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685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interlaced image into sequential imag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interlaced image into sequential im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2685B1 KR100552685B1 KR1020030055885A KR20030055885A KR100552685B1 KR 100552685 B1 KR100552685 B1 KR 100552685B1 KR 1020030055885 A KR1020030055885 A KR 1020030055885A KR 20030055885 A KR20030055885 A KR 20030055885A KR 100552685 B1 KR100552685 B1 KR 1005526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xel
- interpolated
- value
- image
- differe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04N7/013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dependent on presence/absence of motion, e.g. of motion z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04N7/014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the interpolation being class adaptive, i.e. it uses the information of class which is determined for a pixel based upon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uring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월주사 영상을 순차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영상 변환 방법은, (a) 입력 필드 영상의 보간될 화소에 대해서, 선행 필드 영상들과 후행 필드 영상들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b)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에, 다른 주사선상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보간될 화소의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c) 보간 방향에 따른 소정의 필터를 이용하여 보간될 화소를 공간적으로 보간하는 단계; 및 (d) 보간될 화소에 수직 고주파수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선행 필드 및 후행 필드의 대응 화소값, 및 공간적으로 보간된 화소값을 이용하여 보간될 화소의 값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 interlaced image into a sequential image. The image conver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detecting a motion of a pixel to be interpolated of an input field image using preceding field images and trailing field images; (b) when the motion is detected, determining the interpolation direction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using pixel values on another scan line; (c) spatially interpolating a pixel to be interpolated using a predetermined filter along the interpolation direction; And (d) resetting the value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using the corresponding pixel values of the preceding field and the trailing field, and the spatially interpolated pixel values, if there is a vertical high frequency component in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에지 종속 보간 방식의 설명을 위한 화소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ixel layout for describing a conventional edge-dependent interpolation scheme.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월주사 영상 변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b 는 도 2a 에 도시된 보간 방향 결정부(220)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FIG. 2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laced scan image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polation direction determiner 220 shown in FIG. 2A.
도 3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월주사 영상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3b 는 도 3a의 제 S32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interlaced scan imag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detailed flowchart of step S320 of FIG. 3A.
도 4 는 본 발명의 움직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소 배치도이다. 4 is a layout view of pixels for explaining a motion det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간 방향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소 배치도이다.5 is a pixel layout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n interpola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결정된 보간 방향에 따라서 현재 입력 필드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공간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소 배치도이다.FIG. 6 is a pixel layout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spatial filtering using only information of a current input fiel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terpolation direction.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a 내지 도 8c 는 입력된 비월주사된 영상, 본 발명에 따라서 변환된 순차주사 영상, 및 종래 기술에 따라서 변환된 순차주사 영상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7A to 7C and 8A to 8C are diagrams illustrating input interlaced images, sequential scan images conver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equential scan images convert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spectively.
본 발명은 비월주사(interlaced) 영상을 순차(progressive)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비월주사된 영상을 화소의 방향으로 고려하여 보간함으로써 순차 주사된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 interlaced image into a progressive image. Specifically, a method for converting an interlaced image into a progressively scanned image by interpolating the interlaced image in the direction of a pixel. And to an apparatus.
비월주사 영상을 순차주사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방식 2가지로 블랜드(blend) 방식과 에지 종속 보간(edge dependent interpolation) 방식이 있는데 이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As a method of converting interlaced images into sequential scan images, various techniques are known. Two representative methods are a blend method and an edge dependent interpolation method, which ar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블랜드 방식은 처리대상 화소의 비월주사상의 화소값과 이 화소의 수직 방향의 상하 화소값을 이용하여 보간 처리를 한 후 보간 처리된 값을 처리대상 화소의 값으로 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특히 영상의 에지 부분을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움직임이 많은 비월주사 영상을 상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변환시키는 경우에 blur 현상(흐려짐 현상) 및 잔상이 생기는 결점이 있고, 또한, 사선 에지 부분의 표현시에 계단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The blending method is a method of interpolating a pixel value of an interlaced scan of a pixel to be processed and an upper and lower pixel valu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xel, and then using the interpolated value as the value of the pixel to be processed. This method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at the edges of an image can be smoothly and naturally expressed. However, when the interlaced scan image having a lot of motion is transform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re is a drawback of blurring and afterimages, and a step of generating a stepped edge when expressing an oblique edge portion.
에지 종속 보간(edge dependent interpolation) 방식은 처리대상 화소값을 구하기 위해 처리대상 화소의 상하 화소값과 상하 화소값의 좌우 화소값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대상 화소값(X)의 순차주사된 화소값(X')을 구하기 위해 이 화소의 왼쪽 위 대각선 방향 화소값(), 왼쪽 아래 대각선 방향 화소값(), 오른쪽 위 대각선 방향 화소값(), 오른쪽 아래 대각선 방향 화소값(), 상하 화소값()을 사용한다.The edge dependent interpolation method uses the upper and lower pixel values of the pixel to be processed and the left and right pixel values of the upper and lower pixel values to obtain the pixel value to be processed, as shown in FIG. 1. To obtain the sequentially scanned pixel value (X '), ), Lower left diagonal pixel value ( ), The upper right diagonal pixel value ( ), Lower right diagonal pixel value ( ), The top and bottom pixel values ( ).
이 방식은 상하 화소값의 차(), 대각선 방향 화소값의 차()를 구해 그 차가 가장 작은 방향의 값으로 처리대상 화소값(X)을 보간하여 순차주사된 화소값(X')을 구한다. 이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의 화소를 고려하므로 자연스러운 사선 에지 표현이 가능하여 계단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method u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xel values ),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gonal pixel values ( ) Is obtained, and the pixel value X 'sequentially scanned is obtained by interpolating the pixel value X to be proc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fference is the smalles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ixels in the diagonal direction are considered as described above, natural diagonal edges can be expressed, thereby preventing the step phenomenon.
그러나 이 방식은 경계(에지)의 사선 방향 판단의 오류 위험성이 있으며, 보간시에 비월주사 영상의 한 필드만 사용하기 때문에 비월주사 영상의 색도값과 순차주사 영상의 색도값이 서로 현격한 차이가 날 수 있고 피사체의 움직임이 빠른 영상의 순차변환시에 색번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를 사선방향으로 보간하는 것이 유리한지 또는 수직방향으로 보간하는 것이 유리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However, this method has the risk of error in the determination of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edge), and since only one field of the interlaced scan image is used for interpolation, the chromaticity value of the interlaced image and the chromaticity of the sequential scan image differ significantly. There is a problem that a color bleeding phenomenon may occur during the sequential conversion of the image that can fly and fast moving the subject. That is, in order to use this method,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ether it is advantageous to interpolate each pixel in the diagonal direction or to interpo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기존의 방법은 대부분 사선 방향을 판단하기 위해 상위 주사선상의 화소값들과 하위 주사선상의 화소 값들의 차의 절대값 |x(k) - y(-k)| , k = -N, .., 0, ....N 을 구해서 가장 값이 작은 쪽 방향으로 사선이 있다고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출원 US005532751A , US6421090B1 등)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은 가능한 사선 방향에 있는 위, 아래 화소들의 조합의 절대값을 일일이 비교해야 하므로 모든 가능한 사선을 조사하려면 복잡도가 높아지고 몇 가지 종류의 사선만 체크하면 체크하지 않은 방향의 사선을 고려하지 못해 잘못된 판단에 의한 잡음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Conventional methods mostly use the absolute value | x (k)-y (-k) |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values on the upper scan line and the pixel values on the lower scan line to determine the oblique direction. Use the method k,-= N, .., 0, .... N to determine that there is an oblique line in the direction with the smallest value.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a comparison of the absolute values of the combinations of the up and down pixels in the diagonal direction as possible, so that all possible diagonal lines are complex and some types of diagonal lines are needed. If only checked,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may be caused by wrong judgment because the slant of the unchecked direction is not considered.
또한, 정확한 변환을 위해서 움직임 예측이 필요하나, 이 방법은 많은 계산 능력과 메모리 bandwidth를 필요로 하므로 실시간으로 비월주사된 영상을 변환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motion estimation is required for accurate conversion, but this method requires a lot of computational power and memory bandwidth, so it is difficult to convert interlaced images in real tim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움직임 유무만을 판단하여 움직임에 적응적으로 비월주사 영상을 순차 주사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고, 다양한 각도의 사선을 한번에 판단하여 사선방향으로 보간함으로써, 사선 판단 복잡도가 낮아지며, 따라서, 잘못된 사선판단에 의한 잡음을 줄이면서 사선부분의 지그재그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motion only and adaptively convert the interlaced scan image to the sequential scanning image, and by judging the diagonal of various angles at once and interpolating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complexity of the diagonal determination becomes low. Therefore, to provide a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mitigate the zigzag phenomenon of the diagonal portion while reducing the noise caused by the wrong diagonal determination.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변환 방법은, (a) 입력 필드 영상의 보간될 화소에 대해서, 선행 필드 영상들과 후행 필드 영상들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b)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에, 다른 주사선상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보간될 화소의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c) 보간 방향에 따른 소정의 필터를 이용하여 보간될 화소를 공간적으로 보간하는 단계; 및 (d) 보간될 화소에 수직 고주파수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선행 필드 및 후행 필드의 대응 화소값, 및 공간적으로 보간된 화소값을 이용하여 보간될 화소의 값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verting an image, the method comprising: (a) detecting a motion of a pixel to be interpolated of an input field image using preceding field images and trailing field images; (b) when the motion is detected, determining the interpolation direction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using pixel values on another scan line; (c) spatially interpolating a pixel to be interpolated using a predetermined filter along the interpolation direction; And (d) resetting the value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using the corresponding pixel values of the preceding field and the trailing field, and the spatially interpolated pixel values, if there is a vertical high frequency component in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또한, 전술한 변환 방법의 (a) 단계는, 보간될 화소의 인접 화소들에 대응되는, 선행 필드 영상들 및 후행 필드 영상들의 화소간의 차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tep (a)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method, it is preferable to detect the motion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the pixels of the preceding field images and the following field images, which correspond to adjacent pixels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또한, 전술한 변환 방법의 (a) 단계는, 보간될 제 1 화소 및 제 1 화소와 동일한 주사선상의 인접하는 제 2 화소들에 대응되는 선행 필드 영상의 화소들과 후행 필드 영상의 화소들간의 차, 제 1 화소에 인접하는 상위 및 하위 주사선상의 제 3 화소들과 제 3 화소들과 대응되는 선행 필드 영상의 화소들간의 차, 및 제 3 화소들과 대응되는 후행 필드 영상의 화소들간의 차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step (a)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s of the preceding field image and the pixels of the trailing fiel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xel to be interpolated and adjacent second pixels on the same scan line as the first pixel.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s of the preceding field image corresponding to the third and third pixels on the upper and lower scanning lines adjacent to the first pixel, and the pixels of the following field image corresponding to the third pixel. It is desirable to detect the movement by using the.
또한, 전술한 변환 방법의 (a) 단계는, 보간될 화소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보간될 화소에 대응되는 선행 필드 영상의 화소값을 보간될 화소의 화소값으로서 설정하여 보간될 화소를 보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step (a)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metho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the pixel value of the preceding field image corresponding to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is set as the pixel value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and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terpolating.
또한, 전술한 변환 방법의 (b) 단계는, 보간될 화소에 대응되는 상위 주사선상의 화소값 및 하위 주사선상의 화소값간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 미만이면, 보간될 화소의 보간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결정하고,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면, 보간될 화소의 보간 방향이 사선 방향인지 수직방향인지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step (b)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metho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value on the upper scan line corresponding to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and the pixel value on the lower scan lin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interpolation direction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is 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If it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polation direction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is diagonal or vertical.
또한, 전술한 변환 방법의 (b) 단계는, 보간될 화소에 인접한 상위 주사선상의 소정수의 화소값들과 하위 주사선상의 소정수의 화소값들간의 차가 임계값보다 크면 차가 최소가 되는 방향으로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step (b)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metho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 values on the upper scan line adjacent to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 values on the lower scan line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interpolation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the difference.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또한, 전술한 변환 방법의 (b) 단계는, (b1) 보간될 화소를 중심으로, 입력 필드 영상에서 제 1 사선 방향의 상위 주사선과 하위 주사선에 위치한 화소들간의 제 1 차분값을 구하는 단계; (b2) 보간될 화소를 중심으로, 입력 필드 영상에서 제 2 사선 방향의 상위 주사선과 하위 주사선에 위치한 화소들간의 제 2 차분값을 구하는 단계; (b3) 제 1 차분값과 제 2 차분값간의 제 3 차분값을 구하여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b4) 제 3 차분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제 1 차분값과 제 2 차분값 중 작은 차분값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step (b)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method may include: (b1) obtaining a first difference value between pixels located in an upper scan line and a lower scan line in a first oblique direction in the input field image, centering on a pixel to be interpolated; (b2) obtaining a second difference value between pixels located in an upper scan line and a lower scan line in a second oblique direction in the input field image centering on a pixel to be interpolated; (b3) obtaining a third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second difference value and comparing it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b4) determining the interpolation directio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smaller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second difference value when the third difference value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또한, 전술한 변환 방법의 (d) 단계는, 공간적으로 보간된 화소값에 소정의 제 1 가중치를 곱하고, 선행 필드의 대응 화소값 및 후행 필드의 대응 화소값에 소정의 제 2 가중치를 곱하여 가산한 결과를 소정의 상수로 나누어 화소의 값을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tep (d)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method, the spatially interpolated pixel value is multiplied by a predetermined first weight, and the corresponding pixel value of the preceding field and the corresponding pixel value of the subsequent field are multiplied and added to the predetermined second weight. It is preferable to reset the value of the pixel by dividing one result by a predetermined constant.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변환 장치는, 입력 필드 영상의 보간될 화소에 대해서, 선행 필드 영상들과 후행 필드 영상들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 다른 주사선상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움직임이 검출된 보간될 화소의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보간 방향 결정부; 보간 방향에 따른 소정의 필터를 이용하여 보간될 화소를 공간적으로 보간하는 제 1 보간부; 및 보간될 화소에 수직 고주파수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선행 필드 및 후행 필드의 대응 화소값, 및 공간적으로 보간된 화소값을 이용하여 보간될 화소의 값을 재설정하는 제 2 보간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conver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mo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otion using the preceding field images and the following field images for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of the input field image; An interpolation direction determiner which determines an interpolation direction of a pixel to be interpolated from which motion is detected using pixel values on another scan line; A first interpolation unit for spatially interpolating pixels to be interpolated using a predetermined filter along the interpolation direction; And a second interpolation unit for resetting the values of the pixels to be interpolated by using corresponding pixel values of the preceding field and the following field and spatially interpolated pixel values when the vertical high frequency component exists in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또한, 전술한 변환 장치의 움직임 검출부는, 보간될 화소의 인접 화소들에 대응되는, 선행 필드 영상들 및 후행 필드 영상들의 화소간의 차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motion detector of the conversion device detects motion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pixels of preceding field images and trailing field images corresponding to adjacent pixels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또한, 전술한 변환 장치의 움직임 검출부는, 보간될 제 1 화소 및 제 1 화소와 동일한 주사선상의 인접하는 제 2 화소들에 대응되는 선행 필드 영상의 화소들과 후행 필드 영상의 화소들간의 차, 제 1 화소에 인접하는 상위 및 하위 주사선상의 제 3 화소들과 제 3 화소들과 대응되는 선행 필드 영상의 화소들간의 차, 및 제 3 화소들과 대응되는 후행 필드 영상의 화소들간의 차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tion detector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fference between pixels of the preceding field image and pixels of the following fiel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xels to be interpolated and adjacent second pixels on the same scan line as the first pixel.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s of the preceding field image corresponding to the third pixel and the third pixel on the upper and lower scanning lines adjacent to one pixel, and the pixels of the following field image corresponding to the third pixel, It is desirable to detect movement.
또한, 전술한 변환 장치는, 움직임이 없는 보간될 화소에 대해서, 보간될 화소에 대응되는 선행 필드 영상의 화소값을 보간될 화소의 화소값으로서 설정하여 보간될 화소를 보간하는 제 3 보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apparatus may include a third interpolation unit that interpolates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by setting the pixel value of the preceding field image corresponding to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with no motion as the pixel value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또한, 전술한 변환 장치의 보간 방향 결정부는, 보간될 화소에 대응되는 상위 주사선상의 화소값 및 하위 주사선상의 화소값간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 미만이면, 보간될 화소의 보간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결정하고,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면, 보간될 화소의 보간 방향이 사선 방향인지 수직방향인지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terpolation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apparatus determines the interpolation direction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value on the upper scan line and the pixel value on the lower scan line corresponding to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f 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polation direction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is an oblique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또한, 전술한 변환 장치의 보간 방향 결정부는, 보간될 화소에 인접한 상위 주사선상의 소정수의 화소값들과 하위 주사선상의 소정수의 화소값들간의 차가 일정 임계값보다 크면 차가 최소가 되는 방향으로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interpolation direction determiner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apparatus interpol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fference is minimum when the difference between a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 values on the upper scan line adjacent to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 values on the lower scan line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또한, 전술한 변환 장치의 보간 방향 결정부는, 보간될 화소를 중심으로, 입력 필드 영상에서 제 1 사선 방향의 상위 주사선과 하위 주사선에 위치한 화소들간의 제 1 차분값을 계산하는 제 1 차분값 계산부; 보간될 화소를 중심으로, 입력 필드 영상에서 제 2 사선 방향의 상위 주사선과 하위 주사선에 위치한 화소들간의 제 2 차분값을 계산하는 제 2 차분값 계산부; 제 1 차분값과 제 2 차분값간의 제 3 차분값을 구하여 제 3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제 1 차분값과 제 2 차분값 중 작은 차분값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보간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terpolation direction determiner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apparatus calculates a first difference value that calculates a first difference value between pixels located in an upper scan line and a lower scan line in a first oblique direction in the input field image based on the pixels to be interpolated. part; A second difference valu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second difference value between pixels located in an upper scan line and a lower scan line in a second oblique direction around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When the third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second difference value is obtained and the third difference value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interpolation direction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maller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second difference valu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irec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또한, 전술한 변환 장치의 제 2 보간부는, 공간적으로 보간된 화소값에 소정의 제 1 가중치를 곱하고, 선행 필드의 대응 화소값 및 후행 필드의 대응 화소값에 소정의 제 2 가중치를 곱하여 가산한 결과를 소정의 상수로 나누어 화소의 값을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interpolation unit of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apparatus multiplies the spatially interpolated pixel value by a predetermined first weight, and multiplies and adds the corresponding pixel value of the preceding field and the corresponding pixel value of the subsequent field by a predetermined second weight. It is desirable to reset the value of the pixel by dividing the result by a predetermined consta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월주사 영상 변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변환 장치는 움직임 검출부(200), 보간 방향 결정부(220), 제 1 보간부(230), 제 2 보간부(240), 제 3 보간부(210), 및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2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laced scan image conve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한편, 도 2b 는 도 2a 에 도시된 보간 방향 결정부(220)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로서, 보간 방향 결정부(220)는 수직 차분값 계산부(222), 제 1 차분값 계산부(224), 제 2 차분값 계산부(226), 및 방향 결정부(228)를 포함한다.2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3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월주사 영상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a 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월주사 영상을 순차주사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interlaced scan imag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A, a method of converting an interlaced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progressive scan image will be described.
먼저, 비월 주사된 영상은 움직임 검출부(200)로 입력되고, 움직임 검출부(200)는 움직임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움직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소 배치도인 도 4 를 더 참조하여 움직임 검출부(200)의 동작을 설명한다.First, the interlaced image is input to the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는 입력 필드 영상의 선행 필드 영상과 후행 필드 영상 사이에 화소값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선행 필드 영상들과 후행 필드 영상들의 화소값을 이용해 현재 입력된 필드 영상의 화소에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움직임 검출부(200)는 선행 필드 영상 두 개와 후행 필드 영상 두 개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서, 화소값의 변화정도를 나타내는 값 M 을 구하고, M 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으면 움직임이 없다고 판단하고, M 값이 소정의 임계값 보다 크면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한다.As shown in FIG. 4, since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pixel values between the preceding field image and the trailing field image of the input field image when there is no motion, the pixel values of the preceding field images and the following field images are changed. The metho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motion in the pixel of the currently input field image. The
수학식 1 및 도 4 에서 X 는 현재 입력된 필드 영상에서 보간될 화소를 나타내고, a 내지 x 는 도 4 에 도시된 필드 영상의 화소값을 의미한다.In
움직임 검출부(200)가 입력된 필드 영상의 화소에 움직임이 없다고 판단하면, 제 3 보간부(210)는 입력된 필드 영상의 보간될 화소를 선행 필드 영상의 대응되는 화소로 보간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입력 필드의 보간될 화소값으로 선행 필드의 화소값을 설정한다.If the
이하,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에 대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간 방향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소 배치도인 도 5, 및 제 S320 의 상세 흐름도인 도 3b 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motion is detec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which is a pixel arrangement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polation direction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which is a detailed flowchart of S320.
움직임 검출부(200)가 보간될 화소에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하면, 먼저, 보간 방향 결정부(220)의 수직 차분값 계산부(222)가 보간 방향이 수직방향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다음의 수학식 2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을 방향 결정부(228)로 출력하면, 방향 결정부(228)는 입력된 수직 차분값(vert)을 소정의 임계값(T1)과 비교한다(S321).When the
수학식 2에서 B 및 E 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간될 화소의 상위 및 하위에 있는 화소값을 의미한다.In
방향 결정부(228)는 수직 차분값이 임계값(T1)보다 작으면 수직 방향으로 보간 방향을 결정하여 제 1 보간부(230)로 출력한다(S323).If the vertical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1, the
한편, 수직 차분값이 임계값(T1)보다 크거나 같으면, 방향 결정부(228)는 제 1 차분값 계산부(224)로부터 도 5 에 도시된 제 1 사선 방향의 차분값을 입력받고, 제 2 차분값 계산부(226)로부터 도 5 에 도시된 제 2 사선 방향의 차분값을 입력받아, 다음의 수학식 3 과 같은 Bias 값을 계산한다(S325).On the other hand, when the vertical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1, the
수학식 3 에서 |-B-C+D+E|는 제 1 차분값 계산부(224)로부터 입력된 제 1 사선 방향의 차분값을 나타내고, |-A-B+E+F|는 제 2 차분값 계산부(226)로부터 입력된 제 2 사선 방향의 차분값을 나타낸다.In Equation 3, | -B-C + D + E | represents a difference value in the first diagonal direction input from the first
그 후, 방향 결정부(228)는 입력된 Bias 값이 소정의 임계값(T2)보다 큰지를 조사하고(S327), Bias 값이 임계값(T2)보다 크지 않으면 보간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결정하고(S323), Bias 값이 임계값(T2)보다 크면 Bias 에 따른 사선 방향으로 보간 방향을 결정한다(S329).After that, the
제 S327 단계 및 제 S329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단, 고주파수 성분이 수직방향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즉, 보간될 화소의 상위 화소의 값과 하위 화소의 값간의 차이가 크다고 판단되면, 보간될 화소가 사선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pixel X의 방향을 판단하기 위해, X의 상위 3개의 화소와 하위 3개의 화소의 값을 사용하며 상위 pixel A, B, C의 가중치와, 하위 pixel D, E, F의 값의 가중치의 부호를 반대로 주고 가중치를 곱해서 더한 값으로 방향을 판단한다. 상위 및 하위 주사선에 속한 pixel들의 부호를 다르게 해서 더하는 것의 효과는, 상위 주사선의 어느 한 pixel과 하위 주사선의 어느 한 pixel이 유사한 값일 때 부호를 다르게 해서 더하면 0에 가까운 숫자가 되므로, 전체 더한 값은 작은 값이 되기 때문에, 유사한 값이 없을 경우의 값과 차이가 나서 사선을 검출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는 화소값들간의 차이를 구하는 것과 동일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계산함으로써, 여러 pixel 그룹에서 사선이 나올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상위 주사선과 하위 주사선의 부호를 다르게 해서 더하는 것에 의해 사선을 검출해 낼 수 있다. Steps S327 and S329 are described in detail. O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s pres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e.,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of the upper pixel and the lower pixel of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is large, it should be determined whether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is included in the diagonal region. . As shown in FIG. 5,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pixel X, values of the upper three pixels and the lower three pixels of X are used, and the weights of the upper pixels A, B, and C, and the lower pixels D and E are used. , The sign of the weight of the value of F is reversed, and the direction i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weight. The effect of adding the signs of the pixels belonging to the upper and lower scan lines differently is that when one pixel of the upper scan line and one pixel of the lower scan line have similar values, the different signs add up to a number close to zero, so the total sum is This is because the value is small, so that the diagonal line can be detected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the value when there is no similar value. After all, this is the same as fin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values, and by calculating as described above, the diagonal line is added by differently adding the sign of the upper scan line and the lower scan line without considering the number of all cases where the diagonal lines come out in the various pixel groups. Can be detected.
방향 결정부(228)는 상술한 수학식 3의 Bias 값을 사선 방향을 판단하는데 사용하며, Bias값이 임계값(T2)보다 크면 절대값이 작은 차분값의 방향으로 사선 방향을 결정한다. 즉, Bias> T2 이고 |-B-C+D+E| < |-A-B+E+F|면 제 1 사선 방향(오른쪽 위 왼쪽 아래 방향)으로 사선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B-C+D+E| > |-A-B+E+F| 이면 제 2 사선 방향(왼쪽 위 오른쪽 아래방향)으로 사선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The
화소가 수직방향에 속하는지 또는 사선방향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기존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위 아래 pixel 값의 차의 절대값을 사용하여 그 방향으로 edge가 있는지 판단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pixel 여러 개를 사용하여 한번에 비교하여 다양한 각도의 edge들을 찾아내도록 방향판단을 한다는 데에 장점이 있다. 도 5 의 예에서는 A, B, E, F 를 걸치는 여러 각도의 edge를 한번에 판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사선 검출의 오류로 인해서 발생되는 잡음(artifact)를 줄일 수 있으며, 기존의 방법에 비해 복잡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pixel belongs to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oblique direction, existing methods generally use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xel value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dge in the direction. It is advantageous to make direction determination to find edges of various angles compared to using one at a time. In the example of FIG. 5, edges of various angles covering A, B, E, and F are determined at once.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tifact (artifact) caused by the error of the diagonal detection,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mplexity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보간 방향 결정부(220)로부터 보간 방향을 입력받은 제 1 보간부(230)는 보간 방향에 따른 소정의 공간 필터(spatial filter)를 이용하여 입력 화소를 공간적으로 보간한다(S330).The
도 6 은 결정된 보간 방향에 따라서 현재 입력 필드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공간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소 배치도이다. 제 1 보간부(230)는 보간될 X값을 구할 때, 사선 방향은 low pass filter인 2tab 필터를 사용하고 수직 방향은 high pass filter인 6tab 필터를 사용한다. 공간 필터를 이용하여 보간하는 구체적인 보간 방법을 다음의 수학식 4 내지 6 에 기재하였다.FIG. 6 is a pixel layout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spatial filtering using only information of a current input fiel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terpolation direction. When obtaining the X value to be interpolated, the
수학식 4 내지 6 에서 A 내지 J 값은 도 6 에 도시된 화소의 값이며, 연산자 >> 는 쉬프트 연산자로서, x >> y 함수는 x 값을 2y 로 나누는 함수이다.In Equations 4 to 6, the values A to J are values of the pixel illustrated in FIG. 6, the operator >> is a shift operator, and the x >> y function is a function of dividing the x value by 2 y .
제 1 보간부(230)는 보간 방향 결정부(220)로부터 입력된 보간 방향이 제 1 사선 방향(오른쪽 위 왼쪽 아래방향)인 경우에 수학식 4에 의해 X 값을 계산하고, 보간 방향이 제 2 사선 방향(왼쪽 위 오른쪽 아래방향)일 때는 수학식 5에 의해서 X 값을 계산한다. 또한, 보간 방향이 수직 방향인 경우에는 6 tab으로 필터링하는 수학식 6에 따라서 보간될 화소 X 의 값을 계산한다. The
본 발명에서는, 사선 방향 edge가 있을 때 사선 방향을 살리는 high pass filter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과 달리, 지그재그 현상을 없애기 위해 lowpass filter인 2 tab 필터를 사용하여 smoothing하는 효과를 주었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high pass filter인 6 tab filter를 사용하여 고주파 성분을 살려 주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general method of using a high pass filter that uses the diagonal direction when there is an oblique edge, in order to eliminate the zigzag phenomenon, a smoothing effect is achieved by using a low pass filter, a 2 tab filter, and a high pass in the remaining areas.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was saved by using a 6 tab filter as a filter.
한편, 제 1 보간부(230)로부터 공간적으로 보간된 입력 화소값을 입력받은 제 2 보간부(240)는 전술한 수학식 2에 의해서 계산된 vert 값을 소정의 임계값(T3)과 비교하여 공간적으로 보간된 입력 화소에 수직방향 고주파수 성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40). 제 2 보간부(240)는 vert 값이 임계값(T3)보다 크면 수직방향 고주파수 성분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작으면 없다고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수직방향 고주파수 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수평방향으로 edge가 있는 경우에 해당되고, 이전 필드의 값과 현재 필드의 값이 확연히 틀려 flickering이 생기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시간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보간된 화소값을 재설정한다. 이를 위해서 제 2 보간부(240)는 다음의 수학식 7 을 이용하여 화소값을 재설정한다(S350). If there is a vertical high frequency component, it is an ed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that flickering occurs because the value of the previous field and the current field are clearly different, the spatially interpolated pixel using temporal information Reset the value. To this end, the
본 발명은 상술한 제 S310 단계 내지 제 S350 단계를 입력된 필드 영상의 보간될 모든 화소에 대해서 수행하여, 입력된 필드 영상을 순차 영상으로 변환하고, 출력부(250)는 변환된 순차 영상을 출력한다(S360).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teps S310 to S350 on all the pixels to be interpolated of the input field image, converts the input field image into a sequential image, and the
720*240 사이즈의 비월주사 영상을 720*480의 순차 영상으로 변환한 예들을 도7a 내지 도 7b, 및 도 8a 내지 도 8c 에 각각 도시하였다. Examples of converting an 720 * 240 interlaced image into a 720 * 480 sequential image are shown in FIGS. 7A to 7B and 8A to 8C, respectively.
도 7a는 비월주사된 입력 영상,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해 변환된 순차 영상이고, 도 7c는 종래 기술에 의해서 변환된 순차 영상이다. 도 7c 의 경우는 사람의 오른쪽 팔 부분, 왼쪽 어깨 부분에 지그재그현상이 나타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도 7b 에서는 그 현상이 완화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도 7c 의 경우에는, 탁구대 선 부분이 뭉개져 보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도 7b 에서는 그 현상이 완화된 것을 알 수 있다. 7A is an interlaced input image, FIG. 7B is a sequential image conver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C is a sequential image converted by the prior art. In the case of FIG. 7C, the zigzag phenomenon appears in the right arm part and the left shoulder part of the person, but the phenomenon is alleviated in FIG. 7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 7C, although the line of the table tennis table looks crushed, it can be seen that the phenomenon is alleviated in FIG. 7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마찬가지로, 도 8a 는 비월 주사된 입력 영상을,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해 변환된 순차 영상을, 도 8c 는 종래 기술에 의해서 변환된 순차 영상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 에 도시된 글씨의 사선 부분에 지그재그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8b 에는 지그재그 현상이 완화된 것을 볼 수 있다.Similarly, FIG. 8A illustrates an interlaced input image, FIG. 8B illustrates a sequential image conver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C illustrates a sequential image converted by the prior art. It can be seen that the zigzag phenomenon appears in the oblique portions of the letters shown in Figure 8c, the zigzag phenomenon can be seen in Figure 8b.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간을 수행하고, 움직임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전 필드의 화소값을 그대로 사용하여, 움직임에 적응적으로 원 영상의 손상을 줄이면서 비월 주사된 영상을 순차 주사된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polation is performed on the moving p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terpolated scanned image is adaptively reduced while the damage of the original image is adaptively applied to the moving part by using the pixel value of the previous field as it 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sequentially scanned image.
특히, 화소의 방향 판단시에 잘못된 방향 판단의 가능성을 최대한 줄여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향 결정시 간단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선부분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noise 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false direction determination at the time of pixel direction determin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etect the oblique portion using a simple algorithm when determining the direction.
Claims (2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5885A KR100552685B1 (en) | 2003-08-12 | 2003-08-1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interlaced image into sequential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5885A KR100552685B1 (en) | 2003-08-12 | 2003-08-1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interlaced image into sequential im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9944A KR20050019944A (en) | 2005-03-04 |
KR100552685B1 true KR100552685B1 (en) | 2006-02-20 |
Family
ID=3722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58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2685B1 (en) | 2003-08-12 | 2003-08-1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interlaced image into sequential im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268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2891B1 (en) * | 2005-11-30 | 2007-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Noise Processing Device Using Motion Information and Its Noise Processing Method |
-
2003
- 2003-08-12 KR KR1020030055885A patent/KR10055268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9944A (en) | 2005-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6579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interlacing video signal | |
US7406208B2 (en) | Edge enhancement process and system | |
KR100995398B1 (en) | Global Motion Compensation Sequential Scanning Method Considering Vertical and Horizontal Patterns | |
EP1912172B1 (en) | Interpolation method for a motion compensated image and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of said method | |
US8175417B2 (e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ixel interpolation | |
JP2010147986A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US20060268168A1 (en) | Content adaptive de-interlacing algorithm | |
US868187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 block boundary detection using interpolated autocorrelation | |
EP2107521A2 (en) | Detecting a border region in an image | |
KR100979811B1 (en) | Sequential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Horizontal Edge Patterns | |
US2004012603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quality of reproduced image | |
KR100967521B1 (en) | Deinterla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directional correlation | |
US780855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interlaced image into progressive image | |
US20140327820A1 (en) | Motion vector estimation device, motion vector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for estimating motion vector | |
CN111294545B (en) | Image data interpol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 |
KR10055268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interlaced image into sequential image | |
KR101158847B1 (en) | Deinterla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edge map | |
KR101235488B1 (en) | De-interlacing Apparatus Using Weight Based on Wiener Filt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KR100931110B1 (en) | Deinterla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uzzy rule-based edge recovery algorithm | |
KR10091020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interlacing | |
KR101069712B1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 Field Scan-Line Interpolation Using Weighted Median of Edge Direction | |
KR100874380B1 (en) | Deinterla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modified Sobel operator, and recording medium | |
Park et al. | Covariance-based adaptive deinterlacing method using edge map | |
KR100949137B1 (en) | Image interpolation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 |
KR101192402B1 (en) | Covariance-based adaptive deinterla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hybrid deinterlacing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degree of complex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2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21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