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9149B1 - Synchronizing Signal Transfer Control Apparatue And Method For EMI Generating Prevention In Synchronous System - Google Patents

Synchronizing Signal Transfer Control Apparatue And Method For EMI Generating Prevention In Synchronou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149B1
KR100419149B1 KR10-1999-0041109A KR19990041109A KR100419149B1 KR 100419149 B1 KR100419149 B1 KR 100419149B1 KR 19990041109 A KR19990041109 A KR 19990041109A KR 100419149 B1 KR100419149 B1 KR 10041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ignal
receiving side
state
synchronization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1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28725A (en
Inventor
이일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149B1/en
Publication of KR20010028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7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149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7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3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synchronous transmission, e.g. time division multiplex [TDM], slotted 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고주파 동기 신호로 인해 EMI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애 상태인 수신측 또는 시스템에 실장되지 않은 수신측으로의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도록 한 동기식 시스템에서 EMI(Electro Management Interference)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in a synchronous system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a synchronous signal to a receiving side that is in a faulty state or a receiving side not mounted in the system in order to prevent EMI from occurring due to the high frequency synchronous signal used in the synchronous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ccurrence.

본 발명은 동기식 데이터 전송을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동기 신호를 사용하는 동기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에 따라 장애 상태로 확인되는 수신측에 대한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상태 제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와,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측이 장애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수신측과 연결된 송신 포트에 대한 전송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차단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송신 포트를 통한 장애 상태인 수신측으로의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고주파의 동기 신호 전송으로 인한 전력 소모와 EMI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system using a synchronization signal betwe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for 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wherein a failure occurs according to a status signal for a receiving side to receive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system shape signal received from an upper processor. A process for checking whether a receiver is in a fault state by analyzing a system shape signal received from a higher processor and a status signal for the receiver, the state control transmitter for blocking a transmission of a synchronization signal to a receiver that is identified as a state. and; Generating a transmission block signal for a transmission port connected to a reception side identified as being in a fault state; By performing the process of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receiving side of the failure state through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blocking sig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wer consumption and EMI generation due to unnecessary high frequency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Description

동기식 시스템에서 이엠아이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Synchronizing Signal Transfer Control Apparatue And Method For EMI Generating Prevention In Synchronous System}Synchronizing Signal Transfer Control Apparatue And Method For EMI Generating Prevention In Synchronous System}

본 발명은 동기식 시스템에서 EMI(Electro Management Interference)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기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고주파 동기 신호로 인해 EMI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애 상태인 수신측 또는 시스템에 실장되지 않은 수신측으로의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도록 한 동기식 시스템에서 EMI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preventing EMI (Electro Management Interference) in a synchronous system.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ion state in which a failure state is prevented to prevent EMI from occurring due to a high frequency synchronization signal used in a synchronous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EMI from occurring in a synchronous system which blocks transmission of a synchronization signal to a receiver or a receiver that is not mounted in the system.

일반적으로, 일정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동기식 전송을 사용하는 동기식 전송망과 연동된 동기식 시스템으로는 교환기 및 대용량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해 모듈화된 형태로 다수의 개별 장비를 국간 디지털 동기에 의해 연동하는 시스템 또는 상호 동기를 동기 신호에 의해 행하는 소형 디지털 시스템 등이 있는데, 예를 들어 교환기와 같은 동기식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시스템(Inter System) 동기부(10)와, 다수의 서브시스템(Subsystem , 20) 및 각 서브시스템(20)에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Block, 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In general, a synchronous system interworking with a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using synchronous transmission as a method of transmitting a constant data includes a system for interwork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equipments by means of digital synchronization between stations in a modular form for exchange and large-capacity digital signal processing. There is a small digital system for performing mutual synchronization by means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example, a synchronous system such as an exchanger includes an inter system synchronizer 10 and a plurality of subs as shown in FIG. A system (Subsystem) 20 and a plurality of user interface blocks (30) connected to each subsystem (20).

해당 중앙 시스템 동기부(10)는 동기식 시스템이 동기식 전송망에서 동기 신호를 추출/재생할 수 있도록 망 연동 동기 신호의 추출 및 추출된 신호로부터 PLL(Phase Locked Loop)을 사용하여 재생한 시스템 동기 신호를 각 서브시스템(20)에 전송하며, 해당 서브시스템(20)은 중앙 시스템 동기부(10)로부터 시스템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내부 동기를 유지하고, 수신한 시스템 동기 신호로부터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의 서비스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한 연동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로 전송한다.The central system synchronizer 10 extracts th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reproduced using a phase locked loop (PLL) from the extracted and extracted signals of the network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so that the synchronous system can extract / reproduce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 the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The subsystem 20 receives th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ation unit 10 to maintain internal synchronization, and the service of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from the received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A synchronizing synchronization signal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each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그리고, 해당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는 서브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연동 동기 신호에 동기되어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며, 내부에서 사용할 신호를 연동 동기 신호에 동기된 상태에서 가공하여 사용한다.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processes the service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ubsystem 20, and processes and uses the signal to be used internally in a state synchronized with the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여기서, 해당 동기식 전송망은 교환기간의 데이터 전송 및 디지털 동기를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물리적으로 디지털 E1/T1 트렁크 라인 및 STM(Synchronous TransPort Mode) 전송망을 예로 들을 수 있다.Here, the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refers to a data transmission network for configuring data transmission and digital synchronization during the switching period, and examples of the physical E1 / T1 trunk line and the Synchronous TransPort Mode (STM) transmission network may be exemplifie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동기식 시스템의 동기 신호 전송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ynchronous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해당 동기식 시스템의 중앙 시스템 동기부(10)는 동기식 전송망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에서 망 연동 동기 신호를 추출한 후, 추출한 망 연동 동기 신호에 PLL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망 연동 동기 신호에 위상 동기되고 고도로 안정된 시스템 동기 신호를 재생하게 되는데, 이때 재생된 시스템 동기 신호는 중앙 시스템 동기부(10)에 연결된 각 서브시스템(20)으로 전송되어 전체 시스템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First,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er 10 of the synchronous system extracts the network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digital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and then performs a PLL process on the extracted network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to phase the corresponding network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It reproduces a synchronized and highly stabl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where the reproduced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subsystem 20 connected to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ation unit 10 to provide synchronization necessary for the entire system data processing.

한편, 중앙 시스템 동기부(10)로부터 시스템 동기 신호를 수신한 각 서브시스템(20)은 해당 시스템 동기 신호의 품질을 모니터하여 상위 프로세서로 신호 상태를 보고함과 동시에 해당 시스템 동기 신호를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의 디지털 서비스 데이터 처리에 이용하기 위한 연동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연동 동기 신호는 서브시스템(20)의 송신 포트를 통해 연동될 수 있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의 숫자만큼 생성된다.Meanwhile, each subsystem 20 that receives th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ation unit 10 monitors the quality of th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reports the signal status to the higher processor, and simultaneously sends th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An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for use in the digital service data processing of 30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each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where the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interlocked through a transmission port of the subsystem 20. The number of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is generated.

이에, 해당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는 자신과 연동된 서브시스템(20)으로부터 연동 동기 신호를 동기 신호 수신 포트로 수신함과 동시에 해당 연동 동기 신호에 의해 신호 처리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receives the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subsystem 20 interworking with th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ing port and receives the service data signaled by the corresponding synchronization signal.

그리고, 해당 서비스 데이터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에 의해 가입자에게 전송되고, 해당 가입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연동 동기 신호에 동기되어 서비스 신호 처리된 후, 연동된 서브시스템(20)으로 전송된다.The servic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by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and the data received from the subscriber is processed in the service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n transmitted to the interworking subsystem 20.

이때, 해당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는 서브시스템(20)으로의 서비스 데이터 전송과 관련하여 별도의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may transmit a separate synchronization signal in connection with service data transmission to the subsystem 20.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동기식 시스템은 동기식 전송망에 동기되고, 해당 시스템내 각 서브시스템(20) 및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와의 연동에도 동기 신호를 이용하게 되는데, 해당 동기 신호의 주파수가 수 Mhz이상인 경우 이를 수신하는 수신측이 동기 신호에 대해 임피던스 매칭되어 있지 않게 되면, 수 Mhz이상의 고주파 동기 신호에 의한 EMI(Electro Management Interference) 신호가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어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인접한 다른 전자 장비에 심각한 노이즈(Noise) 성분으로 유도되어 장비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synchronous system is synchronized to the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also used for interworking with each subsystem 20 and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in the system, and the frequency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several Mhz. In case of abnormality, if the receiving side that receives it is not impedance matche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excessive EMI (Electro Management Interference) signal generated by the high frequency synchronization signal of several Mhz or more adversely affects the whole service of the system. Severe noise components in other adjacent electronic equipment can lead to equipment malfunction.

여기서, EMI 신호라 함은 복사되는 전계 및 자계가 전자적인 결합을 하여 장비의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전자기적 간섭 신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달되는 형태에 따라 전도성 간섭(Conducted Interference)과 방사성 간섭(Radiated Interference)으로 구분할 수 있다.Here, the EMI signal refers to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in which the radiated electric field and the magnetic field are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generate a malfunction of the equipment. The conducted signal and the radiated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form. ).

한편, 전술한 동기식 전송망은 일반적인 공중통신망을 말하며, 해당 공중통신망의 하부에 위치하는 동기식 시스템은 각 교환기로서 자국호가 아닌 국간 중계호 연동에 필수적인 시스템 동기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국간 중계를 위해 E1/T1 트렁크 등이 사용되고, 이를 위한 동기 신호로는 2.048Mhz(E1), 1.44Mhz(T1)가 사용되며, 해당 동기 신호로부터 DPPLL(Digital Processed Phase Locked Loop) 방식으로 고안정된 32.768Mhz의 시스템 동기 신호가 생성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refers to a general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ynchronous system located under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s system synchronization functions necessary for interworking between relay stations, not domestic calls, as exchanges. / T1 trunk is used,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s for this purpose are 2.048Mhz (E1), 1.44Mhz (T1), and 32.768Mhz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devised by DPPLL (Digital Processed Phase Locked Loop) method from the corresponding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그리고, 해당 동기식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이, 중앙 시스템 동기부(10)와 각 서브시스템(20)간에 그리고, 서브시스템(20)과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간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케이블을 통해 고주파의 동기 신호가 해당되는 수신측으로 아무런 제어없이 전송됨에 따라 해당 수신측이 시스템에 실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임피던스 매칭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수신측이 장애 상태인 경우, 연결 케이블이 단락된 경우에도 해당 동기 신호가 케이블을 통해 수신측으로 전송된다.In addition, the synchronous system is connected by a cable between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er 10 and each subsystem 20 and between the subsystem 20 and each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as shown in FIG. If the receiver is not mounted in the system as the high frequency syn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receiver without any control through the cable, if the impedance is not matched, or if the receiver is in a fault state, the connection cable Even in this short circuit, the corresponding synchroniz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hrough the cable.

따라서, 종래의 동기식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에 실장되지 않은 즉, 시스템 형상에 없는 수신측 즉, 서브시스템(20) 또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로 고주파의 동기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고, 해당 시스템 형상에 없는 수신측으로 케이블을 통해 동기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해당 케이블이 고주파 안테나 역할을 하여 고속 스위칭 노이즈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 동작이나 주위 사람들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는 EMI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synchronous system,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ccurs as a high frequency synchroniz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that is not mounted in the system, that is, not in the system shape, that is, the subsystem 20 or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As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to the receiver that is not in the system configuration, the cable acts as a high-frequency antenna, which can act as a high-speed switching noise source, resulting in an EMI signal that can adversely affect system operation or people around. Don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동기식 시스템의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동기 신호 전송시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와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수신측이 장애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 장애 상태인 수신측에 대해서는 송신 포트를 통한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고주파의 동기 신호 전송으로 인한 전력 소모와 EMI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analyze whether the receiving side is in an error state by analyzing a state signal and a system shape signal for the receiving side when transmit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side to the receiving side of the synchronous system.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port is blocked for the receiving side that is in a faulty state, thereby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and EMI generation due to unnecessary high frequency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도 1은 일반적인 동기식 전송망과 연동된 교환기와 같은 동기식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nchronous system such as an exchange interworking with a general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도 2는 도 1에 있어, 시스템 내부의 케이블 연결 상태를 예시한 도면.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ble connection state inside the system of FIG. 1. FIG.

도 3의 (가) 및 (나)는 도 1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시스템 동기부 및 서브시스템을 도시한 도면.3A and 3B show a central system synchronizer and sub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도 4는 도 3에 있어, 상태 제어 전송부의 상세한 구성 블록도.FIG.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state control transmitter of FIG. 3; FIG.

도 5는 도 4에 있어, 송수신 상태 감시부의 상세한 구성 블록도.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in FIG.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시스템에서 EMI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동작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signal transmission control operation for preventing EMI from occurring in a synchronou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21 : 상태 제어 전송부 41 : 동기 신호 전송부11, 21: state control transmitter 41: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r

42 : 전송 제어부 43 : 송수신 상태 감시부42: transmission control unit 43: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1 : 시스템 형상 분석부 43-2 : 상태 신호 처리부43-1: System shape analyzer 43-2: Status signal processor

43-3 : 장애 상태 보고부43-3: Failure Status Repor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동기식 데이터 전송을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동기 신호를 사용하는 동기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수신측을 보고하는 송수신 상태 감시부와; 상기 송수신 상태 감시부로부터 장애 상태인 것으로 보고된 수신측과 연결된 송신 포트에 대한 전송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전송 제어부와; 상기 전송 제어부로부터 전송 차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되는 송신 포트를 통한 상기 수신측으로의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동기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 제어 전송부를 구비하는데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ynchronous system using a synchronization signal betwe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for 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comprising: a status signal for a receiving side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for analyzing a system shape signal received from an upper processor and reporting a reception side identified as being in a failure state;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transmission blocking signal for a transmission port connected to a reception side that is reported as a fault state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When the transmission block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state control transmitter comprising a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r for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receiving side through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그리고, 상기 송수신 상태 감시부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초기 셋업시 또는 시스템 형상 변동시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측 형상 정보를 보고하는 시스템 형상 분석부와; 각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측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상태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시스템 형상 분석부로부터 보고되는 수신측 형상 정보와, 상기 상태 신호 처리부로부터 보고되는 수신측 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장애 상태로 확인되는 수신측을 상기 전송 제어부로 보고하는 장애 상태 보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may include a system shape analysis unit configured to report received shape information by analyzing system shape signals received during initial setup or system shape change from an upper processor; A status signal processor for analyzing status signals for each receiver and reporting receiver status information; And a failure state reporting unit for integrating the reception side shape information reported from the system shape analysis unit and the reception side state information reported from the state signal processing unit to report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a reception side identified as a failure state. It is don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와,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측이 장애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수신측과 연결된 송신 포트에 대한 전송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차단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송신 포트를 통한 장애 상태인 수신측으로의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기식 시스템에서 이엠아이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nalyzing a system shape signal received from a higher processor and a status signal for a receiving side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ing side is in a fault state; Generating a transmission block signal for a transmission port connected to a reception side identified as being in a fault sta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EM eye in a synchronous system including a step of blocking transmission of a synchronization signal to a receiver in a fault state through a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blocking signal.

나아가, 상기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는 수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신호와, 상기 수신측에 대한 장애 상태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애 상태는 수신측과 연결된 케이블이 단락된 경우와, 수신측에서 동기 신호에 대한 임피던스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수신측 내부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와, 수신측이 실장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status signal for the receiving side may include a status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side, and a status signal received from a state management unit managing a failure state for the receiving side, wherein the failure state is the receiving side. This includes the case where the cable connected to the circuit is short-circuited, the impedanc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matched at the receiving side, the service cannot be provided due to a failure inside the receiv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is not mounted. Characterized in tha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일반적인 동기식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되, 해당 동기식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전송시 발생하는 EMI 신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 도 3의 (가) 및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시스템 동기부(10) 및 서브시스템(20)은 연동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와, 운용자 터미널 및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에 따라 장애 상태로 확인되는 수신측에 대한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게 하는 상태 제어 전송부(11, 21)를 더 포함한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ynchronou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synchronous system shown in Figure 1, but in order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the EMI signal generated during transmission of the synchronous signal in the synchronous system attached to Figure 3 (a) And (b),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er 10 and the subsystem 20 are configured to receive status signals for the receiving side to receive the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system shape signals received from the operator terminal and the upper processor. According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state control transmitters 11 and 21 for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receiving side identified as the fault state.

그리고, 해당 상태 제어 전송부(11, 21)를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한 도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 신호 전송부(41)와, 전송 제어부(42) 및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n, the state control transmitters 11 and 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 4,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r 41, the transmission controller 42,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 are described. It is made.

해당 동기 신호 전송부(41)는 각 송신 포트를 통해 연동된 수신측으로 동기 신호를 전송하되, 전송 제어부(42)로부터 소정의 전송 차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해당되는 송신 포트를 통한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며, 해당 전송 제어부(42)는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로부터 장애 상태인 것으로 보고된 수신측과 연결된 송신 포트에 대한 전송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 신호 전송부(41)로 전달하고, 해당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는 각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와, 운용자 터미널 및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수신측을 전송 제어부(42)로 보고한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r 41 transmits a synchronization signal to a receiver side interlocked through each transmission port, and when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block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blocks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generates a transmission blocking signal for a transmission port connected to a receiving side that is reported to be in a fault state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blocking signal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41. The status monitoring unit 43 analyzes the status signal for each receiving side and the system shape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or terminal and the upper processor, and reports the receiving side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that is confirmed to be in a faulty state.

또한, 상술한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를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한 도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형상 분석부(43-1)와, 상태 신호 처리부(43-2) 및 장애 상태 보고부(43-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해당 시스템 형상 분석부(43-1)는 운용자 터미널 및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초기 셋업시 또는 시스템 형상 변동시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측의 실장 여부 즉, 수신측 형상 정보를 장애 상태 보고부(43-3)로 보고하고, 해당 상태 신호 처리부(43-2)는 각 수신측의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수신측의 장애 여부 즉, 수신측 상태 정보를 장애 상태 보고부(43-3)로 보고하며, 해당 장애 상태 보고부(43-3)는 시스템 형상 분석부(43-1)로부터 보고되는 수신측 형상 정보와, 상태 신호 처리부(43-2)로부터 보고되는 수신측 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장애 상태로 확인되는 수신측을 전송 제어부(42)로 보고하되, 해당 수신측이 실장되어 있지 않거나 장애 상태인 경우 이를 전송 제어부(42)로 보고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 5, the system shape analyzer 43-1, the state signal processing unit 43-2, and the fault state report unit are illustrated. (43-3), the system shape analysis unit 43-1 analyzes the system shape signal received at the time of initial setup or system shape change from the operator terminal and the upper processor, namely whether the receiver is mounted or not. The reception side shape information is reported to the failure state reporting unit 43-3, and the state signal processing unit 43-2 analyzes the state signals of each receiving sid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receiving side is faulty. Is reported to the fault state report unit 43-3, and the fault state report unit 43-3 receives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side reported from the system shape analyzer 43-1 and the state signal processor 43-2. To the failure state by integrating the status information The confirmed receiving side is repor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but if the corresponding receiving side is not mounted or is in a failure state, it is repor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시스템의 동기 신호 전송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synchronou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해당 동기식 시스템의 중앙 시스템 동기부(10)는 동기식 전송망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에서 망 연동 동기 신호를 추출한 후, 추출한 망 연동 동기 신호에 PLL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망 연동 동기 신호에 위상 동기되고 고도로 안정된 시스템 동기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First,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er 10 of the synchronous system extracts the network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digital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and then performs a PLL process on the extracted network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to phase the corresponding network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It produces a synchronized and highly stable system sync signal.

이후, 해당 중앙 시스템 동기부(10)는 재생된 시스템 동기 신호를 상태 제어 전송부(11)의 제어에 따라 송신 포트를 통해 각 서브시스템(20)으로 전송하여 전체 시스템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동기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상태 제어 전송부(11)의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는 송신 포트를 통해 연동된 수신측(서브시스템(20))에 대한 상태 신호와, 운용자 터미널 및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 상태로 확인되는 서브시스템(20)을 전송 제어부(42)로 보고하게 된다.Thereafter,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er 10 transmits the reproduced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to each subsystem 20 through the transmission port under the control of the state control transmitter 11 to provide synchronization required for the entire system data processing.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 of the state control transmission unit 11 receives the status signal for the receiving side (subsystem 20) interlocked through the transmission port, and from the operator terminal and the upper processor The subsystem 20, which is identified as a fault state by analyzing the system shape signal, is repor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ler 42.

여기서, 해당 서브시스템(20)에 대한 상태 신호는 각 서브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신호와 각 서브시스템(20)에 대한 장애 상태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신호를 포함하며, 해당 시스템 형상 신호는 초기 셋업시 또는 시스템 형상 변경시에 운용자 터미널 및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각 서브시스템(20)의 실장 여부에 대한 형상 신호를 의미한다.Here, the status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subsystem 20 is received from a status management unit (not shown) that manages the status signal received from each subsystem 20 and the failure status for each subsystem 20. The system shape signal refers to a shape signal of whether or not each subsystem 20 is received from an operator terminal and an upper processor during initial setup or system configuration change.

한편, 해당 중앙 시스템 동기부(10)의 전송 제어부(42)는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로부터 소정 서브시스템(20)에 대해 장애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서브시스템(20)에 대한 시스템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시키기 위해 해당되는 송신포트에 대한 전송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 신호 전송부(41)로 전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of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ation unit 10 is a system synchronization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subsystem 20 when a failure state signal is received for the predetermined subsystem 20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 In order to block signal transmission, a transmission blocking signal for a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r 41.

그러면, 해당 동기 신호 전송부(41)는 전송 제어부(42)로부터 전달되는 전송 차단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송신 포트에 대한 시스템 동기 신호 출력을 차단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동기 신호 수신측인 서브시스템(20)과 연결된 케이블이 단락되거나 해당 서브시스템(20)의 수신 포트 종단이 임피던스 매칭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해당 서브시스템(20) 내부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 Mhz 이상의 고주파 동기 신호인 시스템 동기 신호를 해당 서브시스템(20) 측으로 전송하지 않게 되어 EMI 신호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r 41 cuts off th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to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utof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and thus the subsystem 20 which is th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ing side. If the cable connected to the cable is short-circuited or the receiving port termination of the corresponding subsystem 20 is not impedance matched, or a failure occurs in the corresponding subsystem 20, th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which is a high frequency synchronization signal of several Mhz or more, is applied. It does not transmit to the subsystem 20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the EMI signal.

한편, 해당 중앙 시스템 동기부(10)로부터 시스템 동기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서브시스템(20)은 해당 시스템 동기 신호의 품질을 모니터하여 상위 프로세서로 신호 상태를 보고함과 동시에 해당 시스템 동기 신호를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의 디지털 서비스 데이터 처리에 이용하기 위해 상태 제어 전송부(21)의 제어에 따라 연동 동기 신호를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상태 제어 전송부(21)의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는 송신 포트를 통해 연동된 수신측(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에 대한 상태 신호와, 운용자 터미널 및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 상태로 확인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를 전송 제어부(42)로 보고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bsystem 20 that normally receives th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ation unit 10 monitors the quality of th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reports the signal status to a higher processor, and simultaneously sends the system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subscriber interface. In order to use the digital service data processing of the unit 30 to transmit the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to each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under the control of the state control transmitter 21, at this time, the state control transmitter 21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us monitoring unit 43 is identified as a failure state by analyzing the status signal for the receiver sid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interlocked through the transmission port, and the system shape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or terminal and the upper processor.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is repor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여기서, 해당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에 대한 상태 신호는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신호와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에 대한 장애 상태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신호를 포함하며, 해당 시스템 형상 신호는 초기 셋업시 또는 시스템 형상 변경시에 운용자 터미널 및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의 실장 여부에 대한 형상 신호를 의미한다.Here, the status signal for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is a status signal received from each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and a state manager (not shown in the figure) for managing a failure state for each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The system shape signal refers to a shape signal of whether or not each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is received from an operator terminal and an upper processor during initial setup or system configuration change.

한편, 해당 서브시스템(20)의 전송 제어부(42)는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로부터 소정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에 대해 장애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에 대한 시스템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시키기 위해 해당되는 송신 포트에 대한 전송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 신호 전송부(41)로 전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of the subsystem 20, when the failure status signal is received for the predetermined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 the system synchroniz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In order to block signal transmission, a transmission blocking signal for a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r 41.

그러면, 해당 동기 신호 전송부(41)는 전송 제어부(42)로부터 전달되는 전송 차단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송신 포트에 대한 연동 동기 신호 출력을 차단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수신측인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와 연결된 케이블이 단락되거나 해당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의 수신 포트 종단이 임피던스 매칭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해당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 Mhz 이상의 고주파 동기 신호인 연동 동기 신호를 해당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0) 측으로 전송하지 않게 되어 EMI 신호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r 41 cuts the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to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utof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and thus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as the receiving side. If the connected cable is short-circuited or the receiving port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is not impedance-matched or a failure occurs i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the interlocking synchronization signal, which is a high frequency synchronization signal of several Mhz or more, is applied. Since the transmiss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interface unit 30, EMI signal generation can be prevented.

상술한 동작 중에, 해당 송수신 상태 감시부(43)에 의해 수신측 즉, 서브시스템(2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가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수신측과 연결된 케이블이 단락되거나 해당 수신측에서 동기 신호에 대한 임피던스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해당 수신측 내부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 수신측으로부터 활성화된 상태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와, 수신측에 대한 장애 상태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에서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서브시스템(20)에 대해 활성화된 상태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와, 초기 셋업시 또는 시스템 형상 변경시에 운용자 터미널 및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측의 실장 여부에 대한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한 결과 해당 수신측이 실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가 있다.Dur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hen the reception side, that is, the subsystem 20 or the user interface unit 30 is determined to be in a failure state by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 there are three main categories. If the connected cable is short-circuited, or the receiver does not match the impedance for the sync signal, or if the service cannot be provided due to a fault inside the receiver, an activated statu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ceiver. When it is determined to be in a failure state, and when the status signal that manages the failure state on the receiving side is received as the status signal activated for the subsystem 20 that is determined to be in the failure state, and Receiving side from the operator terminal and host processor during initial setup or system configuration change Analysis of the shape signal for the system if there are cases where it is not already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side is implemented.

그리고, 해당 전송측인 중앙 시스템 동기부(10) 또는 서브시스템(20)의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는 수신측에 대해 활성화된 상태 신호 즉, 장애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소프트웨어적인 처리없이 하드웨어적인 연결에 의해 실시간으로 전송 제어부(42)로 전달하게 되는데, 해당 상태 신호는 디지털 5V의 '하이' 또는 '로우'레벨 신호로서 EMI에 영향이 없는 신호이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tatus monitoring unit 43 of the central system synchronization unit 10 or the subsystem 20, which is the transmission side, receives hardware without software processing when a status signal activated for the reception side, that is, a failure state signal, is received. It is deliver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in real time by the conventional connection, the status signal is a digital 'high' or 'low' level signal is a signal that does not affect the EMI.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전송시의 EMI 신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상태 제어 전송부(11, 21)의 동기 신호 전송 제어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control operation of the state control transmitters 11 and 21 for preventing the EMI signal generation dur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in the synchronou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

먼저, 해당 상태 제어 전송부(11, 21)의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는 시스템 형상 신호와 수신측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측이 장애 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되는데, 해당 송수신 상태 감시부(43)의 시스템 형상 분석부(43-1)는 초기 셋업시 또는 시스템 형상 변동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측의 실장 여부를 장애 상태 보고부(43-3)로 보고하게 되고(스텝 S61), 상태 신호 처리부(43-2)는 수신측 또는 상태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측에 대한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수신측의 장애 여부를 장애 상태 보고부(43-3)로 보고하게 된다(스텝 S62)Firs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 of the state control transmission unit 11 and 21 analyzes the system shape signal and the reception side state signal to check whether the receiving side is in an error state. The system shape analyzer 43-1 of FIG. 2 analyzes the system shape signal received from the upper processor during the initial setup or when the system shape is changed, and reports whether the receiver is mounted to the failure state report unit 43-3. (Step S61), the state signal processing unit 43-2 analyzes the state signal for the receiving side received from the receiving side or the state management unit to report whether or not the receiving side has a failure to the failure state reporting unit 43-3. (Step S62)

이에, 해당 송수신 상태 감시부(43)의 장애 상태 보고부(43-3)는 시스템 형상 분석부(43-1)로부터 보고되는 수신측의 실장 여부와, 상태 신호 처리부(43-2)로부터 보고되는 수신측의 장애 여부를 통합하여 해당 수신측이 장애 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63).Accordingly, the failure state report unit 43-3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 reports whether or not the reception side is mounted as reported from the system shape analyzer 43-1, and the state signal processor 43-2 reports. The failure of the receiving side is integrated to confirm whether the receiving side is in an error state (step S63).

이때, 해당 수신측이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송수신 상태 감시부(43)는 장애 상태로 확인된 수신측을 전송 제어부(42)로 보고하게 되고, 해당 전송 제어부(42)는 장애 상태인 수신측과 연결된 송신 포트에 대한 전송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 신호 전송부(41)로 전달함으로써(스텝 S64), 해당 동기 신호 전송부(41)는 수신된 전송 차단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송신 포트를 통한 장애 상태인 수신측으로의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게 된다(스텝 S65).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side is in a failure stat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43 reports the reception side identified as the failure state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42 is in a failure state. By generating a transmission cutoff signal for the transmission port connected to the receiving side and transmitting it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41 (step S64),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41 selects a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according to the received transmission blocking signal. The transmissio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receiving side which is in the fault state through the control is interrupted (step S65).

그런데, 스텝 S63에서 해당 수신측이 장애 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상태 제어 전송부(11, 21)의 동기 신호 전송부(41)는 장애 상태가 아닌 수신측과 연결된 송신 포트를 통한 수신측으로의 동기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스텝 S66).By the way, when it is confirmed in step S63 that the corresponding receiving side is not in a faulty state,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41 of the state control transmitters 11 and 21 moves to the receiving side through a transmission port connected to the receiving side that is not in a faulty state. The synchronizing signal is transmitted (step S66).

상술한 바와 같이, 동기식 전송망과 연동된 교환기와 같은 동기식 시스템에서 내부의 각 시스템 즉, 전송측과 수신측간에는 상호 연동을 위해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최근의 동기식 전송망 및 동기식 시스템이 광대역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형태로 초고속 대용량화됨에 따라 해당 동기 신호로 수 Mhz에서 수백Mhz이상을 사용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a synchronous system such as an exchange interoperating with a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each internal system, that is,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transmits and receives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mutual interworking. Recently, a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and a synchronous system provide broadband service. As it becomes ultra-high-capacity in a form to support, it is used as a synchronization signal from several Mhz to several hundred Mhz.

따라서, 해당 시스템간의 케이블 단락이나 인피던스 매칭되어 있지 않는 경우 또는 해당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의 장애로 인해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고주파 동기 신호로 인해 EMI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표준으로 규정된 EMI 규격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주변 전자 장비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었다.Therefore, when there is no short circuit or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systems, or w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not be received or serviced due to the failure of the receive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e EMI signal is caused by the high frequency synchronization signal. This may cause the EMI of the standard to be exceeded or, in severe cases, cause malfunction of the peripheral electronic equipment.

하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수신측이 장애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수신측과 연결된 송신 포트 즉, 케이블로의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게 되어, 고주파 동기 신호로 인한 EMI 신호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ceiving side is identified as a failure state, it blocks the transmission of the synchronous signal to the transmission port, that is, the cabl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receiving sid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EMI signal due to the high frequency synchronous signal.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동기식 시스템의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동기 신호 전송시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와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수신측이 장애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 장애 상태인 수신측에 대해서는 송신 포트를 통한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고주파의 동기 신호 전송으로 인한 전력 소모와 EMI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state signal and the system shape signal for the receiving side when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side to the receiving side of the synchronous system, and confirms whether the corresponding receiving side is in a faulty state. By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p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power consumption and EMI caused by unnecessary high frequency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Claims (8)

동기식 데이터 전송을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동기 신호를 사용하는 동기식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nchronous system using a synchronization signal betwe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for 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수신측을 보고하는 송수신 상태 감시부와; 상기 송수신 상태 감시부로부터 장애 상태인 것으로 보고된 수신측과 연결된 송신 포트에 대한 전송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전송 제어부와; 상기 전송 제어부로부터 전송 차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되는 송신 포트를 통한 상기 수신측으로의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동기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 제어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시스템에서 이엠아이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장치.A transmission / reception status monitoring unit for analyzing a status signal for a reception side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system shape signal received from an upper processor to report a reception side that is determined to be in a faulty state;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transmission blocking signal for a transmission port connected to a reception side that is reported as a fault state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When the transmission block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state control transmission unit comprising a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receiving side through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prevention Synchronous signal transmission control device fo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수신 상태 감시부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초기 셋업시 또는 시스템 형상 변동시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측 형상 정보를 보고하는 시스템 형상 분석부와; 각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측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상태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시스템 형상 분석부로부터 보고되는 수신측 형상 정보와, 상기 상태 신호 처리부로부터 보고되는 수신측 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장애 상태로 확인되는 수신측을 상기 전송 제어부로 보고하는 장애 상태 보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시스템에서 이엠아이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장치.The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monitoring unit includes: a system shape analysis unit configured to report received shape information by analyzing system shape signals received during initial setup or system shape change from an upper processor; A status signal processor for analyzing status signals for each receiver and reporting receiver status information; And a failure state reporting unit for integrating the reception side shape information reported from the system shape analysis unit and the reception side state information reported from the state signal processing unit to report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a reception side identified as a failure state. Synchronous signal transmiss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M eye in a synchronous system.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는, 수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신호와, 상기 수신측에 대한 장애 상태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시스템에서 이엠아이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장치.The status signal for the receiving side, the status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side, and a status signal received from the stat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 failure state for the receiving side, characterized in that for synchronous system prevention Synchronous signal transmission control device.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장애 상태는, 수신측과 연결된 케이블이 단락된 경우와, 수신측에서 동기 신호에 대한 임피던스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수신측 내부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와, 수신측이 실장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시스템에서 이엠아이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장치.The fault condition includes a case where the cable connected to the receiving side is short-circuited, the impedanc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matched at the receiving side, the service cannot be provided due to a failure inside the receiv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And a case in which it is not mounted.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M eye in a synchronous system.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형상 신호와,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측이 장애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장애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수신측과 연결된 송신 포트에 대한 전송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차단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송신 포트를 통한 장애 상태인 수신측으로의 동기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시스템에서 이엠아이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방법.Analyzing a system shape signal received from an upper processor and a status signal for a receiving side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ing side is in an error state; Generating a transmission block signal for a transmission port connected to a reception side identified as being in a fault state; And blocking transmission of a synchronization signal to a receiving side in a fault state through a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r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blocking sig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수신측에 대한 상태 신호는, 수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신호와, 상기 수신측에 대한 장애 상태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시스템에서 이엠아이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방법.The status signal for the receiving side, the status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side, and a status signal received from the stat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 failure state for the receiving side, characterized in that for synchronous system prevention Synchronous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장애 상태는, 수신측과 연결된 케이블이 단락된 경우와, 수신측에서 동기 신호에 대한 임피던스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수신측 내부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와, 수신측이 실장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시스템에서 이엠아이 발생 방지를 위한 동기 신호 전송 제어 방법.The fault condition includes a case where the cable connected to the receiving side is short-circuited, the impedanc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matched at the receiving side, the service cannot be provided due to a failure inside the receiv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And a case in which it is not mounted.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ccurrence of EM eye in a synchronous system.
KR10-1999-0041109A 1999-09-22 1999-09-22 Synchronizing Signal Transfer Control Apparatue And Method For EMI Generating Prevention In Synchronous System Expired - Fee Related KR100419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109A KR100419149B1 (en) 1999-09-22 1999-09-22 Synchronizing Signal Transfer Control Apparatue And Method For EMI Generating Prevention In Synchronou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109A KR100419149B1 (en) 1999-09-22 1999-09-22 Synchronizing Signal Transfer Control Apparatue And Method For EMI Generating Prevention In Synchronou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725A KR20010028725A (en) 2001-04-06
KR100419149B1 true KR100419149B1 (en) 2004-02-14

Family

ID=1961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1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9149B1 (en) 1999-09-22 1999-09-22 Synchronizing Signal Transfer Control Apparatue And Method For EMI Generating Prevention In Synchronou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14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3139A (en) * 1990-03-02 1991-1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Emi detection system in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13886A (en) * 1997-07-17 1999-02-25 사와무라 시꼬 Interface circuit
WO1999012316A2 (en) * 1997-09-04 1999-03-11 Silicon Image, Inc. Controllable delays in multiple synchronized signals for reduc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t peak frequencies
WO1999038296A1 (en) * 1998-01-21 1999-07-29 Gennum Corporation Line driver with linear transi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3139A (en) * 1990-03-02 1991-1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Emi detection system in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13886A (en) * 1997-07-17 1999-02-25 사와무라 시꼬 Interface circuit
WO1999012316A2 (en) * 1997-09-04 1999-03-11 Silicon Image, Inc. Controllable delays in multiple synchronized signals for reduc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t peak frequencies
WO1999038296A1 (en) * 1998-01-21 1999-07-29 Gennum Corporation Line driver with linear tran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725A (en)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2221A (en) Office machine monitoring device
JP2909084B2 (en) Run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a adapter used for it
US6778549B1 (en) Coupling device connecting multiple pots lines in an HPNA environment
KR940020754A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supervised signals between end users (Emorgency local switching)
US6243273B1 (en) Mini-backplane “T” assembly
US5946303A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remote communication interface via the alarm indication signal
US7269355B2 (en) Optical space communications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163209A1 (en) Circuitry for Demarcation Devices and Methods Utilizing Same
US6763221B2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ess to radio frequency outdoor units in a point-to-multipoint wireless network
CN101796774A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hecking connection status of IP link on IP network
AU2001233127A1 (en) Non-invasive remote monitoring and reporting of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s
US72566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powering of device connected to network
US6510203B1 (en) Central office technician notif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KR100419149B1 (en) Synchronizing Signal Transfer Control Apparatue And Method For EMI Generating Prevention In Synchronous System
US7543044B2 (en) Automatic configuration system
JP3461954B2 (en) Data transmission equipment
JP2569596B2 (en) Digital subscriber line switching equipment
CN102142986A (en) Veneer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EP33675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 subscriber line initialization
US5148426A (en) Integrated echo canceling multiplexor
KR102773130B1 (en) Coupler-based Modular Detachable Beamforming Antenna
EP1334570B1 (en) Hdsl repeater
KR100273964B1 (en) The function reporting status of terrestrial circuit per link in pcs system
EP3531616B1 (en) Cable tracing method, and customer-premises equipment
WO2024146191A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2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20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