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7173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nection with network using local communication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nection with network using local communic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173B1
KR100407173B1 KR10-2001-0065590A KR20010065590A KR100407173B1 KR 100407173 B1 KR100407173 B1 KR 100407173B1 KR 20010065590 A KR20010065590 A KR 20010065590A KR 100407173 B1 KR100407173 B1 KR 100407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terminal
wireless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33560A (en
Inventor
이택권
문은희
백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1-0065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173B1/en
Publication of KR2003003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17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 서버 및 무선망 교환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 요청 신호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무선 단말기로부터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단계 및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근접형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 및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간의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for accessing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in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coupled via a network with a wireless terminal, a server, and a wireless network swit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xtrac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stor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an IP address of a server from a wireless terminal, and storing an IP address of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extracting an IP address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nd us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in whic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s embedded.

Description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NECTION WITH NETWORK USING LOCAL COMMUNICATIONS}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NECTION WITH NETWORK USING LOCAL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단말기와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와의 근접형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 및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and a server through proximity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terminal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Method and system.

현재, 인터넷의 대중화에 힘입어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접속이 생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의 정보 통신 및 전자 산업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와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다양한 이동 호스트가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를 이용하여, 자신의 고정된 네트워크 위치를 벗어나서 이동 중에서도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인터넷 기술이 제안되었다.Nowadays, thanks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Internet access through the network is a big part of life.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electronics industry, various mobile hosts combined with portable computers and mobile terminals can use the IP address to provide Internet access service while moving away from their fixed network location. Mobile Internet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즉, 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해짐으로써, 사용자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동 중에서도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인터넷이 상용화가 되었다.In other words, as the wireless network becomes possible, the mobile Internet, which allows users to use the wireless Internet on the go, has been commercializ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기존의 휴대용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인터넷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Internet system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현재 모바일 인터넷 기술은 상용화된 공지의 기술이므로, 도 1에서 중계기(125)와 서버(140)사이의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근접형 통신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Since the current mobile Internet technology is a commercially known technology, a description of a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between the repeater 125 and the server 140 will be omitted in FIG. 1. And, it is assumed that proximity communication uses Bluetooth technology.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인터넷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100), 중계기(125), 블루투스가 장착된 무선 단말기(120), 무선망 교환기(130), 네트워크(135) 및 서버(14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Internet system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00, a repeater 125, a wireless terminal 120 equipped with Bluetooth, a wireless network switch 130, a network 135, and a server 140. Doing.

무선 단말기(100)는 모빌폰(105),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110), 노트북(115) 등을 포함한다.The wireless terminal 100 includes a mobile phone 105,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110, a notebook 115, and the like.

모빌폰(105),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110) 등의 무선단말기는 중계기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노트북(115)은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무선 접속 단말기 및 중계기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105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11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a repeater. In addition, the notebook 115 may access a network through a wireless access terminal and a repeater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상기 노트북(115)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며, 무선 접속 단말기(120) 또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노트북(115)은 무선 접속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The notebook 115 includes a Bluetooth module, and the wireless access terminal 120 also includes a Bluetooth module. Thus, the notebook 115 can connect to the network by perform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access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100)는 중계기(125)와의 직접적인 통신을 하거나,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무선 접속 단말기(120)를 통하여 중계기와 통신을 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connect to the network by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repeater 125 or by communicating with the repeater through the wireless access terminal 120 equipped with the Bluetooth module.

그러나, 현재의 모바일 인터넷은 반드시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야 하며, 필연적으로 이동 통신 업자에 전화 요금 등으로 대별되는 통신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However, the current mobile Internet must go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evitably pay a mobile communication fe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uch as telephone fees.

즉, 현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중계기에 접속해야 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사의 무선 인터넷 제공 시스템은 필연적으로 사용자에게 통화료를 요구하게 되므로, 상기 통화료와 더불어 유료 컨텐츠에 대해서는 정보 이용료까지 부담해야 하는 사용자에게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함에 있어 상기 통화료가 제약 사항으로 작용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통화료로 인하여 모바일 인터넷의 대중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use the current wireless Internet, it is necessary to access a repeater provided by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ince the wireless Internet providing system of such a mobile carrier inevitably requires a call fee to the user, the call charge acted as a limitation in using the wireless Internet for a user who has to pay the information fee for the paid content in addition to the call fee. As a result, the call charge is an obstacle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mobile Internet.

또한,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데이터 량에 대한 제약으로 인하여 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on the content provided by the server due to the limitation on the amount of data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또한, 기존의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 내에서는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using the mobile Internet in a shaded area where data reception is impossible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to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에게 통화 요금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call charges to mobile Internet users.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에게 기존의 유선 인터넷만큼 질 좋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provide mobile Internet users with content as good as the existing wired Internet.

또한, 본 발명은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초고속 인터넷 망의 상품 가치를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장벽을 낮춤으로써 모바일 인터넷의 대중화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opularize the mobile Internet by increasing the product value of the high-speed Internet network us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nd lowering the user's barrier to use.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인터넷을 대중화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revenue of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er by popularizing the mobile Internet.

도 1은 기존의 휴대용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인터넷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Internet system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Figure 2a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ireless Internet access system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Figure 2b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ireless Internet access system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ccess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형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전체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procedure for connecting to a network through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형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전체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procedure for connecting to a network via proximity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8 illustrates types of sig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나타낸 테이블.9 is a table showing data stored in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200 : 무선 단말기200: wireless terminal

215 :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215: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220 : 중계기220: repeater

225 : 무선망 교환기225: wireless network switch

230 : 네트워크230: network

235 : 서버235 server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 시스템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network connection method, a system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and a program capable of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 서버 무선망 교환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청 신호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근접형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간의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ccessing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in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coupled through a network with a wireless terminal, a server wireless network switch, and a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Receiving, extrac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stor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an IP address of the server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ing an IP address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wherein the IP address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is included; Can be access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 전환 접속 장치 인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인식 신호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기와의 근접형 통신 가능 지역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call forwarding access point recognition signal, and adjusting the output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point recognition signal to establish a proximity communication area with the wireless terminal. I can regulate it.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상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컨텐츠의 헤더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가 삽입된 컨텐츠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근접형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간의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ceiving content from the server, extrac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sert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a header of the content, and identifying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with the inserted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a built-in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can be connected to a server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s.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아이피 어드레스,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P address and an IP address of a server.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상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컨텐츠의 헤더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가 삽입된 컨텐츠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근접형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간의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것이 바람직하다.Gen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ceiving content from the server, extrac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sert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a header of the content, and identifying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with the inserted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built-in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us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s.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 전자 일련 번호,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전자 일련 번호,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preferably includes an IP address of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n IP address of a server, an electronic serial number, and a subscriber numbe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an electronic serial number and a subscriber nu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서버 무선망 교환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된 무선 단말기에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저장 장치에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네트워크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네트워크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가 포함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단계,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근접형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간의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ccessing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upled to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 server wireless network switch, and a network, the storage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Extrac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a network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a network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Receiving a content, generating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an IP address of a server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receiving content from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displaying the received content on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By using a proximity-type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the neighboring connection-typ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preferably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network.

또한,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전자 일련 번호,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력 장치로부터 브라우저 구동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로부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인식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인식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면, 근접형 통신 모듈은 구동하는 단계, 인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동 통신사의 기지국에 네트워크 접속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식 신호의 수신 가능 지역에서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와 근접형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그 외의 지역에서는 이동 통신사와의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an electronic serial number and a subscriber number, receiving a browser driving command from an input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recogni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if receiving the recognition signal, driv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and if the recognition signal is not received, transmitting the network connection signal to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arrier, but in the area where the recognition signal can be receive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connect to the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nd to connect to the network in other region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to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wireless Internet access system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도 2a와 같이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도 있고, 도 2b와 같이 일반 컴퓨터처럼 직접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도 있다.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via a wireless network switch as shown in FIG. 2A,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 network as in a general computer as shown in FIG. 2B.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가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경우는 과금서버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요금 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통화료보다 저렴한 별도의 요금 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When the proximity type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is connected via a wireless network switch, it is possible to develop a separate fee product by passing it through a charging server. That is, it is possible to develop a separate charge product that is cheaper than the call charge provided by the mobile carrier.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가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는 경우는 별도의 통화료가 부과되지 아니한다. 회사내, 또는 공장 내에서는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사내 무선 인트라넷을 구축함으로써, 회사의 업무 효율 등을 증대시키는 반면 통화료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기존에 설치된 네트워크 시스템에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와 근접형 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만을 구비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내에 구축 있다. 즉,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내 서버에 접속하여 이동 중에서도 업무를 지속할 수 있다.I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no additional call charges will apply. In-house or in the factory, the intra-company wireless intranet can be built us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company and reducing the burden on call charges. By providing only a wireless terminal provided with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n an existing network system, a wireless network system can be built in-house. That is, by using a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the in-house server, you can continue to work on the go.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ireless Internet access system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200),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215), 중계기(220), 무선망 교환기 (225), 네트워크(230) 및 서버(23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A,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200,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215, a repeater 220, a wireless network switch 225, a network 230, and a server 235.

무선 단말기(200)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근접형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선 단말기(200)는 근접형 통신 모듈이 구비된 모빌폰(205) 또는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210) 등과 같이 중계기(220)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무선 단말기(200)에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215)와 근접형 통신만을 전용으로 수행하는 노트북과 같은 모빌 컴퓨터가 포함됨은 당연하다.The wireless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through the repeater 220 such as a mobile phone 205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210 having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Of course,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mobile computer, such as a notebook, which performs only the proximity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215.

상기 모빌 컴퓨터(105)와 상기 근접형 통신 모듈을 통하여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215)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반면 통화료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존의 노트북 같은 모빌 컴퓨터는 랜과 같은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규격 및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접속할 수 있었으나, 필연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해야하므로 통화료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할 때,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파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통화료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B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215 through the mobile computer 105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network while reducing the burden on call charges. A mobile computer such as a notebook computer can connect to a network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Bluetooth even in a wired environment such as a LAN, but inevitably has a burden on call charge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adio wave of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not used, the burden on the call charge can be reduced.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기에 설치된 브라우저는 근접형 통신 모듈이 구동중이지 판단하여, 상기 근접형 통신 모듈이 구동중이면 근접형 접속 장치를 통하여 서버(235)에 접속하고, 상기 근접형 통신 모듈으 동작하지 않으면 중계기(220)를 통하여 서버(235)에 접속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rowser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s running, and i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s driven, connects to the server 235 through the proximity connection device. If not, the server 235 may be accessed through the repeater 220.

상기 무선 단말기(200)와 근접형 접속 장치(215)의 근접형 통신 무선 규격으로는 블루투스가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IEEE802.11 또는 SWAP 등 기존에 존재하는 근접형 통신 규격뿐만 아니라, 이후 개발될 모든 무선 규격을 포함한다.Bluetooth is a typical communication wireless standard for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proximity access device 215. In addition to the existing proximity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802.11 or SWAP, all future developments will be performed. Includes wireless standards.

상술한 설명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및 시스템에서 근접형 통신 중 대표적인 블루투스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블루투스란 2.4 GHz 대역을 사용하는 근접형 통신 규격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다. 10m~100m 내의 무선 연결(Radio link, 2.4GHz) 규격을 따르고 있는 단파장의 라디오 규격으로 인터넷 장치간에 통신에 주력하고 있는 기술이다.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a representative Bluetooth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in the automatic call forward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luetooth is a proximity technology that uses the 2.4 GHz band and is a foundation technology that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This is a short wavelength radio standard that conforms to the radio link (2.4GHz) specification within 10m to 100m and is a technology focused on communication between Internet devices.

2.4 GHz 대역에서 초당 1600번 주파수를 이동하는 주파수 호핑 확산 기술(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을 사용하여 잡음이 심한 무선 환경에서 원활하게 동작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고주파(Radio frequency)특성에 따라 비지향성을 가지고 벽 등 장애물에서도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다른 기기에 의해 주파수가 사용되고 있을 경우에도 빠른 주파수 호핑을 통해 서로 디지털 패킷을 안정적인 주파수에서 주고받을 수 있다. 이는 또한 높은 보안성을 위한 기본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It is designed to operate smoothly in noisy wireless environment using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which moves frequency 1600 times per second in 2.4 GHz band. According to the radio frequency characteristic, it is non-directional and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even from obstacles such as walls. Even when frequencies are being used by other devices, fast frequency hopping allows digital packets to be sent and received from one another at stable frequencies. It also has great significance as a basis for high security.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블루투스는 송수신기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서 2진 FSK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에 내장되는 근접형 통신 모듈 및 착신 전환 접속 장치에 내장되는 근접형 통신 모듈을 경량화, 저가화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Bluetooth uses a binary FSK modulation scheme to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transceiver. By using the above sche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cost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to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to the call transfer connection device.

중계기(220)는 무선 단말기(200)와 무선망 교환기(225)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송수신기, 안테나, 제어장치, 데이터 터미널 및 전원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peater 220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network switch 225,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wireless transceiver, an antenna, a control device, a data terminal and a power supply.

또한, 무선망 교환기(225)는 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착발신되는 호를 처리하고 모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통제 기능과 함께 공중전화망의 교환기와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무선망 교환기(225)는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 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화가 완료된 호에 대한 과금 자료 수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network switch 225 has a function of connecting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switch with a central control function to process incoming and outgoing calls generated from the repeater and to allow all base stations to operate efficiently. The wireless network switch 225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a call path unit and a peripheral device, and can perform the charging data collection function for the call is completed.

바람직하게 네트워크(230)는 기존에 광범하게 깔려있는 공중 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유선망을 지칭하며, 무선망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network 230 refers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 wired network, which is widely existing, and may include a wireless network.

서버(235)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접속시, 무선 단말기의 브라우저에 컨텐츠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rver 235 serves to supply content to a browser of the wireless terminal 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nnected.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215)는 무선 단말기와의 근접형 통신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이 주목적이나, 상기 목적 외에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통합 가입자 관리와 인증, 컨텐츠에 대한 통계 및 과금 관리 기능, 컨텐츠 및 서비스, 메뉴 등에 대한 관리 기능, HTML 컨텐츠의 변환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215 is primarily intended to provide the wireless terminal with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ovide statistics and billing management function, management function for content and service, menu, etc., and conversion service of HTML content.

상기와 같은 경우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가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경우는 과금 서버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요금 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통화료보다 저렴한 별도의 요금 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when the proximity type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is connected via the wireless network switch, it is possible to develop an additional fee product by passing it through the charging server. That is, it is possible to develop a separate charge product that is cheaper than the call charge provided by the mobile carrier.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ireless Internet access system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250),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265), 중계기(270), 무선망 교환기 (275), 네트워크(280) 및 서버(285)를 포함한다.2B,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250,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265, a repeater 270, a wireless network switch 275, a network 280, and a server 285.

도 2a와 비교하면,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가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네트워크(280)에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구성 요소는 도 2a와 유사하므로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ared to FIG. 2A, except that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28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switch, the above components are similar to those of FIG. 2A, and thus descriptions of similar parts will be omitted.

도 2b와 같이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265)가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는 경우는 별도의 통화료가 부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사내, 또는 공장 내에서는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사내 무선 인트라넷을 구축함으로써,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내 서버에 접속하여 이동 중에서도 업무를 지속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사의 업무 효율 등을 증대시킬 수 있다.Wh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26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as shown in FIG. 2B,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call fee is not charged. In a company or a factory,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I can connect it. Therefore, by building an in-house wireless intra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any can continue to work on the go by using a wireless terminal to connect to an in-house server,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of the company.

이러한 경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미리 지정된 방법에 의하여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한함으로써, 미리 허가된 사내 직원 에 대하여만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할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can restrict the terminals that can connect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by a predetermined method, so that only the in-house authorized employees can access the network.

즉, 본 발명에 의할 때, 기존에 설치된 네트워크 시스템에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와 근접형 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만을 구비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내에 구축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network system can be constructed in-house by providing only a wireless terminal provided with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n an existing network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ccess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할 때, 모바일 인터넷, 무선 데이터 통신, 기타 무선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이동 통신 사업자를 경유하지 않음으로써 통신 요금에 대한 부담을 감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necting to a network for mobile Internet,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othe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e burden on the communication fee can be reduced by not passing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물론,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근접형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기존의 이동 통신 사업자를 경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Of course, if proximity communication of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ossible,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network via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network access procedure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단계 305에서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브라우저 구동 명령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단계 310에서 단말기의 프로세서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인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operation 305, a browser driving command is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or a touch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In operation 310, the processor of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it is possible to receive a recognition signal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상기 인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면,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와 근접형 통신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무선 단말기가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인식 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330에서 근접형 통신 모듈을 구동하고 단계 335에서 구동된 근접형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한다.If the recognition signal can be received, it means that the wireless terminal has entered a range capable of proximity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Upon receiving the recognition signal,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s driven in step 330 and connected to the network us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driven in step 335.

인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계 315에서 기존의 무선 단말기의 송수신 모듈, 즉 RF/IF 모듈(Radio Frequency/ Intermediate Frequency module)(이하 알에프(RF) 통신 모듈이라 칭한다)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If it does not receive the recognition signal, in step 315 it can be connected to the network via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of the existing wireless terminal, that is, an RF / IF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F communication module).

무선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브라우저는 네트워크와 결합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게 된다.After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browser displays the content provided by the server on the display device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a server coupled with the network.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인 무선 단말기의 구조는 생략하고, 본 발명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tructure of a general wireless terminal will be omitted, and only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무선 단말기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입력 장치(400), 제어 모듈(403), 근접형 통신 모듈(430), 알에프(RF) 통신 모듈(425)을 포함한다.The wireless terminal includes an input device 400, a control module 403,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430, and an RF communication module 425 including an antenna.

입력 장치(400)는 휴대폰의 키패드, 노트북의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하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입력장치(400)를 통하여 모바일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브라우저를 구동 명령을 수신한다.The input device 400 includes a keypad of a mobile phone, a keyboard or a touch screen of a notebook, and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s a command to drive a browser to use the mobile Internet through the input device 400.

제어 모듈(403)은 프로세서(405), 램(415), 롬(420)을 포함하며, 상기 램(415)은 다이내믹램(DRAM, Dynamic RA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롬(420)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module 403 includes a processor 405, a RAM 415, and a ROM 420, and the RAM 415 preferably uses a dynamic RAM (DRAM). It is preferable to use flash memory.

알에프(RF) 통신 모듈(425)은 기존의 무선 단말기에서 이동 통신사의 중계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모듈을 지칭한다.The RF communication module 425 refers to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repeater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n an existing wireless terminal.

프로세서(405)는 MSN 계열의 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운영체제로는 REX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칩과 운영 체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운영 체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processor 405 preferably uses an MSN-based chip, and preferably uses an REX operating system.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hip and the operating system, and it is natural that a processor and an operating system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근접형 통신 모듈(430)은 근접형 통신 모뎀(435) 및 메모리(44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430 includes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em 435 and a memory 440, and the memory preferably uses a flash memory.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ximity type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근접형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와는 유선으로 결합되어 데이터를 교환하고, 무선 단말기와는 근접형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exchanges data by being wired with the network and exchanges data with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proximity commun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근접형 통신 모듈(500), 제어 모듈(515), 네트워크 통신 모듈(5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500, a control module 515, and 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530.

근접형 통신 모듈(500)은 근접형 통신 모뎀(505) 및 메모리(51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510)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500 includes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em 505 and a memory 510, and the memory 510 preferably uses a flash memory.

제어 모듈(515)은 프로세서(520) 및 메모리(525)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525)는 램(523) 및 롬(525)을 포함한다. 상기 램(523)은 다이내믹램(DRAM, Dynamic RA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롬(525)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module 515 includes a processor 520 and a memory 525, and the memory 525 includes a RAM 523 and a ROM 525. Preferably, the RAM 523 uses a dynamic RAM (DRAM), and the ROM 525 preferably uses a flash memory.

네트워크 통신 모듈(530)은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상기 구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접속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더넷 카드 또는 랜카드라고 불리는 네트웍 카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530 may use a network access card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It is desirable to connect to the network using a network card called an Ethernet card or a LAN card.

상기 네트웍 카드는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확장 카드로서, 이더넷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방식은 상기 이더넷 방식에 더하여 패스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을 포함할 뿐 아니라, 비동기 전송 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를 포함한다.The network card is an expansion card for allowing access to the network and may use an Ethernet card. Of course,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ncludes Fast Ethernet and Gigabit Ethernet in addition to the Ethernet method, but also includes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550)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530)을 통하여 네트워크(550)에 직접 접속하거나, 네트워크 모뎀(547)을 통하여 네트워크(55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모뎀(547)은 케이블 모뎀(540) 또는 DSL 모뎀(545)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55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55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530 or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550 through the network modem 547. The network modem 547 may use a cable modem 540 or a DSL modem 545.

케이블 모뎀(540)은 종합 유선 방송(CATV)의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해 개발된 모뎀이다. 케이블 모뎀의 표준 방식이 아직 정해져 있지 않아서 현재는 많은 방식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CATV국에서 이용자 쪽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다운링크가 고속이고 이용자 쪽에서 CATV국으로 보내는 업링크가 저속인 비대칭형이다. 다운링크의 전송 속도는 6~30Mbps이고, 업링크는 1.5~3Mbps의 것이 일반적이다.The cable modem 540 is a modem developed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using a coaxial cable of general cable broadcasting (CATV). There is no standard way for cable modems, so there are many today. In general, the downlink sending data from the CATV station to the user is high speed and the uplink sending from the user side to the CATV station is asymmetric.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downlink is 6 to 30Mbps, and the uplink is generally 1.5 to 3Mbps.

그리고 디지털가입자망(DSL,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545)은 보통의 구리 전화선상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뎀이다. 디지털가입자망(DSL, Digital Subscriber Line)은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 압축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초고속인터넷에 비해 속도는 뒤지지만 부설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디지털가입자망(DSL, Digital Subscriber Line)은 xDSL을 포함하며, 상기 xDSL은 ADSL, HDSL, RADSL과 같은 디지털가입자망(DSL, Digital Subscriber Line)의 서로 다른 변형들을 가리킨다.The Digital Subscriber Line (DSL) modem 545 is a modem required to connect to a network on a normal copper telephone line. Digital Subscriber Line (DSL) is a method of exchanging compressed data using existing telephone lines, which is slower than high-speed Internet, but has little advantage for auxiliary equipment. Digital Subscriber Lines (DSLs) include xDSLs, which refer to different variants of Digital Subscriber Lines (DSLs) such as ADSL, HDSL and RADSL.

본 발명에 의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도 6과 같이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일반 컴퓨터처럼 직접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도 있다.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via a wireless network switch as shown in FIG. 6,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 network as in a general computer as shown in FIG.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가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경우는 과금 서버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요금 체계보다는 저렴한 별도의 요금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가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는 경우는 별도의 통화료가 부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roximity type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s connected via the wireless network switc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fee product which is cheaper than the existing rate system by allowing the charging server to pass through the charging server. Wh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it is preferable not to charge a separate call.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형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전체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entire procedure for connecting to a network through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가 무선 교환기를 경유하여 네트워크를 접속하지 아니하고, 직접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회사 내, 또는 학내에 상기 시스템을 설치하고, 사원 또는 학생들에게는 과금 절차없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업무 및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사내에서는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및 무선 단말기를 구비함으로써, 사내의 인트라넷 시스템을 손쉽게 모바일 인트라넷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directly connects to the network without connecting the network via the wireless switch. By installing the system in the company or in the school, and providing employees or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access the Internet without the bill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and learning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in-house intranet system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 mobile intranet system by provid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nd the wireless terminal in the company.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은 기존의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이며,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FIG. 6 is an example of a case of connecting to a network without passing through an existing wireless network switch,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단계 600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인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에 무선 단말기가 진입한다. 상기 지역에 진입하면, 기존의 이동 통신망에 의하지 하고,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을 할 수 있다.In step 600, the wireless terminal enters an area capable of receiving a recognition signal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When entering the area,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network by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not by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지역에 진입하면, 무선 단말기의 제어 모듈은 인식 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한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물론, 상기 지역을 벗어나면 인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는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인식 신호의 수신 여부 결과를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지역의 진입 여부를 알려줄 수 있음은 당연하다.Upon entering the area, the control module of the wireless terminal stores a result of receiving a recognition signal in a memory. Of cours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not to receive the recognition signal outside the region is sto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wireless terminal can inform the user of whether the user enters the region by displaying a result of receiving the recognition signal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단계 605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하여, 브라우저가 구동된다. 상기 브라우저가 구동은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605에서 제어 모듈은 단계 600에서 메모리에서 저장된 인식 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한 결과를 참조한다. 상기 참조 결과, 무선 단말기가 인식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면, 이후,근접형 통신 모듈을 구동하여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접속을 준비한다.In step 605, a browser is started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The browser is driven from the input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In operation 605, the control module refers to the result of whether the recognition signal stored in the memory is received in operation 600. As a result of the above reference, if the wireless terminal is receiving the recognition signal, th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s driven to prepare for connection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단계 610의 인식 신호 수신 여부 판단 결과, 인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계 615에서 기존의 무선 인터넷 접속 방식에 따라 알에프(RF) 통신 모듈을 구동하고 단계620에서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tion signal is received in step 610, if the recogni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RF communication module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wireless Internet access method in step 615 and the network is provid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the mobile carrier in step 620. Can be accessed.

단계 625에서 무선 단말기는 근접형 통신 모듈을 구동시키고, 단계 630에서 무선 단말기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와 무선 단말기와의 데이터 교환은 기존의 무선 인터넷 방식대로 무선 단말기에 아이피를 부여하고,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상기 아이피에 의해서 상기 무선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In step 625, the wireless terminal drives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and in step 630,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exchange betwe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the wireless terminal gives an IP to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conventional wireless internet method,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by the IP. You can exchange data with the terminal.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기는 단말기에 부여된 아이피대신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전송하고,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상기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에 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and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instead of an IP assigned to the terminal,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transmits the electronic serial number ( Data can be exchang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by an ESN (Electric Serial Number) and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상기 근접형 무선 단말기에 송신되는 단말기 식별 정보는 근접형 무선 단말기의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에 대한 정보를 지칭한다.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는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에 부여되는 고유 번호이고,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지정 모듈(NAM: Number Assign Module)에 저장되는 전화 번호를 지칭한다. 이하,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지칭한다.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oximity wireless terminal refers to information about an electric serial number (ESN), a mobile number (MIN), etc. of the proximity wireless terminal.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is a unique number assign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and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 number assignment module (NAM) of a mobile identification terminal (MIN). Refers to. Hereinafte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fers to the electric serial number (ESN) and the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단계 635에서 근접형 통신 장치는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저장한다. 이 후,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헤더 부분에 상기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삽입하여, 무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In operation 635, the proximity communication device stores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and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Thereafter, the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Electric Serial Number) and subscriber number (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are inserted into the header portion of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server,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can receiv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terminal. Can be.

단계 640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무선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완료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단계 640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단계 645에서 무선 단말기는 접속을 원하는 서버의 아이피주소를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전송하면, 단계 647에서 상기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요청한 무선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저장한다.In operation 64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transmits a network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wireless terminal. The process of step 640 may be omitted. In step 645,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to be connected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n step 647, the wireless terminal stores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that requested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단계 650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서버 아이피 어드레스,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아이피 어드레스가 포함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서버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상응하는 아이피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peration 65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transmits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a server IP address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P address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preferably has an IP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단계 655에서 서버는 상기 서버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여 단계 660에서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주소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한다. 물론, 상기 컨텐츠 정보의 헤더에는 서버의 아이피 주소가 포함된다.In operation 655, the server extract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rver, and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IP address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n operation 660. Of course, the header of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단계 665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상기 컨텐츠 정보의 헤어에서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추출하고, 상기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하여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컨텐츠 정보의 헤더 부분에 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한다.In step 665,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extracts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from the hair of the content information, and extract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Thus,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the header por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ed.

이후, 무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단계 675에서 무선 단말기의 브라우저는 상기 컨텐츠를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Thereafter,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 step 675, the browser of the wireless terminal displays the content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상기와 같이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무선 인터넷에 고정적인 아이피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도 있고, 인터넷을 접속할 경우만 임시 아이피를 부여하여 아이피 자원의 활용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자체에 부여되는 단말기 식별 정보, 즉 전자 일련 번호(MSN: Electric Serial Number),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이용하여 도메인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였으나, 기존의 아이피 주소 체계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도 당연하다.When the system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fixed IP address may be given to the wireless Internet, or a temporary IP may be assigned only when the Internet is connected to thereby expand the utilization of IP resources. In additi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to the terminal itself, that is, an electronic serial number (MSN: Electric Serial Number), can be used as a domain using a subscriber number (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In FIG. 6, content is transmitted us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existing IP address system.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형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전체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entire procedure for connecting to a network through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은 기존의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여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로서,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FIG. 7 is an embodiment in the case of connecting to a network without passing through an existing wireless network switch,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단계 700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인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에 무선 단말기가 진입한다. 상기 지역에 진입하면, 기존의 이동 통신망에 의하지 하고,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을 할 수 있다.In step 700, the wireless terminal enters an area where the recognition signal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can be received. When entering the area,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network by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not by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단계 705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하여, 브라우저가 구동된다. 상기 브라우저가 구동은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705에서 제어 모듈은 단계 700에서 메모리에서 저장된 인식 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한 결과를 참조한다. 상기 참조 결과, 무선 단말기가 인식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면, 이후, 근접형 통신 모듈을 구동하여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접속을 준비한다.In step 705, a browser is started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The browser is driven from the input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In operation 705, the control module refers to the result of whether the recognition signal stored in the memory is received in operation 700. As a result of the above reference, if the wireless terminal is receiving the recognition signal,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s then driven to prepare for connection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단계 710의 인식 신호 수신 여부 판단 결과, 인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계 715에서 기존의 무선 인터넷 접속 방식에 따라 알에프(RF) 통신 모듈을 구동하고 단계720에서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tion signal is received in step 710, if the recognition signal is not received, in step 715, the RF communication module is driven according to the existing wireless Internet access method, and in step 720, the network is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Can be accessed.

단계 725에서 무선 단말기는 근접형 통신 모듈을 구동시키고, 단계 730에서 무선 단말기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와 무선 단말기와의 데이터 교환은 기존의 무선 인터넷 방식대로 무선 단말기에 아이피를 부여하고,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상기 아이피에 의해서 상기 무선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In step 725, the wireless terminal drives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and in step 730,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exchange betwe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the wireless terminal gives an IP to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conventional wireless internet method,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by the IP. You can exchange data with the terminal.

단계 735에서 근접형 통신 장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이 후,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헤더 부분에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삽입하여, 무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735, the proximity communication device stor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after, by insert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the header portion of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server, the wireless terminal can receiv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terminal.

단계 740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무선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완료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단계 740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단계 745에서 무선 단말기는 접속을 원하는 서버의 아이피주소를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전송한다.In step 74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transmits a network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wireless terminal. The process of step 740 may be omitted. In step 745,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desired to connect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단계 750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단계 755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 단말기 식별 정보가 헤더에 삽입하고, 상기 헤더가 포함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무선망 교환기에 송신한다.In step 75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extrac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 step 755, the IP address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inserted into the header, and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ncluding the header is requested. Send the signal to the wireless network switch.

단계 760에서 무선망 교환기는 상기 수신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과금을 한다.In step 760, the wireless network switch uses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harge the wireless terminal.

그리고 단계 765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가 헤더에 삽입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서버에 송신하면, 단계 770에서 서버는 상기 서버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상응하는 아이피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peration 765, when the IP address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serted in the header, the server extract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preferably has an IP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그리고 단계 775에서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에 상응하는 주소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물론, 상기 컨텐츠의 헤더에는 서버의 아이피 주소가 포함된다.In operation 775,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an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IP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Of course, the header of the content includes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단계 780에서 무선망 교환기는 헤더에 삽입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송신한다.In step 780, the wireless network switch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using the IP address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nserted in the header.

단계 785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상기 컨텐츠에서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추출하고, 상기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하여 단계 790에서 헤더부분에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삽입한 컨텐츠를 브로드캐스팅한다.In operation 785,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extracts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from the content, and extract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Thus, in step 790, the content in whic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the header portion is broadcast.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단계 795에서 무선 단말기의 브라우저는 상기 컨텐츠를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The content is received by the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 step 795, the browser of the wireless terminal displays the content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상기와 같이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무선 인터넷에 고정적인 아이피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도 있고, 인터넷을 접속할 경우만 임시 아이피를 부여하여 아이피 자원의 활용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자체에 부여되는 단말기 식별 정보, 즉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이용하여 도메인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였으나, 기존의 아이피 주소 체계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도 당연하다.When the system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fixed IP address may be given to the wireless Internet, or a temporary IP may be assigned only when the Internet is connected to thereby expand the utilization of IP resources. In additi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to the terminal itself, that is, the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Electric Serial Number), the subscriber number (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can be used as a domain. In FIG. 7, content is transmitted us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existing IP address system.

상기와 같이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는 주된 목적은 과금을 하기 위함이다. 기존의 무선 인터넷은 헤더에 사용자의 브라우저 및 단말기 모델명, 가입자 번호, 기지국 정보, 즉, SID (System ID) 및 NID (Network ID) 등의 시스템 파라메터를 포함하고 있다. SID (System ID)는 이동 통시사별로 독자적인 망을 지칭하며, 예를 들면 KTF는 2810이고, HSP는 2210이다. 그리고 로밍 지역은 KTF는 2189이고, HSP는 2211이다. NID (Network ID)는 망을 식별하는 번호로써, 일반적으로 교환기 번호를 지칭하며 지역별로 상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purpose of passing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switch is to charge. The existing wireless Internet includes system parameters such as a user's browser and terminal model name, subscriber number, base station information, that is, SID (System ID) and NID (Network ID). SID (System ID) refers to a unique network for each mobile operator, for example, KTF is 2810 and HSP is 2210. The roaming area is KTF 2189 and HSP 2211. NID (Network ID) is a number that identifies a network and generally refers to an exchange number and varies by region.

상기의 헤더 부분에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삽입하여 과금을 할 수 있으며, 통화료는 현재의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통화료보다 저렴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ossible to charge by insert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into the header portion, and the call charge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call charge provided by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types of sign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할 때, 무선 단말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무선망 교환기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는 단말기 식별 정보,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인식 신호 등이 있으며, 상기 신호 중 중요한 신호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during a wireless terminal,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nd a wireless network exchange period includ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recognition signal, and the like. The data structure of will be described.

무선 단말기 정보 신호(800)는 근접형 무선 단말기에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송신하는 신호로서, 식별자,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signal 800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proximity wireless terminal to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includes an identifier,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and an electric serial number (ESN). It is.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805, 810)는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지 아니하는 경우의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805) 및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는 경우의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810)로 나뉜다.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s 805 and 810 are divided into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805 when not via the wireless network switch and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810 when via the wireless network switch.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지 아니하는 경우의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805)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무선망 교환기를 경유하는 경우의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810)는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에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가 포함된다.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805 when not via a wireless network switch is composed of an IP address of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nd an IP address of a server, and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810 when via a wireless network switch. The IP address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includes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and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상기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및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가 포함시킴으로써,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및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에 상응하는 무선 단말기에 과금을 할 수 있다.A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and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by including the electric serial number (ESN) and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You can charge for

상기 식별자는 신호를 식별하고 데이터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로써 무선 단말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무선망 교환기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수에 따라 식별자의 크기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3비트 또는 4비트로 식별자의 크기를 정할 수 있다.The identifier is a signal that identifies a signal and indicates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of the data. The identifier is preferably si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wireless terminal,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during a wireless network exchange.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identifier can be determined by 3 bits or 4 bits.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나타낸 테이블이다.9 is a table showing data stored in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는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접속한 무선 단말기의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및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접속한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 접속 시작 시각, 접속 종료 시각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ncludes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and subscriber number (MIN) of the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 IP address of the connected server, a connection start time, It is preferable to store information, such as a connection termination time.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단말기와 동시에 근접형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may perform proximity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simultaneously using the informa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본 발명에 따른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시스템은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에게 통화 요금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Network access method and system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call charge to the mobile Internet user.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에게 기존의 유선 인터넷만큼 질 좋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provide mobile Internet users with content as high as the existing wired Internet.

또한, 본 발명은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초고속 인터넷 망의 상품 가치를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장벽을 낮춤으로써 모바일 인터넷을 대중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popularizing the mobile Internet by increasing the product value of the high-speed Internet network and lowering the user's use barrier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인터넷을 대중화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revenue of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er by popularizing the mobile Internet.

즉,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와 무선 단말기가 근접형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망 사용료인 통화료를 대한 부담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무선 인터넷 사용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the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network may use the Internet by accessing the network through proximity communication. 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toll charge, which is the wireless network fee, the user may increase the frequency of using the wireless Internet.

Claims (10)

무선 단말기, 서버 및 무선망 교환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된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accessing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in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coupled through a network with a wireless terminal, a server, and a wireless network switch, the method comprising: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청 신호는 상기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함-;Receiving a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e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청 신호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n IP address of the server from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단계; 및Storing an IP address of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an IP address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를 포함하되,Including, 근접형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 및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간의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A method for accessing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 network by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a built-in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착신 전환 접속 장치 인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Transmitting the call forwarding connection device recognition signal,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인식 신호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기와의 근접형 통신 가능 지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And adjusting the output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point recognition signal to adjust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rea with the wireless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상기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content from the server; 상기 컨텐츠에 상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컨텐츠의 헤더에 삽입하는 단계; 및Insert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a header of content; And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가 삽입된 컨텐츠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ontent contain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를 포함하되,Including, 근접형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 및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간의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A method for accessing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on can be made to a server by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in which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s embedd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는,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 전자 일련 번호,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A network connection method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comprising: an IP address of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an IP address of a server, an electronic serial number, and a subscriber number.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는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전자 일련 번호,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A network access method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comprising an electronic serial number and a subscriber number.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서버 및 무선망 교환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합된 무선 단말기에서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accessing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in a wireless terminal coupled through a network with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 server, and a wireless network switch,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저장 장치에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storage de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네트워크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network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네트워크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a network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에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가 포함된 컨텐츠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an IP address of a server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content from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the received content on a display device; 를 포함하되,Including, 근접형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 및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간의 근접형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A method for accessing a network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 network by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a built-in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And receiving a network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는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전자 일련 번호,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A network access method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comprising an electronic serial number and a subscriber numb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입력 장치로부터 브라우저 구동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browser driving command from an input device;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로부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인식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recogni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인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내에 구비된 근접형 통신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 및Driv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upon receiv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nnection recognition signal; And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인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내에 구비된 알에프(RF) 통신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Driving an RF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i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identification signal is not received; 를 더 포함하되,Include more, 상기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 인식 신호의 수신 가능 지역에서는 상기 근접형 통신 모듈 및 근접형 통신 접속 장치와의 근접형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그 외의 지역에서는 알에프(RF) 통신 모듈, 이동 통신사의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In a region where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point recognition signal can be received, the network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proximity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in other regions, an RF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A network connection method using proximity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can be connec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A memory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And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A processor coupled to the memory to execute the program 를 구비하되,Provided with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근접형 통신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을 이용한 근접형 통신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The processor is a network connection system by proximity communication using the network connection method by proximi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by the program.
KR10-2001-0065590A 2001-10-24 2001-10-2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nection with network using local communications Expired - Fee Related KR1004071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590A KR100407173B1 (en) 2001-10-24 2001-10-2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nection with network using local communi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590A KR100407173B1 (en) 2001-10-24 2001-10-2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nection with network using local commun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560A KR20030033560A (en) 2003-05-01
KR100407173B1 true KR100407173B1 (en) 2003-11-28

Family

ID=2956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5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7173B1 (en) 2001-10-24 2001-10-2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nection with network using local communic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1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625B1 (en) * 2001-11-15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web contents providing using subscriber terminal in exchange system and method same
KR101679428B1 (en) * 2009-10-16 2016-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establishing personal network for providing cpns service
KR101674903B1 (en) 2009-10-20 2016-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personal network
KR101600770B1 (en) * 2015-01-30 2016-03-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for Receiving Contents by using Different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560A (en)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50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over-the-air provisioning of a mobile station from a provisioning server via a traffic channel
CN100525536C (en) Coordination between mobile stations serving terminal equipment
US20030021254A1 (en) Wireless LAN terminal, wireless LAN base station, and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m and wireless hand-off method
US20050130611A1 (en)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terminal for next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s
CN106464303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JP2003018642A (en) Optimal Internet network connection and roaming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 outdoor users
KR20130105731A (en) Dual mode subscriber unit for short range, high rate and long range, lower rate data communications
CN104378751A (en) Method, equipment and system for gaining remote access to cellular mobile networks
KR1006278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other types of networks
Nakajima et al. Development for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US20060072537A1 (en)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interne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method of the same
KR1004071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nection with network using local communications
US200702649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IP address in portable Internet network when interworking with different types of network
CN101064718B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n IP address in a mobile Internet network
EP1612995B1 (en) Concept for enabling access to a network using a local wireless network
KR10062516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delivery through IP tunnel in multimedia broadcast service
KR1006685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IP address in portable internet network when interworking with portable internet network
KR100562254B1 (en) Terminal identification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other network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7237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portable internet network
JP2001061187A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090094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LAN AP service in portable Internet system
KR20130043049A (en) Terminal apparatus as machine type communication gateway and method for relay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data using the method
CN201398243Y (en) Data card
KR20060039564A (en) Subscrib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in Mobile Internet Network
KR100634576B1 (en) Pay-as-you-go billing metho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1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11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