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245B1 - Remot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Remot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4245B1 KR100664245B1 KR1020050102602A KR20050102602A KR100664245B1 KR 100664245 B1 KR100664245 B1 KR 100664245B1 KR 1020050102602 A KR1020050102602 A KR 1020050102602A KR 20050102602 A KR20050102602 A KR 20050102602A KR 100664245 B1 KR100664245 B1 KR 1006642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tification message
- mobile terminal
- time stamp
- remote management
- ser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원격 관리를 인터럽트 발생 없이 신속하게 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원격관리하기 위하여 디엠 통보 메시지의 트리거 바디 영역에 타임 스탬프를 기록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인가되는 디엠 통보 메시지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이동교환국; 디엠 통보 메시지를 지정된 휴대단말기에 무선 방송하는 기지국;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원격관리받는 휴대단말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된 서버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를 원격관리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1 과정; 휴대단말기를 원격관리하는 경우, 디엠 통보 메시지에 타임 스탬프를 추가 기록하는 제2 과정; 서버 제어에 의하여 지정된 휴대단말기에 디엠 통보 메시지를 방송하고 원격관리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무선으로 디엠 통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타임 스탬프 값을 검출 관리하는 수신과정;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디엠 세션을 개방하고 원격관리를 처리하는 관리과정;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타임 스탬프 값을 검출하여 비교하는 타임과정;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로 검출된 타임 스탬프 값과 관리중인 타임 스탬프의 값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를 삭제하고 현재 진행중인 원격관리 처리를 계속하는 삭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management of a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quickly without an interrupt, and the server controls to record and transmit a time stamp in a trigger body area of a DM notification message for remote management of the mobile terminal; A mobile switching station for setting a DM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path authorized from a server; A base station wirelessly broadcasting a DM notification message to a designated mobile terminal;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remotely manage the mobile terminal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econd step of additionally recording a time stamp in the DM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motely managed; A third process of broadcasting and remotely managing a DM notification message to a mobile terminal designated by the server control; and further, detecting and managing a time stamp value when the DM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wirelessly; A management process of opening a DM session by a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remote management; A time process of detecting and comparing time stamp values when receiving a new DM notification message by a mobil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stamp value newly detected by the portable terminal is the same as the value of the time stamp being managed, the new DM notification message is deleted and the current remote management process continues.
Description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관리 시스템 기능 구성도, 1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remo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관리 방법 순서도, 2 is a flow chart of a mobile terminal remot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 은 원격관리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도, 3 is a signal flow diagram for remote management settings;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 관리장치 기능 구성도, 4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remot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휴대단말기 원격관리 방법 순서도,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a mobile terminal of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원격관리 방법 순서도, 6 is a flow chart of a remote managemen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엠 통보 메시지 포맷 구성상태 도시도.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M notification message format configu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휴대단말기 110 : 기지국100: mobile terminal 110: base station
120 : 이동교환국 130 : 서버120: mobile switching center 130: server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운용기능을 원격 관리하는 것으로, 특히, 서버 구동 방식의 디엠 메시지에 타임 스탬프를 기록 발송하므로, 휴대단말기에서, 디엠 메시지의 중복 수신상태를 검출하여 진행중인 디엠관리 기능이 인터럽트에 의하여 불필요하게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원격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motely manages an operation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since a time stamp is recorded and sent to a server-driven DM message,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a duplicate reception state of the DM message, and the ongoing DM management function is interrup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not interrupted unnecessarily.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는, 기지국(RAN)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며, 개인이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S) freely moves in the service area formed by the base station (RAN), and immediately wirelessly connects with a desired party anytime, anywhere through a communication path established by monitoring, controlling and switching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MSC). It is a high-tec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nd moves anywhere while being carried by an individual.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이동통신 서비스가 기본 서비스로,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이동하면서 무선채널을 점유하여 통신하므로, 매우 복잡한 방식으로 운용되며, 또한,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제공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구비하고 있다. The mobile terminal (MS) is a basic ser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a basic service, because the wireless access to the base station and occupies a radio channel while moving, it is operated in a very complicated manner, and also provided in the case of not being used for communication Additional services are available.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서비스 사업자에 가입 등록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전자일련번호, 모델번호 등을 사업자에 제공하고, 사업자가 할당하는 전화번호를 기록하여야 하며, 또한, 기본서비스인 이동통신 기능과, 각종 부가서비스 기능을 운용하기 위하여 해당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매우 복잡하고 정밀한 장비이다. When the mobile terminal needs to register with a service provider and receiv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t must provide an electronic serial number, a model number, etc. to the service provider, and record a phone number assigned by the service provider. It is a very complex and precise device that records and manages the program and data to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 functions.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외부의 기계적 충격, 또는 전기적 충격 등에 의하여, 기록 관리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되는 장애를 일으키며, 상기와 같은 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서는, 서비스 센터 등을 직접 방문하여 수리를 받아야 했다. Such a portable terminal causes an error in recording and managing programs and data due to an external mechanical shock or an electrical shock. In order to overcome such a failure, the portable terminal visits a service center or the like for repair. Had to receive.
상기와 같이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의 오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장애를 원격 제어하여 관리하는 기술이 OTA(ON THE AIR) 방식이며, 상기 원격제어 관리를 위한 국제 규격은 'OMA-TS-DM-NOTIFICATION-V1_2-20050607-C.PDF' 에 정의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managing faults caused by errors in program and operation data is OTA (ON THE AIR),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remote control management is' OMA-TS-DM-NOTIFICATION-V1_2. -20050607-C.PDF '.
상기 OTA 기술을 이용하여 가입된 휴대단말기를 등록하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프로그램 및 운용 데이터 오류에 의하여 장애 발생된 휴대단말기에 정상적인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를 제공하므로, 원격 수리 또는 관리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OTA 기술은 일방향 통신 또는 방송(BROADCASTING) 이므로, 휴대단말기의 정상적인 수신을 위하여 반복 방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Registered mobile terminal using the OTA technology and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provides a normal program and operation data to a mobile terminal that has failed due to program and operation data error, so that remote repair or management, Although providing convenience, the OTA technology is one-way communication or broadcasting (BROADCASTING), it is common to repeat the broadcast for the normal reception of the mobile terminal.
그러나, 휴대단말기는 OTA의 해당 제어에 의하여 프로그램 및 운용 데이터 갱신 처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제어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인터럽트(INTERRUPT)에 의하여 기존에 진행하던 갱신 처리과정을 다시 처리하며, 상기와 같이 동일한 제어명령의 경우에도 반복 전송에 의하여 불필요한 인터럽트가 발생되므로, 갱신 처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updating the program and operation data under the corresponding control of the OTA, when the new control command is applied, the portable terminal re-processes the update process that was previously performed by the interrupt (INTERRUPT). Even in the case of the same control command, since unnecessary interruption is generated by repetitive transmiss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date processing takes a long time.
따라서,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원격제어 과정에서, 동일한 내용의 제어신호를 검출하여 차단하므로, 갱신처리를 신속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ique for speeding up the update process since the control signal having the same content is detected and blocked in the remote control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원격관리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remote managemen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관리 시스템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관리 방법 순서도 이며, 도3 은 원격관리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도 이다. It is attached to describe the prior art, Figure 1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remote management system fun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flow chart of a mobile terminal remot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for the remote management settings It is a signal flow chart.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MS)(10)를 OTA 기술에 의하여 원격관리 제어하는 DM(DEVICE MANAGEMENT) 서버(40)는, 디엠(DM) 통보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이동교환국(MSC)(30)에 인가하고,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스위칭에 의하여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상기 DM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이동교환국(30)의 제어를 받는 기지국(RAN)(20)은, 무선접속된 휴대단말기(10)에 상기 DM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remote manag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A DM (DEVICE MANAGEMENT)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상기 DM 서버(40)로부터 전송된 DM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분석하며, 원격관리를 허용하는 해당 응답신호를 회신하고, 상기의 회신되는 응답 신호를 입력한 서버(40)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원격 관리하는 것으로, 상기 첨부된 도3에 원격관리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The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서버(40)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를 원격 관리할 것인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원격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버(40)는 DM 통보 메시지를 휴대단말기(10)에 전송한다(S20). Hereinafter, referring to the attached FIG. 2, a remote terminal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상기의 DM 통보 메시지를 전송 받은 휴대단말기는, 원격관리를 허용하는 응답신호를 회신하고(S30), 상기의 회신을 받은 서버(40)는, 휴대단말기를 OTA 기술에 의하여 무선으로 원격관리한다(S40).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the DM notification message returns a response signal allowing remote management (S30), and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서버(40)는, 상기 DM 통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원격관리 명령을, 일방향으로 전송하는 방송(BROADCASTING) 방식이므로,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일시적으로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거나 또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반복 전송하게 되며, 상기 반복 전송하는 횟수는, 시스템 운용자의 경험에 의하여 그 횟수가 결정된다. However, since the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서비스 지역에 정상적으로 위치하고, 서버(40)의 DM 통보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반복 방송되어, 반복 수신되는 DM 통보 메시지에 의하여 원격관리 처리의 진행에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되므로, 원격관리 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Therefore, when the
본 발명은 서버에 의하여 OTA 기술로 휴대단말기와 접속하고 각 기능 및 운용 데이터를 원격 관리하는 것으로, 특히, 반복 방송되는 통보 메시지를 검출하여 차단하므로 원격관리에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원격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tely manage each function and operation data by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by the OTA technology by the server, in particular, by detecting and blocking the repeated broadcast notification message, so that the remote management of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occur in the remote management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오티에이에 의하여 원격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원격관리하기 위하여 디엠 통보 메시지의 트리거 바디 영역에 타임 스탬프를 기록하여 지정된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인가되는 디엠 통보 메시지를 지정된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디엠 통보 메시지를 지정된 휴대단말기에 무선 방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이 무선 방송하는 디엠 통보 메시지에 의하여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원격관리 받는 휴대단말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 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a mobile terminal by OTC; A server configured to record a time stamp in a trigger body area of a DM notification message and transmit it to a designated portable terminal for remote manag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 mobile switching station configured to route a DM notification message authorized from the server to a designated mobile terminal; A base station for wirelessly broadcasting the DM notification message to a designated mobile terminal under control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es a mobile terminal for remote management of the operating program and data in accordance with the DM notification message wirelessly broadcast by the base sta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된 서버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를 원격 관리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휴대단말기를 원격 관리하는 경우, 디엠 통보 메시지에 타임 스탬프를 추가 기록하는 제2 과정과; 상기 과정의 서버 제어에 의하여 지정된 휴대단말기에 디엠 통보 메시지를 방송하고 원격 관리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remotely manage the mobile terminal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econd step of additionally recording a time stamp in the DM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motely managed in the above process; And a third process of broadcasting and remotely managing a DM notification message to a mobile terminal designated by the server control of the process.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무선으로 디엠 통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타임 스탬프 값을 검출 관리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디엠 세션을 개방하고 원격관리를 처리하는 관리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타임 스탬프 값을 검출하여 비교하는 타임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로 검출된 타임 스탬프 값과 관리중인 타임 스탬프의 값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를 삭제하고 현재 진행중인 원격관리 처리를 계속하는 삭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terminal, the receiving process of detecting and managing the time stamp value when the DM notification message wirelessly; A management process of opening a DM session by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ocess and processing remote management; A time process of detecting and comparing time stamp values when receiving a new DM notification message by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stamp value newly detected by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ocess is equal to the value of the time stamp being managed, the new DM notification message is deleted and the current remote management process continues. .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원격관리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remot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 관리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휴대단말기 원 격관리 방법 순서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원격관리 방법 순서도 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엠 통보 메시지 포맷 구성상태 도시도 이다.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remot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a mobile terminal of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M notification message for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 관리장치를 설명하면, 휴대단말기를 오티에이(OTA: ON THE AIR)에 의하여 원격관리(REMOTE MANAGEMENT)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100)를 원격관리하기 위하여 디엠 통보 메시지의 트리거 바디 영역에 타임 스탬프를 기록하여 지정된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지정하여 동일한 내용의 원격관리를 하는 경우, 디엠(DM) 통보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에 동일한 타임 스탬프(TIME STAMP)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서버(DM SERVER)(130)와, Referring to FIG. 4, the remote management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a portable terminal by an on-the-air (OTA), the portable terminal ( MS: to remotely manage the mobile station (100) by recording a time stamp in the trigger body area of the DM notification message and to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a designated mobile terminal, by designating the
상기 서버(130)로부터 인가되는 디엠(DM: DEVICE MANAGEMENT) 통보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지정된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도록 경로(PATH)를 설정하는 이동교환국(MSC)(120)과,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20 for setting a path so that a DM (DEVICE MANAGEMENT) notification message (NOTIFICATION MESSAGE) authorized from the
상기 이동교환국(1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디엠 통보 메시지를 지정된 휴대단말기에 무선 방송하는 기지국(RAN)(110)과, A base station (RAN) 110 that wirelessly broadcasts the DM notification message to a designated mobile terminal under control of the
상기 기지국(110)이 무선방송하는 디엠 통보 메시지에 의하여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원격관리받는 것으로, 상기 서버(130)로부터 인가되는 디엠 통보 메시지에 응답하고 원격관리되는 도중에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가 입력되면 타임 스탬프 값을 검출 비교하여 현재 처리 중인 것과 동일한 값이면 상기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를 삭제하여 차단하고 진행중인 원격관리를 계속하는 휴대단말기(MS)(1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원격 관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 portable terminal remote managemen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디엠 통보 메시지를 발생하여 지정된 휴대단말기(100)의 각종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를 원격으로 기록 및 수정 관리하는 서버(130)는, 상기 첨부된 도7과 같은 포맷으로 이루어지는 디엠 통보 메시지의 사용자(VENDOR SPECIFIC) 영역인 트리거 바디(TRIGGER BODY) 영역에 타임 스탬프(TIME STAMP)를 기록한다. The
상기 디엠(DM: DEVICE MANAGEMENT) 통보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는, 국제규격 'OMA-TS-DM-NOTIFICATION-V1_2-20050607-C.PDF'에 의한 것으로, 트리거 해드(TRIGGER-HDR) 영역에 원격관리를 위한 것으로, 버전(VERSION)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가 기록되며, 트리거 바디(TRIGGER-BODY) 영역은, 사용자를 위하여 남겨둔 영역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다. The DM (DEVICE MANAGEMENT) notification message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OMA-TS-DM-NOTIFICATION-V1_2-20050607-C.PDF', remote management in the trigger head (TRIGGER-HDR) area For this purpose,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he version (VERSION) is recorded, and the trigger body (TRIGGER-BODY) area is an area left for the user and is an area that the user can use for any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용자 영역(VENDER SPECIFIC)인 트리거 바디(TRIGGER BODY) 영역을 이용하여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를 추가 기록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ime stamp information is additionally recorded using the trigger body area, which is the user area VENDER SPECIFIC.
상기 타임 스탬프는, 상기 지정된 휴대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엠 통보 메시지를 생성한 시간 정보가 기록되며, 디엠 통보 메시지는 한번 발생되면 반복 전송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타임 스탬프 값이 기록되어 전송된다. The time stamp is recorded with time information of generating a DM notification messag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designated mobile terminal. The DM notification message is recorded and transmitted even when the DM notification message is repeatedly transmitted.
또한, 상기 서버(130)로부터 발생되어 출력되는 디엠 통보 메시지는, 휴대단말기(100)에 일방향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방송(BROADCASTING)이라고 하며, 상기 방송은 수신측인 휴대단말기(100)가 방송 내용을 오류(ERROR) 없이 수신하였는지를 서버 측에서 확인하지 못하므로, 시스템 운용자의 경험에 의하여 선택 설정된 횟수만큼, 동일한 내용을 반복 방송한다. In addition, the DM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and output from the
상기와 같이 서버(130)로부터 출력되는 디엠 통보 메시지는, 이동교환국(MSC)(120)에 인가되고,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지정된 휴대단말기(100)와의 통신경로를 스위칭(SWITCHING)으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경로(PATH)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인가되는 디엠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The DM notification message output from the
상기와 같이 이동교환국(120)이 전송하는 디엠 통보 메시지는, 기지국(110)에 인가되고, 상기 기지국(110)에 의하여 지정된 휴대단말기(100)가 무선수신하도록 무선송신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M notific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상기 기지국(110)이 무선송신하는 디엠 통보 메시지 신호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의하여 무선수신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무선수신되는 디엠 통보 메시지를 분석하여 디엠 세션을 개방(OPEN)하여, 원격관리를 받기 시작한다. The DM notification message signal transmitted by the
상기 원격 관리되는 내용은, 휴대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위한 운용(OPERATION) 프로그램, 각종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 운용 데이터(DATA) 등이 포함되며, 상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갱신 및 수정 등에 의한 버전 관리 및 오류 발생된 부분을 보정하며, 정상동작 여부를 원격으로 진단하는 등에 사용된다. The remotely managed contents include an operation program,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operation data for services provided by the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서버(130)로부터 인가되는 것으로, 디엠 통보 메시지에 의하여 원격관리 처리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서버의 디엠 통보 메시지 방송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된 소 정 횟수 반복 방송되는 상기 디엠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The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디엠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존에 처리하던 원격관리를 인터럽트(INTERRUPT)에 의하여 중단하고, 신규로 수신된 디엠 통보 메시지에 의하여 원격관리를 다시 시작한다. When the
상기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100)에서는, 디엠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영역인 트리거 바디 영역으로부터 타임 스탬프 정보를 검출하여 관리하고, 신규로 디엠 통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와 동일하게 신규 수신된 디엠 통보 메시지의 사용자 영역인 트리거 바디 영역으로부터 타임 스탬프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신규로 검출된 타임 스탬프 값과 기존에 검출되어 관리되는 타임 스탬프 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값인지를 확인 판단한다. When receiving the DM notification message, the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확인 판단에서, 동일한 타임 스탬프 값에 의한 디엠 통보 메시지로 확인되면, 상기 신규로 수신된 디엠 통보 메시지를 삭제하여 입력을 차단하고, 동일하지 않은 타임 스탬프 값으로 확인되면, 상기 신규로 수신된 디엠 통보 메시지에 의한 원격관리 운용 처리를 진행한다. If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관리 장치는, 서버에 의하여 원격 관리하는 디엠 통보 메시지가 중복 방송되어도, 인터럽트에 의하여 진행중인 처리과정이 중단되지 않으므로, 원격관리 처리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remot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does not interrupt the ongoing process by interruption even when the DM notification message remotely managed by the server is broadcasted, thereby quickly processing the remote management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휴대단말기 원격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된 서버(130)에 의하여 휴대단말기 (100)를 원격 관리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1 과정(S100)과, Hereinafter, referring to the attached FIG. 5, a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a mobile terminal of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상기 과정(S100)에서 휴대단말기(100)를 원격 관리하는 경우, 디엠 통보 메시지에 타임 스탬프를 추가 기록하는 것으로, 상기 서버(130)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를 원격 제어하여 관리하는 디엠 통보 메시지의 사용자 영역(VENDOR SPECIFIC)인 트리거 바디(TRIGGER BODY)에 타임 스탬프(TIME STAMP)를 추가 기록하는 제2 과정(S110)과, When the
상기 과정(S110)의 서버(130) 제어에 의하여 지정된 휴대단말기(100)에 디엠 통보 메시지를 방송(BROADCASTING)하고 원격관리(REMOTE MANAGEMENT)하는 제3 과정(S120)으로 구성된다. The third step (S120) of broadcasting the DM notification message to the designated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서버의 휴대단말기 원격관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by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 mobile terminal remote management method of the ser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서버(130)는, 해당 제어명령의 입력에 의하여, 지정된 휴대단말기(100)를 원격제어로 관리할 것인지 확인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지정된 휴대단말기(100)를 원격 관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원격관리에 이용되는 디엠 통보 메시지의 트리거 바디 영역에 발생시간인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가 기록한다(S110). The
상기 디엠 통보 메시지의 포맷 형태는, 첨부된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으며, 국제규격인 'OMA-TS-DM-NOTIFICATION-V1_2-20050607-C.PDF'에 규정되어 있다. The format of the DM notification message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7 and is defin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OMA-TS-DM-NOTIFICATION-V1_2-20050607-C.PDF'.
상기와 같은 규격의 디엠 통보 메시지 중에서 사용자 영역으로 할당된 트리거 바디 영역에, 발생시간에 의한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가 기록한다. The time stamp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time is additionally recorded in the trigger body area allocated to the user area among the DM notification messages of the above standard.
상기 과정(S110)의 서버(130)에 의하여, 상기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가 기록한 디엠 통보 메시지가, 이동교환국(120)에 인가되고,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의하여 지정된 휴대단말기(100)에 방송되도록 제어된다. The DM notification message in which the time stamp information is additionally recorded by the
상기 서버(130)는, 상기 디엠 통보 메시지를 일방향으로 전송하는 방송(BROADCASTING)의 특성에 의하여, 지정된 휴대단말기(100)가 상기 디엠 통보 메시지를 오류 없이 수신하였는지 확인하지 못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서비스불가능 지역에 위치하여, 수신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내용의 상기 디엠 통보 메시지를 설정된 소정 횟수 반복 방송한다. The
상기 이동교환국(120)의 제어를 받은 기지국(110)은, 일방향 방송에 의하여 상기 디엠 통보 메시지를 휴대단말기(100)에 무선 방송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디엠 통보 메시지를 수신 분석하여 디엠 세션(SESSION)을 개방(OPEN)하므로 원격관리를 받는다(S120).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서버는, 디엠 통보 메시지의 사용자 영역인 트리거 바디 영역에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가 기록하고, 지정된 휴대단말기의 원격관리를 위하여 설정된 횟수동안 반복 방송한다. Accordingly, th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dditionally records time stamp information in the trigger body area, which is a user area of the DM notification message, and repeatedly broadcasts a set number of times for remote management of the designated mobile terminal.
이하,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원격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100)에 의하여, 무선으로 디엠 통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타임 스탬프 값을 검출 관리하는 것으로, 기지국(RAN)으로부터 무선 방송되는 디엠 통보 메시지가 무선수신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S200); 상기 과정(S200)에서 디엠 통보 메시지가 무선수신되는 경우, 디엠 통보 메시지의 트리거 바 디(TRIGGER BODY) 영역으로부터 타임 스탬프(TIME STAMP) 값을 분리 검출하여 별도 기록 관리하는 과정(S210)으로 이루어지는 수신과정과, Hereinafter, referring to the attached FIG. 6, the remote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nd manage the time stamp value when the DM notification message is wirelessly received by the
상기 수신과정의 휴대단말기(100)에 의하여 디엠 세션을 개방하고 원격관리를 처리하는 것으로, 디엠 통보 메시지를 수신 분석하고 디엠 세션(SESSION)을 개방(OPEN)하는 과정(S220); 상기 과정(S220)의 휴대단말기(100)는 디엠 통보 메시지에 의하여 원격관리 운용 처리하는 과정(S230)으로 이루어지는 관리과정과, Opening the DM session by the
상기 관리과정의 휴대단말기(100)에 의하여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타임 스탬프 값을 검출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가 무선수신되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240); 상기 과정(S240)에서 수신된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로부터 타임 스탬프 값을 분리 검출하는 과정(S250)으로 이루어지는 타임과정과, When the new DM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by the
상기 타임과정의 휴대단말기(100)에 의하여 신규로 검출된 타임 스탬프 값과 관리중인 타임 스탬프(TIME STAMP)의 값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를 삭제하고 현재 진행중인 원격관리 처리를 계속하는 것으로, 상기 타임 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로 검출된 타임 스탬프 값과 관리되는 타임 스탬프 값이 동일한 값인지를 비교 판단하는 과정(S260); 상기 과정(S260)에서 신규 검출된 값과 관리되는 값이 동일한 타임 스탬프 값이면, 신규 디엠 통보 메시지를 삭제하여 입력하지 않는 과정(S270); 상기 과정(S270)의 휴대단말기(100)에 의하여 현재 진행중인 원격관리 처리를 계속하는 과정(S280)으로 이루어지는 삭제과정으로 구성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stamp value newly detected by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원격관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remote managemen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110)을 통하여 서버(130)가 전송하는 디엠 통보 메시지를 무선수신하는지 확인 판단하고(S200), 상기 과정(S200)에서 디엠 통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트리거 바디 영역에 기록된 타임 스탬프 값을 분리 검출하여 관리한다(S210). The
상기 과정(S210)의 휴대단말기(100)는, 디엠 세션을 개방(OPEN)하여(S220), 휴대단말기(100)를 원격관리 상태로 운용되도록 처리한다(S230). The
상기 과정(S230)의 휴대단말기(100)는, 원격관리 처리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신규의 디엠 통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 판단하고(S240), 상기 과정(S240)에서 판단하여 신규의 디엠 통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신규 수신되는 디엠 통보 메시지로부터 타임 스탬프 값을 분리하여 검출한다(S250). The
상기 과정(S250)에서 분리 검출된 타임 스탬프 값이, 상기 수신과정(S210)에서 검출하여 관리하는 타임 스탬프 값과 동일한 값인지를 비교 판단한다(S260). In step S25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me stamp value separated and detected is equal to the time stamp value detected and managed in the reception process S210 (S260).
상기 과정(S260)에서 동일하지 않은 타임 스탬프 값으로 판단되는 경우, 새로운 원격관리 명령을 위한 것이므로, 상기 수신과정(S210)으로 궤환하여, 현재 진행중인 원격관리(REMOTE DEVICE MANAGEMENT)를 인터럽트(INTERRUPT) 처리하여 중단하고, 새로운 원격관리를 시작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stamp value is not the same in the process (S260), it is for a new remote management command, and then returns to the receiving process (S210) to interrupt the ongoing remote management (REMOTE DEVICE MANAGEMENT) process (INTERRUPT). Stop and start a new remote management.
상기 과정(S260)에서 동일한 타임 스탬프(TIME STAMP) 값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진행중인 원격제어 명령과 동일한 것이므로, 상기 신규 수신되는 디엠 통 보 메시지를 삭제하여 제거하고(S270), 현재 진행중인 원격관리 처리과정을 계속 진행한다(S28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time stamp value in the process (S260), since it is the same as the remote control command currently in progress, by deleting the newly received DM notification message (S270), the remote management process currently in progress The process continues (S28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는, 디엠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서버에 의하여 원격 관리되며, 동일한 타임 스탬프에 의한 디엠 통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검출하여 삭제하므로, 인터럽트에 의하여 중단되지 않고, 원격관리 처리가 신속하게 진행되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remotely managed by the server when receiving the DM notification message, and is detected and deleted when the DM notification message with the same time stamp is receiv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mote management process is quickly performed without interrup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서버에서 휴대단말기를 원격관리하기 위한 디엠 통보 메시지의 트리거 바디 영역에 타임 스탬프를 기록하여 반복 방송하고, 휴대단말기에서는, 타임 스탬프 값을 검출 비교하여, 동일한 내용의 원격관리 명령을 기록하는 디엠 통보 메시지를 분리 제거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erver records a time stamp in the trigger body area of the DM notification message for remote management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server, and repeatedly broadcasts the time stamp value. There is an industrial effect of separating and removing DM notification messages that record remote management commands.
또한, 서버의 디엠 통보 메시지 방송에 의하여 원격관리 처리가 인터럽트에 의하여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원격관리를 신속하게 완료하므로 신뢰도를 높이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remote management processing is delayed by the interrupt by the DM notification message broadcast of the server to complete the remote management quickly,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to increase the reliability.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2602A KR100664245B1 (en) | 2005-10-28 | 2005-10-28 | Remot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CN 200610137715 CN1956560A (en) | 2005-10-28 | 2006-10-26 | Remote management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2602A KR100664245B1 (en) | 2005-10-28 | 2005-10-28 | Remot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64245B1 true KR100664245B1 (en) | 2007-01-04 |
Family
ID=3786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26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4245B1 (en) | 2005-10-28 | 2005-10-28 | Remot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4245B1 (en) |
CN (1) | CN1956560A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7082A (en) * | 2002-07-16 | 2004-0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method of download phone-book by ota for mobile phone |
US20040127195A1 (en) | 2002-12-28 | 2004-07-01 | Ki Chul A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inactivating mobile communication viruses, and method thereof |
KR20050077085A (en) * | 2004-01-26 | 2005-08-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data error of mobile terminal |
KR20050112200A (en) * | 2004-05-25 | 2005-11-3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of downloading mobile terminal program using ota service |
-
2005
- 2005-10-28 KR KR1020050102602A patent/KR10066424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10-26 CN CN 200610137715 patent/CN1956560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7082A (en) * | 2002-07-16 | 2004-0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method of download phone-book by ota for mobile phone |
US20040127195A1 (en) | 2002-12-28 | 2004-07-01 | Ki Chul A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inactivating mobile communication viruses, and method thereof |
KR20050077085A (en) * | 2004-01-26 | 2005-08-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data error of mobile terminal |
KR20050112200A (en) * | 2004-05-25 | 2005-11-3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of downloading mobile terminal program using ota ser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956560A (en) | 2007-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536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diagnostics on a mobile station using over-the-air transfer of interpreted byte-code program | |
JP4227015B2 (en) | Apparatus for supplying operation parameters to a mobile terminal as a radio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related thereto | |
JP4575418B2 (en) | How to manage mobile stations with radio waves | |
CA2230854A1 (en) | Forced call disruption in wireless telephone systems | |
CN103944983A (en) | Error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for voice control instruction | |
CN105228141A (en) | A kind of methods, devices and systems set up network and connect | |
CN104317564A (en) |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feature phone software | |
EP1701575B1 (en) | Method for updat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106936471B (en) | Method, system and receiving station for receiving differential data of base station | |
US20240380775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ining security vulnerability of air interface protocol, and mobile terminal | |
CN110677880B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iority of auxiliary link data channel and user equipment | |
KR100664245B1 (en) | Remot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US2004008730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debugging and system crash information from a mobile phone | |
KR10283803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igital vehicle key,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18524377A (en) | ESIM card data remote updating and handshaking method based on APN-free configuration | |
KR100575726B1 (en) | Automatic terminal program error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 |
KR20000044264A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time of portable telephone terminal | |
CN109756882A (en) | Communication means, system, SMS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CN111181793B (en) |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chain communication business process | |
CN111065153B (en) | MDAS (management data System) opening method and device for multi-service digital distributed access system | |
CN111246405B (en) | Short message issuing method and device and converged short message center | |
KR2011011490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resource consumption in a portable terminal | |
JP2021164067A (en) | Switching judgment device, switching judgment method, and switching judgment program | |
KR100739168B1 (en) | EL packet data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N113645667B (en) |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device, base st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27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