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092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in TD repeat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in TD rep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929B1
KR100610929B1 KR1020040035219A KR20040035219A KR100610929B1 KR 100610929 B1 KR100610929 B1 KR 100610929B1 KR 1020040035219 A KR1020040035219 A KR 1020040035219A KR 20040035219 A KR20040035219 A KR 20040035219A KR 100610929 B1 KR100610929 B1 KR 100610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
tdd
repeater
down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0267A (en
Inventor
권건섭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929B1/en
Publication of KR2005011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929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 내에서 수신하는 TDD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프레임을 통해 스위치 타이밍을 생성하여 스위칭 시간을 기지국과 동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중계기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수신된 신호의 프레임 길이를 파악하여 스위치 타이밍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로그 증폭기(Log Amplifier)를 통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 수신 신호 강도 지시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를 이용하여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산출함으로써 프레임 동기획득, 신호 복조의 과정없이 TDD 스위치 타이밍 동기 획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TDD 방식의 중계기에서 동기를 획득할 경우 부가적인 신호없이도 TDD 스위칭 타이밍을 찾을 수 있고, 중계기에서 수신되는 프레임 길이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향 링크를 번갈아 가면서 동기를 맞추는 절체 시 TTG, RTG와 같이 가드 시간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스위치 타이밍을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switch timing through a general frame for TDD communication received in the repeater to synchronize the switching time with the base sta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th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repeater to obtain the switch timing by determining the frame l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signal from a received signal through a log amplifier, and generates the generated signal using a Schmitt trigger. By calculating the switch timing signal, the TDD switch timing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rocedure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process of fram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and signal demodulation.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finding the TDD switching timing without additional signal and acquiring the frame length received from the repeater when synchronizing with the TDD repeat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inding a sufficient switch timing because there is a guard time, such as TTG, RTG when switching between up and down links in synchronization.

TDD, 중계기, 스위치 타이밍TDD, Repeater, Switch Timing

Description

TDD 방식의 중계기에서 동기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FOR ACQUIRING SYNCRONIZATION IN RELAY OF TIME DIVISION DUPLEXING PROCEDURE AND APPARATUS} METHOD FOR ACQUIRING SYNCRONIZATION IN RELAY OF TIME DIVISION DUPLEXING PROCEDURE AND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TDD 방식 중계기의 개략적인 내부 블럭 구성도,1 is a schematic internal block diagram of a TDD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DD 방식의 무선 통신에 따른 신호를 시간 도메인 상의 신호열로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ignal sequence in a time domain of a signal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TDD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밍 신호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3 (a) to 3 (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timing signal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미트트리거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Schmitt trig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TDD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5 illustrates a general frame structure for TD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서 사용 가능한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TDD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지역(커버리지)을 확장하거나 전계강도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부분적인 주파수 음역 지역을 커버하기 위한 중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system that can be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 particular, a relay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ing a partial frequency band region generated by extending a service area (coverage) or lacking electric field strength in a TDD typ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t is about.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해 호 처리가 가능한 기지국 또는 AP(Access Point)나 커버리지 확장만을 염두에 둔 중계기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중계기라 함은 이동 통신망에서 음역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기지국의 신호를 원격의 서비스 지역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기지국간의 통신을 원할하게 해줄 수 있는 장비를 뜻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a base station capable of call processing or an access point (AP) or coverage extension in mind for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repeater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of a base station to a remote service area in order to cover a sound rang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

한편, 기지국은 중계기에 비해 상당히 고가이므로, 트래픽이 적은 지역의 경우는 가능하면 중계기를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중계기는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연결 방식에 따라 그 중계기의 종류는 광 중계기, RF 중계기, Microwave 중계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ase station is considerably more expensive than the repeater, it is common to install a repeater if possible in a low traffic area, and the repeater plays a role of amplifying a signal. In this case, the type of repeater may be classified into an optical repeater, an RF repeater, a microwave repeater, and the like according to a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period.

또한, 듀플렉싱(Duplexing) 방식에 따라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TDD(Time Division Duplexing)방식의 중계기로 나눌 수 있는데, FDD 방식의 중계기는 기존 이동 통신망에서 많이 쓰이고 있고, TDD 방식의 중계기는 그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중이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uplexing (Duplexing) method can be divided into repeaters of the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time division duplexing (TDD) method, FDD repeater is widely used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DD repeater Research on it is ongoing.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FDD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는 대역 필터 등이 삽입되어 있는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상/하향 링크를 구분하게 된다. 즉, FDD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는 상/하향 링크가 고정된 주파수를 각각 할당받아 이용하게 된다. However, in FDD wireless communication, a duplexer in which a band filter or the like is inserted is used to distinguish the uplink and the downlink. That is, in FDD wireless communication, uplink and downlink are allocated fixed frequencies, respectively.

이에 반해 기지국 또는 AP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방향의 하향 링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 방향의 상향 링크를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며 시간 분할하여 사용하는 TDD 방식의 통신에서는 상/하향 링크를 적절히 분리하기 위해서는 TDD 스위치 타이밍이 요구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DD type communication where the base station or the AP uses the same frequency for the downlink towar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plink toward the base st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DD switch is used to properly separate the uplink and the downlink. Timing is required.

광중계기일 경우 추가 선로나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서 스위치 타이밍을 수신할 수 있으나, 만일 기지국에서 이러한 스위치 타이밍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상/하향 링크를 적절히 분리할 수 없다. 또한, 무선 환경에서 사용되는 중계기는 이러한 스위치 타이밍을 따로 수신할 방법이 없다. 스위치 타이밍을 제공하지 않는 기지국에 연결된 광중계기는 수신된 신호만으로 TDD 스위치 타이밍을 획득해야 한다.In the case of an optical repeater, switch timing may be received through an additional line or signaling, but if the base station does not provide such switch timing, the uplink / downlink cannot be properly separated. In addition, repeaters used in a wireless environment have no way of receiving these switch timings separately. An optical repeater connected to a base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switch timing should acquire the TDD switch timing only with the received signal.

따라서, TDD 방식의 중계기의 경우는 그 구조에 있어서 상, 하향 링크를 선택하는 스위치가 있어야 한다. 이 스위치가 하향 링크를 연결할 경우 하향 링크만을 연결시키고, 상향 링크를 단절시켜 신호가 제대로 이동 통신 단말기 방향으로 증폭하여 전달되게 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TDD repeater, there must be a switch for selecting uplink and downlink in its structure. When the switch connects the downlink, only the downlink is connected and the uplink is disconnected so that the signal is properly amplifi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술한 바와 같이 TDD 방식의 중계기가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방향으로 전파를 송신하는 하향 링크 시간대에는 스위치가 하향 경로만을 연결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 방향으로 전파를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시간대에는 스위치가 상향 경로만을 연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TDD type repeater to operate properly, the switch connects only the downlink path in the downlink time zone in which the base station transmits radio waves towar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plink time zon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radio waves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It is of utmost importance that the switch connect only the up path.

이러한 중계기가 기지국과 동기하여 상하향 링크를 적절히 절체시키기 위한 동기 절차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중계기는 하향 링크 구간에 서 신호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은 후, 먼저 그 신호의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하향 링크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파일럿, 제어, 데이터 심볼로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형태 및 심볼의 순서는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중에서 파일럿 심볼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부분에서 프레임에 대한 정확한 동기를 획득하여 가장 최적의 상태로 데이터 심볼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제어 심볼은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각종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한다.A synchronization procedure for such a relay to properly switch the uplink and downlink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epeater operating in the reception mode periodically receives a signal in the downlink period and then first acquires frame synchronization of the signal. The downlink frame is basically composed of pilot, control, and data symbols, and shapes and order of the symbols may exist in various forms. Among them, the pilot symbols are used to obtain data symbols in the most optimal state by acquiring accurate synchronization for a frame in the reception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symbol transmits various control data necessary for data communication.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그 하향 링크 프레임에 입력된 정보를 복조하여 그 정보에 따라 프레임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추출하였다. Accordingly, conventionally, the frame synchronization is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and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downlink frame is demodulated to extract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TDD 방식 중계기에서는 기지국과 동기하여 상하향 링크 적절히 절체시키기 위하여 하향 링크 구간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로부터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다시 프레임 동기가 된 신호를 복조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중계기에서는 동기 획득에 대한 회로가 복잡하게 구성될 수 밖에 없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TDD repeater, a signal must be received in the downlink period in order to properly switch the uplink and downlink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to obtain frame synchronization from the signal, and demodulate the signal that has been frame-synchronized again. do. 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repeater, a circuit for synchronizing acquisition has to be complic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계기에서 TDD 방식의 무선 통신을 위해 상/하향 링크를 절체하는 스위치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erly controlling a switch for switching an uplink / downlink for a TDD type wireless communication in a repeater.

또한, 본 발명은 중계기에서 상/하향 링크를 절체하는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지털 방식이 아닌 아날로그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하향 링크 신호로부터 프레임 동기 획득, 신호 복조의 과정 없이도 TDD 스위치 타이밍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TDD switch timing without the process of fram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and signal demodulation from the downlink signal received using an analog method rather than a digital to control the switch to switch the uplink / downlink in the repeater It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to mak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DD 방식의 중계기에서 동기 획득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를 출력하는 로그 증폭기와, 상기 RSSI 신호를 입력받아 구형파를 발생하여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슈미트트리거와, 상기 슈미트 트리거로부터의 스위치 타이밍 신호와 미리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 시작점에 관한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부와, 상기 출력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 신호의 한쪽 방향만을 번갈아서 연결하도록 절체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ynchronizing in a TDD repeater, comprising: a log amplifier receiving a received signal and outputting a RSSI signal and a square wave receiving the RSSI signal; A Schmid trigger for generating a switch timing signal and outputting a switch timing signal, a TDD switch timing generator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on downlink and uplink start points by comparing the switch timing signal from the Schmitt trigger with pre-input information; And a switch for switching to alternately connect only one direction of the uplink and downlink signal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using the output time information, and a switch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방향으로 송신하는 하향 링크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 방향으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의 주파수가 동일한 TDD 방식의 중계기에서 동기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 도메인 상의 수신되는 신호열로부터 RSSI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RSSI 신호를 입력받아 구형파를 발생하여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추출되는 타이밍 신호 동기를 통해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 신호의 한쪽 방향만을 번갈아서 연결하도록 절체하는 과정을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obtaining synchronization in a TDD repeater having the same frequency of the downlink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war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Outputting the RSSI signal from the signal sequence; generating a square wave by receiving the RSSI signal; outputting a switch timing signal; and synchronizing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synchronization of the timing signal extracted by using the switch timing signal; And switching to alternately connect only one direction of the downlink sig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중계기 내에서 수신하는 TDD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프레임을 통해 스위치 타이밍을 생성하여 스위칭 시간을 기지국과 동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중계기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수신된 신호의 프레임 길이를 파악하여 스위치 타이밍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로그 증폭기(Log Amplifier)를 통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 수신 신호 강도 지시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를 이용하여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산출함으로써 프레임 동기획득, 신호 복조의 과정없이 TDD 스위치 타이밍 동기 획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switch timing through a general frame for TDD communication received in the repeater to synchronize the switching time with the base sta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th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repeater to obtain the switch timing by determining the frame l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signal from a received signal through a log amplifier, and generates the generated signal using a Schmitt trigger. By calculating the switch timing signal, the TDD switch timing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rocedure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process of fram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and signal demodul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DD 방식 중계기의 각 구성부 및 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TDD 방식 중계기의 개략적인 내부 블럭 구성도이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TDD repea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schematic internal block diagram of a TDD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TDD 통신을 위한 중계기는 통상적인 중계기의 구성부에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타이밍 신호 검출부(115),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부(120), 스위치 제어부(135)를 추가한 구조의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며, 송수신부(100) 근처의 스위치(S/W)(140)가 상(Uplink)/하향 링크(Downlink)를 적절히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기지국에서 송신한 신호 즉, 하향 링크 신호는 송수신부(100)를 통해 수신하여 각 구성부에서 해당 프로세싱 과정을 거쳐 스위치 제어부(135)로 전달된다. 그러면, 스위치 제어부(135)에서는 향후 기술할 프로세싱을 거쳐 발생된 스위치 제어 신호로 스위치(140)를 기지국과 동기하여 상/하향 링크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The repeater for TD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timing signal detector 115, a TDD switch timing generator 120, and a switch controller 135 shown in FIG. 1 are added to components of a conventional repeater. It should be implemented as, the switch (S / W) 140 near the transceiver 100 should perform a function of properly selecting the uplink (downlink) / downlink (downlink). In general,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at is, the downlink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100 and transmitted to the switch controller 135 through a processing process in each component. Then, the switch control unit 135 serves to connect the switch 140 to the up / down link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by the switch control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processing to be described later.

기지국 송신 모드시에는 기지국에서 송신된 신호는 통상적으로 스위치(140)를 거쳐 전송 매체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 방향으로 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이 때, 스위치 제어부(135)는 수신된 신호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싱하여 기지국과 신호 동기를 맞추어 스위치(140)가 하향 링크 방향으로만 연결되도록 스위치(14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전송 매체는 광, 아날로그, RF 방식 등이 될 수 있다.I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mode, a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typically transmits a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transmission medium via a switch 140. At this time, the switch control unit 135 processes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40 so that the switch 140 is connected only in the downlink direc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 The transmission medium may be optical, analog, RF, or the like.

이와 반대로 기지국 수신 모드시에는 중계기가 전송 매체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제어부(135)에서는 신호가 상향 링크로만 증폭되어 전송되도록 스위치(140)를 제어한다. 이러한 중계기의 구성부에 대한 동작은 통상적인 중계기에서와 유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contrast, in the base station reception mode, a repeater receives a transmission signa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transmission medium.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controller 135 controls the switch 140 so that the signal is amplified and transmitted only on the uplink. Operation for the components of such a repeater is similar to that in a conventional repeat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어, TDD 통신을 위한 중계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부인 타이밍 신호 검출부(115),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부(130), 스위치 제어부(135)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DD 방식의 무선 통신에 따른 신호를 시간 도메인 상의 신호열로 도시한 도면이다.Next, operations of the timing signal detector 115, the TDD switch timing generator 130, and the switch controller 135, which are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peater for TDD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Reference is made to FIG. 2 to describe this in detail.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according to a TDD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gnal sequence in a time domain.

먼저, 타이밍 신호 검출부(115)는 중계기에서 수신부 모뎀을 별도로 구현할 필요없이 시간 도메인(Time Domain) 상에서 동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동기 획득에서 있어서 중요한 것은 TDD 방식의 무선 통신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RSSI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 RSSI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타이밍 신호 검출부(115) 내에 로그 증폭기(125)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그 증폭기(125) 대신에 적분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First, the timing signal detector 115 is a part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in a time domain without separately implementing a receiver modem in a repeater. What is important in this synchronization acquisi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a RSSI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by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TDD scheme. In order to generate the RSSI signal, the log amplifier 125 is implemented in the timing signal detector 115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or may be implemented instead of the log amplifier 125.

한편, TDD 방식의 무선 통신 시 송수신 신호의 시간 도메인 상의 신호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DD 방식의 무선 통신에 따른 신호를 시간 도메인 상의 신호열로 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sequence in the time domain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in the TDD wireless communication is shown i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according to a TDD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gnal sequence in a time domai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열(200)은 중계기에서 송수신부(100)에 구현된 수신 블럭(105)를 통해 얻어지며 기지국 송신 모드 시 나타나는 신호열로써, 기지국에서 송신된 신호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방향으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수신 신호열(200)에서는 기지국에서 중계기를 거쳐 이동 통신 단말기 방향으로 전송되는 신호가 하향 링크 구간에서만 출력된다. As shown in FIG. 2, the reception signal sequence 200 is a signal sequence obtained through the reception block 105 implemented in the transceiver 100 in the repeater and appears in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mode,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s dir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delivered. Therefore, in the received signal sequence 200,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repeater is output only in the downlink period.

이에 반해 송신 신호열(250)은 중계기에서 송수신부(100)에 구현된 송신 블럭(110)를 통해 얻어지며 기지국 수신 모드 시 나타나는 신호열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송신 신호열(25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중계기를 거쳐 기지국 방향으로 전송되는 신호가 상향 링크구간에서만 출력된다.On the contrary, the transmission signal sequence 250 is obtained through the transmission block 110 implemented in the transceiver 100 in the repeater and is a signal sequence appearing in the base station reception mod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erefore, in the transmission signal sequence 250,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epeater is output only in the uplink section.

이러한 송수신 신호에서 TDD 방식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하나의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In this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one fra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TDD scheme is configured as follows.

1 Frame = DL(Downlink) + TTG(Tx/Rx Transition Gap) + UL(Uplink) + RTG(Rx/Tx Transition Gap)1 Frame = DL (Downlink) + TTG (Tx / Rx Transition Gap) + UL (Uplink) + RTG (Rx / Tx Transition Gap)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수신 신호열(200) 및 송신 신호열(250)에서의 하나의 프레임은 도 2에 도시된 RTG(210) 구간, 하향 링크 구간 (DL)(220), TTG(230), 상향 링크 구간(UL)(24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Equation 1, one frame in the reception signal sequence 200 and the transmission signal sequence 250 is the RTG 210 section, the downlink section (DL) 220, the TTG 230, and the uplink section shown in FIG. It consists of a link section (UL) (240).

TDD 방식의 중계기에서 송수신부(100)는 같은 시간 영역일 경우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그리고, RTG(210), TTG(230)와 같은 TG(Transition Gap) 영역은 가드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송수신 출력의 충동을 방지하기 위한 영역이다. In the TDD repeater, the transceiver 100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same time domain. In addition, a transition gap (TG) region such as the RTG 210 and the TTG 230 is a region for preventing impulse of transmission / reception output by indicating a guard time.

따라서, 수신 신호열(200)을 살펴볼 때 기지국에서 중계기를 거쳐 이동 통신 단말기 방향으로 전송되는 신호가 하향 링크에서만 증폭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신호열이 평탄(flat)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신호열이 평탄하게 나타나는 영역은 TG(Transition Gap) 즉, 가드 시간이거나 상향 링크 구간임을 추정할 수 있다.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reception signal sequence 200, it can be seen tha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repeater is amplified only in the downlink and the signal sequence appears flat in the remaining portion. Through thi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region where the signal sequence appears flat is a transition gap (TG), that is, a guard time or an uplink period.

이러한 수신 신호열(200)에서 하향 신호(220) 구간을 살펴보기 위해 도 3을 참조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밍 신호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수신 신호열(200)에서 하향 링크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이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to examine the down-signal 220 section in the received signal sequence 200. 3 (a) to 3 (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timing signal dete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tion in which a downlink signal is output from the received signal sequence 200 is briefly shown. .

먼저, 로그 증폭기(125)는 송수신부(100)를 통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도 3(a)을 참조하면, 가로축을 시간축으로 정하며 하향 링크 구간에서만 하향 링크 신호가 증폭되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이 때, 도 3(a)에 도시된 수신 신호열(200)에서 RTG 구간, 하향 링크 구간(DL), TTG, 상향 링크 구간(UL)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프레임에서의 주기는 T1이며, 하향 링크 신호가 출력되는 하향 링크 시간은 T2이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열(200)에서는 주기 T1을 가지는 프레임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된다.First, the log amplifier 125 receives a signal received as shown in FIG. 3 (a) through the transceiver 100 and outputs a signal as shown in FIG. 3 (b). Referring to a), it can be seen that the horizontal axis is defined as the time axis and the downlink signal is amplified and output only in the downlink period. At this time, the period in one frame composed of the RTG section, the downlink section DL, the TTG, and the uplink section UL in the received signal sequence 200 shown in FIG. The downlink time at which the signal is output is T2. As shown in FIG. 3A, a frame having a period T1 repeatedly appears in the reception signal sequence 200.

이와 같이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부(100)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을 가지는 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되는 신호는 로그 증폭기(125)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로그 증폭기(125) 내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RSSI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도 3(a)에 도시되는 한 프레임의 주기 및 하향 링크 시간은 도 3(b) 및 도 3(c)에서도 T1 및 T2로 동일하다.As such, when a signal having an output as shown in FIG. 3A is received by the transceiver 100 through the transmission medium, the received signal is input to the log amplifier 125. Accordingly, the log amplifier 125 outputs the RSSI signal as shown in FIG. 3 (b) by using the received signal. At this time, the period and downlink time of one frame shown in FIG. 3 (a) are the same as T1 and T2 in FIGS. 3 (b) and 3 (c).

그러면, 로그 증폭기(125)로부터 출력되는 RSSI 신호는 슈미트트리거(120)의 입력 신호로 이용되는데, 그 슈미트트리거(120)에서는 RSSI 신호를 입력받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구형파 신호가 출력된다. 슈미트트리거(120)는 RSSI 신호를 입력받아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부(130)의 기준 신호가 되는 구형파 신호를 발생한다.Then, the RSSI signal output from the log amplifier 125 is used as an input signal of the Schmitt trigger 120. The Schmitt trigger 120 receives the RSSI signal and receives a square wave of a shape as shown in FIG. The signal is output. The Schmitt trigger 120 receives the RSSI signal and generates a square wave signal that becomes a reference signal of the TDD switch timing generator 130.

여기서 도 3(a)와 도 3(c)를 비교해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 시작점은 A점이지만, 동일한 하향 링크 시간을 가지는 도 3(c)에서의 프레임 시작점은 A점에서 소정 시간만큼 오차된 B점이다. 이러한 오차가 생기는 이유는 로그 증폭기(125)와 관련되며, 그 오차 시간은 최대 1usec 이하이다. Here, comparing FIG. 3 (a) and FIG. 3 (c), as shown in FIG. 3 (a), one frame start point is A point, but the frame start point in FIG. 3 (c) has the same downlink time. Is point B which has been misaligned from point A by a predetermined time. The reason for this error is related to the log amplifier 125, the error time of which is at most 1usec or less.

여기서, 최대 1usec 이하인 오차 시간은 하향 링크 구간에 이어지는 TTG 구간에서의 TTG 시간 즉, 120usec 이상인 가드 시간보다 훨씬 작은 값이므로, 그 오차 시간은 시스템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Here, the error time of less than or equal to 1usec is much smaller than the TTG time of the TTG section following the downlink section, that is, the guard time of 120usec or more, so the error time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system.

여기서, 하향 링크 시간은 TDD 전체 시스템의 통상적인 프레임 구조에 따라 정해져 있기 때문에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부(130)에서 미리 프로그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 링크 시작점을 찾을 수 있으며 이를 스위치 제어부(135)로 전송하여 스위치(1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Here, since the downlink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eneral frame structure of the entire TDD system, the uplink starting point can be found by using information pre-programmed by the TDD switch timing generation unit 130 and transmitted to the switch control unit 135. To control the switch 14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타이밍 신호 검출부(115) 내에 슈미트트리거 (120)를 구현하는 이유는 구형파 출력 시 발생할 수 있는 잡음에 의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슈미트트리거 회로는 전압 레벨의 검출, 파형의 정형 등에 쓰인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슈미트트리거 대신 구형파 발생기를 적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ason for implementing the Schmitt trigger 120 in the timing signal detector 115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errors due to noise that may occur when the square wave output. Typically, the Schmitt trigger circuit is used for detecting voltage levels, shaping waveforms, and the like. 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quare wave generator may be applied instead of the Schmitt trigger.

이러한 슈미트트리거(120)에서의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미트트리거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This operation in the Schmitt trigge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Schmitt trig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는 슈미트트리거(120)로부터 출력되는 기본 파형을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도면부호 400은 높은 트리거 전압(UPT: up trigger point)을 나타내며, 도면부호410은 낮은 트리거 전압(LTP : low trigger point)을 나타내는 것이다.4 shows a basic waveform output from the Schmitt trigger 120. In FIG. 4, reference numeral 400 denotes a high trigger voltage (UPT), and reference numeral 410 denotes a low trigger voltage (LTP).

슈미트트리거(120)는 입력 전압값에 따라 민감하게 동작하며, 낮은 트리거 전압에서 동작하고, 트리거 신호는 서서히 변하는 교류 전압과 같다. 입력 파형은 서서히 변하는 사인 곡선과 같은 파형이고, 출력은 높고 낮은 두 개의 논리 상태 즉, 1 또는 0 값을 형성하는 구형파이다. The Schmitt trigger 120 operates sensitively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value, operates at a low trigger voltage, and the trigger signal is equal to a slowly changing AC voltage. The input waveform is a sine-like waveform that changes slowly, and the output is a square wave that forms two high and low logic states: 1 or 0 value.

도 4를 참조하면, 출력이 0에서 1로 변화하는 구간 즉, C 구간에서의 높은 트리거 전압(400)의 레벨과 출력이 1에서 0으로 변화하는 구간 즉, D 구간에서의 낮은 트리거 전압(410)의 레벨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높은 트리거 전압(400)의 레벨이 낮은 트리거 레벨(410)의 레벨보다 크므로 만약, 입력 전압에 높은 레벨의 잡음이 발생할 지라도 출력이 0에서 1로 전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입력 전압에 높은 레벨의 잡음에 의한 잘못된 스위치 타이밍 오류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level of the high trigger voltage 400 in the section where the output changes from 0 to 1, that is, the C and the low trigger voltage 410 in the section where the output changes from 1 to 0, that is, the D section. You can see that the levels of) are different. In addition, since the level of the high trigger voltage 400 is greater than the level of the low trigger level 410, even if a high level of noise occurs in the input voltage, the output transition from 0 to 1 can be solve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orrect switch timing error signal caused by a high level of noise in the input voltage.

한편, TDD 통신을 위해 정해진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TDD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Meanwhile, to describe a general frame structure determined for TDD communication, reference is made to FIG. 5.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frame structure for TDD communication.

전술한 바를 통해 입력 신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링크(510), 하향 링크(530), 가드 시간(520) 등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해당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로그 증폭기(125) 및 슈미트 트리거(120)를 이용하여 상/하향 링크에 번갈아 가면서 동기를 맞추어 절체할 수 있는 있도록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구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put signal is subjected to a corresponding process so as to be divided into an uplink 510, a downlink 530, and a guard time 520, as shown in FIG. 5. The log amplifier 125 and the Schmitt trigger 120 may be used to obtain a switch tim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 so that the switch may be alternately synchronized with the up / down link.

먼저, 기지국이 도 5에 도시된 상향 링크 데이터(510)를 중계기로 전송한 후 소정의 가드 시간(520)을 거치면 그 기지국은 수신 모드로 동작하여 도착한 신호들을 복조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연속적으로 540 내지 580에 해당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가드 시간은 기지국이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절체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며,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RTG, TTG 등을 지칭하며, 기지국과 중계기는 가드 시간을 이용하여 송수신 모드를 동기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First,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uplink data 510 shown in FIG. 5 to the repeater and passes a predetermined guard time 520, the base station operates in a reception mode and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s. It is performed to go through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540 to 580 continuously. Here, the guard time is a time required for the base station to switch from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reception mode, and refers to RTG, TTG, etc. constituting one frame,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by using the guard time to synchroniz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 to the mobile terminal Allow communication between them.

그러나 가드 시간 동안은 어떠한 정보도 송수신할 수 없으므로 그만큼 무선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만약 중계기가 중간에서 기지국과 정확하게 동기되지 못하면 가드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그만큼 커버리지가 줄게 되며, 이에 따라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정확한 동기가 중요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를 위해 로그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부에서 보정함으로써 적절한 스위치 타이밍을 찾을 수 있다. However, since no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or received during the guard time, the radio resources are inefficiently used. Therefore, if the repeater is not correctly synchronized with the base station in the middle, the effect of reducing the guard time occurs, so that the coverage is reduced by that, and therefore, accurat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period is important.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switch timing may be found by correcting an error occurring in the log amplifier by the TDD switch timing generator.

한편, 타이밍 신호 검출부(115)로부터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으면,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기(130)는 미리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하향 링크의 시작점과 상향 링크의 시작점에 대한 정보를 스위치 제어부(135)로 출력한다. 즉,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부(130)는 슈미트 트리거(120)로부터의 스위치 타이밍 신호와 미리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 시작점에 관한 시간 정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 동기 획득, 신호 복조의 과정없이 타이밍 신호 검출부(115)로부터의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추출되는 타이밍 신호 동 기를 통해 스위치 타이밍 동기 획득 절차가 수행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tim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iming signal detector 115, the TDD switch timing generator 130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start point of the downlink and the start point of the uplink to the switch controller 135 using the previously input information. Output That is, the TDD switch timing generator 130 compares the switch timing signal from the Schmitt trigger 120 with pre-input information and outputs time information regarding downlink and uplink start points. As such, the switch timing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rocedure is performed through the timing signal synchronization extracted by using the switch timing signal from the timing signal detection unit 115 without the process of fram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and signal demodulation.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기(1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 즉, 시간 정보에 따라 스위치 제어부(135)는 해당 링크 신호를 해당 경로에 맞게 스위치(140)를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기(130)를 통하여 추출된 시간 정보를 토대로 스위치 제어부(135)에서는 중계기 내 스위치 제어 명령을 생성해 스위치(140)를 제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TDD switch timing generator 130 through the above process, that is, time information, the switch controller 135 controls the switch 140 to match the corresponding link signal with the corresponding path. In other words,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TDD switch timing generator 130, the switch controller 135 generates a switch control command in the repeater to control the switch 140.

전술한 과정을 통해 중계기는 기지국과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이미 사전에 약속된 형태로 동기를 맞추어 상/하향 링크를 번갈아 가면서 동기를 맞추어 절체하게 되며, 가드 시간 동안에 송수신 모드의 절체를 수행하게 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repeater alternates the up / down link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previously promised form, and performs the switching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during the guard tim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TDD 방식의 중계기에서 동기를 획득할 경우 부가적인 신호없이도 TDD 스위칭 타이밍을 찾을 수 있고, 중계기에서 수신되는 프레임 길이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향 링크를 번갈아 가면서 동기를 맞추는 절체 시 TTG, RTG와 같이 가드 시간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스위치 타이밍을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DD repeater acquires synchronization, the TDD switching timing can be found without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frame length received by the repeater can be determin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inding a sufficient switch timing because there is a guard time, such as TTG, RTG when switching between up and down links in synchronization.

Claims (4)

TDD 방식의 중계기에서 동기 획득하는 장치에 있어서, In the apparatus for obtaining synchronization in a TDD repeater, 수신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를 출력하는 로그 증폭기와 상기 RSSI 신호를 입력받아 구형파를 발생하여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슈미트트리거로 구성되는 타이밍 신호 검출부와, A timing signal detector comprising a log amplifier receiving a received signal and outputting a RSSI signal and a Schmitt trigger receiving the RSSI signal to generate a square wave to output a switch timing signal; 상기 타이밍 신호 검출부의 슈미트트리거로부터의 스위치 타이밍 신호와 미리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 시작점에 관한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부와,A TDD switch timing generation unit for comparing the switch timing signal from the Schmitt trigger of the timing signal detection unit with pre-input information and outputting time information on downlink and uplink starting points; 상기 출력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 신호의 한쪽 방향만을 번갈아서 연결하도록 절체하는 스위치와, A switch configured to alternately connect only one direction of an uplink and a downlink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a base station by using the output time information;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switch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DD 스위치 타이밍 생성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DD switch timing generator 상기 타이밍 신호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로부터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 시작점에 관한 시간 정보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outputting time information on downlink and uplink starting points from a square wave output from the timing signal detector. 기지국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방향으로 송신하는 하향 링크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 방향으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의 주파수가 동일한 TDD 방식의 중계기에서 동기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obtaining synchronization in a TDD repeater having the same frequency of a downlink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base station, the method comprising: 시간 도메인 상의 수신되는 신호열로부터 RSSI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Outputting the RSSI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sequence on the time domain; 상기 RSSI 신호를 입력받아 구형파를 발생하여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Receiving the RSSI signal and generating a square wave to output a switch timing signal; 상기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추출되는 타이밍 신호 동기를 통해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 신호의 한쪽 방향만을 번갈아서 연결하도록 절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witching to alternately connect only one direction of an uplink and a downlink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a base station through timing signal synchronization extracted by using the switch timing sig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utputting of the switch timing signal comprises: 입력 전압에 높은 레벨의 잡음에 의한 스위치 타이밍 오류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method for preventing a switch timing error signal from occurring due to a high level of noise in an input voltage.
KR1020040035219A 2004-05-18 2004-05-18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in TD repeater Expired - Lifetime KR100610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219A KR100610929B1 (en) 2004-05-18 2004-05-18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in TD rep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219A KR100610929B1 (en) 2004-05-18 2004-05-18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in TD rep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267A KR20050110267A (en) 2005-11-23
KR100610929B1 true KR100610929B1 (en) 2006-08-10

Family

ID=3728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219A Expired - Lifetime KR100610929B1 (en) 2004-05-18 2004-05-18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in TD rep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929B1 (en)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0904B2 (en) 2002-12-16 2011-08-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repeater
US8023885B2 (en) 2004-05-13 2011-09-20 Qualcomm Incorporated Non-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with downlink detection for uplink and downlink synchronization
US8027642B2 (en) 2004-04-06 2011-09-27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canceller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1068057B1 (en) * 2006-03-31 2011-09-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Enhanced Physical Layer Repeater for Operation in WiMAX Systems
US8059727B2 (en) 2005-01-28 2011-11-15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repeater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MIMO performance
US8078100B2 (en) 2002-10-15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repeater with discrete time filter for all-digital detection and delay generation
US8089913B2 (en) 2002-10-24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repeater with selective use of higher layer functions based on network operating conditions
US8095067B2 (en) 2004-06-03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with low cost high performance local oscillator architecture
US8111645B2 (en) 2002-11-15 2012-02-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peater with detection
US8122134B2 (en) 2002-10-11 2012-02-21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loop effect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peater
US8498234B2 (en) 2002-06-21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peater
US8559379B2 (en) 2006-09-21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oscillation between repeaters
US8774079B2 (en) 2006-10-26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Repeater techniques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utilizing beam formers
US8885688B2 (en) 2002-10-01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message management in physical layer repeater
KR102048353B1 (en) 2019-04-26 2019-11-25 한화시스템(주) Timing synchronization apparatus using im signal and timing synchronization method
KR102082474B1 (en) 2019-04-26 2020-02-27 한화시스템(주) Timing synchronization apparatus in tdd type system and timing synchroniza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054B1 (en) * 2005-11-30 2006-09-19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Synchronization by TD Repeater and TID Repeater Acquisition Synchronization Using RF Power
KR100819257B1 (en) * 2006-08-31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RAIDIO OFI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time
KR20140060211A (en) * 2012-11-09 2014-05-19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f synchronization sig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401A (en) * 1993-10-28 1995-05-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Wireless repeater
KR20040004261A (en) * 2003-12-08 2004-01-13 주식회사 컨버시스 Repe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DD(Time Division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KR20050103633A (en) * 2004-04-27 2005-11-01 주식회사 엠티아이 Tx/rx switching method in ofdm/tdd system and repeate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401A (en) * 1993-10-28 1995-05-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Wireless repeater
KR20040004261A (en) * 2003-12-08 2004-01-13 주식회사 컨버시스 Repe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DD(Time Division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KR20050103633A (en) * 2004-04-27 2005-11-01 주식회사 엠티아이 Tx/rx switching method in ofdm/tdd system and repeater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7131401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8234B2 (en) 2002-06-21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peater
US8885688B2 (en) 2002-10-01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message management in physical layer repeater
US8122134B2 (en) 2002-10-11 2012-02-21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loop effect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peater
US8078100B2 (en) 2002-10-15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repeater with discrete time filter for all-digital detection and delay generation
US8089913B2 (en) 2002-10-24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repeater with selective use of higher layer functions based on network operating conditions
US8111645B2 (en) 2002-11-15 2012-02-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peater with detection
US7990904B2 (en) 2002-12-16 2011-08-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repeater
US8027642B2 (en) 2004-04-06 2011-09-27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canceller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023885B2 (en) 2004-05-13 2011-09-20 Qualcomm Incorporated Non-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with downlink detection for uplink and downlink synchronization
US8095067B2 (en) 2004-06-03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translating repeater with low cost high performance local oscillator architecture
US8059727B2 (en) 2005-01-28 2011-11-15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repeater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MIMO performance
KR101068057B1 (en) * 2006-03-31 2011-09-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Enhanced Physical Layer Repeater for Operation in WiMAX Systems
US8559379B2 (en) 2006-09-21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oscillation between repeaters
US8774079B2 (en) 2006-10-26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Repeater techniques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utilizing beam formers
KR102048353B1 (en) 2019-04-26 2019-11-25 한화시스템(주) Timing synchronization apparatus using im signal and timing synchronization method
KR102082474B1 (en) 2019-04-26 2020-02-27 한화시스템(주) Timing synchronization apparatus in tdd type system and timing synchroniz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267A (en)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9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in TD repeater
US10735083B2 (en) Communication repeater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15508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3667959A1 (en) Repeat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2000253446A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fram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method
EP23645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20080137561A1 (en) Rf repeater used for time division duplexing and method thereof
JPH07131401A (en) Wireless repeater
US7729405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5883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synchronization from base station signal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
CN1988413B (en) Synchronous method and device for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KR100690112B1 (en) Relay device and method of Tdd repeater
US808995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700894B1 (en) Fram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Device and Method for Teddy Type Repeater
KR102636504B1 (en) Repeat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repeater
KR100690107B1 (en) Method for switching ratio of uplink/downlink in time division duplexing type relay
JP3419750B2 (en) Automatic repeater for mobile radio communication
KR100596724B1 (en) Synchronizer and method for time division redundancy based small RF repeater
JP2009171228A (en) Reference signal generator, base station system,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KR100867319B1 (en) Asynchronous Transmiss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73255B1 (en) Repeat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repeater
KR100632200B1 (en) How to check your currency
KR100617741B1 (en) Switching Control Signal Extraction Method of TD Type Portable Internet Wireless Repeater
KR201300610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frequency switching in relay system
KR1009027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reamble and RF repeating system using th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111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