 제공하며, 이 세그먼트 기반 메뉴는 사용자에 선택에 의하여 기본 메뉴로 설정된다(단계 S14).Next, in order to reduce the direct intervention of the user, the group of functional menus that are expected to be mainly used according to the usage styl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tendency in advance is grouped by grouping the menu of the mobile terminal in advance. By dividing, a plurality of segment-based menu sets are provided, and this segment-based menu is set as a basic menu by selection by the user (step S14).
여기서, 상기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가 예를 들면 기본사용형 메뉴세트, 비즈니스형 메뉴세트, 카메라형 메뉴세트, 메시지형 메뉴세트, 엔터테인먼트형 메뉴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본사용형 메뉴세트는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가 예를 들면 전화번호 검색, 최근 통화목록, 전화번호부 저장, 벨소리설정, 문자전송 등이 될 수 있으며, 비즈니스형 메뉴세트는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가 예를 들면 일정등록, 일정검색, 명함전송, 전화번호 검색, 문자전송 등이 될 수 있고, 카메라형 메뉴세트는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가 예를 들면 사진촬영, 사진앨범, 캠코더 촬영, 특수효과, 플래쉬 등이 될 수 있으며, 메시지형 메뉴세트는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가 예를 들면 문자전송, 문자수신함, 이모티콘, MMS 전송, MMS 보관함 등이 될 수 있고, 엔터테인먼트 형 메뉴세트는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가 예를 들면 게임, 카메라, MP3, 음량벨소리, 화면설정, 전화설정, 재미난기능 등이 될 수 있다.The segment-based menu set may include, for example, a basic menu set, a business menu set, a camera menu set, a message menu set, and an entertainment menu set. At this time, the basic menu set is assigned to the menu key so that the order of the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이동통신단말기가 출고시에 사용자 조사기반 메뉴가 기본메뉴로서 제공되지만,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특정한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가 기본 메뉴로서 설정 등록된다. 도 3에서는 사용자 조사기반 메뉴(30)가 기본메뉴로서 설정된 상태에서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로서 엔터테인먼트형 메뉴세트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됨에 따라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가 40과 같이 엔터테인먼트형 메뉴세트가 기본 메뉴로서 설정 등록된다.Although the user survey-based menu is provided as a basic menu at the time of shipm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lected segment-based menu set is registered and registered as the basic menu when a specific segment-based menu set is selected by user selection. In FIG. 3, as the entertainment type menu set is selected by the user while the user research-based
그후, 사용자의 메뉴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 빈도를 메뉴 순서에 반영되어 기본 메뉴가 갱신 등록됨에 따라 개인화 스마트 메뉴로 진화하게 한다(단계 S16). 여기서,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세그먼트 메뉴 세트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 는 경우에는 기본 메뉴로서 선택된 세그먼트 메뉴가 설정되고, 세그먼트 메뉴 세트가 선택되지 않으면 사용자 조사 기반 메뉴가 기본 메뉴로서 설정되며, 그후 사용자의 메뉴 로그 데이터에 따라서 제어모듈(11)의 제어에 의하여 기본 메뉴가 갱신 저장된다. 이에 따라 메뉴는 개인화 스마트 메뉴 형태로 진화된다. Thereafter, the user's menu log data is analyzed and the frequency of use is reflected in the menu order to evolve into a personalized smart menu as the basic menu is updated and registered (step S16). Here, 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 menu set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egment menu selected as the default menu is set, and if the segment menu set is not selected, the user survey-based menu is set as the basic menu, and then the user The basic menu is updated and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스마트 메뉴 구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사용자에 의하여 키입력모듈(13)의 메뉴 기능 키가 선택되어 메뉴 호출 요청이 입력되면(단계 S20), 제어모듈(11)은 세그먼트 메뉴가 기본 메뉴로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1).First, when a menu function key of the
상기 단계 21에서 세그먼트 메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기본메뉴로서 저장모듈(14)에 기 설정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조사 기반 메뉴를 읽어와서 표시모듈(15)을 제어하여 화면 표시한다(단계 S22).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 that the segment menu is not set, the user survey-based menu which has been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그후, 사용자의 키입력모듈(13)의 키입력에 의하여 기능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제어모듈(11)은 그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저장모듈(14)에 저장한다(단계 S23).Then, when the function menu is selected by the key input of the user's
이어, 제어모듈(11)은 상기 기능 메뉴 선택에 따른 기능이 키입력모듈(13)의 키입력에 의하여 종료되면 저장모듈(14)는 저장모듈(14)에 저장된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키입력모듈(13)의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를 변경하여 기본 메뉴인 사용자 조사 기반 메뉴를 갱신 저장한다(단계 S24). 여기서, 매번 기능 메뉴 선택에 따른 기 능이 종료할 때마다 기본 메뉴를 갱신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주기 간격으로 또는 기능 메뉴 선택의 일정 회수 간격으로 그 간격 동안 저장모듈(14)에 저장된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본 메뉴를 갱신하도록 하여도 된다.Subsequently, when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menu selection is terminated by the key input of the
한편, 상기 단계 21에서 세그먼트 메뉴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기본메뉴로서 저장모듈(14)에 기 설정등록되어 있는 세그먼트 메뉴를 읽어와서 표시모듈(15)을 제어하여 화면 표시한다(단계 S25).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 that the segment menu is set, the segment menu, which is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그후, 사용자의 키입력모듈(13)의 키입력에 의하여 기능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제어모듈(11)은 그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저장모듈(14)에 저장한다(단계 S26).Then, when the function menu is selected by the key input of the user's
이어, 제어모듈(11)은 상기 기능 메뉴 선택에 따른 기능이 키입력모듈(13)의 키입력에 의하여 종료되면 저장모듈(14)은 저장모듈(14)에 저장된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키입력모듈(13)의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15)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를 변경하여 기본 메뉴인 세그먼트 기반 메뉴를 갱신 저장한다(단계 S24). 여기서도 매번 기능 메뉴 선택에 따른 기능이 종료할 때마다 기본 메뉴를 갱신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주기 간격으로 또는 기능 메뉴 선택의 일정 회수 간격으로 그 간격 동안 저장모듈(14)에 저장된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본 메뉴를 갱신하도록 하여도 된다.Subsequently, when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menu selection is terminated by the key input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사용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즐겨 사용하는 메뉴를 등록하는 방법과 달리 사용자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도 사용자의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데이터를 가중치로 하여, 키입력 모듈의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를 진화, 재배열된 최적의 개인화 메뉴를 제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조사 기반으로 제공되는 메뉴 구조 이외에, 사용자의 취향 및 성향에 따라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능 메뉴들을 복수의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를 기본 메뉴로서 사용하고, 사용자의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데이터를 가중치로 하여, 키입력모듈의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를 진화, 재배열된 최적의 개인화 메뉴를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method of registering a favorite menu that requires active intervention of the user, the key input module uses the log data for the selection function menu as the user's navigation information as a weight without the user's active intervention. It is assigned to the menu key of, and evolves and rearranges the order of the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module to provide an optimized personalized menu. In addition to the menu structure provided based on user research, a plurality of segment-based menu sets are provided for function menus that are expected to be main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preferences. The base menu set is used as the basic menu, and the log data for the selection function menu is used as the user's navigation information as a weight, and the order of the menus assigned to the menu keys of the key input modul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module is evolved and rearranged. It will provide an optimal personalization menu arrang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obvious that they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사용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즐겨 사용하는 메뉴를 등록하는 방법과 달리 사용자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도 사용자의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데이터를 가중치로 하여, 키입력모듈의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를 진화, 재배열된 최적의 개인화 메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method of registering a favorite menu requiring active intervention of the user, the weight of the log data for the selection function menu as the user's navigation information without the user's active intervention is keyed. Assigned to the menu key of the input module, the display module through the display module can be evolved to provide an optimal rearranged personalized menu.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하게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데이터를 가중 치로 메뉴의 순서를 진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차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설계단계에서 사용자 설문 조사 등을 통하여 주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순서에 따라 사용자 조사기반의 메뉴를 키입력모듈의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기본 메뉴로서 제공하며, 또한 사용자의 취향 및 성향에 따라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능 메뉴들을 복수의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세그먼트 기반 메뉴 세트를 기본 메뉴로서 설정하고, 그후 선택 기능 메뉴에 대한 로그데이터를 가중치로 하여, 키입력모듈의 메뉴 키에 할당되어 표시모듈을 통하여 화면 표시되는 메뉴의 순서를 진화시켜 재배열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주요 사용기능 위주로 가장 빠른 시간내에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의 스마트 메뉴로 재구성해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evolving the order of the menu by weighting log data for the selection function menu, it is primarily used in the order expected to be mainly used through user surveys in the design st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survey-based menu is assigned to the menu key of the key input module and is provided as a basic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module, and the function menus that are expected to be main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preference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gment-based menus. When a particular segment-based menu set is selected by a user by providing a set, the selected segment-based menu set is set as a basic menu, and then assigned to a menu key of the key input module with the log data for the selection function menu as a weight. Order of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By evolving and rearranging, it is possible to reconfigure the smart menu in the form most suitable for the user in the shortest time, focusing on the main user functions for each use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0779A KR100694992B1 (en) | 2006-04-05 | 2006-04-05 |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is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0779A KR100694992B1 (en) | 2006-04-05 | 2006-04-05 |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is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94992B1 true KR100694992B1 (en) | 2007-03-14 |
Family
ID=3810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0779A Active KR100694992B1 (en) | 2006-04-05 | 2006-04-05 |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is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9499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6772A (en) * | 2002-10-24 | 2004-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for aiding dynamic menu list and method for listing dynamic menu |
KR20060003991A (en) * | 2004-07-06 | 2006-01-12 |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 How to configure menu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2006
- 2006-04-05 KR KR1020060030779A patent/KR1006949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6772A (en) * | 2002-10-24 | 2004-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for aiding dynamic menu list and method for listing dynamic menu |
KR20060003991A (en) * | 2004-07-06 | 2006-01-12 |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 How to configure menu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40036772 |
102006000399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63921B2 (en) |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hierarchical menu system and a dynamic menu | |
EP246033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menu | |
JP4357474B2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 |
GB2377858A (en) | Displaying most frequently accessed menu uppermost in a mobile telephone display | |
US20080134091A1 (en) | Content search method and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 search function | |
KR100780436B1 (en) | Background display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
KR10099319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enu for mobile terminal | |
CN104219391A (en) | Communication request responding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based on double card | |
US7496355B2 (en) | Customis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 |
KR100694992B1 (en) | Smart menu configur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is method | |
CN105976807B (en) | Music player and method | |
KR100800870B1 (en) | How to display a dynamic menu | |
KR101129660B1 (en) |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
KR100635556B1 (en) | How to provide a customized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 |
KR100692754B1 (en) | How to edit phone book in mobile terminal | |
KR100460094B1 (en) | Mobile for aiding dynamic menu list and method for listing dynamic menu | |
KR100664237B1 (en) | A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specfic task at a specfic display under circumstances of multitasking and multi display | |
KR20040037998A (en) | Method for setting short-cut menu and selecting menu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phone | |
JP2003188946A (en) | Cellular phone terminal and its function setting method | |
KR100698110B1 (en) | How to provide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016509B1 (en) | How to search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3140796A (en) | Electronic equipment with menu function | |
KR10059571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shape memory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4027247B2 (en) | Telephone | |
KR20060013237A (en) | 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2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