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250B1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all volume in personal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all volume in personal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8250B1 KR100638250B1 KR1020040074963A KR20040074963A KR100638250B1 KR 100638250 B1 KR100638250 B1 KR 100638250B1 KR 1020040074963 A KR1020040074963 A KR 1020040074963A KR 20040074963 A KR20040074963 A KR 20040074963A KR 100638250 B1 KR100638250 B1 KR 1006382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volume
- call
- control mode
- data
- control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통화 음량 제어 요청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을 저장하고 통화 음량을 최대값 또는 최소값으로 제어하고 통화가 종료되면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복귀하는 통화 음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volum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 current call volume, controlling the call volume to a maximum value or a minimum value, and returning to a stored call volume when the call is terminated according to a user's call volume control request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ll be.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통화 호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저장된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음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volum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data for requesting setting of a call volume control mode from a user; Entering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input data, storing current call volume data in a predetermined memory means, and controlling the call volume; And when the call ends, adjusting the call volum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with the stored current call volume data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통화 음량 조정 요청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을 저장하고 통화 음량을 제어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복귀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 current call volume and controlling the call volume according to a user's call volume adjustment request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returning to the stored call volume without a user's separate operation when the call ends. Can provide.
개인 휴대 단말기, 통화 음량, 제어Personal digital assistant, call volume, contro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 call volume setting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lume control of a call volum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call volume when receiving a call volume setting messag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입력부110: input unit
120: 표시부120: display unit
130: 메모리130: memory
140: 통화 회로부140: currency circuit
141: 마이크141: microphone
142: 스피커142: speaker
150: 송수신부150: transceiver
151: 안테나151: antenna
160: 제어부160: control unit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통화 음량 제어 요청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을 저장하고 통화 음량을 최대값 또는 최소값으로 제어하고 통화가 종료되면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복귀하는 통화 음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call volum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in accordance with a request for controlling a user's call volum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storing a current call volume, controlling the call volume to a maximum or minimum value, and making a c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volum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returning to a stored call volume when the call is terminated.
일반적으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착신 또는 발신에 따라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통화 음량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통화 음량 조정 키의 입력에 따라 통화 음량을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In general, a personal mobile terminal provides a preset call volume when a user performs a call according to an incoming or outgoing call, and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call volume according to an input of a call volume adjustment key operated by the user.
사용자는 통화 중에 주변의 소음이 심한 경우 설정된 통화 음량에 의해서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게 되므로 개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음량 조절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통화 음량으로 조절한다. The user may not hear the other party's voice according to the set call volume when the surrounding noise is severe during the call, and thus adjust the call volume appropriate to the user by using the call volume control func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하지만, 종래 개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변의 소음이 심한 곳에서 통화 음량을 조정하여 통화를 종료한 후에도 조정된 통화 음량이 유지된다는 문제가 있 다. 또한, 종래 개인 휴대 단말기는 통화 음량을 점진적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한 경우 사용자가 통화 음량을 확인하면서 계속 통화 음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s a problem that the adjusted volume of the call is maintained even after the user ends the call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call in a place where there is a lot of noise.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gradually adjusts the volume of the call, when the noise is severe, the user may have to increase the call volume while checking the call volume.
또한, 종래 개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도서관과 같이 통화 음량을 최소화하여 통화해야 하는 경우에도 만약 이전에 소음이 매우 심한 곳에서 설정된 최대 통화 음량이 유지된 상태이므로 최대 통화 음량으로 통화하게 되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설정된 통화 음량을 확인하면서 계속 감소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a user needs to talk with a minimum volume of a call, such as a library, the convention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may call at the maximum call volume because the maximum call volume is maintained in a very noisy place. In addition to the damage, there is a hassle to keep decreasing while checking the set call volu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통화 음량 조정 요청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을 저장하고 통화 음량을 제어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기존의 통화 음량으로 복귀하기 위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to store the current call volume in response to the user's call volume adjustment request and control the call volume after the call ends to return to the existing call volu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ll volu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을 저장하고 통화 음량을 최대로 제어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복귀하기 위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call volume for returning to a stored call volume when a call is terminated after storing a current call volume and controlling the call volume to the maximum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o provide such a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을 저장하고 통화 음량을 최소로 제어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복귀하기 위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call volume for returning to the stored call volume when the call is terminated after storing the current call volume and controlling the call volume to a minimum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에 따라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ll volume according to a received call volume setting message when receiving a call volume setting messag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중인 상대방의 통화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call volume setting message for controlling a call volume of a caller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통화 호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저장된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음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volum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data for requesting setting of a call volume control mode from a user; Entering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input data, storing current call volume data in a predetermined memory means, and controlling the call volume; And when the call ends, adjusting the call volum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with the stored current call volume data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mea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 제어 방법은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통화 음량 제어를 요구하는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인 경우 통화 음량 제어 모드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가 설정된 경우 현재 통화 음량을 소정의 메모리 수단 에 저장하고, 상기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ll volume control method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predetermined message;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message is a call volume setting message requesting call volume control; Determining whether a call volume control mode is set in the case of the call volume setting message; And when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is set, storing the current call volume in a predetermined memory means, and controlling the call volum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 제어 방법은 상기 상대방의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이 가능한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방의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이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상기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all volume control method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the counterpart is capable of setting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And transmitting the call volume setting message to the counterpart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en the counterpart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가 최대 음량을 요구하는 데이터인 경우 현재 통화 음량을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통화 음량을 최대치로 조정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 음량을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volum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en the data requesting the setting of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is the data requesting the maximum volume, storing the current call volume in a memory means. When the call is terminated after adjusting the call volume to the maximum value, the call volume is readjusted to the call volume stored in the memory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가 최소 음량을 요구하는 데이터인 경우 현재 통화 음량을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통화 음량을 최소치로 조정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 음량을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all volum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en the data requesting the setting of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is data requiring a minimum volume, storing the current call volume in a memory means. When the call is terminated after adjusting the call volume to a minimum value, the call volume is readjusted to the call volume stored in the memory means.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부;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와 상대방간의 통화 데이터 를 처리하는 통화 회로부; 및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통화 음량을 제어한 후 통화 호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된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로 상기 통화 음량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상기 통화 회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for requesting setting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from the user; A memory for storing current call volume data; A call circuit unit for processing call data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And enter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input data, store the current call volume data in the memory, and when the call is terminated after controlling the call volume, refer to the memory to store the stored current call volume data.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all circuit unit to adjust the call volume data.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dely used herein refers to a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module, a Bluetooth module,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the lik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or a wired / wireless LAN card, may be provided, and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may be collectively provided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음량 제어 모드는 통화 중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통화 음량을 최대치 또는 최소치로 조정하고 통화가 종료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복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 모드이다. In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toring a current call volume in a memory according to data input from a user during a call, the call volume is adjusted to a maximum or minimum value, and when the call ends, a function of returning to the call volume stored in the memory This is a control mode that can be per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ll volum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통화 회로부(140), 마이크(141), 스피커(142), 송수신부(150), 안테나(151),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cludes an
도 1을 참조하면,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사용자는 현재 통화하는 장소의 상태에 따라 최대 통화 음량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최소 통화 음량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기능키를 구비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 기능을 설정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현재 매우 시끄러운 곳에서 통화함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의 목소리가 지나치게 작아서 잘 들리지 않는 경우 최대 통화 음량을 요구하는 기능키 또는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매우 조용한 곳에서 통화함도 불구하고 상대방의 목소리가 지나치게 커서 주변 사람에게 방해가 되는 경우 최소 통화 음량을 요구하는 기능키 또는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표시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20)는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 따른 메뉴 설정 상태 및 메뉴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 따른 메뉴는 제1 모드(예를 들어, 라우드 모드, 벨소리 모드)인 경우 통화 음량을 최대값으로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메뉴 및 제2 모드(예를 들어, 에티켓 모드, 진동 모드)인 경우 통화 음량을 최소값으로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메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 따른 메뉴 는 상기 수신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에 따라 통화 음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메뉴 및 상기 수신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메뉴 등을 포함한다. The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음량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 따른 메뉴 설정 정보 및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 따라 복귀되어야 하는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통화 회로부(140)는 마이크(14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송수신부(150)로 전송하고, 송수신부(15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스피커(152)를 통해 출력한다. 통화 회로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140)로부터 입력된 송화 음량을 조정하고, 스피커(152)로 출력되는 수화 음량을 조정함으로써 통화 음량을 조정한다. 통화 회로부(140)는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와 통화중인 상대방 모두가 통화 음량이 작아서 잘 들지 않는 상태로서,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서 상기 통화 음량이 최대치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141)를 통해 입력된 송화 데이터를 증폭시켜 송수신부(150)로 전송하고, 송수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수화 데이터를 증폭시켜 스피커(142)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통화 회로부(140)는 사용자만이 수화 음량이 잘 들리지 않는 상태로서,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서 상기 수화 음량만이 최대치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송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수화 데이터만을 증폭시켜 스피커(142)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통화 회로부(140)는 사용자와 통화중인 상대방만이 송화 음량이 잘 들리지 않는 상태로서,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서 상기 송화 음량만이 최대치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141)를 통해 입력된 송화 데이터만을 증폭시켜 송수신부(150)로 전송한다. The
송수신부(150)는 송수신 안테나(151)를 통해 수신된 수화 데이터 또는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송화 데이터 또는 전송할 메시지를 송수신 안테나(151)를 통해 송신한다. 송수신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상기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송 포맷을 가진다. 상기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의 포맷은 TYPE(210)과 DATA(220)으로 나눌 수 있다. TYPE(210)은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에 따라 상기 통화 음량을 최대값으로 지정하는 제1 모드 타입 또는 상기 통화 음량을 최소값으로 지정하는 제2 모드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DATA(220)는 상기 제1 모드 타입 또는 상기 제2 모드 타입의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YPE(210)은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드 타입인 경우 "0"으로, 상기 제2 모드 타입인 경우 "1"로 구분할 수 있다. DATA(220)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드 타입 또는 상기 제2 모드 타입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즉, 어떤 타입도 설정되지 않은 경우 "0"으로, 상기 제1 모드 타입 또는 상기 제2 모드 타입이 설정된 경우 즉, 어떤 타입이든지 설정된 경우 "1"로 구분할 수도 있다. 한편, TYPE(210)은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 설정 여부만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0"으로,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가 설정된 경우 "1"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때 DATA(220)는 "NULL" 상태로 전송될 수 있 다. The
제어부(16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통화 음량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 받아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통화 회로부(140)를 통해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통화 음량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 따라 통화 음량을 최대 또는 최소로 조정하도록 통화 회로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통화 음량을 제어하고, 통화 호가 종료되면 메모리(130)에 저장된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로 통화 회로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통화 음량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 제어부(160)는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 따라 메모리(130)에 통화 음량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도 통화 음량을 최대 또는 최소로 조정하였다가 통화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설정해 둔 통화 음량 또는 자체적으로 지정된 중간 레벨 정도의 통화 음량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송수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가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인 경우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통화 음량을 조정하도록 통화 회로부(140)를 제어한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lume control of a call volum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1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10) 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1 to 3, in
단계(32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상기 입력된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In
단계(33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통화 회로부(140)의 통화 음량을 제어한다. 상기 통화 음량의 제어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가 최대 음량을 요구하는 데이터인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가 최대 통화 음량의 설정 모드인 경우 상기 통화 음량을 최대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통화 음량의 제어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가 최소 음량을 요구하는 데이터인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가 최소 통화 음량의 설정 모드인 경우 상기 통화 음량을 최소값으로 설정한다. In
단계(34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를 통해 상대방의 단말기가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이 가능한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 설정 가능한 단말기의 정보는 착발신할 때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In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가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이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단계(35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부(150)를 통해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를 상기 통화중인 상대방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When the terminal of the counterpart is a terminal capable of setting a call volume control mode, in
상기 상대방의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통화 음량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설정 모드가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상대방의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에 응답하여 통화 음량을 제어한다. 상기 통화 음량의 제어는 상기 수신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가 최대 음량을 요구하는 메시지인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통화 음량을 최대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통화 음량의 제어는 상기 수신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가 최소 음량을 요구하는 메시지인 경우 상기 통화 음량을 최소값으로 설정한다.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the counterpart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etting mode is a call volume control mode when receiving the call volume message. In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the counterpart's personal portable terminal controls the call volume in response to the call volume setting message. The control of the call volume sets the call volume to a maximum value, for example, when the received call volume setting message is a message requesting a maximum volume. The control of the call volume sets the call volume to a minimum value when the received call volume setting message is a message requesting a minimum volum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음량 제어 모드 기능을 지원하지 않은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가 전송되더라도 통화 음량 제어 모드가 지원되지 않으므로 상기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가 일반 문자 메시지 형태로 수신되므로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 수신 처리 과정을 따른다. On the other hand, a personal mobile terminal that does not support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upport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even when the call volume setting message is transmitted, so the call volume setting message is received in the form of a general text message. Follow the message receiving process.
단계(36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를 통해 통화 회로부(140) 및 송수신부(150)의 상태를 감시하여 통화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상기 통화가 종료된 경우 단계(37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를 통해 메모리(130)를 참조하고, 통화 회로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통화 음량을 메모리(130)에 저장된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로 조정한다. When the call ends, i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음량 제어 모드를 제공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of a call volume when receiving a call volume setting messag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call volume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송수신부(150)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한다. 1 to 4, in
단계(42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통화 음량 제어를 요구하는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In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43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일반 메시지로 처리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message is not the call volume setting message, in
이와 달리,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44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를 통해 통화 음량 제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In contra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message is the call volume setting message, in
상기 통화 음량 제어 모드가 설정된 경우 단계(45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When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is set, in
단계(46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를 통해 통화 회로부(140)를 제어하여 통화 음량을 제어한다. 상기 통화 음량의 제어는 상기 수신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가 최대 음량을 요구하는 메시지인 경우 상기 통화 음량을 최대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통화 음량의 제어는 상기 수신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가 최소 음량을 요구하는 메시지인 경우 상기 통화 음량을 최소값으로 설정한다. In
단계(47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를 통해 입력부(110), 통화 회로부(140), 및 송수신부(15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통화가 종료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In
상기 통화가 종료된 경우 단계(480)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60)를 통해 메모리(130)에 저장된 통화 음량 데이터를 참조하여 통화 회로부(140)를 제어함으로써 통화 음량을 상기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조정한다. When the call is terminated i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ntain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통화 음량 조정 요청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을 저장하고 통화 음량을 제어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복귀하기 위한 통화 음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l is terminated after storing the current call volume and controlling the call volume according to the call volume adjustment request of the user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stored call is not required by the user's separate opera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ll volume for returning to a volume can be provided.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주변 소음이 매우 시끄러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을 저장하고 통화 음량을 최대로 변경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위한 통화 음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ambient noise is very loud in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the current call volume is stored according to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the call volume is changed to the maximum, and the call volume ends automatically when the call end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ll volume for returning to the network.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매우 조용한 장소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통화 음량 제어 모드에 따라 현재 통화 음량을 저장하고 통화 음량을 최소로 변경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저장된 통화 음량으로 복귀하는 통화 음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very quiet place in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the current volume is stored according to the volume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the volume is changed to the minimum, and the call returns to the stored volume when the call ends. A call volum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an be provided.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를 수신 하는 경우 통화 음량 제어 모드의 설정에 따라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a call volume setting message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n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all volume in accordance with the setting of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중인 상대방의 단말기가 통화 음량 제어 모드 설정이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통화중인 상대방의 통화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통화 음량 설정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대방의 단말기의 통화 음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on the call is a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he call volume control mode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call volume of the other party's terminal by transmitting a call volume setting message for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call of the other party in the cal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착발신시 주위 환경에 따라 일시적으로 통화 음량을 최대 또는 최소로 조절하였다가 통화가 종료되면 기본 설정 통화 음량으로 복귀할 수 있는 통화 음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ll volum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adjusting the call volume to a maximum or minimum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 the time of incoming and outgoing calls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returning to the default call volume when the call is terminated Can provide.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4963A KR100638250B1 (en) | 2004-09-20 | 2004-09-20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all volume in personal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4963A KR100638250B1 (en) | 2004-09-20 | 2004-09-20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all volume in personal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6515A KR20060026515A (en) | 2006-03-24 |
KR100638250B1 true KR100638250B1 (en) | 2006-10-25 |
Family
ID=3713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49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8250B1 (en) | 2004-09-20 | 2004-09-20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all volume in personal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825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8608B1 (en) * | 2014-12-11 | 2016-07-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head uni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djusting bluetooth audio volume |
-
2004
- 2004-09-20 KR KR1020040074963A patent/KR10063825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6515A (en) | 2006-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7223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ing and balancing simultaneous audio outputs in a handheld device | |
CN107562405B (en) | Audio playback control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 |
US20080013751A1 (en) | Volume dependent audio frequency gain profile | |
KR20210105785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thereof | |
CN107371102B (en) | Audio playing volume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 |
US20180241872A1 (en) |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US20140254832A1 (en) | Volume adjusting system and method | |
JP2007520943A (en) | Extended use of phones in noisy environments | |
US20030157969A1 (en) | Portable telephon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 |
CN116471355B (en) | Audio playback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US9100821B2 (en) | Anti-eavesdropp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KR100638250B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all volume in personal mobile terminal | |
KR20090027817A (en) | Background sound output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JP5040511B2 (en) | Telephone device having reception volume adjustment function for each speaker | |
KR10065006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call volume of the other terminal | |
KR100726479B1 (en) |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ound level of a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predetermined noise measuring sensor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method | |
JP2004242050A (en) | Radio terminal and method for adjusting sound volume of received call thereof | |
KR100810702B1 (en) | Automatic volum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KR20070045651A (en) | Volum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distance from us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 |
KR100561774B1 (en) | How to adjust volume automatically using ringtone | |
KR20030018950A (en) | Method of using cellular phone for recording sound | |
JP2005295253A (en) | Information processor | |
KR100820552B1 (en) | Ring control device of wireles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4125797A (en) | Linux-based Bluetooth audio optimization method | |
KR20060060180A (en) | Method of providing call waiting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0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