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792B1 - Wireless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network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4792B1 KR100624792B1 KR1020040027781A KR20040027781A KR100624792B1 KR 100624792 B1 KR100624792 B1 KR 100624792B1 KR 1020040027781 A KR1020040027781 A KR 1020040027781A KR 20040027781 A KR20040027781 A KR 20040027781A KR 100624792 B1 KR100624792 B1 KR 100624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client device
- server device
- wake
- cli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Leader-follow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기기에 사용자입력이 감지되면 비활성모드의 서버기기를 활성모드로 전환하여 클라이언트 기기와 서버기기간 신호 송수신을 재개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비활성모드인 경우 서버기기와의 신호 송수신 중지를 위해 슬리핑(sleeping)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입력신호가 감지된 경우 활성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버기기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기의 상태 모니터링 또는 제어를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일정시간동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중지하는 비활성모드로 전환하는 서버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항상 활성모드로 동작하는 서버기기를 일정 시간동안 상기 서버기기와 클라이언트 기기간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비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network system for resum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erver period signal with a client device by switching a server device in an inactive mode to an active mode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by the client device. At least one client device that generates a sleeping signal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wake-up signal for switching to the active mode when an input signal is detected and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de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 While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status of the one or more client devices, receiving a wake-up signal from the client device and switching to an active mode, and if n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lient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client dev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device for switching to the inactive mode to stop, the server device that always operates in the active mode to perform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switched to the inactive mode if no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server device and the client device for a certain time This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클라이언트 기기, 서버기기, 비활성모드, 웨이크업 신호, 무선통신Client device, server device, inactive mode, wake up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는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기기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2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lient device of the wireless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 는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기기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도,2B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lient device of a wireless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는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버기기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3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erver device of a wireless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 는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버기기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3B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rver device of the wireless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0': 클라이언트 기기 110, 110' : 입력부100, 100 ': client device 110, 110': input unit
130, 130': 제어부 140, 141': 적외선송신부130, 130 ': control unit 140, 141': infrared transmitter
200, 200': 서버기기 230, 230': 제어부200, 200 ': server device 230, 230': control unit
240, 241': 적외선 수신부240, 241 ': infrared receiver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버기기가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일정시간동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중지하는 비활성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종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항상 활성모드로 동작하는 서버기기를 효율적으로 비활성모드 또는 활성모드로 전환시킴에 따라 상기 서버기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network system, and in particular, a server device receives a wake-up signal from a client device, switches to an active mode, and stops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client device when n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lient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By switching to the inactive mode, the wireless network system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rver device by efficiently switching the server device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always in the inactive mode or active mode to perform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
기본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버기기와, 한 대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기기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각 클라이언트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인터넷 냉장고와 같이 24시간 구동되는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Basically, a wireless network system communicating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cludes a server device and one or more client devices. Here, the server device may use a home appliance driven for 24 hours, such as an internet refrigerator, to control a signal flow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to monitor status information of each client home appliance.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는 상기 서버기기가 무선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메시지 또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서버기기로 전송하는 웹패드, PDA 등으로 예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ient device may be exemplified by a web pad, a PDA, etc. that receives data transmitted by the server device wirelessly, receives a user input, and transmits a message or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network system to the server device. .
일반적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기기는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메시지 또는 상기 서버기기 및 기타 클라이언트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항상 활성모드로 동작하게 된다.In a typical wireless network system, the server device always operates in an active mode to receive a mess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device and other client devices from the client device.
그러나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의 전원이 꺼지거나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서버기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범위를 벗어나 상기 서버기기가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서버기기는 항상 활성모드로 동작하게 되어 전력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erver device always operates in an active mode even when the client device is turned off or the client device is out of a communication rang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device and the server device cannot receive data from the client devi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large.
특히, 클라이언트 기기와 상기 서버기기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버기기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기기의 전원 온/오프 여부 및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전송확인신호(ACK)를 수신할 수 없어 상기 서버기기는 지속적으로 제어신호를 재송신하게 되어 전력 낭비가 발생한다.In particular, since the client device and the server device are wirelessly connected, when the server device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check whether the client device is turned on or off and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through a network, Since the acknowledgment signal (ACK) cannot be received, the server device continuously retransmits the control signal, causing power waste.
뿐만 아니라, 밤시간 또는 사용자가 외출한 동안에도 상기 서버기기가 항상 활성모드로 동작하게 되어 전력 낭비가 가중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erver device is always operated in the active mode even at night or while the user is away, which increases the waste of powe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버기기가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일정시간동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중지하는 비활성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종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항상 활성모드로 동작하는 서버기기를 효율적으로 비활성모드 또는 활성모드로 전환시켜 효율적으로 상기 서버기기의 전력소모를 관리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which is that the server device receives the wake-up signal from the client device to switch to the active mode, if th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lient device for a certain time By switching to the inactive mode to stop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ignal with the client device, the server device that always operates in the active mode to perform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efficiently to the inactive mode or active mode to efficiently power the server device It is to provide a wireless network system that can manage consump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특징에 따르면, 동일 건물 내에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기기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비활성모드인 경우 상기 서버기기와의 신호 송수신 중지를 위해 슬리핑(sleeping)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입력신호가 감지된 경우 활성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기와; 각 클라이언트 기기의 상태 모니터링 또는 제어를 수행하는 동시에 모든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상기 슬리핑 신호가 수신되면 비활성 모드로 전환하고,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면 활성모드로 전환하는 서버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a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server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client device by configuring a home network in the same buildin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relessly In a network system, a sleeping signal is generated to stop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server device in an inactive mode and a wake-up signal for switching to an active mode when an input signal is detected. Creating at least one client device; A server device which performs the state monitoring or control of each client device and switches to the inactive mode when the sleeping signal is received from all the client devices, and switches to the active mode when the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any one cli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최근 무선랜(wireless LAN), 즉 일정거리 내에서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규격이 개발됨에 따라 상기 통신규격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이 보급되었다. Recently, as wireless LAN, that is, a communication standard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a certain distance, has been developed, a wireless network system based on the communication standard has been spread.
일반적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면 서버기기로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기기의 상태 모니터링 또는 제어를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는 서버기기(200, 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general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es one or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는 상기 서버기기(200, 200')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서버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서버기기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웹패드와 같은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가 웹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웹패드는 서버기기(200, 200')의 외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부착시에는 상기 서버기기에 부속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용되고, 탈착시에는 독립 장치로서 이용된다. Here, when the client device is implemented as a web pad, the web pad is implemented to be detachable to the exterior of the
따라서 상기 웹패드는 상기 서버기기(200, 200')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가정 내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편리하다. 즉, 상기 서버기기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가전기기(C1 내지 C4)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eb pad is implemented to enabl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상기 서버기기(200, 200')는 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를 제어 관리하는 장치로서,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기기 중 동작 대기/동작진행/동작완료 등의 동작 상태 및 각 클라이언트 기기의 고유 기능 중 활성화된 기능의 세부적인 조절사항 등의 상세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버기기는 음식의 냉온 저장을 위해 24시간 구동되는 인터넷 냉장고로 구현 가능하다.The
여기서 본 명세서의 본 발명에서는 웹패드가 클라이언트 기기로 이용되고, 인터넷 냉장고가 서버기기로서 이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생산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Herei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llustrated that the web pad is used as the client device and the internet refrigerator is used as the server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may be changed by the producer.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의 구성을 도 2a 및 도 2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클라이언트 기기의 제 1 및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의 제 1 실시예는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시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발령하는 입력부(11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A, the first embodiment of the
특히,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가 서버기기(200, 200)에 탈부착 가능한 웹패드인 경우,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가정내 구축된 네트워크망(N)에 연결된 가전기기(C1 내지 C4)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된다.In particular, when the
만일, 클라이언트 기기(100)의 입력부(110)로 일정 시간이상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는 비활성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서버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서버기기(200, 200') 역시 비활성모드로의 전환이 요구된다.If the user input is not detected by the input unit 110 of the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와 상기 서버기기(200, 200')간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기 위해 상기 입력부는 입력감지신호를 생성하여 후술되는 제어부(130)로 전송한다.In this case,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of the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기기(200, 200')를 활성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생성하고, 설정시간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아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가 비활성 모드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서버기기를 비활성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슬리핑(sleeping)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서버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inpu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wake-up signal for switching 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설정 시간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를 비활성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령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Herein, if the user input is not received during the set time, the controller 130 is assumed to issue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특히, 서버기기(200, 200')를 활성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는 비활성모드 상태의 클라이언트 기기(100)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의 전원이 켜지거나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서버기기(200, 2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가능범위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서버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30)에서 생성된다.In particular, the wake-up signal for switching the
이와 반대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가 비활성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서버기기(200, 2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하기 위해 슬리핑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서버기기로 송신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때, 상기 웨이크업 신호 및 상기 슬리핑 신호는 적외선송신부(140)를 통해 상기 서버기기(200, 200')로 전송되는데, 적외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RF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에 비해 전력소모가 극히 적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wake-up signal and the sleeping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device (200, 200 ') through the infrared transmitter 140, the infrared communication is generally very low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ing the RF communication. Has the advantage.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는 상기 서버기기(200, 200')와 제어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적외선송신부(140)와 무선통신모듈(150)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의 제 1 실시예로 한다.In addition, the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의 제 2 실시예는 입력부(110') 및 제어부(130')의 기능은 동일하나, 웨이크업 신호 및 슬리핑 신호를 적외선 송신하기 위한 적외선송신부(141')와 상기 서버기기(200, 200')에서 생성된 제어명령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가전기기(C1 내지 C4)의 제어 결과를 상기 서버기기로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142')이 일체화되어 무선통신부(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2B,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lient device 100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input unit 110' and the controller 130 ', but has infrared rays for infrared transmission of the wake-up signal and the sleeping signal.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2 'for wirelessly receiving control command signals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141' and the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는 제어 결과 및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출력부(120, 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 가능하고, 상기 입력부가 터치패널로 구현되면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가 일체화 되어 구현함에 따라 공간 효율을 높일 있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0, 130')로 입력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The
상기 서버기기(200, 200')의 구성을 도 3a 및 도 3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서버기기의 제 1 및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서버기기(200)의 제 1 실시예는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모드 상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활성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와 신호 송수신을 재개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슬리핑 신호를 수신하면 비활성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와 신호 송수신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의 상태 모니터링 또는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A, when the
또한 상기 서버기기(200)는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 또는 슬리핑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수신부(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비활성모드의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는 서버기기(200)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적외선수신부(240)를 통해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는 제어부(230)로 전송된다.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by the
상기 제어부(230)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서버기기(200)와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간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기 위해 서버기기는 활성모드로 전 환된다.When the controller 230 receives the wake-up signal, the server device switches to the active mode to resum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이는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의 전원이 켜지거나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가 통신가능범위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진행된다.This is the same when the
이와 반대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가 비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서버기기(200)로 슬리핑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수신부(240)를 통해 수신된 슬리핑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230)는 서버기기를 비활성모드로 전환시킨다. On the contrary, when the
만일, 상기 서버기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가 하나 이상 존재하여 상기 서버기기가 하나의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로부터 슬리핑 신호를 수신하여도 다른 클라이언트 기기(미도시)로부터 슬리핑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30)는 슬리핑 신호를 수신하여도 비활성모드로 전환되지 않아 다른 클라이언트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If there is at least one
또한, 상기 서버기기(200)가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로부터 슬리핑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도, 일정 시간동안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30)는 상기 서버기기를 비활성모드로 자동 전환함에 따라 상기 서버기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특히, 사용자가 외출하거나 밤시간인 경우 상기 서버기기(200)는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로부터 장시간동안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서버기기는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슬리핑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비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이와 같이, 상기 서버기기(200)가 웨이크업 신호 및 슬리핑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240)와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뿐만 아니라 가정내 구축된 네트워크망(N)에 연결된 가전기기(C1 내지 C4)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수신 및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제어결과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250)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제 1 실시예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상기 가전기기(C1 내지 C4)는 가정내 구축된 유/무선 네트워크망(N)에 의해 상기 서버기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100, 100')로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제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home appliances (C1 to C4) is connected to the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기기(200')의 제 2 실시예는 서버기기의 제어부(230')의 기능은 동일하나, 웨이크업 신호 및 슬리핑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수신부(241')와 제어데이터 및 제어결과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242')이 일체화되어 무선통신부(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B,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is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tion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일정 시간동안 상기 서버기기와 클라이언트 기기간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서버기기 가 비활성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서버기기를 활성모드로 전환시킴에 따라, 종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항상 활성모드로 동작하는 서버기기를 비활성모드 또는 활성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서버기기의 전력소모를 줄여 전력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The wireless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ctivates the server device when the server device is in an inactive mode and the client device detects a user input when no signal is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server device and the client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By switching to the mod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power use 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rver device by switching to the inactive mode or the active mode, the server device always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to perform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7781A KR100624792B1 (en) | 2004-04-22 | 2004-04-22 | Wireless network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7781A KR100624792B1 (en) | 2004-04-22 | 2004-04-22 | Wireless network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2419A KR20050102419A (en) | 2005-10-26 |
KR100624792B1 true KR100624792B1 (en) | 2006-09-20 |
Family
ID=3728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77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4792B1 (en) | 2004-04-22 | 2004-04-22 | Wireless network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479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303897A1 (en) | 2000-12-22 | 2008-12-11 | Terahop Networks, Inc. | Visually capturing and monitoring contents and events of cargo container |
US7583769B2 (en) | 2005-06-16 | 2009-09-01 | Terahop Netowrks, Inc. | Operating GPS receivers in GPS-adverse environment |
US7522568B2 (en) | 2000-12-22 | 2009-04-21 | Terahop Networks, Inc. | Propagating ad hoc wireless networks based on common designation and routine |
US7574300B2 (en) | 2005-06-16 | 2009-08-11 | Terahop Networks, Inc. | GPS denial device detection and location system |
WO2008103861A1 (en) * | 2007-02-21 | 2008-08-28 | Terahop Networks, Inc. | Wake-up broadcasting including network information in common designation ad hoc wireless networking |
US7783246B2 (en) | 2005-06-16 | 2010-08-24 | Terahop Networks, Inc. | Tactical GPS denial and denial detection system |
US7574168B2 (en) | 2005-06-16 | 2009-08-11 | Terahop Networks, Inc. | Selective GPS denial system |
US8204439B2 (en) | 2000-12-22 | 2012-06-19 | Google Inc. | Wireless reader tags (WRTs) with sensor components in asset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s |
US7142107B2 (en) | 2004-05-27 | 2006-11-28 | Lawrence Kates | Wireless sensor unit |
WO2007005947A1 (en) | 2005-07-01 | 2007-01-11 | Terahop Networks, Inc. | Nondeterministic and deterministic network routing |
WO2007067831A1 (en) | 2005-10-31 | 2007-06-14 | Terahop Networks, Inc. | Determining relative elevation using gps and ranging |
US20090129306A1 (en) | 2007-02-21 | 2009-05-21 | Terahop Networks, Inc. | Wake-up broadcast including network information in common designation ad hoc wireless networking |
EP1972159A1 (en) | 2006-01-01 | 2008-09-24 | Terahop Networks, Inc. | Determining presence o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 |
US8223680B2 (en) | 2007-02-21 | 2012-07-17 | Google Inc. | Mesh network control using common designation wake-up |
WO2009140669A2 (en) | 2008-05-16 | 2009-11-19 | Terahop Networks, Inc. | Securing, monitoring and tracking shipping containers |
US8391435B2 (en) | 2008-12-25 | 2013-03-05 | Google Inc. | Receiver state estimation in a duty cycled radio |
US8300551B2 (en) | 2009-01-28 | 2012-10-30 | Google Inc. | Ascertaining presence in wireless networks |
US8705523B2 (en) | 2009-02-05 | 2014-04-22 | Google Inc. | Conjoined class-based networking |
US9112790B2 (en) | 2013-06-25 | 2015-08-18 | Google Inc. | Fabric network |
KR20150074637A (en) | 2013-12-24 | 2015-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2004
- 2004-04-22 KR KR1020040027781A patent/KR10062479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2419A (en) | 2005-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4792B1 (en) | Wireless network system | |
US7574615B2 (en) | Method of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network interface | |
CN103216995B (en) | System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with sleep function and refrigerator | |
US20100295663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backscattering techniques in wireless applications | |
US20080266050A1 (en) | Universal Rf Wireless Sensor Interface | |
US11330690B2 (en) | Switching device with auxiliary power unit and wireless receiver function, and lamp system using the same | |
US11051372B2 (en) | Wireless lamp-driving device with independent power source and lamp system including the same | |
TWI508489B (en) | Remote wake system and method | |
US20130170839A1 (en) |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bathroom devices | |
JP5017344B2 (en) | Remote control system | |
CN203286854U (en) | Fridge with sleeping function | |
US20220060867A1 (en) | Wireless sensor device, hos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low-power operation of wireless sensor device | |
KR100836886B1 (en) | Power control system with human body sensor | |
WO2009020370A2 (en) | Method and apparatus of saving power using distance information | |
US20170075853A1 (en) | Universal serial bus devic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10206914A (en) | Power supply control system of electric appliance | |
KR100780183B1 (en) | Wi-Fi module having a host wake-up function and a host wake-up method in the Wi-Fi module | |
KR10108815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electronic equipment | |
JP2004355171A (en) |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0261864A (en) | Wireless outlet management system | |
JP3270887B2 (en)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ing microcomputer | |
CN216411893U (en) | Wireless switch for measurement and control device of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 |
JP4239025B2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TS START-UP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 |
CN204648412U (en) | Case is warmed up in automatic sensing remote control | |
KR200495234Y1 (en) | A complex remote controller system including light control and using smartphone app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9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909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