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551B1 - Additional data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display additional data - Google Patents
Additional data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display additional dat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16551B1 KR100416551B1 KR10-2001-0065386A KR20010065386A KR100416551B1 KR 100416551 B1 KR100416551 B1 KR 100416551B1 KR 20010065386 A KR20010065386 A KR 20010065386A KR 100416551 B1 KR100416551 B1 KR 1004165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ditional information
- displayed
- function
- display
- processing sy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상태에 따라 기능 제어에 의해 발생되는 부가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영상 처리 시스템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and a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display posi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function control according to a stat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영상 처리 시스템의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영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면,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부가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소정 영역이외의 영역에 설정하는 단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위치에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영역은 영상의 피사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거나 부가 정보와 유사한 형태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다.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f the function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s controlled by the user, the display posi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Setting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And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t a position set in the setting step. The predetermined area is an area in which a subject of an image is displayed or an area in which information similar to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따라서 디스플레이 되는 부가 정보가 시청중인 영상의 중요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from covering the important display area of the image being view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상기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performing a function and an image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상기 영상 처리 시스템은 텔레비전, VTR, DVD 등과 같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영상 처리 시스템은 수신 채널 변경, 볼륨 조정, 화면 조정 등과 같은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면, 해당 기능의 수행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그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부가 정보라고 한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덧붙여 제공되는 정보이기 때문이다.The image processing system is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signal such as a television, a VTR, a DVD, or the like. When the image processing system controls a function such as changing a reception channel, adjusting a volume, adjusting a screen, and the like by the user,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s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The displayed information is called additional information. This is because the informa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user's convenience.
예를 들어, 볼륨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볼륨 키를 제어할 때,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 없이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볼륨이 얼마만큼 조정되었는지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볼륨 조정 시, 사용자의 볼륨 키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는 볼륨 조정에 관련된 부가 정보가 된다. 또한, 채널 변경 시에도, 채널 변경키 제어만으로 채널을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러나, 채널 변경 시, 화면상에 변경되는 채널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설정되는 채널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채널 정보는 채널 변경에 관련된 부가 정보가 된다.For example, to adjust the volume, when the user controls the volume key, the volume can be adjusted without the information displayed. However, the user cannot see exactly how much the volume is adjusted. Therefore, when adjusting the volume,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volume key control state of the user is displayed together. The information displayed at this time become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volume adjustment. In addition, even when the channel is changed, the channel can be changed only by controlling the channel change key. However, when the channel is changed, the channel information that is changed on the screen is displayed together,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currently set channel. Therefore, the channe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become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nnel change.
그러나 이러한 부가 정보들은 시스템 제작 시 설정된 위치에만 디스플레이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청중인 영상의 중요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릴 수도 있다. 즉, 자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나 피사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에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경우에,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기간동안 사용자는 정상적인 시청을 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자막 정보를 포함한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때, 볼륨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가 자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된다면, 사용자는 볼륨을 조정하고 있는 기간동안 자막 정보를 볼 수 없게 된다.However,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ly at the position set when the system is manufactured. Therefore, it may cover an important display area of the image being viewed. That is,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region where the cap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r the region where the subject is displayed, the user cannot normally watch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subtitle information is displayed, if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volume adjustment state is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area where the subtitle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user may view the subtitle information for the period during which the volume is adjusted. It becomes impossibl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상태에 따라 기능 제어에 의해 발생되는 부가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display posi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a function control according to a stat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피사체 또는 자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기능 제어에 의해 발생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영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a function control in a region other than a region in which a displayed image is displayed on a subject or subtitle informa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영상 처리 시스템의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영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면,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부가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소정 영역이외의 영역에 설정하는 단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위치에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f the function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s controlled by the user, the addi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Setting a display position of information in an area other than a predetermined area of an image to be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position set in the setting step.
상기 소정 영역은 영상의 피사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거나 부가 정보와 유사한 형태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determined area is an area in which an object of an image is displayed or an area in which information similar to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디스플레이 방법은, 영상 처리 시스템의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영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자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자막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부가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자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와 상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위치에 상기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a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an image processing system, wherein when a function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s controlled by a user, subtitl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ed image. Checking whether it is included; If the caption information is included, set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function to be differen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cap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set posi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영상 처리 시스템의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부가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모드가 설정되면,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변경 가능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원하는 위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위치를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 영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면, 기능 제어에 따라 발생되는 부가 정보를 설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an image processing system, when a display position change mode of additional information is set, at least one changeabl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a; If a desired position is selected based on the changeable position information, setting the selected position as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If the function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s controlled by the user, the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function contro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시스템은,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및/또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 입력부; 키 입력부를 통해 영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이 제어되면, 기능 제어에 따른 부가 정보를 발생하는 부가 정보 발생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출력하는 영상신호처리부; 부가 정보 발생부와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스위치; 키입력부로부터 기능을 제어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부가 정보 발생부를 제어하여 해당되는 부가 정보가 발생되도록 하고, 영상의 소정 디스플레이 영역이외에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 im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a function, compris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and / or additional information;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control when a function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s controll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A video signal processor for outputting an input video signal in a displayable form; A switch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and the video signal processor to the display; When a signal for controlling a function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o generate correspond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so that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predetermined display area of the image. D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영상 처리 시스템의 블록 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processing system hav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의 블록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시스템은, 영상신호 처리부(101), 제어부(102), 키 입력부(103), 부가 정보 발생부(104), 스위치(105), 디스플레이 부(106)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im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signal processor 101, a controller 102, a key input unit 103, an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104, a switch 105, and a display unit 106. It is composed of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안테나(미 도시됨)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신호 또는 기록매체(미 도시됨)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출력한다.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변경하는 방법은 기존의 영상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방식을 사용한다.The video signal processor 101 outputs a video signal included in a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or a video signal reproduced from a recording medium (not shown), in a displayable form. The method of changing the input video signal into a displayable form uses the same method as used in the existing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또한,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자막 정보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피사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알리는 정보를 제어부(102)로 제공한다. 상기 자막 정보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부가 정보 영역에 실려 있는 정보의 분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막정보전용 플래그(flag)의 상태를 분석하여 자막 정보 포함여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상기 자막 정보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피사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 정보는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를 비교하여 배경 영역과 피사체 영역을 구분하는 기존의 방식이나 움직임 추정방식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사체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signal processor 101 provides the controller 102 with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subtitl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put image signal and information indicating an area where the subject is displaye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aption information is included may be provided through analysis of information contained in an additional information area of an input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state of a caption information dedicated flag may b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caption information is included and the result may be provided a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aption information is included. The area information on which the subject is displayed can be detected by comparing an image signal in units of frames and detecting a subject area by using a conventional method or a motion estimation method of distinguishing a background area from a subject area,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etected subject area. Can be.
키 입력부(103)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다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이 키 입력부(103)는 영상 처리 시스템의 프론트 패널 상에 존재하거나 리모콘과 같이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03 may input a user's command, and includes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functions. The key input unit 103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nel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or in a form that can be controlled remotely, such as a remote controller.
제어부(102)는 키 입력부(103)를 통해 해당되는 영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중 임의의 기능이 제어되고, 제어된 기능이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수반한 경우에, 부가 정보 발생부(104)를 제어하여 해당되는 부가 정보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처리부(101)로부터 제공되는 자막 정보 포함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피사체 영역 정보를 토대로 스위치(105)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피사체 영역 및/또는 자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스위치(105)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2 controls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4 when any of the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image processing system is controll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3, and the controlled function involves the function of display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control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generated. Then,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05 is contro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aption information is included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101 or the subject region information.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05 is controlled so that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subject area and / or the cap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이러한 스위치(105)의 동작을 제어하기 전에 제어부(102)는 영상 신호 처리부(101)로부터 제공되는 자막 정보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피사체 영역 정보를 토대로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스위치(105)의 동작을 제어한다.Befor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05, the control unit 102 determines a region in which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to be display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ap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01 or the subject reg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determined posi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05 is controlled.
부가 정보 발생부(104)는 영상 처리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기능중 부가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 기능의 모든 부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되는 부가 정보는 문자 정보이거나 막대 그래프와 같은 그래픽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02)는 키 입력부(103)를 통해 제어되는 기능과 부가 정보 발생부(104)에서 발생되는 대응되는 부가 정보간의 관계 정보를 보유하고, 키 입력부(103)로부터 기능 정보가 입력되면, 보유하고 있던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 발생부(104)로 해당되는 부가 정보 발생을 요구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부가 정보 발생부(104)는 저장하고 있던 부가 정보중 해당되는 부가 정보를 발생한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4 is configured to store all additional information of a function that is required to display additional information among functions provided in the image processing system.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may be text information or graphic information such as a bar graph. The control unit 102 holds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function controll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3 and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4, and if the func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03, Using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he control signal for requesting genera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4 is provid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104 generates corresponding additional information among the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스위치(105)는 제어부(102)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제어되어, 영상신호 처리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부가 정보 발생부(104)로부터 발생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6)로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즉, 스위치(105)는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영역에서는 부가 정보 발생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106)로 전송하고,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영역이외의 영역에서는 영상 신호 처리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06)로 전송한다.The switch 105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by the control unit 102 to selectively display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101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104 to the display unit 106. send. That is, the switch 105 selects a signal output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104 in the area w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to be displayed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display unit 106, and an image signal processor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to be displayed.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101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6.
디스플레이부(106)는 스위치(105)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신호 또는/ 및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The display unit 106 displays an image signal and / or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witch 105.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도 2는 영상 처리 시스템의 임의의 기능이 제어되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피사체 영역이외의 영역에 해당되는 부가 정보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이다. 상기 임의의 기능은 부가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수반하는 것으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능이라고 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rea other than a subject area of a displayed image is automatically displayed when an arbitrary function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s controlled. The arbitrary function is accompanied by the display of additional information and is referred to as a func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즉, 제 201 단계에서 기능이 제어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02 단계에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영상 신호 처리부(101)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의해 제어부(102)가 판단할 수 있다. 제 202 단계에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03 단계에서 영상 신호 처리부(101)로부터 제공되는 피사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피사체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위치를 설정한다. 이 때, 제어부(102)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 중 상기 피사체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위치를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 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위치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 우선 순위를 갖는 위치를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위치로 설정한다.That i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1 that the function is controlled, it is determined in step 202 whether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This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102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101.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2 that the image signal is to be displayed, in step 203, a position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in which the subject area is display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ubject area provided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101. Set i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2 may set a position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subject area among a plurality of positions that can display the preset additional information as a position that can display the additional informa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ositions not included in the subject area, the positions having priority are set as positions to display additional information.
제 204 단계에서 제어부(102)는 설정된 위치에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킨다. 제 205 단계에서 해당 기능이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206 단계에서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가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해당 기능 오프는 키 입력부(103)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오프 되거나 해당 기능이 제어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되는 기능이 오프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기능 오프방식은 해당되는 기능의 부가 정보 표현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채널 변환에 따른 부가 정보의 경우에는 기능 제어 후, 해당되는 채널 정보가 일정 시간동안 디스플레이 된 후, 중단되도록 구현하고, 볼륨 조정에 따른 부가 정보는 키입력부(103)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해당되는 부가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step 204, the controller 102 displays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set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5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turned off, in step 206, the display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stopped. The function off may be implemented to be turned off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103 or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turne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function is controlled. The function off metho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xp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nel conversion, after the function control, the corresponding channel information is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stopped,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olume adjustment is a control signal from the key input unit 103 If not input, it can be implemented to stop the display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제 202 단계에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04 단계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위치에 해당되는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제 205 단계에서 해당되는 기능이 오프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204 단계로 리턴 되어 해당되는 부가 정보를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2 that the video signal is not displayed, the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fault position set in step 204 is displaye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5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not turned off,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04 to continuously display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도 3은 영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이 제어되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자막 정보 영역이외의 영역에 해당되는 부가 정보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rea other than a caption information area of a displayed image is automatically displayed when a function of an image processing system is controlled.
즉, 제 301 단계에서 기능이 제어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302 단계에서 상기 제 202 단계에서와 같이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지를 판단한다. 제 302 단계에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303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신호에 자막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영상 신호 처리부(101)로부터 제공되는 자막 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제어부(102)가 판단한다.That i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1 that the function is controlled, it is determined in step 302 whether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as in step 20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2 that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it is determined whether caption information exists in the video signal displayed in step 303. The controller 102 determines this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p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101.
제 303 단계에서 자막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304 단계에서 자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위치를 설정한다. 자막 정보는 일반적으로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 되므로, 제어부(102)는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영역 중 화면의 하단 영역이외의 영역을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 때, 설정 가능한 영역이 복수개인 경우에,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의 영역을 설정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3 that the caption information exists, in step 304, a position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s set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cap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Since the caption information is generally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controller 102 sets an area other than the bottom area of the screen as an area w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mong the areas w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ttable areas, one area is set according to the priority.
제 305 단계에서 제어부(102)는 설정된 위치에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 306 단계에서 해당 기능이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306 단계에서 부가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중단시킨다.In step 305, the controller 102 displays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set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6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turned off, the display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stopped in step 306.
제 302 단계에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제 303 단계에서 자막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305 단계로 진행되어 디폴트로 설정된 위치에 해당되는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제 306 단계에서 해당되는 기능이 오프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305 단계로 리턴 되어 해당되는 부가 정보를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2 that the video signal is not displayed or in step 303 it is determined that no subtitle information exists, the flow proceeds to step 305 to display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fault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6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not turned off,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05 to continuously display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상술한 도 2 및 도 3이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경우인 반면에 도 4는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위치를 수동적으로 변경하는 경우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IG. 2 and FIG. 3 described above automatically change the area w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FIG. 4 is a case w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is manually changed.
즉, 제 401 단계에서 키 입력부(103)를 통해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이 제어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2)는 제 402 단계에서 변경 가능한 위치를 디스플레이 부(106)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변경 가능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 변경 가능한 위치 정보 제공은 제어부(102)로부터 변경 가능한 위치 정보 제공 제어신호가 부가 정보 발생부(104)로 전송되면, 부가 정보 발생부(104)에서 변경 가능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발생하고, 스위치(105)는 부가 정보 발생부(104)로부터 발생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6)로 전송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401 that the change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is controll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3, the control unit 102 displays the changeable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106 in step 402 to be changed to the user.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The changeable position information provision is performed when the changeabl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2 is transmitted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4, and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changeable position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4, and switches 105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104 to the display 106.
그러나, 제어부(102)가 사전에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부(106)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변경 가능한 위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06)는 스위치(105)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제어부(102)는 구동부(미 도시됨)를 제어하여 상기 변경 가능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However, the controller 102 may directly control the display unit 106 using a plurality of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held in advance so that the changeable posi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06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 105, and the control unit 102 controls the driving unit (not shown) to receive the changeable position information. To provide.
제 403 단계에서 하나의 위치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404 단계에서 선택된 위치를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한다. 그러나, 제 403 단계에서 위치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402 단계로 리턴 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3 that one location is selected, the location selected in step 404 is set as a location capable of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3 that no position is selec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402.
제 405 단계에서 키 입력부(103)를 통해 기능이 제어되면, 제 406 단계에서 제 404 단계에서 설정된 위치에 해당되는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02)는 부가 정보 발생부(104)에서 해당되는 부가 정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에서 스위치(105)가 부가 정보 발생부(104)에서 발생되는 부가 정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106)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function is controll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3 in operation 405, the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set in operation 404 is displayed in operation 406. To this end, the controller 102 controls the sub information generator 104 to generate corresponding sub information, and the switch 105 controls the sub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ub information generator 104 in the area where the sub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selects and transmits to the display unit 106.
제 407 단계에서 해당되는 기능이 오프 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408 단계에서 제어부(102)는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가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제 407 단계와 제 408 단계는 도 2의 제 205 단계 및 제 206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제 407 단계에서 기능이 오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406 단계로 진행되어 설정된 위치에 부가 정보를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제 405 단계에서 기능이 제어되지 않았으면, 기능이 제어될 때까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7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turned off, in step 408, the controller 102 controls the display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stopped. Steps 407 and 408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steps 205 and 206 of FIG. 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7 that the function is not turned off, the flow proceeds to step 406 to continuously display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set position. If the function is not controlled in step 405,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ept in a standby state until the function is controlled.
상술한 기능들은, 해당되는 영상 처리 시스템이 DVD 또는 VTR과 같은 시스템인 경우에, "재생 모드", "기록 모드", "탐색 모드"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부가 정보를 수반하는 기능이면 모두 포함된다. 상기 DVD 또는 VTR이외의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도 디스플레이 되는 부가 정보를 수반하는 기능이면, 상술한 기능에 포함된다.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f the corresponding image processing system is a system such as a DVD or a VTR, as long as the function involves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such as "play mode", "record mode", "search mode", and the like. If it is a function involving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in an image processing system other than the DVD or VTR, it i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function.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당되는 영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할 때, 발생되는 부가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상태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되는 부가 정보가 시청중인 영상의 중요한 디스플레이 영역(예를 들어, 자막 정보 영역 또는 피사체 영역)을 가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image processing system, the display position of the generated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changed manually or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urrently displayed image, so that the displayed additional information is being viewed. It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covering an important display area (eg, a caption information area or a subject area) of an imag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정해질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claims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5386A KR100416551B1 (en) | 2001-10-23 | 2001-10-23 | Additional data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display additional dat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5386A KR100416551B1 (en) | 2001-10-23 | 2001-10-23 | Additional data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display additional dat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4444A KR20030034444A (en) | 2003-05-09 |
KR100416551B1 true KR100416551B1 (en) | 2004-02-05 |
Family
ID=2956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53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6551B1 (en) | 2001-10-23 | 2001-10-23 | Additional data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display additional dat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16551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4140A (en) * | 1994-03-31 | 1995-10-20 | Toshiba Corp | Television receiver |
JPH08317308A (en) * | 1995-05-16 | 1996-11-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Child screen control device |
KR970019479A (en) * | 1995-09-29 | 1997-04-30 | 배순훈 | Caption caption and OSD character overlap prevention device for TVCR control and control method |
KR19980047363A (en) * | 1996-12-14 | 1998-09-15 | 배순훈 | O-S-D position adjusting method and device |
KR19990043041A (en) * | 1997-11-28 | 1999-06-15 | 전주범 | Television receiver with guide character position control |
-
2001
- 2001-10-23 KR KR10-2001-0065386A patent/KR1004165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4140A (en) * | 1994-03-31 | 1995-10-20 | Toshiba Corp | Television receiver |
JPH08317308A (en) * | 1995-05-16 | 1996-11-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Child screen control device |
KR970019479A (en) * | 1995-09-29 | 1997-04-30 | 배순훈 | Caption caption and OSD character overlap prevention device for TVCR control and control method |
KR19980047363A (en) * | 1996-12-14 | 1998-09-15 | 배순훈 | O-S-D position adjusting method and device |
KR19990043041A (en) * | 1997-11-28 | 1999-06-15 | 전주범 | Television receiver with guide character position contr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4444A (en) | 2003-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85265A (en) | Display apparatus informing of programmed recording | |
US20100118195A1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ed by remote control device | |
KR20090022297A (en) |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ing same | |
US548687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ing and revealing the display of captions | |
JP2005197991A (en) | On-screen display device | |
US5469224A (en) | Recording signal selection method for video titling | |
KR100395567B1 (en) | Combination system using set values commonly, and a method for setting values of the combination system | |
KR20040031159A (en) | Function control apparatus using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thereof | |
KR100416551B1 (en) | Additional data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display additional data | |
JP2001257970A (en) | Magnetic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
JP2702014B2 (en) | Scheduled recording notice display device | |
KR100189887B1 (en) | Remote control method and video equipment performing the same | |
KR20040067139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function PIP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960015179B1 (en) | Function input device and method of touch panel remote controller | |
KR20010107133A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storage function of each user | |
KR100406992B1 (en) | Combinati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each device through a single OSD menu | |
KR100238260B1 (en) | On-screen character generating circuit, tv receiver and video tape recorder | |
KR100697425B1 (en) |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 |
KR0143440B1 (en) | Apparatus for function of watching tv in video reproducing mode | |
JP4162603B2 (en) | Video display device | |
KR100188267B1 (en) | Method for displaying clock & a tape covering time in tvcr | |
KR100197370B1 (en) | Method for selecting background color of image processor | |
KR200328907Y1 (en) | Power control apparatus for DVR | |
JPH05161180A (en) | Remote control electronic equipment | |
KR970025015A (en) | Channel setting method and device through video scre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116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