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3883B1 -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883B1
KR100493883B1 KR10-2003-0000058A KR20030000058A KR100493883B1 KR 100493883 B1 KR100493883 B1 KR 100493883B1 KR 20030000058 A KR20030000058 A KR 20030000058A KR 100493883 B1 KR100493883 B1 KR 10049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home network
controlled device
server
f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2268A (ko
Inventor
육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883B1/ko
Priority to JP2003348514A priority patent/JP2004213612A/ja
Priority to US10/685,407 priority patent/US8707295B2/en
Priority to CNB2003101024306A priority patent/CN1288555C/zh
Publication of KR2004006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883B1/ko
Priority to US12/551,656 priority patent/US8677350B2/en
Priority to JP2009258349A priority patent/JP2010061683A/ja
Priority to US14/189,886 priority patent/US9038061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제어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피제어기기의 기능을 동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기기인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여러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를 통합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탑재하고, 상기 프레임워크에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와 여러 종류의 디바이스를 액세스하기 위한 미들웨어 서비스를 번들로 제공함으로써,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운영 체제에 관계없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제어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제어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피제어기기의 기능을 동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에서 PC, 주변기기,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하는 시스템으로서,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성 방법으로는 분산되어 있는 가정내의 기기들에 미들웨어(middleware)라 불리우는 공통의 가상 컴퓨팅환경을 구축하고 그 위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는데, 미들웨어란 홈네트워크내에서 여러 기기들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제안된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로는 HAVi(Home AV 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Jini, HWW(Home Wide Web) 등이 있다.
그러나, 가전기기의 기능이 더 우수해지고 더 복잡해짐에 따라, 가전기기 구매시 제공되었던 애플리케이션 외에 가장 최근의 애플리케이션 설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TV가 고급 사운드 포맷(예를 들어, 서라운드 사운드, 스테레오 등)을 지원할지라도 성능이 낮은 튜너가 그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고급 사운드 포맷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위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일례로 국내 공개특허 2000-7007449호(발명의 명칭: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 및 이에 관련된 제어 방법)에는 피제어기기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될 때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업데이트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보다 우수한 성능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IEEE 1394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실행할 수 있는 제어기기인 FAV(Full AV Device)와 피제어기기인 BAV(Base AV Device)가 상호 접속된 HAVi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IEEE 1394는 가정내의 여러 가전기기들을 연결하기 위한 고성능 직렬 버스(인터페이스)이고, DCM(Device Control Module)은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컴퍼넌트, 즉,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할 때 필요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인데, 상기 DCM은 DCM의 바이트코드를 설치(install)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FAV내에 DCM이 존재해야 하며, DCM의 바이트코드는 BAV내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다른 위치, 예를 들면 인터넷상의 파일서버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M의 바이트코드(121)가 BAV(120)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 FAV(110)는 BAV(120)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면 BAV(120)의 메모리로부터 DCM의 바이트코드(121)를 로딩하여 설치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M 바이트코드(231)가 파일서버(2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FAV(210)는 BAV(220)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면 BAV(220)의 메모리로부터 DCM의 URL(221)을 읽어 이 URL에 따라 파일서버(230)로부터 DCM의 바이트코드(231)를 로딩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설치 방법은, 핫 플러그-앤-플레이를 지원하는 IEEE 1394 상에서만 동작 가능하기 때문에 IEEE 1394 기술에 기반을 둔 HAVi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이 제한되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의 주체가 FAV로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BAV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설치와 관리 작업으로 인하여 FAV에 부하가 많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FAV는 BAV의 최초 연결시 한번만 DCM을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비스는 제공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미들웨어에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기기와 피제어기기 모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피제어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피제어기기의 기능을 동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피제어기기와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여러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를 통합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통해 상기 피제어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은, 여러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를 통합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가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제어하여 피제어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피제어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는 HAVi, UPnP, Jini, HW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는 OSGi 프레임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는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와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기기와 피제어기기 중 어느 디바이스가 애플리케이션 관리의 주체가 되느냐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는데,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은 제어기기인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주체가 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풀(Pull) 방식과, 피제어기기가 주체가 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피제어기기 푸쉬(Push) 방식으로 나눌수 있다.
우선,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주체가 되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풀(Pull)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300)은 애플리케이션 서버(310), 피제어기기(320), 및 파일서버(330)를 포함하며,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와 피제어기기(320)는 홈네트워크(34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는 피제어기기(320)와의 통신을 위한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311), 파일서버(33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파일(331)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312), 및 상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311)과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3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314)을 포함하는데,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에는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프레임워크(313)가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311)과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312)은 OSGi 프레임워크(313)에 번들 형식으로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에 OSGi 프레임워크(313)를 탑재하고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311)과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312)을 OSGi 프레임워크(313)에 번들 형식으로 포함시키는 이유는, 미들웨어에 독립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인데,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OSGi 프레임워크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가정을 디지털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양한 응용분야 및 생활환경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그 구현 방식에 있어서 몇 가지 제약조건이 따른다.
즉, 홈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컴퓨터/프린터/팩스와 같은 정보 가전기기, TV/오디오/비디오/DVD와 같은 AV 가전기기, 조명/도어락/에어콘/세탁기와 같은 제어 가전기기 등 서로 다른 분야의 가전기기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가전기기는 전력선(PLC),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IEEE 1394 등 서로 다른 통신 매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위해서는 여러 가전기기와 모두 호환이 가능한 방식으로, 다시 말하면 여러 종류의 미들웨어에 독립적으로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구현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운영 체제 등에 관계없이 원만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에 OSGi 프레임워크(313)를 탑재하고, OSGi 프레임워크(313)에 여러 종류의 디바이스를 액세스하기 위한 미들웨어 서비스를 번들 기능으로 제공함으로써, 미들웨어에 독립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는 홈네트워크 기기에 새로운 서비스를 동적으로 설치 실행할 수 있는 규격으로, UPnP, Jini, LonTalk 등과 같은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간에 연동성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미들웨어를 사용하는 디바이스간에 상호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OSGi 기술은 2001년 10월 OSGi에 의해 발표된 문서, "OSGi Service Platform release 2"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피제어기기(32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10)와의 통신을 위한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321)과, 설치할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 정보(322)를 포함하며, 파일서버(330)에는 가정내에 있는 모든 가전기기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파일(331)이 저장되어 있다.
즉, 홈네트워크(340)에 피제어기기(320)가 연결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310)는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311)을 통해 피제어기기(320)가 연결된 것을 감지하며, 피제어기기(320)로부터 설치할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322)를 추출하여,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312)을 통해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322)에 따라 파일서버(330)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도 4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풀(Pull) 방식으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실제 적용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400)은 애플리케이션 서버(410), 피제어기기(420), 및 파일서버(430)를 포함하며, 애플리케이션 서버(410)와 피제어기기(420)는 홈네트워크(44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410)는 UPnP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PnP CP 번들(411), 파일서버(43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HTTP 웹서버 번들(412), 및 상기 UPnP CP 번들(411)과 HTTP 웹서버 번들(4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414)을 포함하는데, 상기 UPnP CP 번들(411)과 HTTP 웹서버 번들(412)은 OSGi 프레임워크(413)에 번들 형식으로 포함되어 있다.
피제어기기(42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410)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애플리케이션 서버(410)의 명령을 받는 UPnP CD 스택(421)과, 피제어기기(420)의 구동을 위한 디바이스 디스크립션(Device Description)(422)을 포함하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422)에는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예를 들면, 드라이버의 URL)(423)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UPnP는 기존의 PC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던 플러그-앤-플레이의 개념을 확장시켜, PC 주변기기 뿐만 아니라 댁내의 모든 장치들을 설치와 동시에 별도의 설정 없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로서, UPnP 장치를 논리적으로 구분하면, 홈네트워크에서의 역할에 따라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게 되는 클라이언트인 CP(Control Point)와, 상기 CP와 통신이 가능한 장치 및 소프트웨어인 CD(Controled device)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서비스를 요청한 쪽이 CP로 동작되고 다른 한쪽은 CD로 동작되며, CP는 UPnP 네트워크상에서 UPnP 장치를 서치하거나 UPnP 장치가 새로 네트워크에 접속되거나 제거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버(410)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414)은 피제어기기(420)가 연결되면 UPnP CP 번들(411)을 통해 피제어기기(420)로부터 설치할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423)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423)에 따라 HTTP 웹서버 번들(412)을 통해 파일서버(430)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 파일(431)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도록 제어하는데, 애플리케이션 서버(410)가 주체가 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7에 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풀(Pull) 방식 외에 피제어기기 푸쉬(Push)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하 피제어기기 푸쉬(Push)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제어기기 푸쉬(Push)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500)은, 도 3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풀(Pull) 방식과 비교하여, 피제어기기(520)에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522)이 포함되어 있고, 애플리케이션 서버(510)에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514)이 포함되어 있다.
홈네트워크(540)에 피제어기기(520)가 연결되면, 피제어기기(520)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522)은 애플리케이션 서버(510)의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514)을 제어하여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데,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522)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를 결정한 후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514)에게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것을 요청하며, 이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514)은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512)을 제어하여 파일서버(530)로부터 가전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파일(531)을 다운로드한 후,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피제어기기(520)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522)은 이미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삭제 또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514)에게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업데이트할 것을 요청하며, 이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514)은 애플리케이션 서버(510)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업데이트한 후 수행 결과를 피제어기기(520)에게 통지한다.
도 6은 피제어기기 푸쉬(Push) 방식으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실제 적용예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610)는, 피제어기기(620)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피제어기기(620)의 명령을 받는 UPnP CD 번들(611)과, 파일서버(63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파일(631)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HTTP 웹서버 번들(612)과, 피제어기기(62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614)을 포함하는데, 상기 UPnP CD 번들(611)과 HTTP 웹서버 번들(612)은 OSGi 프레임워크(613)에 번들 형식으로 포함되어 있다.
피제어기기(62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610)에게 애플리케이션 관리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UPnP CP 스택(621)과, 애플리케이션 관리와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622)을 포함하는데, 피제어기기 푸쉬(Push)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8에 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주체가 되어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풀(Pull)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풀(Pull)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흐름도로서,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와 같이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예로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풀(Pull)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피제어기기(420)가 홈네트워크(440)에 연결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410)내의 UPnP CP 번들(411)은 피제어기기(420)가 연결된 것을 감지하여, 이벤트 메커니즘(eventing mechanism)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414)에게 피제어기기(420)의 출현을 알린다(S710).
그 다음, UPnP CP 번들(411)이 피제어기기(420)의 디바이스 디스크립션(Device Description)(422)을 분석하여,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예를 들면, 드라이버의 URL 정보)(423)를 추출한 후, 이를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414)로 전달한다(S720).
그 다음,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414)은 UPnP CP 번들(411)로부터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423)에 따라 HTTP 웹서버 번들(412)을 제어하여 파일서버(430)로부터 피제어기기(420)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파일(431)을 다운로드하며(S730),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 해당 애플리케이션 파일(431)을 실행시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740).
그 다음,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414)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피제어기기(420)를 제어하는데(S750),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기능을 가진 TV에서 프린터 출력 기능을 사용하거나 오디오의 전원을 끄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피제어기기가 주체가 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피제어기기 푸쉬(Push)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피제어기기 푸쉬(Push)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흐름도로서,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6과 같이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예로 들어 피제어기기 푸쉬(Push)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홈네트워크(640)에 피제어기기(620)가 연결되면, 피제어기기(620)의 UPnP CP 스택(621)은 애플리케이션 서버(610)의 UPnP CD 번들(611)과의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614)을 가진 애플리케이션 서버(610)가 홈네트워크(64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서치한다(S810).
이 때,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614)을 가진 애플리케이션 서버(610)가 홈네트워크(640)에 연결되어 있으면, 피제어기기(620)의 UPnP CP 스택(621)은 이벤트 메커니즘(eventing mechanism)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622)에게 애플리케이션 서버(610)의 출현을 알린다.
그 다음, 피제어기기(620)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622)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필요한지를 판단하여(S820),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할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를 결정한 후,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614)에게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것을 요청한다(S830).
그 다음,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614)은 요청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명령에 따라 HTTP 웹서버 번들(612)을 제어하여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며(S840),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실행시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850).
이러한 피제어기기(620)의 제어 과정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버(61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피제어기기(620)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622)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홈네트워크(640)에 연결된 피제어기기(620)를 제어한다(S860).
한편,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622)은 기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삭제 또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614)에게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업데이트할 것을 요청하며, 이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614)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수행 결과를 피제어기기(620)에게 통지한다(S870~S88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미들웨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피제어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피제어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피제어기기의 기능을 동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피제어기기 모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연산능력이 낮거나 추가적인 업그레이드 서비스가 필요없는 가전기기를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풀 방식을 이용하고, 연산능력이 우수하거나 다양하고 지속적인 애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서비스가 필요한 가전기기를 위해서는 피제어기기 푸쉬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파일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애플리케이션 파일이 저장된 위치는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이 지원하는 서비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제어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시점은 피제어기기가 연결되는 시점으로 설명하였지만,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시점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위한 미들웨어로 UPnP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Jini, CORBA, DCOM과 같은 미들웨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설치 기술은 OSGi, 자바빈스(Java beans)와 같은 자바 관련 플랫폼 방식 혹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나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의 로딩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홈네트워크 미들웨어에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가전기기의 기능을 동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인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비스나 사용자 가정의 홈네트워크 특성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기기가 단순 기능으로 구현된 경우라도 피제어기기를 통해서도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기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실제 적용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의 실제 적용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FAV 120, 220...BAV
140, 240, 340, 440, 540, 640...홈네트워크
230, 330, 430, 530, 630...파일서버
250, 350, 450, 550, 650...인터넷망
310, 410, 510, 610...애플리케이션 서버
313, 413, 513, 613...OSGi 프레임워크
314, 414, 522, 622...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
320, 420, 520, 620...피제어기기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다수의 피제어기기와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기기는 설치할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파일은 파일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피제어기기의 연결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피제어기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여러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를 통합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통해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파일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는,
    HAVi, UPnP, Jini, HW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는 OSGi 프레임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기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피제어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피제어기기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파일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
    상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은,
    상기 프레임워크에 번들 형식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다수의 피제어기기와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는 여러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를 통합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가 탑재되고,
    상기 피제어기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서치하며, 서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피제어기기의 제어에 따라 파일서버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며,
    상기 피제어기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피제어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는,
    HAVi, UPnP, Jini, HW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는 OSGi 프레임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피제어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
    상기 피제어기기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파일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
    상기 피제어기기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로더 모듈은,
    상기 프레임워크에 번들 형식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기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모듈;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제어하여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기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다운로드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17. 삭제
  18. 다수의 피제어기기와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에 있어서,
    여러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를 통합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가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피제어기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감지된 피제어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 따라 파일서버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실행시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는,
    HAVi, UPnP, Jini, HW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는 OSGi 프레임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는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와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기기는 애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파일은 인터넷상의 파일서버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정지, 삭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4. 삭제
  25. 다수의 피제어기기와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기기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서비스를 가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서치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기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요청에 따라 파일서버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및
    상기 피제어기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는 여러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를 통합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는,
    HAVi, UPnP, Jini, HW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는 OSGi 프레임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는 피제어기기 액세스 서비스와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정지, 삭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KR10-2003-0000058A 2003-01-02 2003-01-02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49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058A KR100493883B1 (ko) 2003-01-02 2003-01-02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3348514A JP2004213612A (ja) 2003-01-02 2003-10-07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10/685,407 US8707295B2 (en) 2003-01-02 2003-10-16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application or software component for use in a device to be controlled in a home network
CNB2003101024306A CN1288555C (zh) 2003-01-02 2003-10-20 管理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US12/551,656 US8677350B2 (en) 2003-01-02 2009-09-01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application or software component for use in a device to be controlled in a home network
JP2009258349A JP2010061683A (ja) 2003-01-02 2009-11-11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14/189,886 US9038061B2 (en) 2003-01-02 2014-02-2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application or software component for use in a device to be controlled in a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058A KR100493883B1 (ko) 2003-01-02 2003-01-02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268A KR20040062268A (ko) 2004-07-07
KR100493883B1 true KR100493883B1 (ko) 2005-06-10

Family

ID=3270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058A Expired - Lifetime KR100493883B1 (ko) 2003-01-02 2003-01-02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8707295B2 (ko)
JP (2) JP2004213612A (ko)
KR (1) KR100493883B1 (ko)
CN (1) CN128855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117B1 (ko) 2006-07-25 2013-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유 네트워크 환경에서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서비스를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883B1 (ko) 2003-01-02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GB2399660A (en) * 2003-03-20 2004-09-22 Oxford Semiconductor Ltd Upgrading networked devices
US8302111B2 (en) 2003-11-24 2012-10-30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hardware registration in a network device
KR100596398B1 (ko) * 2003-12-18 2006-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개 플랫폼 기반의 게이트웨이 상에서의 멀티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EP1711029A1 (en) * 2004-01-26 2006-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rminal device,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automatic execution of process in accordance with event
KR100983137B1 (ko) * 2004-02-06 2010-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오에스지아이 기반 주거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WO2006001572A1 (en) * 2004-03-16 2006-01-05 Irevo, Inc. Easy-to-retrofit, electronically controlled door lock system
US20050223101A1 (en) * 2004-03-22 2005-10-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implemented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resolving prerequisites for native applications utilizing an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 OSGi) framework
US7478396B2 (en) * 2004-03-22 2009-0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unable engine,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resolving prerequisites for client devices in an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OSGi) framework
JP2006127399A (ja) * 2004-11-01 2006-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4717426B2 (ja) * 2004-12-07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636380B1 (ko) * 2004-12-17 2006-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의 홈네트워크 미들웨어상에 접속해 있는 홈디바이스들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홈네트워크 범용미들웨어 브릿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2524B1 (ko) * 2004-12-21 2007-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홈서비스 통합 제공을 위한 홈게이트웨이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657010B1 (ko) * 2004-12-22 2006-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게이트웨이와 서비스 게이트웨이 플랫폼을 이용한 댁내UPnP 장치에 대한 댁외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자의멀티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666694B1 (ko) * 2005-01-1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OSGi 기반의 홈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의 기기등록방법
KR100717166B1 (ko) * 2005-02-16 200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KR100636784B1 (ko) 2005-02-22 200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KR100637080B1 (ko) * 2005-02-23 2006-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US20060252406A1 (en) * 2005-04-25 2006-11-09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undle group termination in an OSGi service platform
JP4455403B2 (ja) * 2005-05-17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KR101198583B1 (ko) * 2005-10-12 2012-11-06 한국과학기술원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미들웨어 장치와 그 관리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653464B1 (ko) * 2005-11-18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 서비스 응용의 라이프 사이클 관리 방법 및이를 이용한 서비스 분배 관리 장치
KR100714050B1 (ko) * 2005-11-18 2007-05-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분산형 홈 네트워크용 통합형 게이트웨이 및 이를 위한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구조
KR100661856B1 (ko) * 2005-12-20 2006-12-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에이전트 기반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시스템과 서비스디스커버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TWI295432B (en) * 2005-12-22 2008-04-0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service type of device connected to control gateway
KR100809989B1 (ko) * 2006-03-30 2008-03-07 네모소프트 주식회사 자바프로그램이 필요없는 동적연동서비스 구현을 위한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0790053B1 (ko) * 2006-06-05 2008-01-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마스터 장치의 번들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8015954A (ja) 2006-07-10 2008-01-24 Hitachi Ltd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08040858A (ja) * 2006-08-08 2008-02-21 Hitachi Ltd 情報処理機器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645948B2 (en) * 2006-12-12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client-driven server-side installation
US20080313310A1 (en) * 2007-06-15 2008-12-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Distributing Program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KR20080112914A (ko) * 2007-06-22 200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메시지 수신 방법,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피제어 장치 및 제어 포인트
KR101493692B1 (ko) * 2007-06-22 2015-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 이벤트 메시지 수신 방법,피제어 장치 및 제어 포인트
KR101544210B1 (ko) * 2007-11-26 2015-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 에러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5441A (ko) * 2008-03-04 2009-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를 관리하는 방법 및장치
GB2466220A (en) * 2008-12-12 2010-06-16 Symbian Software Ltd Installing or uninstalling computer programs using installer plug-in modules
JP2010218352A (ja) * 2009-03-18 2010-09-30 Ricoh Co Ltd 機器管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JP2010244141A (ja) * 2009-04-01 2010-10-28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ファームウェア更新方法
US8326944B1 (en) * 2009-04-10 2012-12-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Receiving content having features that are supportable using capabilities of a computing device
JP5449044B2 (ja) * 2010-06-10 2014-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システム
KR20120050367A (ko) * 2010-11-10 201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519561B2 (ja) * 2011-03-15 2014-06-11 東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ホームゲートウェイ遠隔制御システム、ホームゲートウェイ遠隔制御方法、ホームゲートウェイ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ホームゲートウェイ
KR101958902B1 (ko) * 2011-09-30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KR101868386B1 (ko) * 2011-12-13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서버
JP5821627B2 (ja) * 2011-12-27 2015-11-24 富士通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方法、サービス利用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30081956A (ko) 2012-01-10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층 성장 방법
KR101338153B1 (ko) * 2012-04-16 2013-12-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바이스 모델 기반 미들웨어 기술
CN103391213A (zh) * 2012-05-11 2013-1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部署应用的方法、用户前端设备及应用部署系统
KR101714821B1 (ko) * 2012-10-16 2017-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이동성 관리 장치
CN103049315A (zh) * 2012-12-18 2013-04-17 柏科数据技术(深圳)有限公司 远程处理软件包的方法及系统
CN103108032B (zh) * 2012-12-31 2015-08-19 王玉娇 多设备协同下载和管理应用程序的方法及相关设备
CN104050409B (zh) 2014-06-30 2016-10-05 安一恒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识别被捆绑软件的方法及其装置
US10404663B1 (en) * 2016-02-29 2019-09-03 Parallels International Gmbh File sharing over secure connections
US10536859B2 (en) 2017-08-15 2020-01-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trol and utilization of quasi-licensed wireless spectrum
US11716558B2 (en) 2018-04-16 2023-08-0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grated high-capacity data and wireless network services
KR102173336B1 (ko) * 2019-04-29 2020-11-03 (주)메이드인헤븐 리액트 네이티브 환경 기반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182222B2 (en) 2019-07-26 2021-11-2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rocessor device software development and operation
US11528748B2 (en) 2019-09-11 2022-12-1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arrier unlicensed heterogeneous channel access
US11368552B2 (en) * 2019-09-17 2022-06-2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latfor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and operation
CN110853221A (zh) * 2019-10-29 2020-02-28 深圳市融钞科技有限公司 基于冠字号信息的现金流通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84781T3 (es) * 1997-06-25 2007-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d domestica de direccion y control basada en navegador.
US6085236A (en) * 1998-01-06 2000-07-04 Sony Corporation Of Japan Home audio video network with device control modules for incorporating legacy devices
WO1999035753A2 (en) 1998-01-06 1999-07-15 Sony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related to an audio/video network
US6275865B1 (en) * 1998-11-25 2001-08-14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dispatching in a home audio/video network
US6363434B1 (en) * 1999-03-30 2002-03-26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of managing resources within a network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6725281B1 (en) * 1999-06-11 2004-04-20 Microsoft Corporation Synchronization of controlled device state using state table and eventing in data-driven remote device control model
US6892230B1 (en) * 1999-06-11 2005-05-10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self-configuration for ad hoc peer networking using mark-up language formated description messages
US6910068B2 (en) * 1999-06-11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XML-based template language for devices and services
US6618764B1 (en) * 1999-06-25 2003-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nabling interaction between two home networks of different software architectures
JP3318289B2 (ja) * 1999-08-10 2002-08-26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エイ装置
KR100371166B1 (ko) 2000-06-05 200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2024197A (ja) * 2000-07-10 2002-01-25 Hitachi Ltd 遠隔制御可能な電子機器および遠隔制御方法
JP2004505499A (ja) 2000-07-26 2004-02-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サーバを利用する複合規格ホーム・ネットワーク・ブリッジ
WO2002015522A2 (en) * 2000-08-14 2002-02-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source request forwarding in havi and other internetworking devices
JP3727922B2 (ja) * 2000-09-27 2005-12-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電子機器の遠隔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管理設備
US6907301B2 (en) * 2000-10-16 2005-06-1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devices in a home network
US7206853B2 (en) * 2000-10-23 2007-04-17 Sony Corporation content abstraction layer for use in home network applications
US7343427B2 (en) * 2000-12-13 2008-03-1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integration of IP devices into a HAVi network
US20020078161A1 (en) * 2000-12-19 2002-06-2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UPnP enabling device for heterogeneous networks of slave devices
US20020087964A1 (en) * 2000-12-28 2002-07-04 Gatewa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HAVi based device implementation
JP2002232977A (ja) * 2001-02-02 2002-08-16 Hitachi Ltd 制御装置、被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100708467B1 (ko) * 2001-02-0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EP1241829A1 (en) * 2001-03-14 2002-09-18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Distributed software applications in the HAVi home network
WO2002078385A1 (fr) * 2001-03-23 2002-10-03 Tatsuya Fujii Systeme de mise a jour des parametres d'un appareil
US7099273B2 (en) * 2001-04-12 2006-08-29 Bytemobile, Inc. Data transport acceleration and management within 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KR100438696B1 (ko) * 2001-04-13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4464029B2 (ja) * 2001-04-19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および周辺装置および応答方法および代理応答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30009597A1 (en) * 2001-06-27 2003-01-09 Joung Chul Yong Home network conn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207041B2 (en) * 2001-06-28 2007-04-17 Tranzeo Wireless Technologies, Inc. Open platform architecture for shared resource access management
US7146412B2 (en) * 2001-08-27 2006-1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s for the automatic discovery, notification and installation of firmware upgrades
KR20030028310A (ko) * 2001-09-29 200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피제어 장치를 인터넷을 통해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KR100425317B1 (ko) * 2001-12-21 200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가전기기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467579B1 (ko) * 2001-12-24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HAVi 네트워크 시스템의 피제어 장치를non-IEEE1394망을 통해 제어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EP1337080A3 (en) * 2002-02-15 2005-06-08 Hitachi, Ltd. Method of controlling the network devices
US7058719B2 (en) * 2002-07-22 2006-06-06 Ricoh Company, Ltd.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a local network of electronic devices and reliably and securely adding an electronic device to the network
US20040120344A1 (en) * 2002-12-20 2004-06-24 Sony Corporation And Sony Electronics, Inc. Device discovery application interface
US20040133896A1 (en) * 2002-12-20 2004-07-08 Sony Corporation And Sony Electronics, Inc. Network device application interface
KR100493883B1 (ko) * 2003-01-02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117B1 (ko) 2006-07-25 2013-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유 네트워크 환경에서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서비스를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08311A1 (en) 2014-07-24
CN1288555C (zh) 2006-12-06
US8707295B2 (en) 2014-04-22
CN1516008A (zh) 2004-07-28
US8677350B2 (en) 2014-03-18
US20100070616A1 (en) 2010-03-18
US9038061B2 (en) 2015-05-19
KR20040062268A (ko) 2004-07-07
US20040139177A1 (en) 2004-07-15
JP2004213612A (ja) 2004-07-29
JP2010061683A (ja)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883B1 (ko)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61991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w data-rate network to be represented on and controllable by high data-rate 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
JP4721600B2 (ja) ブリッジングする多数のホームネットワークソフトウェアアーキテクチャ
KR101747296B1 (ko) 범용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47449B1 (ko) 특성 루트를 통해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들을 제어하기위한 시나리오를 식별하는 호출
US7343427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integration of IP devices into a HAVi network
US200900555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ug and play between host and client
JP2002527799A (ja) モードに関して互換性のあるgui要素への制御特性のマッピング
JP2003522427A (ja) ネットワークで使用者とデバイス命令及び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10033878A (ko) 장치 제어 기능이 있는 가정용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
KR20030082903A (ko) 비-HAVi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해 HAVi 디바이스위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US20010047431A1 (en) HAVi-VHN bridge solution
US6768926B2 (en) Controller, controlled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KR100521762B1 (ko) 어플리케이션 팩을 다운로드하여 자동으로 설치하고,동적으로 메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및이를 활용한 통합형 홈서버 시스템
KR20080112923A (ko) 이벤트 메시지 수신 방법,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피제어 장치 및 제어 포인트
KR100480038B1 (ko) 유피엔피(UPnP)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KR101493692B1 (ko)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 이벤트 메시지 수신 방법,피제어 장치 및 제어 포인트
KR20110127577A (ko) 홈 네트워크에서 위젯 패키지를 이용하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70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