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65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tandby mod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tandby mo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7652B1 KR100677652B1 KR1020050015274A KR20050015274A KR100677652B1 KR 100677652 B1 KR100677652 B1 KR 100677652B1 KR 1020050015274 A KR1020050015274 A KR 1020050015274A KR 20050015274 A KR20050015274 A KR 20050015274A KR 100677652 B1 KR100677652 B1 KR 1006776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application
- management server
- service management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boiling the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모드용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모드용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은 서비스 관리 서버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서비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별로 서비스 채널을 부여함-,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을 바탕으로 대기 모드에서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출력되는 컨텐츠 리스트에는 바로 가기 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riving an application for a standby mode. The method for driving an application for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where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is for each content Assigning a service channel, comprising: configuring an application response packet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and outputting a content list in a standby mode based on the application response packet, wherein the output content list includes a shortcut function; And at least one content item.
이동 단말, 컨텐츠 Mobile terminal, conten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for a standby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contents for a standby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단말기의 단말기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erminal platform of a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for providing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i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의 모듈 구성도.5 is a module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i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성 서비스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for automatically designating a design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7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roviding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바로가기 기능 활용의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로서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8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providing updated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as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for utilizing a shortcu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여 대기화면을 점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occupying a standby screen by automatically driving a designated applic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기 전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in a standby mode state of a mobile terminal before an idle screen occupation representative applica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점유 어플리케이션 컨텐츠가 설치되어진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in a standby mode state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n idle screen occupation application conten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출력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12 illustrates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of a mobile terminal in a downloaded application list output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해당 컨텐츠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FIG. 13 illustrates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of a mobile terminal in a corresponding content display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이 구성된 대기 모드 진입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of a mobile terminal in a standby mode entry state where a designated application response packet is configu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FIG. 15 illustrates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of a mobile terminal in a designated application auto-driving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16 illustrates a conten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바라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Figure 17 illustrates a user information database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이동 단말기 103…이동 통신망101...
105…서비스 관리 서버 107…데이터베이스105...
109…컨텐츠 제공 서버 201…제어부109...
203…키 입력부 205…표시부203...
207…메모리 209…음성 처리부207...
211…송수신부 301…이동 단말기 하드웨어211... Transceiver
303…단말기 기본 S/W 305…HAL303... Terminal basic S /
307…Run Time Engine 309…기본 API307... Run Time Engine 309... Basic API
311…API 관리자 313…확장 API311...
315…응용 프로그램 관리자 317…응용 프로그램315...
410…중앙 처리 장치 412…ALU410...
414…레지스터 416…컨트롤러414... Register 416... controller
420…메모리 시스템 422…메인 메모리420...
421…보조 메모리 430…입력 장치421...
440…통신 장치 500…API440...
510…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 520…응용 모듈 제어부510... High level
521…송수신 처리 모듈 매핑부 521... Transceiver processing module mapping unit
522…송수신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522... Transceiver Processing Module Interface
523…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 매핑부523... User terminal management module mapping unit
524…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 관리 인터페이스부524... User terminal management module management interface unit
525…컨텐츠 관리 모듈 매핑부525... Content Management Module Mapping Section
526…컨텐츠 관리 모듈 인터페이스부526... Content Management Module Interface
530…응용 모듈 532…송수신 처리 모듈530...
534…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 536…컨텐츠 관리 모듈534... User
본 발명은 대기모드용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riving an application for a standby mode.
종래에 티커(Ticker)라 지칭되는 서비스(예로 주가 정보, 뉴스 속보 등)는 특정 컨텐츠를 사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에 주기적으로 또는 영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티커 서비스는 유선 상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무선 상에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또는 셀 방송 서비스(CBS)의 형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종래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 상에서 제공되는 티커 서비스는 메시지 용량에 한계가 있으며, 컨텐츠 미디어가 텍스트로 한정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때는 티커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무선 통신의 발전과 멀티미디어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등장함에 따라 티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의 등장이 예상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티커 서비스 환경을 설정할 필요서이 대두되고 있다.A service (eg, stock price information, breaking news, etc.), which is conventionally referred to as a ticker, refers to a service that periodically or permanently displays specific content on a screen viewed by a user. These ticker services are provided in various ways over the wire, and in the form of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cell broadcast service (CBS) on the wireless. Conventionally, the ticker service provided on the radio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or the cell broadcast service has a limitation in the message capacity, the content media is limited to tex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icker service cannot be provided when the user desires.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appearance of terminals supporting multimedia, various contents providing a ticker service are expected to emerge, and thus, there is a need for a user to freely set a ticker service environment.
이동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고 이를 실행하는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좀더 발전된 형태로 대기 모드 상태에서 동작 가능한 컨텐츠가 개발되고 있으며 다수의 발명이 출원되어 있는 상태이다. 2003년 3월 1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종래 발명으로 칭함)인 출원 번호 제 10-2003-0014687호가 2003년 11월 14일자로 공개되었다.In order to use the content that can be 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needs an active approach to download, store and execute the content. In a more advanced form, contents that can operate in a standby mode have been developed, and a number of inventions have been applied. Application No. 10-2003-0014687, entitled "Method of Reproducing Interactive Content for Standb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filed March 10, 20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ventional invention) Released November 14, 2003.
상기 종래 발명은 대기 모드 상태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특정 키를 입력함으로써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여 손쉽게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은 사용자가 대기화면에 집중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대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상태에도 컨텐츠를 계속 재생하므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은 소모적이며 의미 없는 것일 수밖에 없다.The conventional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lay the interactive content in the standby mo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specific site and display the information to the user by inputting a specific key. However, in the related art, although the user does not concentrate on the standby screen in most cases, the user continues to play the content even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terminal. Therefore, playing the content in the standby mode is wasteful and meaningless. none.
본 발명의 목적은 항상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 상태에서 구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 시간,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for outputting in a form, time, and manner desired by a user by running an application designated by a user in a standby mode of a mobile terminal which is always carried.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바로가기 기능 활용 형태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ist of shortcut function utilization forms in a standby mode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easily and quickly deliver desired application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종료 후 대기 모드 상태에서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ontent by driving an application designated by a user and automatically driving the designated application in a standby mode after termination.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 관리 서버와 결합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하는 대기모드용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별로 서비스 채널을 부여함-, 상기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을 바탕으로 대기 모드에서 컨텐츠 리 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 리스트에는 바로 가기 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모드용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ndby mode application driving method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coupled with a servic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ing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And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assigns a service channel for each content, and configures an application response packe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outputting a content list in a standby mode based on the application response packet, wherein the output content list includes at least one content item including a shortcut function.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iving method.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의 구성 이전에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에이전트 키를 입력받으면, 어플리케이션 정보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리스트를 바탕으로 사용자로부터 지정 어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riving a standby screen occupation representative application in the standby mode before configuring the application response packe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n application information list when an agent key is input from a user while outputting the idle screen occupation representative applic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a specific application item from a user based o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list, and driving a specific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 관리 서버와 결합하며, 대기모드용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별로 서비스 채널을 부여함-, 상기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을 바탕으로 대기 모드에서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출력 되는 컨텐츠 리스트에는 바로 가기 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coupled to a servic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a method for driving an application for a standby mode, comprising: a memory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and coupled to the memory to execute the program And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transmits, by the program,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assigns a service channel for each content-configuring an application response packe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outputting a content list in a standby mode based on the application response packet. Content list It may provide the mobile terminal with r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content item including a top function.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Nex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for a standby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용 컨텐츠 제공 장치는 이동 단말기(101), 이동 통신망(203), 서비스 관리 서버(105), 데이터베이스(107) 및 컨텐츠 제공 서버(10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the standby mode includes a
이동 단말기(101)는 단말기 플랫폼이 탑재되어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컨텐츠를 설치할 수 있으며,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1)는 이동 통신망(103)을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105)와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서비스 관리 서버(105)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대기 모드 상태에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1)는 휴대폰, PDA 폰, 스마트 폰, 노트북, 탭블릿 PC 등을 포함한다.The
서비스 관리 서버(105)는 이동 단말기(101)로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컨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10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1)에서 설정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09)로부터 컨텐츠를 제공 받아 대기화면 이미지로 가공하여 이동 통신망(103)을 통해 이동 단말기(101)로 전 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데이터베이스(107)는 상기 이동 단말기(201)에 대한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9)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가지고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107)는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105)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컨텐츠 제공 서버(109)는 기존의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그대로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105)로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109)는 서비스 관리 서버(105)와 연동하여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105)로 제공한다.The
상기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101)의 사용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105)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한 후,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이동 단말기(101)에 설치한다. 이동 단말기(101)는 상기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컨텐츠를 실행하여 수신하기를 원하는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 상태에서 표시부에 출력할 이미지를 서비스 관리 서버(105)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109)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101)는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09)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아 서비스 관리 서버(105)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로 가공하여 이동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101)는 수신한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출력하 여 저장된 메시지를 리스트의 형태로 대기화면에 출력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101)는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자동 구동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First, the user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용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contents for a standby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CPU)(201), 제어부(201)의 제어를 받고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 및 동작의 입력을 담당하는 키(Key) 입력부(203), 표시부(205), 메모리(207), 음성처리부(209) 및 송수신부(21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11)에서 처리된 신호를 입력받고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에 따라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부(205) 및 음성 처리부(209)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1)는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수행한다.The
표시부(205)는 액정 표시 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서, 제어부(201)의 제어를 받아 이동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205)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05)는 사용자 설정 환경에 따라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대기화면에서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The
메모리(207)에는 제어부(201)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207)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 프로그램은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과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07)는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In the
음성 처리부(209)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송수신부(211)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메모리(207)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송수신부(211)는 제어부(201)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20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구성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재생하고 컨텐츠를 자동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송수신부(211)를 통해 제공받아 메모리(207)내에 저장하여 재생한다. 상기 사용자는 키 입력부(203)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 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후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에서 다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컨텐츠를 수신하고 제어부(201)의 제어를 받아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부(205) 및 스피커를 통해 자동 구동할 수 있다.A method of reproducing a designated application and automatically driving content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in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단말기의 단말기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erminal platform of a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for providing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플랫폼은 이동 통신 단말기 하드웨어(301),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303), HAL(Handset Application Layer, 305), 런 타임 엔진(Run Time Engine,307), 기본 API(309), API 관리자(311),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313), 확장 API(315) 및 응용 프로그램(317)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플랫폼은 GVM, SK- VM, KVM, MAP, BREW 및 WIPI를 포함하여 기존의 단말기 플랫폼의 기능을 그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플랫폼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본 발명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로 대기 점유하거나 자동 구동하도록 대기화면 점유 상태를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 the terminal platform includes a mobile
이동 단말기 하드웨어(301)는 핸드폰, PDA, PDA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모든 이동 통신 단말 또는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303)는 단말기 기본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LCD 드라이버, KPD 드라이버 및 Serial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HAL(305)은 플랫폼의 하드웨어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추상화 계층으로 상위 계층들이 HAL(305) 위에서 이동 단말기 하드웨어(301) 와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303)와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는 독립성을 지원한다.The mobile
기본 API(309)는 응용프로그램 개발자가 사용하는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기본 API 모음이다. 상기 기본 API(309)는 C API 및 자바 API를 포함하고 있어 프로그램 개발자들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API 관리자(311)는 플랫폼의 기본 API(309)와 확장 API(315)를 갱신,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API 관리자(311)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313)도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313)는 응용 프로그램(317)의 정보 보기, 다운로드, 설치, 실행, 삭제, 보안관리 등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확장 API(315)는 단말기 플랫폼의 표준화가 가능한 후보가 되는 API의 모음으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API 모음을 제공한다.The
응용 프로그램(317)은 단말기 플랫폼이 탑재된 단말기에 설치되어 단말기 환경이나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와는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는 컨텐츠를 말한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한다.The
상기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 플랫폼이 탑재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313)를 이용하여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동 통신 사업자 또는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 받는다.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C 언어 도는 자바 언어로 구현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컨텐츠를 실행한다.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따라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수신한 컨텐츠를 자동 구동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configuration. 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ipped with a terminal platfor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the desired content and receives the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r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usi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i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서버는 메모리 시스템(420), 여기에 결합되어 고속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410), 입력 장치(430) 및 통신 장치(4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중앙 처리 장치(410)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412),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414) 및 서비스 관리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416)를 포함한다. 중앙 처리 장치(410)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I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 AMD 및 넥스젠(Nexgen)을 포함하는 회사의 x86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의 파워PC(PowerPC)와 같이 다양한 아키텍쳐(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The
메모리 시스템(420)은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고속의 메인 메모리(422)와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CD-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장기(long-term) 저장 매체 형태의 보조 메모리(424)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메모리(422)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이미지를 출력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입력 장치(43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한다. 마우스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 또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물리적 변환기(Physical transduc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40)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등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의 모듈 구성도이다.5 is a module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i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등과의 유무선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송수신 처리 모듈(532),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 단말기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534), 이동 단말기에서 설정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5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모듈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5,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transmission /
서비스 관리 서버는 다양한 OS(Operating System)를 시스템의 OS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500)에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하여 각 응용 모듈(53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can use various operating systems (OS) as the OS of the system. The OS provides a high level command to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5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서비스 관리 서버는 API(500)로부터 제공되는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대응하는 각 응용 모듈(530)을 식별하고, 하이 레벨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곳 으로 제공하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510)를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520)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510)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따라 응용 모듈(5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510)는 API(500)를 통하여 제공된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여기에 대응하는 응용 모듈(530)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고, 대응되는 응용 모듈(53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응용 모듈(53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매핑부에 전송한다. 여기서 응용 모듈(530)은 송수신 처리 모듈(532),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534), 컨텐츠 관리 모듈(536)을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520)는 각 응용 모듈에 대한 매핑부(521, 523, 525)와 인터페이스부(522, 524, 526)를 각각 포함한다.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high level
송수신 처리 모듈 매핑부(52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510)로부터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이동 단말기 등과의 유 ·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송수신 처리 모듈(532)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송수신 처리 모듈 인턴페이스부(522)를 통하여 송수신 처리 모듈(532)로 제공한다. 또한 송수신 처리 모듈(532)은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물리적 전송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리적 전송 인터페이스는 SS7 음성망 연동 인터페이스나 TCP/IP 망 연동 인터페이스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The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534)은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 단말기를 관리하고 각 이동 단말기에 따른 서비스 설정 내용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즉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 매핑부(523)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510)로부터 이동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534)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 인터페이스부(524)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 관리 모듈(534)로 제공한다.The user
컨텐츠 관리 모듈(536)은 이동 단말기로 적절한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고 컨텐츠별 서비스 채널을 부여 및 관리하는 부분이다. 즉 컨텐츠 관리 모듈 매핑부(525)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510)로부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컨텐츠 관리 모듈(536)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컨텐츠 관리 모듈 인터페이스부(526)를 통하여 컨텐츠 관리 모듈(536)로 제공한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성 서비스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지정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성 서비스라 함은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서비스를 말한다.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design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 the designated application automatic configuration service refers to a service that outputs, on the display unit,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in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terminal.
도 6을 참조하면, 대기화면 점유 서비스에 가입을 원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에 가입하고(단계 601), 이동 단말기를 통해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이동 단말기에 설치하고 서비스 환경을 설정한다(단계 603).이후 이동 단말기는 단계 603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라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이미 다운로드된 어플리케 이션 리스트를 수신한다(단계 605).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단계 607), 이동 단말기는 해당 컨텐츠 정보를 대기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609). 이동 단말기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종료 이후 대기 모드에 진입한다(단계 611). 단계 603 및 단계 613에서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는 과정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의 지정 어플리케이션를 수신하는 절차는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6, a user of a mobile terminal who wants to subscribe to an idle screen occupancy service accesses a servic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join a service (step 601), and downloads an idle screen occupancy representative applic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application list already downloaded from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set in step 603 (step 605). When the mobile terminal executes the application designated by the user (step 607),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corresponding content information on the idle screen (step 609). The mobile terminal enters a standby mode after termination of the designated application (step 611). A process of automatically driving the designated application i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7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roviding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요청하여 이동 단말기에 다운로드한다(단계 701). 이때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는 이동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전송한다(단계 703). 이후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로 요청한다(단계 705).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는 다마고찌 등의 엔터테인먼트 형 서비스, 메신저 등의 커뮤니티 형 서비스 및 뉴스, 날씨, 부동산, 증권 등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단계 707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는 요청받은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을 설정으로써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바로가기 기능 활용 형태의 리스트로 이동 단말기에 제공한다(단계 709).Referring to FIG. 7,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a representative screen application occupying the idle screen from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and downloads it to the mobile terminal (step 701). At this time,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downloaded application list to the mobile terminal (step 703). Thereafter, the terminal user requests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for application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from the application list (step 705). The application list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content. The contents include entertainment-type services such as Tamagotchi, community-type services such as messengers, and contents such as news, weather, real estate, and securities. In step 707,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sets the requested designated application response packet and provides the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s a list of shortcut function utilization forms (step 709).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바로가기 기능 활용의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로서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8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roviding updated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as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for utilizing a shortcu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서버는 이동 단말기로 제공할 컨텐츠를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일정 주기로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801). 컨텐츠 제공 서버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803).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업데이트된 컨텐츠가 발생한 경우도 포함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를 업데이트하고(단계 805), 컨텐츠별 서비스를 채널 부여 및 관리한다(단계 807). 이후 이동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단계 809), 서비스 관리 서버는 이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단말기 플랫폼에 전송한다(단계 811). 이때 단말기 플랫폼은 정보 요청에 대한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을 구성한다(단계 813). 이후 사용자에 의해 요청 되어진 컨텐츠는 단말기 플랫폼에서 바로가기 기능 활용 형태의 리스트로 가공되어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로서 이동 단말기에 전송된다(단계 815).Referring to FIG. 8,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to update th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step 801).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step 803). At this time,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case where updated content is generat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updates the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tep 805), and assigns and manages a service for each content (step 807). Then, when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step 809), the servic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platform (step 811). At this time, the terminal platform constructs a designated application response packet for the information request (step 813). Thereafter,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is processed into a list of shortcut function utilization forms on the terminal platform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s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step 815).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여 대기화면을 점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occupying a standby screen by automatically driving a designated applic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키 입력부의 종료 버튼 입력되는 경우 또는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는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단계 901). 대기 모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를 구동한다(단계 903).Referring to FIG. 9, when the call is terminated, when the end button of the key input unit is input or when there is no key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obile terminal enters the standby mode (step 901). In the standby mode, the mobile terminal is driven by the controller to drive the representative application occupying the idle screen (step 903).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컨텐츠 구동 상태에서 에이전트-키(Agent-Key)가 입력되면(단계 905), 이동 단말기는 이미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부에 출력한다(단계 907).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는 단말기의 사용자는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으며(단계 909), 이때 단말기 플랫폼은 정보 요청에 대한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을 구성하여(단계 911), 해당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자동 접속할 수 있다(단계 913).When the Agent-Key is input in the idle screen occupied representative content driving state (step 905), the mobile terminal outputs a list of already downloaded applications to the display unit (step 907). In the application list, the user of the terminal can select the desired application to view detailed information (step 909), and the terminal platform constructs a specific application response packet for the information request (step 911),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server may automatically connect to the server providing the content (step 913).
지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이 종료되면(단계 915), 이동 단말기는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이 구성된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단계 917). 이후 이동 단말기에서 종료된 지정 어플리케이션은 바로가기 기능 활용 형태의 리스트로 가공되어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자동 구동되고 대기화면에 점유한다(단계 919).When driving for the designated application ends (step 915), the mobile terminal enters a standby mode in which the designated application response packet is configured (step 917). Thereafter, the designated application terminated in the mobile terminal is processed into a list of shortcut function utilization forms, and the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driven and occupied on the standby screen (step 919).
도 10 내지 도 15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10 to 15 is as follows.
도 10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기 전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in a standby mode state of a mobile terminal before a representative application occupying a standby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0을 참조하면, 대기화면 점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아니한 이동 단말기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기본 대기화면 제어 프로그램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가 설정한 대기화면(1001)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또한 대기 모드 상태에서 키 입력부(1003)의 각각의 키들은 기존 대기 모드 상태에서 가지는 각각의 기능을 그대로 가진다.Referring to FIG. 10, a mobile terminal having no idle screen occupation application insta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basic idle screen control program in a standby mode outputs a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점유 어플리케이션 컨텐츠가 설치되어진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in a standby mode state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n idle screen occupation application conten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대기화면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대기 모드 상태에서 이미지 영역(1101), 게시판 영역(1103) 및 에이전트-키 영역(1105)을 구분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 상기 에이전트-키 영역(1105)은 상기 대기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서 생성된다. 상기 이미지 영역(1101)에는 대기화면 이미지로 설정된 이미지가 출력되고, 상기 게시판 영역(1103)에는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게시용 메시지들이 슬라이드 형식으로 출력된다. 대기 모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키 입력부(1107)에서 에이전트(Agent) 버튼은 이미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활성화시키는 에이전트-키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에이전트(Agent) 버튼을 제외한 다른 버튼들은 기존 대기화면에서 가지는 기능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mobile terminal downloads and installs the standby screen representative application, the mobile terminal divides the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출력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llustrates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of a mobile terminal in a downloaded application list output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에이전트-키가 입력되면 미리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활성화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영역 및 게시판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1201)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단말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1201)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를 실행하기 위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지정한다.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출력 모드에서 키 입력부(1203)의 버튼들은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정의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2, when an agent-key is input, the mobile terminal outputs a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해당 컨텐츠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of a mobile terminal in a corresponding content display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면 해당 컨텐츠가 활성화되고 원하는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1301)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모드에서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폴더가 닫히는 경우, 키 입력부의 종료 버튼 입력되는 경우 또는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는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이 구성된 대기 모드 상태로 진입한다. 해당 컨텐츠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키 입력부(1303)의 버튼들은 해당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정의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3, when a user designates a desired application, the mobile terminal outputs a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이 구성된 대기 모드 진입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of a mobile terminal in a standby mode entry state where a designated application response packet is configu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지정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대기 모드 상태가 활성화되고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이 구성된 어플리케이션 구동 화면(1401)을 대기 모드에 출력한다.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이 구성된 대기 모드 상태에서 키 입력부(1403)의 버튼들은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시키기 위해 정의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4, when the designated application is terminated, the mobile terminal outputs an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 및 키 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of a mobile terminal in a designated application automatic driving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은 종료된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바로가기 기능 활용 형태의 리스트로 가공하여 지정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에서 자동 구동(1501)한다. 지정 어플리케이션 자동 구동 상태에서 키 입력부(1503)의 버튼들은 컨텐츠를 구동시키기 위해 정의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5, the mobile terminal processes the terminated designated application into a list of shortcut function utilization forms to automatically drive 1501 of designated application information in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designated application automatic driving state, the buttons of the key input unit 1503 perform respective functions defined for driving the content.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llustrates a conten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이동 단말 기로 제공할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 것으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 컨텐츠 서버(1601)별로 컨텐츠 정보(1603) 및 최종 업데이트 시간(1605)을 포함한다. 이때 컨텐츠 서버(1601)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의미하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2이상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각 컨텐츠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1603)는 고객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컨텐츠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최종 업데이트 시간(1605)에는 해당 컨텐츠별로 마지막 업데이트된 시간이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16, a content database stores content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a mobile terminal from a service management server. The content database includes
도 17은 본 발명의 바라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17 illustrates a user information datab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고객(1701)별로 단말기 정보(1703), 어플리케이션 정보(1705) 및 최종 업데이트 시간(1707)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 정보(1703)는 이동 단말기 번호, 서비스 활성화 상태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1705)는 이동 단말기에서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이 구성된 대기 모드 진입 여부, 컨텐츠 전송 요청에 대한 지정 어플리케이션 응답 패킷 구성 설정 결과, 컨텐츠 종류, 서비스 설정 환경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최종 업데이트 시간(1707)은 컨텐츠 별로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한 마지막 시간을 의미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는 이 최종 업데이트 시간과 도16에서 설명한 컨텐츠 최종 업데이트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컨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최신의 업데이트된 컨텐츠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7,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includes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signated application for displaying content desired by a user.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 상태에서 바로가기 기능 활용 형태의 리스트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ariety of information can be easily and quickly delivered by providing a designated application selected by a user as a list of shortcut function utilization forms in a standby mode.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지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종료 후 대기 모드 상태에서 지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ed application can be automatically driven in the standby mode after the driving of the designated applic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terminat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5274A KR100677652B1 (en) | 2005-02-24 | 2005-02-24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tandby mode |
JP2007511274A JP4624407B2 (en) | 2004-05-03 | 2005-04-29 | Method for providing standby mode content to mobile terminal, and service management server |
EP05764728.1A EP1745662B1 (en) | 2004-05-03 | 2005-04-29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
CN2005800225339A CN1981544B (en) | 2004-05-03 | 2005-04-29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idle state contents for a mobile terminal |
US11/568,613 US8078228B2 (en) | 2004-05-03 | 2005-04-29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a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driving an application for an idle state in a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idle state contents for a mobile terminal |
PCT/KR2005/001245 WO2005112491A1 (en) | 2004-05-03 | 2005-04-29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driving application for idle state in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idle state contents for a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5274A KR100677652B1 (en) | 2005-02-24 | 2005-02-24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tandby mod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4252A KR20060094252A (en) | 2006-08-29 |
KR100677652B1 true KR100677652B1 (en) | 2007-02-02 |
Family
ID=3760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52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7652B1 (en) | 2004-05-03 | 2005-02-24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tandby mod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765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7155B1 (en) * | 2007-05-18 | 2013-08-21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Method, System, Server, and Client for Delivering Content on Stand-by Screen of Mobile Terminal |
KR101300999B1 (en) * | 2007-05-18 | 2013-08-2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ub-Channel Organizing Method, Sub-Content Delivery Method, and Content Delivery Server in Mobile Network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4096A (en) * | 2002-08-10 | 2002-09-28 | 김선호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displays a received data in standby mode and,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
KR20030031938A (en) * | 2003-02-20 | 2003-04-23 | 권영주 | Dynamic image and text im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ed therefore |
-
2005
- 2005-02-24 KR KR1020050015274A patent/KR10067765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4096A (en) * | 2002-08-10 | 2002-09-28 | 김선호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displays a received data in standby mode and,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
KR20030031938A (en) * | 2003-02-20 | 2003-04-23 | 권영주 | Dynamic image and text im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ed therefore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20074096 |
102003003193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4252A (en) | 2006-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78267B2 (en) | Server processing that provides messages for wireless devices connected to the server | |
US20210382589A1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software application recommendations | |
KR10095329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to a wireless device connecting to an application server | |
US7647075B2 (en) | Terminal device and program | |
US807822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a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driving an application for an idle state in a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idle state contents for a mobile terminal | |
US20060288371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on | |
KR20040004035A (en) | Application catalog on an application server for wireless devices | |
US20070192443A1 (en) | Contents download system using wireless internet platform and method thereof | |
US7742585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80086757A (en) | Application driv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95212B1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storing push message and mobile terminal | |
KR10059780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message in standby mode of mobile terminal | |
WO2020186927A1 (en) | Data shar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medium | |
GB2421103A (en) | Controlling speech synthesis on a mobile device by detecting content information | |
KR10067765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tandby mode | |
KR10066373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representative screen occupied representative application for mobile terminal | |
KR10062501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for standby mode to a mobile terminal | |
KR10068004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 in a mobile terminal | |
KR100632217B1 (en) | Standby screen control method and device | |
JP4007936B2 (en) | Control server device | |
KR20060104324A (en) | Character Synthesis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 |
US20020019251A1 (en) | Method of selectively storing display message in a mobile telephone | |
KR100785635B1 (en) |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internal functions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0819681B1 (en) |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function control through string input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063703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 with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