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975B1 - User driven Domain Name Alias Selection Service Method - Google Patents
User driven Domain Name Alias Selection Service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05975B1 KR100505975B1 KR10-2003-0087005A KR20030087005A KR100505975B1 KR 100505975 B1 KR100505975 B1 KR 100505975B1 KR 20030087005 A KR20030087005 A KR 20030087005A KR 100505975 B1 KR100505975 B1 KR 1005059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alias
- name server
- name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워드 서비스라고 불리우는 인터넷 도메인 이름에 대한 별칭 서비스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언어,문자, 나이, 성별, 지역, 관심분야, 비관심분야, 원하지 않는 범주 등의 사용자 개인의 개별적 특성에 알맞도록 자신에게 적합한 별칭 그룹을 선택하게 하고 사용자별로 선택한 카테고리에 의해 별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신이 사용하는 별칭에 대해 처리할 네임 서버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별칭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별칭 DB를 저장하여 인터넷 접근 속도를 빠르게 하며, 외부의 별칭 네임 서버를 거치더라도 별칭 네임 서버에 대한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선택이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의 별칭에 연관된 별칭 또는 키워드를 제시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에 적합한 선택적 별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ive a user a choice about an alias service for an Internet domain name called a keyword service, and the user has his or her language, text, age, gender, region, interests, interests, unwanted categories, etc. To choose the appropriate alias group fo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users of, and to provide alias services by the category selected by the user. The user can select a name server to handle the aliases he uses. It also includes a method that allows users to specify the aliase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by storing an alias DB on the user's device to speed up Internet access, and even through an external alias name server, To make the right choices and to associate By presenting the generic or keyword and includes providing an optional alias service suitable for the user's individual attribut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키워드를 사용하여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키워드 도메인 또는 별칭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흔히 자연어로 구성된 별칭 또는 문장에 IP 주소 또는 URL 형식의 도메인 네임을 쌍으로 저장하고, 별칭이 입력되었을 때 이에 대응하는 IP 주소나 도메인 네임으로 연결시켜주는 서비스를 키워드 도메인(Keyword Domain)이나 키워드 서비스 또는 포워딩 서비스라고 일컫고 있다. 키워드 서비스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마다 자신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목적과 용도는 사용자의 나이, 언어, 지역, 관심 분야 등에 따라 다르며 접근을 원하지 않는 분야도 있을 수 있다. 무수한 한글 주소가 등록되어 있으나 실제 일반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한글 주소나 별칭은 금융회사, 포탈사이트, 관공서 정도로 제한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URL 대신에 별칭이나 한글이름의 사용이 제공하는 편리한 점을 살리고 이와 함께 사용자에게 별칭에 대한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자신이 원하는 사이트로 연결될 가능성을 보다 높이고 인터넷을 별칭으로 접근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치 않는 사이트로의 연결과 같은 부작용이나 명칭의 선점 등으로 인한 사회적 부작용을 줄임과 동시에 인터넷에서 한글의 사용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word domain or an alias service that accesses a website by using a keyword on the Internet. When an alias is input, a domain name in an IP address or URL format is stored in an alias or a sentence composed of natural language. A service that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IP address or domain name is called a keyword domain, a keyword service, or a forwarding service. In the keyword service, the purpose and purpose of using the Internet for each user varies depending on the user's age, language, region, area of interest, and the like, and there may be fields in which the user does not want access. Although numerous Korean addresses are registered, the actual Korean address or alias used by the general public is limited to financial companies, portal sites, and government office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use of aliases or Korean names instead of URLs, and to provide users with a choice of aliases, thereb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each user connecting to their desired site and accessing the Internet as an alias. Therefore, it is to reduce social side effects due to side effects such as connection to unwanted sites or preemption of names, and at the same time, to activate the use of Hangul on the Internet.
본 발명은 기존에 닷네임 표기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메인 이름을 별칭으로 정의하여 포워딩하는 방법에서 사용자들에게 선택권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도 이러한 방식에 대해 도메인 이름을 다른 별칭(Alias)으로 사용하는 '한글주소'나 '키워드 주소 연결 서비스' 등 별칭을 이용한 포워딩 서비스 방식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선행 기술의 예로써 공개번호 특2000-00669913 "인터넷 사이트를 찾아가는 방법 및 장치"를 들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ive users a choice in the method of forwarding a domain name that is being used in the dot-name notation as an alias. In the past, the domain name is used as another alias for such a method. Forwarding service methods using aliases such as 'address' or 'keyword address connection service' are being used. An example of such a prior art is publish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0-00669913 "Method and Apparatus for Visiting an Internet Sit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키워드에 의한 사이트의 연결 방식은 키워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주도하는 것으로 키워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언어, 문자, 지역, 나이, 관심분야, 비관심분야에 따른 특성화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으며 키워드 그룹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가 직접 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such a method of linking sites by keywords is led by a company providing a keyword service. A user who wants to use a keyword can use a specialized service according to his / her language, text, region, age, interest, and uninterested field. There was a discomfort that the user could not be provided and the user could not directly select the keyword group.
현재 공지 또는 실시중인 키워드 서비스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키워드 서비스들은 서비스 제공 회사가 사용자의 연령층이나 관심분야 등을 고려하지 않고 서비스 회사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별칭 사이트로의 연결이어서 이로 인해 경쟁 업체에 의한 선점, 일반 명사의 경매, 유명인의 이름으로 상업적 사이트 연결 등 각종 권리침해나 부작용이 발생할 소지가 많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대와는 무관한 사이트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업체가 주도하는 기존의 별칭 서비스와 달리 도메인 이름의 별칭에 대해 사용자별로 별칭이나 별칭의 네임 서버에 대한 선택권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보급과 사용이 일반화된 요즘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 용도나 연령대 및 특성이 훨씬 다양해졌고 이러한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키워드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There are various ways of presenting or executing keyword services. However, these existing keyword services are linked to alias sites provided by the service company unilaterally without considering the user's age group or interests. There are many possible infringement or side effects such as preemption, general auction, and linking to a commercial site under the name of a celebrity, and the user may be connected to a site irrelevant to the expectation.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alias service led by the service provider, the user is required to select the alias or the name server of the alias for each user of the alias of the domain name. In addition, in recent years when the Internet is widely used and used, users have much more diversified uses, 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an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keyword servic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본 발명이 도메인 이름에 대한 기존의 별칭 서비스나 포워딩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별칭을 용도, 연령, 주된 사용 분야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며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사항을 특정한 ISP 업체의 네임 서버에 의하지 않고 자신이 지정하는 별칭에 대한 네임 서버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자주 사용하는 별칭을 자신의 단말기에 별칭 DB로 저장하여 외부의 네임 서버를 거치지 않고서도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로 특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lias service or forwarding service for the domain name, except that the user selectively accepts and uses the alias that he / she wants to use according to the purpose, age, main field of use, and the like. You can use the name server for the alias you designate without selecting the name server of the specific ISP company. Also, you can save the frequently used alias as an alias DB on your device and use it quickly without going through an external name server. It can provide services specialized for each user.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사이트를 여러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열거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특성 항목에 따라 네임 서버마다 서로 특성 항목에 따라 분류된 별칭 DB를 로딩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에게 키워드 네임 서버에 대한 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네임 서버별로 특성화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In order to give users a choice, they need to be able to categorize and list Internet sit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characteristic item, each name server must load the alias DB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perty item and present it to the user to give the user the option of keyword name server. Must be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은 인터넷으로 연결된 자원을 지정하여 접근하는 방식으로 URL이나 닷네임 표기 방식 대신 별칭에 의해 접근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 웹 사이트들의 별칭에 대한 리스트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각각을 지역, 나이, 사용 언어, 사용 문자, 직업, 관심 분야, 비관심 분야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하는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생성된 리스트를 각각의 네임 서버의 별칭 DB에 로딩하는 제 2 단계, 각각의 네임 서버들에 로딩되어 있는 별칭 DB의 카테고리가 포함하고 있는 카테고리 항목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특성 항목 또는 취향에 적합한 네임 서버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 3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네임 서버 정보를 사용자의 식별자와 함께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외부의 네임 서버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사용자가 인터넷으로 연결된 자원을 접근하기 위하여 별칭을 입력하였을 때, 사용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네임 서버 정보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사용자의 네임 서버에게 입력된 사용자의 별칭에 매핑되는 URL 또는 IP 주소를 질의하는 제 6 단계, 추출된 URL 또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터넷 툴을 구동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사용자의 별칭 DB 선택에 따라 사용자별로 각각 특성화된 별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형 도메인 이름 별칭 서비스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classifies a list of aliases of Internet web sites in a keyword domain service accessed by an alias instead of a URL or dot name notation as a method of designating and accessing resour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first step of creating a list by categorizing into categories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languages, language used, occupation, interests, and interests, and loading the generated list into an alias DB of each name server. In the third step, the user selects a name server suitable for his characteristic item or taste by presenting it to the user by the category item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alias DB loaded in each name server. Name server information along with the user's identifier A fourth step of storing in the user; a fifth step of extracting name server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using the user's identifier when the user inputs an alias to access a resource connected to the Internet; A sixth step of querying a URL or an IP address mapped to an alias of a; and a seventh step of driving a user's Internet tool using the extracted URL or IP address; and according to the user's alias DB sel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characteristic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selectable domain name alias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user-defined alias service for each user.
상기한 구성에서는 제 5 단계와 6 단계에서는 외부의 네임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별칭에 대한 질의를 거치기 이전에 사용자의 단말기에 이미 별칭 DB가 로딩되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기에 별칭 DB가 저장되어 있다면 사용자의 단말기에 위치한 별칭을 우선적으로 검색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별칭 정의를 검색하는 것이 외부의 서버를 통해 별칭을 질의하는 것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in steps 5 and 6,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alias DB is already loaded on the user's terminal before going through the external name server to query the user's alias, and the alias DB is stored on the user's terminal. If so, the alias located in the user's terminal should be searched first. This is because retrieving an alias definition through the user's terminal is faster than querying the alias through an external server.
단계 4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마다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별칭을 질의할 때 사용자의 식별자 정보를 별칭과 함께 질의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자신이 선택한 별칭 네임 리스트에서 별칭을 질의할 수 있게 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UC)은 단말기에서 별칭을 질의하는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식별자를 먼저 확인하고 해당 식별자에 매핑되는 별칭 DB를 검색하며 외부의 네임 서버를 통해 별칭을 질의하는 경우 사용자의 식별자 번호를 별칭과 함께 질의어를 구성하여 네임 서버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별칭의 URL 또는 IP 주소를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식별자는 가정에서의 데스크 탑과 같이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단말기에서 별칭 DB를 검색하는 경우에도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의 비관심분야를 지정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성격의 웹 사이트를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In step 4, in order to save the user's selection, each user is given a unique identifier, and when querying the user's alias, the user's identifier information can be queried along with the alias so that each user can query the alias from a list of alias names selected by the user. do. Similarly, when querying an alias from a terminal, the client program (UC) first checks the identifier of the user, searches the alias DB mapped to the identifier, and aliases the identifier number of the user when querying the alias through an external name server. In addition, by constructing a query and sending it to the name server, you can look up the URL or IP address of the alias according to the user's characteristics. Since the user's identifier may be used by several people, such as a desktop at home, it is also necessary when searching for an alias DB on a terminal. In addition, by designating a user's uninterested field, the user may have an effect of blocking a web site of which the user does not want.
상기한 구성 내용에 의하면 제 3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별칭의 그룹을 토대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사용자별로 별칭 DB(UD1)가 생성된다. 이 사항을 사용자가 자신의 도메인 이름의 별칭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려면 사용자의 단말기나 외부의 서버에 사용자가 선택한 별칭을 DB 형태로 저장하여야 하며 이들 두 가지 방식 모두 사용자의 단말기 측에 위치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입력하는 별칭에 해당하는 실제 도메인 이름을 조회하고 이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구동 시키는 소프트웨어가 필요로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lias DB UD1 is generated for each user in the terminal of the user based on the group of aliase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third step. If you want to apply this as an alias of your domain name, you should save the alias you select in DB form on your terminal or external server. Both of these methods are located on your terminal. You need software that searches the actual domain name corresponding to the alias entered by the user and runs the web browser using it.
본 발명에서는 의미를 보다 단순화하기 위하여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클라이언트' 라고 칭하고 클라이언트(UC1)의 별칭 질의에 대해 별칭 DB를 조회하여 실제 도메인 이름을 응답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서버'라고 칭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별칭들에 대해서만 '별칭 DB' 라고 칭한다. 별칭 DB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으며 별칭 DB의 수집과 생성 및 분류하는 기준은 공공 단체나 유관 단체의 추천 등을 반영하여 별칭 DB의 필드에 연관성, 추천 여부, 유해성, 제한 연령, 상업성, 등의 카테고리 구분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implify the meaning, such software is called 'client', and the role of answering the actual domain name by querying the alias DB for the alias query of the client (UC1) is called the 'server'. Only aliases are called 'alias DB'. The alias DB can be stored and presented to the user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The criteria for collecting, creating, and classifying the alias DB reflect the recommendation of public organizations or related organizations, etc. It is desirable to add category categories such as hazard, age limit, and commerciality.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사항을 보다 간략히 나타내면, 사용자측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처리하는 루틴이 있으며 입력된 문자열이 별칭으로 판단되면 클라이언트(UC1)에게 전송하며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측의 단말기나 사용자가 지정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범위의 사이트들이 정의된 사용자별로 선택된 별칭 DB에서 대응되는 실제 도메인 이름을 조회해서 가져온 후 이를 처음의 문자열 처리 루틴으로 넘겨준다. More brief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has a routine for processing a string input by the user, and if the input string is determined to be an alias, i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UC1, and the client is a terminal of the user or a server designated by the user. Sites in the user's pre-selected range stored in the database are searched and retrieved from the alias DB selected by the defined user, and then passed to the first string processing routine.
문자열 처리 루틴은 사용자가 인터넷 주소 창에 입력한 문자열이 별칭이라 판단되는 순간에 클라이언트(UC1)에게 전송해서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단말기의 별칭 DB(UD1)를 조회해서 넘겨주는 실제 도메인 이름으로 원래의 문자열을 치환하여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킨다. The string processing routine sends the original string to the actual domain name that is sent to the client UC1 when the string entered in the Internet address window is determined to be an alias, and the client inquires and passes the alias DB (UD1) of the user terminal. Replace it to start your web browser.
상기한 방식에 의하면 별칭을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한 문자열 처리 루틴은 클라이언트(UC1)의 기능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자 입력 문자열을 가로채기하여 닷 네임 표기 방식의 일반적인 도메인 이름이면 클라이언트(UC1)가 처리하지 않고 원래의 웹 브라우저에게 문자열을 넘기지만 닷 네임이 아닌 경우 사용자가 이에 대한 처리를 어떻게 정의하였는지에 따라 검색엔진을 통한 검색을 수행하거나 별칭 네임 DB를 조회하게 된다. 클라이언트(UC1)가 문자열을 별칭으로 처리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단말기 내부에 사용자별로 정의된 별칭 DB를 조회하여 별칭에 해당하는 도메인 이름으로 치환하며 사용자 별칭 DB에 없는 경우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외부의 별칭 네임 서버(AG)를 통해 별칭에 대한 실제 도메인 이름을 조회하여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킨다.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the string processing routine located at the user terminal in using an alias is included in the function of the client UC1. If the user input string is intercepted and the general domain name of the dot name notation method is used, the client UC1 is used. If you do not process and pass the string to the original web browser, but it is not a dot name, the search is performed through the search engine or the alias name DB is searched depending on how the user defined the processing. When the client UC1 treats a string as an alias, it first searches for an alias DB defined for each user inside the terminal and replaces it with a domain name corresponding to the alias. If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user alias DB, an external alias name predefined by the user The server (AG) is used to look up the actual domain name for the alias to run the web browser.
여기에서 한 단계를 추가하여 외부의 별칭 네임 서버(AG)를 통해 조회된 값은 사용자의 별칭 DB(UD1)에 추가한다. 만약 한 개의 별칭에 대해 여러개의 정의가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출력하고 선택을 하게 하며 선택된 한개의 사이트 정의만이 사용자의 단말기에 있는 사용자 별칭 DB(UD1)에 추가된다. In this step, a value added through an external alias name server (AG) is added to the user's alias DB (UD1). If there are several definitions for one alias, the user can output it and make a selection, and only one selected site definition is added to the user alias DB (UD1) in the user's terminal.
만약 사용자가 지정한 외부의 네임 서버(AG)에도 해당 별칭이 없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네임 서버(AG)에 있는 유관 별칭에 대한 사이트와 간단한 설명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돕는다. 별칭은 DB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하는 방법과 함께 외부의 네임 서버(A1)에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If the external name server (AG) specified by the user does not have a corresponding alias, the client helps the user to select a site and a brief description of the related alias in the name server (AG). The alias is stored in the name server A1 as well as the DB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별칭을 닷 네임 표기 대신 표지어로써 별명을 정의하는 포워딩 서비스 방식으로 보는 것이며 별칭에 의한 인터넷 자원의 접근에 있어서 사용자별로 선택권을 부여하여 특성화된 네임 서버의 별칭 DB에 따라 보다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며 이를 통하여 별칭에 의해 접근하는 자원에 대한 사용자의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The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ok at the alias as a forwarding service that defines the alias as a cover word instead of the dot name notation. It provides a suitable service, which can increase the level of user's expectation for resources accessed by aliases.
별칭은 도메인 이름의 단축 형태로 볼 때 사용자 별로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 범주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그룹에 맞게 재단된 별칭 네임 서버(A1)가 필요한 것이며 이러한 요구를 충족 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별칭 네임 서버의 선택권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 자신이 인터넷 활용 목적이나 연령을 고려하여 자주 사용하는 별칭의 정의를 사용자 단말기에 별칭 DB(UD1)로 구성해 놓으면 기대하는 사이트로의 연결 가능성도 높아지며 연결의 속도도 더욱 빠르게 된다.Aliases are shorthand for domain names, so different site categories are used by different users, so you need an alias name server (A1) tailored to your group of users, which gives users the choice of alias name servers. In addition, if the user uses the alias DB (UD1) in the user terminal, the definition of the alias that is frequent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Internet or the age of the user himself is increased, and the connection speed is faster. .
별칭의 저장과 접근에 필요한 기술은 어려운 사항이 아니며 오히려 사회적인 측면, 즉 서비스 업체의 일방적 연결이 아닌 사용자의 선택권을 부여한다는 점이며 기존의 포워딩 서비스나 키워드 연결 서비스들이 제공하지 못했던 사용자의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발명의 청구항을 비켜가는 다른 유사한 방식들로 부터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The technology required for storing and accessing aliases is not difficult, but rather the social aspect, which gives the user a choice rather than a unilateral connection of the service provider, and gives the user a choice that the existing forwarding service or keyword linking service could not provide. It is intended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be protected from other similar ways that deviate from the claims of the invention.
기업체에서는 업무상 주로 사용하는 분야에 대한 사이트들이 있으며 또한 회사의 보안이나 업무의 성격상 연결을 차단해야 할 사이트들도 있을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들에 있어서도 개개인의 연령이나 인터넷 활용 용도에 따라 연결을 기대하는 분야의 사이트와 함께 연결을 원하지 않는 범주의 사이트들도 있을 수 있다. 도메인 이름의 표기에서 닷 표기법 대신 별칭의 사용은 인터넷 초심자나 어린 학생들에게 보다 편리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서비스 회사의 일방적인 별칭등록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사이트로의 연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의 별칭 DB를 이용하여 사이트 연결속도가 빨라진다.There are sites that are mainly used by businesses in the field of business, and there may be sites that need to block the connection due to the security of the company or the nature of the work. Also, general users may be expected to connect according to their age and usage of the Internet. There may be other categories of sites that you do not want to link with the sites in the field. The use of aliases instead of the dot notation in domain name notation can be more convenient for beginners and younger students on the Internet. By giving users the choice of options, the side effects of unilateral aliasing of service companies can be reduced and users can access the desired site. It can increase the connectivity and speed up the site connection by using the alias DB of the user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이 제시하는 사용자 선택형 별칭 서비스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flow of a user-selectable alias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기존의 닷 네임 서버 그룹과 함께 사용자별로 단말기에 직접 별칭 DB 가 배치되고 외부의 별칭 네임 서버 그룹을 연결한 모습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lias DB disposed directly on a terminal for each user along with an existing dot name server group and connecting an external alias name server group.
UG : 사용자 그룹UG: user group
AG :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연결된 외부의 별칭 네임 서버 그룹AG: Alias name server group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Internet
DG :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연결된 기존 닷 네임 서버 그룹DG: Existing dot name server group connected to user terminal and internet
UC1 : 사용자 단말기에 있는 클라이언트UC1: Client on User Terminal
UD1 : 사용자 단말기에 있는 사용자별 별칭 DBUD1: Alias DB by user in user terminal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7005A KR100505975B1 (en) | 2003-12-03 | 2003-12-03 | User driven Domain Name Alias Selection Service Method |
US10/596,136 US20080281816A1 (en) | 2003-12-01 | 2004-11-30 | Dynamic Keywor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User Oriented Internet Navigation |
CN200480041182.1A CN1922606B (en) | 2003-12-01 | 2004-11-30 | For dynamic keyword processing system and the method for user oriented internet navigation |
PCT/KR2004/003126 WO2005055090A1 (en) | 2003-12-01 | 2004-11-30 | Dynamic keywor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user oriented internet navig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7005A KR100505975B1 (en) | 2003-12-03 | 2003-12-03 | User driven Domain Name Alias Selection Service Method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4740A Division KR20050054486A (en) | 2005-02-22 | 2005-02-22 | User driven domain name alias selection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
KR1020050039537A Division KR20050053563A (en) | 2005-05-11 | 2005-05-11 | User driven domain name alias selection servic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3790A KR20040053790A (en) | 2004-06-24 |
KR100505975B1 true KR100505975B1 (en) | 2005-08-03 |
Family
ID=3734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7005A Expired - Lifetime KR100505975B1 (en) | 2003-12-01 | 2003-12-03 | User driven Domain Name Alias Selection Service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05975B1 (en) |
-
2003
- 2003-12-03 KR KR10-2003-0087005A patent/KR10050597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3790A (en) | 2004-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76830C (en) | A network resource retrieval method and system | |
US9613149B2 (en) | Automatic mapping of a location identifier pattern of an object to a semantic type using object metadata | |
US8849796B2 (en) | Search system using search subdomain and hints to subdomains in search query statements and sponsored results on a subdomain-by-subdomain basis | |
US8204881B2 (en) | Information search, retrieval and distillation into knowledge objects | |
US8751466B1 (en) | Customizable answer engine implemented by user-defined plug-ins | |
CN100440224C (en) | An automatic processing method for search engine performance evaluation | |
US20090006388A1 (en) | Search result ranking | |
US2005009120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readability of an automatically machine-generated summary | |
US20090019033A1 (en) |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device, method and recorded medium | |
US20100125781A1 (en) | Page generation by keyword | |
CN101542482A (en) | Bookmarks and Ranking | |
GB2368424A (en) | Processing unit for sharing queries | |
KR100434902B1 (en) | Knowledge base custom made information offer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 |
US2019010239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solving search queries that are inclined towards social activities | |
US20080281811A1 (en) | Method of Obtaining a Representation of a Text | |
KR100913733B1 (en) | How to provide search results using a template | |
CN101133415A (en) | Serv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search service using page set | |
WO200105590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bookmark management and analysis | |
CN101681370A (en) | Combined personal and community lists | |
KR100505975B1 (en) | User driven Domain Name Alias Selection Service Method | |
JP2007207202A (en) |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web log | |
US20110072038A1 (en) | Web site with content based on referring link information | |
JP2001357055A (e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ookmark | |
KR20090095939A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earch Result and Recording Medium | |
KR20050053563A (en) | User driven domain name alias selection servic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504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8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2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51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O035 |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 ||
PO0301 | Opposi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51027 Opposition date: 20051027 Opposition identifier: 102005000247 Registration number: 1005059750000 |
|
O132 |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 ||
PO1301 | Decision on opposition |
Comment text: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9 Patent event code: PO13011S01D |
|
O074 |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 ||
PO0702 |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
Patent event code: PO07021S01D Patent event date: 20060704 Comment tex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7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4060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