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02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ebXML filter query by using G-FQ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ebXML filter query by using G-FQ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56027B1 KR100456027B1 KR10-2002-0078306A KR20020078306A KR100456027B1 KR 100456027 B1 KR100456027 B1 KR 100456027B1 KR 20020078306 A KR20020078306 A KR 20020078306A KR 100456027 B1 KR100456027 B1 KR 1004560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query
- fql
- ebxml
- filter
- grap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2—Query translation
- G06F16/24522—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queries to structured que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8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emi-structured data, e.g. markup language structured data such as SGML, XML or HTML
- G06F16/83—Querying
- G06F16/835—Query processing
- G06F16/8358—Query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G-FQL 변환기(10)가 ebXML 필터질의를 XML 구문으로 정의된 그래프 모델 기반의 질의어인 G-FQL로 변환하고 나면, XML-객체 컨버터(20)가 XML 구문의 G-FQL을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 객체로 변환한 후 질의그래프 생성기(30)가 객체로 변환된 G-FQL로부터 G-FQL과 동등한 의미를 갖는 질의그래프를 생성하고, 이어서 SQL 생성기(40)가 질의그래프에서 질의어를 최적화하여 SQL을 생성하고 나면, 질의수행기(50)가 최적화되어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질의를 수행하여 객체를 검색하고 마지막으로 객체-XML 컨버터(60)가 검색된 객체를 다시 XML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으며,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ebXML filter query using G-FQL. After the G-FQL converter 10 converts an ebXML filter query to a graph model based query word defined in XML syntax, G-FQL, After the XML-object converter 20 converts the G-FQL of the XML syntax into a user-operable program object, the query graph generator 30 has a meaning equivalent to that of the G-FQL from the G-FQL converted to the object. Then, after the SQL generator 40 optimizes the query word in the query graph to generate the SQL, the query executor 50 performs the query using the optimized SQL and retrieves the object. The XML converter 60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retrieved object back to XML,
이에 따라서, ebXML 필터질의가 수정, 확장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 처리 장치의 갱신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으며, ebXML 필터질의를 SQL 뿐만 아니라 OQL 또는 XQuery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질의어로 변환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ebXML filter query is modified or extended,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update of the query processing device of 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The ebXML filter query can be generalized by converting the ebXML filter query into various database queries such as OQL or XQuery as well as SQL. There is an advant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의 질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G-FQL(Generalized Filter Query Language)을 이용하여 ebXML(e-business eXtensible Markup Language) 레지스트리(Registry)에서 제공하는 필터질의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OQL(Object Query Language) 또는 XQuery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질의어로 변환하는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ery processing apparatus of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query provided in an e-business eXtensible Markup Language (ebXML) Registry using a Generalized Filter Query Language (G-FQ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ebXML filter query using G-FQL that converts a language into various database query languages such as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OQL (Object Query Language) or XQuery.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 처리 장치에서는 질의처리를 하기 전에 먼저 ebRIM(ebXML Registry Information Model) 객체를 어디에 저장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며, 상기 ebRIM의 저장매체로써 기존에 있는 객체(Object), 관계형(Relational) 또는 XM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을 이용할 수 있다.In a query process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before processing a query, it is necessary to first determine where to store an ebXML Registry Information Model (ebRIM) object, and the existing object and relational relation as a storage medium of the ebRIM. ) Or an XML database system.
또한, 상기 ebXML 필터질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bXML 레지스트리에 저장되어 있는 ebRIM 객체 검색을 위해 XML 구문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하나의 필터질의는 ebRIM에서 정의된 하나의 클래스에 대응되며 그 결과는 클래스 인스턴스(instance)의 집합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ebXML filter query is defined in XML syntax for ebRIM object search stored in the ebXML registry as shown in FIG. 1, and one filter query corresponds to one class defined in ebRIM. Is a set of class instances.
상기 ebRIM은 비즈니스 정보를 기술하는데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정의하고 있는데 ebRIM에 정의된 클래스들을 의미하고, 필터질의를 사용하여 하나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제한(constraint)과 여러 메타데이터들 사이의 관계성(relationShip)을 이용한 질의를 할 수 있다.The ebRIM defines the metadata required to describe business information. It refers to the classes defined in ebRIM, and uses a filter query to define a constraint on one metadat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metadata. ) Can be used to query.
상기 ebXML 필터질의에서 제한은 필터(Filter) 엘리먼트로 나타내고 관계는 필터질의에서 정의한 질의(Query) 또는 브랜치(Branch) 엘리먼트(element)의 이름으로 나타낸다.In the ebXML filter query, the restriction is represented by a filter element and the relationship is represented by the name of a query or branch element defined in the filter query.
여기서, 중요한 점은 상기 ebXML 필터질의가 ebRIM 객체들간의 관계성을 엘리먼트의 이름이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특성은 도 1의 ebXML 필터질의 중 'RegisryObjectQuery'의 예에서 알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도 1의 <classifiedByBranch> 엘리먼트를 살펴보면 ebRIM 객체들간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어떤 속성(attribute)이나 하위 엘리먼트(subElement)도 없지만 이것은 ebRIM의 'RegistryObject' 객체와 'Classification' 객체 사이의 관계를 내포하고 있다.Here, the important point is that the element name imp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ebRIM objects in the ebXML filter query, and this characteristic can be seen in the example of 'RegisryObjectQuery' in the ebXML filter query of FIG. If you look at the <classifiedByBranch> element of 1, there is no attribute or subElement that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ebRIM objects, but it imp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stryObject' and 'Classification' objects of ebRIM.
그러나,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들은 ebXML 필터질의를 지원하지 않으며 SQL, OQL 또는 XQuery 같은 데이터베이스 질의어를 통해서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ebRIM 객체에 대한 질의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However, conventional database systems do not support the ebXML filter query and can query ebRIM objects stored in the database only through database queries such as SQL, OQL, or XQuery.
그러므로, ebXML 필터질의를 이용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ebRIM 객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ebXML 필터질의를 SQL로 변환하는 변환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ebRIM이 객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면 OQL로 변환해야만 한다.Therefore, in order to retrieve ebRIM objects stored in relational database using ebXML filter query, the conversion process of converting ebXML filter query to SQL is necessary. If ebRIM is stored in object database, it must be converted to OQL.
특히, 상기와 같이 엘리먼트의 이름들이 내포하는 ebRIM 객체들간의 관계성에 대한 의미를 사용자가 이해하지 못하면 질의문을 사용할 수 없고, 더욱이 공지의 ebXML 필터질의에서 정의한 11개의 질의 엘리먼트(Query element)와 이들의 서브엘리먼트로 위치할 수 있는 여러 브랜치 엘리먼트(Branch element)들 각각이 내포하는 ebRIM 객체들 간의 관계성이 다르기 때문에 질의변환을 위한 각각의 질의 엘리먼트와 브랜치 엘리먼트의 일반적인 처리방법의 적용이 어렵다.In particular, if the user does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bRIM objects implied by the element names as described above, the query cannot be used. Furthermore, the 11 query elements defined in the well-known ebXML filter query and thes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general processing method of each query element and branch element for query transformation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bRIM objects contained in each of the branch elements that can be positioned as subelements of is different.
실제로,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 처리 장치에서는 ebXML 필터질의가 ebRIM이라는 특정 정보모델에 종속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SQL, OQL 또는 XQuery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나 XML문서에 대한 질의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일반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fact, in the exist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 since the ebXML filter query is dependent on a specific information model called ebRIM, the process of converting to a query for a database or XML document such as SQL, OQL or XQuery can be generalized. There is no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ebXML 필터질의를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질의언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관계형 모델, 객체 모델 또는 준구조적(semi-structured) 모델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모델에 대한 질의 표현이 가능한 그래프 모델 기반을 기반으로 하고 XML 구문으로 정의된 질의어인 G-FQL을 이용하여 ebXML 레지스트리에서 제공하는 필터질의를 SQL로 변환하는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rt a ebXML filter query into a query language provided by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or a relational model, an object model, or a semi-structured object. Using G-FQL which is based on graph model that can express query about various data models such as model and converts filter query provided by ebXML registry to SQL using G-FQL which is a query defined by XML syntax.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ebXML filter quality are provided.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장치는, 사용자가 정의한 ebXML 필터질의를 XML 구문으로 정의된 그래프 모델 기반의 질의어인 G-FQL로 변환하는 G-FQL 변환기와; XML 구문의 G-FQL을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 객체로 변환해주는 XML-객체 컨버터; 객체로 변환된 G-FQL로부터 G-FQL과 동등한 의미를 갖는 질의그래프를 생성하는 질의그래프 생성기; 상기 질의그래프에서 질의어를 최적화하여 SQL을 생성하는 SQL 생성기; 최적화되어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질의를 수행하는 질의수행기; 및 상기 질의수행기에 의해서 검색된 객체를 다시 XML로 변환하는 객체-XML 컨버터로 구성된다.An apparatus for converting an ebXML filter query using G-FQL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FQL converter for converting a user-defined ebXML filter query into a G-FQL, which is a query model based on a graph model defined by XML syntax; ; An XML-object converter that converts G-FQL of XML syntax into a user-operable program object; A query graph generator for generating a query graph having a meaning equivalent to G-FQL from the G-FQL converted to the object; An SQL generator for generating SQL by optimizing a query in the query graph; A query processor that executes a query by using the optimized SQL generated; And an object-XM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object retrieved by the query executor back into XML.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방법은, 사용자가 정의한 ebXML 필터질의를 XML 구문으로 정의된 그래프 모델 기반의 질의어인 G-FQL로 변환하는 단계와; XML 구문의 G-FQL을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 객체로 변환한 후 객체로 변환된 G-FQL로부터 G-FQL과 동등한 의미를 갖는 질의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질의그래프에서 질의어를 최적화하여 SQL을 생성하는 단계; 및 최적화되어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질의를 수행하여 객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를 다시 XML로 변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e method for converting an ebXML filter query using G-FQL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verting a user-defined ebXML filter query to a G-FQL, which is a graph model based query word defined in XML syntax; Converting the G-FQL of the XML syntax into a program object operable by the user and generating a query graph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G-FQL from the G-FQL converted into the object; Generating SQL by optimizing a query in the query graph; And retrieving the object by converting the retrieved object back into XML by performing a query using the optimized generated SQL.
도 1은 ebXML 필터질의를 도시한 실시예,1 is an embodiment illustrating an ebXML filter quer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장치를 도시한2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converting ebXML filter quality using G-FQ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성도,Diagram,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방법을 도시한3 illustrates a method of converting ebXML filter quality using G-FQ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흐름도,Flowchart,
도 4는 ebXML 필터질의를 G-FQL로 변환하기 위한 XSL을 도시한 실시예,4 illustrates an example of XSL for converting an ebXML filter query to G-FQL.
도 5a는 G-FQL의 구조를 정의하는 XML 스키마 구문을 도시한 실시예,5A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XML schema syntax defining a structure of a G-FQL.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ebXML 필터질의가 도 4에 도시된 XSL에 의해서 변환5B shows that the ebXML filter query shown in FIG. 1 is converted by the XSL shown in FIG.
된 G-FQL을 도시한 실시예,Example showing the G-FQL,
도 6a는 G-FQL 모델의 일반적인 실시예,Figure 6a is a general embodiment of the G-FQL model,
도 6b는 도 5b에 도시된 G-FQL를 그래프로 표시한 실시예,FIG. 6B is a graph showing the G-FQL shown in FIG. 5B;
도 7a는 도 6b에 도시된 G-FQL 질의그래프를 SQL로 변환한 실시예,FIG. 7A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G-FQL query graph shown in FIG. 6B is converted into SQL. FIG.
도 7b는 도 6b에 도시된 G-FQL 질의그래프를 최적화된 SQL로 변환한 실시예FIG. 7B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G-FQL query graph shown in FIG. 6B is converted into optimized SQL.
이다.to b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G-FGL 변환기 20: XML-객체 컨버터10: G-FGL Converter 20: XML-Object Converter
30: 질의그래프 생성기 40: SQL 생성기30: Query Graph Generator 40: SQL Generator
50: 질의수행기 60: 객체-XML 컨버터50: Query Performer 60: Object-XML Convert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G-FQL 변환기(10)는 사용자가 정의한 ebXML 필터질의를 XML 구문으로 정의된 그래프 모델 기반의 질의어인 G-FQL로 변환한다.Referring to FIG. 2, the G-FQL converter 10 converts a user-defined ebXML filter query to G-FQL, which is a graph model based query defined by XML syntax.
상기 G-FQL 변환기(10)가 ebXML 필터질의를 SQL, OQL, XQuery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질의어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 질의어로서 그래프 모델에 기반으로 하고 XML구문으로 정의된 질의어인 G-FQL을 이용하는 이유는, 그래프 모델이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데이터 모델, 예컨대 관계형 모델, 객체 모델 또는 준구조적(semi-structured) 모델 등에 대한 질의 표현이 가능하며 SQL이나 OQL로의 변환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상기 G-FQL 변환기(10)에 의해 ebXML 필터질의를 G-FQL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ebXML 필터질의를 G-FQL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질의어로 변환할 경우 질의 변환을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 중에서 ebRIM이 저장된 데이터모델의 종류에 의존적인 요소들이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ebXML 필터질의의 추가 또는 변경시 질의 변환 장치의 변화가 복잡해지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The G-FQL converter 10 uses G-FQL, which is a query term based on a graph model and defined in XML syntax, as an intermediate query word for converting an ebXML filter query into a database query such as SQL, OQL, or XQuery. This is because graph models can express queries on various data models supported by 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such as relational models, object models, or semi-structured models, and can be easily converted to SQL or OQL. In fact, when the ebXML filter query is converted to G-FQL by the G-FQL converter 10, the ebXML filter query is directly converted to a database query such as SQL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ebXML filter query to G-FQL. In this case, among the program modules for query conversion, there are many factors that depend on the type of data model in which ebRIM is stored. As a result, when the ebXML filter query is added or changed, the change of the query conversion device becomes complicated.
상기 G-FQL은 ebXML 필터질의에 정의된 질의 또는 브랜치 엘리먼트의 이름이 내포하는 관계성을 명시적으로 표현하고, 이러한 관계성을 그래프 모델을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표현함으로써 ebXML 필터질의에서 정의된 여러 개의 질의 또는 브랜치 엘리먼트의 의미를 동일한 모델로 표현할 수가 있으며, 해당 모델을 이용하여 ebXML 필터질의를 SQL, OQL, XQuery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질의어로 일반화하여 변환할 수 있다.The G-FQL expresses the relations implied by the names of the query or branch elements defined in the ebXML filter query, and expresses the relations explicitly using a graph model to express various relationships defined in the ebXML filter query. The meanings of two queries or branch elements can be expressed in the same model, and by using this model, the ebXML filter query can be generalized and converted into various database queries such as SQL, OQL, and XQuery.
XML-객체 컨버터(20)는 XML 구문의 G-FQL을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 객체로 변환해준다.The XML-object converter 20 converts the G-FQL of the XML syntax into a user-operable program object.
질의그래프 생성기(30)는 객체로 변환된 G-FQL로부터 G-FQL과 동등한 의미를 갖는 질의그래프(Query Graph)를 생성한다.The query graph generator 30 generates a query graph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G-FQL from the G-FQL converted into an object.
SQL 생성기(40)는 상기 질의그래프에서 질의어를 최적화하여 SQL을 생성한다.The SQL generator 40 generates SQL by optimizing a query in the query graph.
질의수행기(50)는 최적화되어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질의를 수행하여 질의에 대한 객체를 검색한다.The query executor 50 searches for an object for the query by performing a query using the optimized generated SQL.
객체-XML 컨버터(60)는 상기 질의수행기에 의해서 검색된 객체를 다시 XML로 변환한다.The object-XML converter 60 converts the object retrieved by the query executor back into XM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An apparatus for converting ebXML filter quality using G-FQ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도 3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사용자가 ebXML 필터질의를 정의함에 따라서 상기 G-FQL 변환기(10)는 사용자가 정의한 ebXML 필터질의를 XML 구문으로 정의된 그래프 모델 기반의 질의어인 G-FQL로 변환한다(S10).Referring to FIG. 3, first, as the user defines an ebXML filter query, the G-FQL converter 10 converts the user-defined ebXML filter query to G-FQL, which is a graph model based query defined by XML syntax. (S10).
이때, 상기 G-FQL 변환기(10)는 공지의 XSLT(eXtensible Style Language Transformations) 엔진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XSL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ebXML 필터질의를 XML 구문으로 표현된 G-FQL로 변환하며,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ebXML 필터질의에서 제공하는 모든 필터질의를 G-FQL로 변환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bXML 필터질의에 정의된 모든 질의 엘리먼트와 브랜치 엘리먼트에 대한 적용 템플릿(template)을 추가하면 된다.In this case, the G-FQL converter 10 converts a user-defined ebXML filter query to G-FQL expressed in XML using a known eXtensible Style Language Transformations (XSLT) engine and XSL as shown in FIG. 4. In particular, in order to be able to convert all the filter queries provided by the ebXML filter query as shown in FIG. 1 to G-FQL, as shown in FIG. 4, all query elements and branch elements defined in the ebXML filter query are shown. Just add an application template.
실제로, 상기 G-FQL 변환기(10)가 공지의 XSLT 엔진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XSL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의한 ebXML 필터질의를 G-FQL로 변환하면 G-FQL 구문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XML 스키마로 정의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필터질의와 동등한 의미를 가지는 질의어인 G-FQL로 기술된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G-FQL은 반드시 도 5a에 도시된 XML 스키마를 따라야 한다.In practice, the G-FQL converter 10 converts a user-defined ebXML filter query to G-FQL as shown in FIG. 1 using a known XSLT engine and XSL as shown in FIG. 4. The syntax is defined as an XML schema as shown in FIG. 5A and described as G-FQL, a query word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filter query of FIG. 1 as shown in FIG. 5B. At this time, the G-FQL shown in FIG. 5B must follow the XML schema shown in FIG. 5A.
상기 G-FQL 질의는 ebXML 필터질의를 SQL, OQL 또는 XQuery와 같은 일반 데이터베이스 질의어로 변환하기 위하여 ebRIM객체들간의 관계를 엘리먼트 이름속에 내포하고 있는 ebXML 필터질의의 관계성을 서브엘리먼트와 속성으로 명시적으로 표현하여 상기 ebXML 필터질의와 동일한 의미로 변환된다.The G-FQL query exp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bXML filter query, which cont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ebRIM objects in the element name, in order to convert the ebXML filter query into a general database query such as SQL, OQL, or XQuery as subelements and attributes. It is converted into the same meaning as the ebXML filter query.
상기 G-FQL 질의의 기본구성요소는 질의(Query) 엘리먼트, 브랜치(Branch) 엘리먼트, 서브질의(SubQuery) 엘리먼트 그리고 필터(Filter) 엘리먼트이고, 각각의 엘리먼트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basic elements of the G-FQL query are a query element, a branch element, a subquery element, and a filter element, and each ele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질의 엘리먼트는 질의를 시작하는 최상위 엘리먼트이며 질의에 한번만 나타난다.The query element is the top element that starts the query and only appears once in the query.
상기 질의 엘리먼트의 속성(attribute) 'class'는 질의 대상 객체를 의미하며 ebRIM에 정의된 객체들의 이름을 값으로 가질 수 있다. 속성 'type'은 질의 엘리먼트 하위에 위치할 수 있는 브랜치 엘리먼트 또는 서브질의 엘리먼트들 간의 논리적 관계를 의미한다. ebXML 필터질의의 경우, 같은 레벨의 엘리먼트들 사이의 논리연산(logical operation)은 묵시적으로 항상 논리곱(AND)이기 때문에 속성 'type'의 디폴트 값도 논리곱이다.An attribute 'class' of the query element means an object to be queried and may have names of objects defined in ebRIM as a value. The attribute 'type' refers to a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branch elements or elements of subqueries that can be placed under query elements. In the case of an ebXML filter query, the default value of the attribute 'type' is also logical because the logical operation between elements of the same level is implicitly always AND.
상기 질의 엘리먼트는 브랜치/서브질의/필터를 하위 엘리먼트로 가질 수 있으며, 질의 결과는 속성 'returnType'에 따라 달라진다.The query element may have a branch / subquery / filter as a sub element, and the query result depends on the attribute 'returnType'.
속성 'returnType'에 올 수 있는 값은 ebXML 레지스트리 서비스 스펙에 정의된 5가지 속성('ObjectRef', 'RegistryObject', 'RegistryEntry', 'LeafClass', 'LeafClassWithRepositoryItem')중에 하나가 올 수 있으며 디폴값은 객체에 대한 참조(ObjectRef)이다.The possible value for attribute 'returnType' can be one of five attributes ('ObjectRef', 'RegistryObject', 'RegistryEntry', 'LeafClass', 'LeafClassWithRepositoryItem') defined in the ebXML Registry Services Specification. Reference to an object (ObjectRef).
상기 서브질의 엘리먼트는 필터/서브질의/브랜치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로 가질 수 있다. 질의 엘리먼트의 속성 'class'와 'type'은 질의 엘리먼트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The element of the subquery may have a filter / subquery / branch element as a sub element. The attributes 'class' and 'type' of the query element have the same meaning as defined in the query element.
상기 서브질의는 상위 엘리먼트의 대상객체(상위 엘리먼트의 속성 'class'의 값)와 조인 연산을 내포하고 있다. 서브질의의 속성 'this'의 값은 현재 엘리먼트의 대상객체(target object)에 속한 속성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속성 'parent'의 값은 상위 엘리먼트의 대상 객체에 속한 속성중 하나가 값이 된다. 속성 'this'와 'parent'를 이용하여 현재 엘리먼트는 상위 엘리먼트와 조인(Join)을 나타낸다.The subquery contains a join operation with the target object of the parent element (the value of the attribute 'class' of the parent element). The value of the 'this' attribute of the subquery can be one of the attributes belonging to the target object of the current element, and the value of the attribute 'parent' is one of the attributes belonging to the target object of the parent element. . With the attributes 'this' and 'parent' the current element represents a join with the parent element.
도 5b의 첫번째 브랜치 엘리먼트를 예로 설명을 하면 브랜치 엘리먼트의 대상객체인 'Classification' 객체의 속성 'ClassifiedObject'와 상위 엘리먼트의 대상 객체 인 'RegistryObject' 객체의 속성 'id'와 조인 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즉, Classificatioin.id = RegistryObject.id 임을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the first branch element of FIG. 5B as an example, a join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the property 'ClassifiedObject' of the 'Classification' object which is the target object of the branch element, and the property 'id' of the 'RegistryObject' object which is the target object of the parent element. That is, it indicates that Classificatioin.id = RegistryObject.id.
상기 브랜치 엘리먼트는 서브질의 엘리먼트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ebXML 필터질의의 경우 서브질의는 여러 개의 질의 엘리먼트와 브랜치 엘리먼트로 구성이 되어있다. ebXML 필터질의에서는 재상용 여부에 따라 브랜치 또는 질의 엘리먼트로 나누어져있다. 하지만 G-FQL에서는 재사용성 여부는 별로 의미 있는 것이 아니다.The branch element has the same meaning as the element of the subquery. In the case of an ebXML filter query, a subquery consists of several query elements and branch elements. In ebXML filter query, it is divided into branch or query element depending on whether it is reused or not. But in G-FQL, reusability doesn't mean much.
상기 G-FQL에서 서브질의 엘리먼트와 동일한 브랜치 엘리먼트를 정의하는 이유는 단순히 ebXML 필터질의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The reason for defining the same branch element as the subquery element in the G-FQL is simply to maintain the structure of the ebXML filter query.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질의/서브질의/브랜치 엘리먼트가 속성 'class'에 할당된 대상 객체에 대한 프리디킷을 정의하는 엘리먼트이다. 필터 엘리먼트의 대상 객체는 바로 상위에 있는 엘리먼트의 대상 객체와 동일하다.The filter element is an element that defines a predisk for the target object to which the query / subquery / branch element is assigned to the attribute 'class'. The target object of the filter element is the same as the target object of the element immediately above it.
도 5b의 첫번째 필터질의의 대상객체는 상위 브랜치 엘리먼트의 대상 객체인 'Name'과 같다.The target object of the first filter query of FIG. 5B is the same as 'Name' which is the target object of the upper branch element.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절(Clause) 엘리먼트를 반드시 하나 포함하며, ebXML 서비스 스펙에 정의된 절(Clasue) 엘리먼트와 똑같다. 즉, ebXML 필터질의에 정의된 절(Clause) 엘리먼트를 참조한다. 도 4의 ClassificatioinNodeFilter 엘리먼트와 LocalizedStringFilter 엘리먼트 처리 부분도 도 1의 절(Clasus) 엘리먼트 이하를 그대로 복사하도록 하고 있다.The filter element must contain one Clause element, and is identical to the Clause element defined in the ebXML Service Specification. That is, it refers to the Clause element defined in ebXML filter query. The ClassificatioinNodeFilter element and LocalizedStringFilter element processing portions of FIG. 4 also copy the following elements of the Clause element of FIG. 1 as they are.
상기 절 엘리먼트는 필터 엘리먼트가 대상으로 하는 클래스 인스턴스가 가지고 있는 속성값들에 대한 비교 연산 및 논리 연산을 정의한다. 대상 객체의 속성값에 대한 비교 및 논리 연산이 단 한번 정의되면 단순 프리디킷(SimplePredicate)이라 하고, 두 번 이상 정의되면 복합 프리디킷 (CompoundPredicate)이라 한다.The clause element defines a comparison operation and a logical operation on attribute values of the class instance targeted by the filter element. When a comparison and logical operation of a target object's property value is defined only once, it is called Simple Predicate, and if it is defined more than once, it is called Compound Predicate.
상기와 같이 ebXML 필터질의를 일반 데이터베이스 질의어인 SQL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 질의어인 G-FQL로 변환하고 나면, 상기 XML-객체 컨버터(20)가 XML 구문으로 표현된 G-FQL을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 객체로 변환한 후 상기 질의그래프 생성기(30)가 객체로 변환된 G-FQL로부터 G-FQL과 동등한 의미를 갖는 질의그래프를 생성한다(S20).After converting the ebXML filter query to G-FQL, which is an intermediate query word for converting the general database query SQL into SQL, the XML-object converter 20 can manipulate the G-FQL expressed in XML syntax. After converting to an object, the query graph generator 30 generates a query graph having a meaning equivalent to that of G-FQL from the converted G-FQL to an object (S20).
이때, 상기 질의그래프 생성기(30)에 의해 G-FQL로부터 생성된 질의그래프의 일반적인 형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되며, 실제로 도 5b에 도시된 G-FQL로부터 이 G-FQL과 동등한 의미를 갖는 질의그래프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된다.In this case, the general form of the query graph generated from the G-FQL by the query graph generator 30 is represented as shown in FIG. 6A, and is actually equivalent to the G-FQL from the G-FQL shown in FIG. 5B. The query graph with is expresse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B.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형태의 질의그래프는 두 가지 정점(node)과 네 가지의 간선(arc)으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6A, a general form of query grap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nodes and four arcs.
먼저, 상기 두 가지의 정점을 살펴보면, 정점 [Root]는 질의그래프의 시작점을 의미한다. 이것은 질의의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한 참조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정점 [Object]는 질의 대상 객체를 의미하며 대상 객체에 대한 식별자, 타입 그리고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First, looking at the two vertices, the vertex [Root] means the starting point of the query graph. This is necessary to maintain a reference to the object to be queried. Vertex [Object] means the object to be queried and contains the identifier, type and attributes of the object.
상기 간선은 객체와 객체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간선은 시작점과 끝점 객체들 속성간의 연산을 의미하는 프리디킷(predicate)을 포함한다. 프리디킷의 종류에 따라 간선<root>, 간선<filter>, 간선<join> 그리고 간선<query>로 나누어진다.The edge means a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Edges contain predicates that mean operations between the start and end object properties. According to the kind of predisk, it is divided into trunk <root>, trunk <filter>, trunk <join>, and trunk <query>.
상기 간선<root>는 정점 [Root]를 시작점으로 질의그래프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정점 [Object] 중에서 하나의 정점 [Object]로 연결된다. 간선<root>는 속성 'returnType'을 포함하며 간선<root>의 끝점에 해당하는 정점의 대상객체가 질의의 결과로 리턴되는 객체이다.The edge <root> is connected to one vertex [Object] among any vertex [Object] existing on the query graph starting from the vertex [Root]. Edge <root> contains the attribute 'returnType' and is the object whose vertex targe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ndpoint of edge <root> is returned as the result of the query.
상기 간선<join>은 질의그래프 상에 존재하는 [Object] 타입의 임의의 두 정점에 포함된 속성에 대한 비교연산(=, ~=, >. >=, <, <=)을 한다. 비교연산(comparison operator)을 하는 두 속성은 같은 데이터 타입이어야 한다.The edge <join> performs a comparison operation (=, ~ =,>.> =, <, <=) On attributes included in any two vertices of the [Object] type present on the query graph. The two attributes of the comparison operator must be of the same data type.
상기 간선<filter>는 하나의 정점 [Object]의 속성에 대한 비교연산을 수행한다.The edge <filter> performs a comparison operation on the attributes of one vertex [Object].
상기 간선<query> 두 개의 정점 [Object] 사이에 서브질의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서브질의의 결과는 시작 정점의 대상객체와 집합연산을 수행한다.The edge <query> means that there is a subquery relationship between two vertices [Object]. The result of the subquery performs the set operation with the target object of the starting vertex.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ebXML 필터질의의 경우, 상위 엘리먼트 대상 객체와 하위 엘리먼트 대상 객체는 서로 데이터 타입이 동일한 상위 엘리먼트 대상 객체의 어떤 속성의 속성값과 하위 엘리먼트 대상 객체의 어떤 속성의 속성값들에 대한 멤버쉽 연산(IS IN, IS NOT IN)을 항상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B, in the case of the ebXML filter query, an upper element target object and a lower element target object have attribute values of certain attributes of an upper element target object having the same data type and attribute values of some attributes of a lower element target object. Always include a membership operation (IS IN, IS NOT IN) for.
상기 ebXML 필터질의는 묵시적으로 상(parent)/하위(sub) 엘리먼트의 속성간의 IS IN 연산만을 의미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그러므로 IS IN연산은 두 속성값에 대한 동등(Equal) 비교 연산으로 대치할 수 있으며 상기 ebXML 필터질의를 G-FQL로 변환시 간선<query>는 항상 동등 비교 연산만 포함하게 된다.The ebXML filter query is implicitly defined to mean only IS IN operations between attributes of parent / sub elements. Therefore, the IS IN operation can be replaced by an equal comparison operation of two attribute values, and when converting the ebXML filter query to G-FQL, the edge <query> always includes only the equal comparison operation.
따라서, 상기 ebXML 필터질의를 상위엘리먼트와 하위엘리먼트의 관계를 질의그래프로 표현할 때 간선<join>은 이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ebXML 필터질의는 항상 상위 엘리먼트와 하위 엘리먼트의 계층적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간선<join>의 정의는 질의그래프가 일반적인 질의를 표현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Therefore, the edge <join> is not used when the ebXML filter query exp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element and the lower element in the query graph. This is because ebXML filter queries always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of parent and child elements. This is because the definition of edges is necessary for the query graph to represent a general query.
상기와 같이 질의그래프가 생성되고 나면, 상기 SQL 생성기(40)가 질의그래프에서 질의어를 최적화하여 SQL을 생성한다(S30).After the query graph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SQL generator 40 generates the SQL by optimizing the query word in the query graph (S30).
이때, 상기 SQL 생성기(40)에 의해 질의그래프에서 질의어를 최적화하여 생성한 SQL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된다.In this case, the SQL generated by optimizing the query in the query graph by the SQL generator 40 is represented as shown in Figure 7a.
도 7a에 도시된 SQL은 도 6b에서 나타나는 4개의 서브질의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다. 도 6b의 정점들은 SQL 문의 FROM절에 위치하는 테이블명으로 대응되고 필터는 WHERE절의 프리디킷으로 대응되며 서브질의도 WHERE에 포함된다.The SQL shown in FIG. 7A includes the four subqueries shown in FIG. 6B as they are. The vertices of FIG. 6B correspond to table names located in the FROM clause of the SQL statement, the filter corresponds to the predicate of the WHERE clause, and the subquery is included in the WHERE.
도 7a는 서브질의문을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참고문헌: On Optimizing an SQL-like Nested Query, ACM Transaction on Database Systems, Vol 7, No. 3, September 1982, Pages 443-469)에 의해서 도 7b의 최적화된 SQL로 변환될 수 있다. 역으로 이것은 도 6b의 <query>간선을 <join>간선으로 변환하여도 같은 의미의 질의그래프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질의그래프의 모든 <query>간선을 <join>간선으로 바꾸어도 의미상 동등한 질의가 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도 7a의 SQL문을 도 7b의 SQL로 변환하는 것 보다 <query>간선을 <join>간선으로 모두 변환한 질의그래프로부터 도 7b의 SQL문을 생성하는 것이 훨씬 더 편리하다.FIG. 7A is an optimization of FIG. 7B by an algorithm for optimizing a subquery (Ref .: On Optimizing an SQL-like Nested Query, ACM Transaction on Database Systems, Vol 7, No. 3, September 1982, Pages 443-469). Can be converted to SQL. Conversely, this means that even if the <query> edge of FIG. 6b is converted to the <join> edge, the query graph has the same meaning. Therefore, even if all <query> edges in the query graph are replaced with <join> edges, the query becomes semantically equivalent. Therefore, in practice, it is much more convenient to generate the SQL statement of FIG. 7B from the query graph in which all the <query> edges are converted to the <join> edges than the SQL statement of FIG. 7A is converted to the SQL of FIG. 7B.
상기와 같이 최적화된 SQL이 생성되고 나면, 상기 질의수행기(50)가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질의를 수행하여 객체를 검색하며, 이어서 최종적으로 상기 객체-XML 컨버터(60)가 검색된 객체를 다시 XML로 변환한다(S40).After the optimized SQL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query executor 50 performs a query using the generated SQL to search for an object, and finally, the object-XML converter 60 finally retrieves the searched object from XML. Convert to (S4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장치 및 방법은 ebXML 필터질의를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질의언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관계형 모델, 객체 모델 또는 준구조적(semi-structured) 모델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모델에 대한 질의 표현이 가능한 그래프 모델 기반을 기반으로 하고 XML 구문으로 정의된 질의어인 G-FQL을 이용하여 ebXML 레지스트리에서 제공하는 필터질의를 SQL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ebXML 필터질의가 수정, 확장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 처리 장치의 갱신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으며, ebXML 필터질의를 SQL 뿐만 아니라 OQL 또는 XQuery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질의어로 변환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ebXML filter query using G-FQ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 relational model, an object model, or a semi-structured proces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an ebXML filter query into a query language provided by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EbXML is based on the graph model base that can express queries on various data models such as models and converts the query query provided by the ebXML registry to SQL using G-FQL, a query word defined by XML syntax. When the filter query is modified and extended,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update of the query processing device of 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The ebXML filter query can be generalized by converting not only SQL but also various database query such as OQL or XQuery.
또한, ebXML은 전자거래를 위한 국제표준으로 현재도 기업간 e-비즈니스에 필요한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수용하면서 계속 버전업이되고 있는 스펙이므로 상기 ebXML 필터질의의 추가 및 변경도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장치 및 방법은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 처리 장치의 변화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장치의 업그레이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ebXML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electronic transactions, it is still being upgraded while accepting additional requirements for e-business between enterprises. Therefore, addition and modification of the ebXML filter query are also expected to be inevitabl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ebXML filter query using G-FQ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change of the query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xist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easily upgrading the apparatus.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G-FQL을 이용한 ebXML 필터질의 변환 장치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ebXML filter quality using G-FQ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cope of the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78306A KR100456027B1 (en) | 2002-12-10 | 2002-12-10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ebXML filter query by using G-FQ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78306A KR100456027B1 (en) | 2002-12-10 | 2002-12-10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ebXML filter query by using G-FQ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0462A KR20040050462A (en) | 2004-06-16 |
KR100456027B1 true KR100456027B1 (en) | 2004-11-08 |
Family
ID=3734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783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6027B1 (en) | 2002-12-10 | 2002-12-10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ebXML filter query by using G-FQ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5602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072984A2 (en) * | 1999-07-28 | 2001-01-3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tive language query service |
JP2001236352A (en) * | 2000-02-21 | 2001-08-31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Semi-structured document search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semi-structured document search program |
KR20020045328A (en) * | 2000-12-08 | 2002-06-19 | 조양호 | Search method of distributed/heterogeneous gis databases using metadata interchange standard |
KR20030054605A (en) * | 2001-12-26 | 2003-07-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XML document retrieval supporting XML query language tightly-coupled with database query language |
-
2002
- 2002-12-10 KR KR10-2002-0078306A patent/KR1004560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072984A2 (en) * | 1999-07-28 | 2001-01-3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tive language query service |
JP2001236352A (en) * | 2000-02-21 | 2001-08-31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Semi-structured document search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semi-structured document search program |
KR20020045328A (en) * | 2000-12-08 | 2002-06-19 | 조양호 | Search method of distributed/heterogeneous gis databases using metadata interchange standard |
KR20030054605A (en) * | 2001-12-26 | 2003-07-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XML document retrieval supporting XML query language tightly-coupled with database query langu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0462A (en) | 2004-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ee et al. | NeT & CoT: Translating relational schemas to XML schemas using semantic constraints | |
US596393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queries | |
US6721727B2 (en) | XML documents stored as column data | |
US7644066B2 (en) | Techniques of efficient XML meta-data query using XML table index | |
Banerjee et al. | Oracle8i-the XML enabled data management system | |
US658106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semi-structured data in a structured manner | |
US6947945B1 (en) | Using an XML query language to publish relational data as XML | |
US644962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pages using semi-structured data stored in a structured manner | |
US7457810B2 (en) | Querying markup language data sources using a relational query processor | |
US20040128296A1 (en) | Method for storing XML documents in a relational database system while exploiting XML schema | |
US20030233618A1 (en) | Indexing and querying of structured documents | |
US20110093486A1 (en) | Data query method, data query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and writable recording medium | |
US7016915B2 (en) | Method for processing XML queries over relational data and meta-data using a relational database system | |
Balmin et al. | Cost-based optimization in DB2 XML | |
US8086561B2 (en) | Document searching system and document searching method | |
Torlone et al. | A unified framework for data translation over the web | |
KR10045602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ebXML filter query by using G-FQL | |
JP4724177B2 (en) | Index for accessing XML data | |
Morishima et al. | A data modeling and query processing scheme for integration of structured document repositories and relational databases | |
McHugh | Data Management and query processing for semistructured data | |
Papotti et al. | An Approach to Heterogeneous Data Translation based on XML Conversion. | |
Chen et al. | A Case Tool for Designing XML Views. | |
Böhme et al. | Parameterized XPath Views | |
Kozlova et al. | Towards integrated query processing for object-relational and xml data sources | |
Ramani | A toolkit for managing XML data with a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0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02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