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639B1 - Apparatus and Method of Menu Editing for Mobi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Menu Editing for 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2639B1 KR100392639B1 KR10-2000-0067532A KR20000067532A KR100392639B1 KR 100392639 B1 KR100392639 B1 KR 100392639B1 KR 20000067532 A KR20000067532 A KR 20000067532A KR 100392639 B1 KR100392639 B1 KR 1003926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nu
- editing
- information
- item
- sto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메뉴를 사용자의 통신 습관에 맞도록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메뉴 편집을 위한 각종 기능을 입력하는 입력부(21); 상기 입력부(21)를 통해 설정된 기능에 의거하여 기 설정되어 저장된 초기 메뉴 또는 이전 편집되어 저장된 메뉴에 대한 편집을 제어하는 제어부(22); 상기 초기 메뉴 정보를 고정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부(23);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편집된 메뉴 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제 2 저장부(24); 및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메뉴 편집을 위한 각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히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입력부(21)를 통한 사용자의 기능 설정에 근거하여, 편집 대상 메뉴 즉, 상기 제 1 저장부(23)에 저장된 초기 메뉴 또는 상기 제 2 저장부(24)에 저장된 갱신 메뉴를 독취하고, 그 독취된 편집 대상 메뉴의 메뉴 그룹과 메뉴 항목에 대한 명칭 변경, 추가, 삭제, 및 트리 서열 이동을 포함한 편집을 제어하되, 상기 편집된 메뉴 정보는 상기 제 2 저장부(24)에 갱신 저장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onfigure an operation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communication habit, comprising: an input unit 21 for inputting various functions for menu editing; A controller 22 for controlling the editing of an initial menu previously stored or a previously edited and stored menu based on a function set through the input unit 21; A first storage unit 23 fixedly storing the initial menu information; A second storage unit 24 which updates and stores the edited menu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2; And a display unit 25 for displaying various screens for menu edi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 and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2 is based on the user's function setting through the input unit 21. Reads an edit target menu, that is, an initial menu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3 or an update menu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and names of menu groups and menu items of the read edited menu; Editing, including changes, additions, deletions, and tree sequence movements, is controlled, wherein the edited menu information is updated and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메뉴를 사용자의 통신 습관에 맞도록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onfiguring the operation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uit a user's communication habits. will be.
일반적으로,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환경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는 데,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는 단말기의 제조 회사가 기능별 분류 체계에 따라 주메뉴와 서브메뉴를 정하여 트리(tree) 구조 형태로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시켜 제공되어진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해당 매뉴얼을 학습한 후, 정해진 루트를 따라 찾아가 원하는 기능의 메뉴를 선택함으로서, 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수행시키게 된다.In general,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n interface for setting the environment of the terminal, the interface of the terminal in the form of a tree (tree) by setting the main menu and sub-menu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function by the manufacturer of the terminal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is provided. Therefore, the terminal user learns the manual and then goes along a predetermined route and selects a menu of a desired function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terminal.
도 1은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고 있는 메뉴의 트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메뉴 A, B, C는 메뉴 엔트리의 서브 메뉴(또는 하위 메뉴라 함)이고, 메뉴 A1, A2, A3은 상기 A 메뉴 항목의 서브 메뉴이며, 메뉴 A11과 A12는 상기 A1 메뉴 항목의 서브 메뉴이다. 또한 메뉴 B1, B2, B3은 상기 B 메뉴 항목의 서브 메뉴이고, 메뉴 C1, C2는 상기 C 메뉴 항목의 서브 메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ee structure of a menu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menus A, B, and C are submenus (or submenus) of menu entries, and menus A1, A2 and A3 are submenus of the A menu item, and menus A11 and A12 are submenus of the A1 menu item. Further, menus B1, B2, and B3 are submenus of the B menu item, and menus C1 and C2 are submenus of the C menu item.
따라서, 일 예로 상기 메뉴 엔트리에서 상기 메뉴 A11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 메뉴 A11의 상위 메뉴인 메뉴 A와 A1을 반드시 거치게 되며, 한편 A 내지 A11의 중간 과정에서 상기 메뉴 C1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메뉴 엔트리로 돌아가 메뉴 C를 선택하기 위한 추가적인 키의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Thus, for example,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menu A11 in the menu entry, the menu A and A1, which are upper menus of the menu A11, must pass through the menu A11, while in order to select the menu C1 in the middle of A to A11, You will need to enter additional keys to return to the menu entry and select menu C.
그러나, 사용자마다 환경 설정 관련 각 메뉴 항목에 대한 사용 빈도가 다르며, 메뉴의 분류 체계에 대한 기준 또한 다르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제조 업체에서 일률적으로 제공하는 메뉴 체계 및 분류 기준은 사용자에 따라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item related to the environment is different for each user, and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enus are also different, the menu system and classification criteria uniformly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as described above may cause inconvenience to users. Can cause.
즉, 고정적인 메뉴 체계가 제공되는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사용자가 C1 메뉴를 A1 이나 A2, A3 보다 자주 사용할 경우에는 그 C1 메뉴를 사용하기 편한 상위 메뉴로 위치시키고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 빈도가 매우 낮은 메뉴는 삭제 또는 하위 메뉴로 위치시키는 것이 해당 사용자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인터페이스가 되지만, 사용자마다 각 메뉴에 대한 사용 빈도가 다르기 때문에 기존의 단말기 제조 과정에서 이를 각기 반영시키기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불편함을 감수하고서 제조 업체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고정적인 메뉴 체계에 그대로 따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제공된 메뉴 항목의 명칭이 모호할 경우 해당 기능을 숙지하는 데 통상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비됨은 물론, 정해진 루트를 따라 원하는 기능 메뉴를 찾고자 할 때 이에 대한 실패율이 높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여러 단계의 인터페이스를 거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That is,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fixed menu system, when a particular user uses the C1 menu more frequently than A1, A2, or A3, the C1 menu is placed as an upper menu that is easy to use and is not used or frequently used. Deleting or sub-menuing very low menus is an effective interface for the user. However, becaus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varies from user to user, it is impossible to reflect them in the existing terminal manufacturing process. Is uncomfortable and can only follow the fixed menu system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unilaterally. In addition, if the name of a provided menu item is ambiguous, a large amount of time is usually required to learn a corresponding function, and a failure rate is high when a desired function menu is found along a predetermined route, which is unnecessary for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going through several levels of interf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메뉴의 트리 구조 생성과 항목 선택 및 각 항목 명칭을 사용자의 통신 습관에 맞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편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create a tree structure of menus, select items, and change each item nam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habit of a user, thereby making it easier to use the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고 있는 메뉴의 트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ee structure of a menu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편집 장치의 블록도이고,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edit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서의 트리 서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도면으로서. 도 3a는 트리 서열 이동 전 도면이고, 도 3b는 트리 서열 이동 후 도면이고,3A and 3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ree sequence movement in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view before tree sequence shift, FIG. 3B is a view after tree sequence shift,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상기 제 1 저장부에 고정 저장된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관련 정보 즉, 초기 메뉴 정보의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4A and 4B are diagrams conceptually showing examples of menu related information, that is, initial menu information of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xedly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of FIG. 2;
도 5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도 4a의 초기 메뉴 정보가 변경되어 도 2의 제 2 저장부에 갱신 저장된 메뉴 관련 정보, 즉 사용자에 의해 재구성된 메뉴 그룹 정보의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FIG. 5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menu-related information, that is, menu group information reconstructed by a user, which is changed by initial user menu information of FIG. 4A at the request of a user and updated and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of FIG.
도 6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도 4b의 최종 서브 메뉴 항목이 변경되어 도2의 제 2 저장부에 갱신 저장된 최종 서브 메뉴 항목의 정보의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of a last submenu item whose last submenu item of FIG. 4B is changed and updated and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21 : 입력부 22 : 제어부21: input unit 22: control unit
23,24 : 저장부 25 : 표시부23,24: storage unit 25: display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편집 장치는, 트리 구조의 초기 메뉴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메뉴 편집을 위한 각종 기능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된 기능에 의거하여 기 설정되어 저장된 상기 초기 메뉴 또는 이전 편집되어 저장된 메뉴에 대한 편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초기 메뉴를 고정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수단; 상기 선택된 기능에 의거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편집된 메뉴를 갱신 저장하는 제 2 저장수단; 및 상기 선택된 기능에 의거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메뉴 편집을 위한 각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nu edit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nput means for selecting and inputting various functions for menu edi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itial menu function having a tree structur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editing of the previously stored menu or the previously edited and stored menu based on a function selected through the input means; First storage means for fixedly storing the initial menu; Second storage means for updating and editing the edited menu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based on the selected function;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various screens for menu edi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based on the selected function.
상기 제어 수단은 편집 대상 메뉴의 메뉴 그룹과 메뉴 항목에 대한 명칭 변경, 추가, 삭제, 및 트리 서열 이동을 포함한 편집을 제어하는 바, 상기 트리 서열 이동은 서열 이동 대상 메뉴 상에 기록된 상위 메뉴의 주소를 변경하고, 변경된 주소의 해당 상위 메뉴 상에 상기 서열 이동 대상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갱신기록하고, 변경 전 해당 상위 메뉴에서 상기 서열 이동 대상 메뉴를 삭제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편집된 트리 서열 상, 최종 하위 메뉴 항목의 추가는 상기 초기 메뉴의 최종 하위 메뉴 항목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ontrol means controls editing, including name changes, additions, deletions, and tree sequence shifts for menu groups and menu items of the menu to be edited, wherein the tree sequence shift is performed by the upper menu recorded on the sequence shift target menu. Change the address, update and record the sequence shift target menu on the upper menu of the changed address as a lower menu, and delete the sequence shift target menu from the upper menu before the change; The addition of the last submenu item is made by selecting from the list of the last submenu items of the initial menu.
상기 제 2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편집된 메뉴의 정보 중, 메뉴 그룹의 정보는 각 그룹에 대한 인식자(ID), 명칭, 선택된 하위 메뉴 항목 수, 각 하위 메뉴 항목과의 연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위 메뉴 항목의 정보는 각 항목에 대한 인식자(ID), 명칭, 상기 초기 메뉴의 해당 항목과의 연계 정보와 해당 실행 루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저장 수단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f the edited menu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means, the information of the menu group includes an identifier (ID) for each group, a name, the number of selected submenu items, and association information with each submenu item. The information of the lower menu item may include an identifier (ID) for each item, a name, linkage information with a corresponding item of the initial menu, and a location of a corresponding execution rout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and removable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편집 방법은, 고정된 트리 구조의 메뉴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정 메뉴 항목과 연계 기록된 상위 메뉴의 주소를 변경하고, 변경된 주소의 해당 상위 메뉴에 상기 특정 메뉴의 주소를 하위 메뉴 주소로 하여 갱신기록하고, 변경 전 주소의 해당 상위 메뉴에서 상기 특정 메뉴 관련 정보를 삭제하여, 상기 고정된 트리 구조의 메뉴 순위를 편집함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임의의 선택 메뉴 항목에 대한 명칭의 변경, 추가, 및/또는 삭제를 수행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nu edi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a fixed tree structure menu function, and changes an address of an upper menu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a specific menu item. And update and record the address of the specific menu in the corresponding upper menu of the changed address as the lower menu address, and delete the specific menu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upper menu of the address before the change, thereby adjusting the menu ranking of the fixed tree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by editing, and also capable of changing, adding, and / or deleting a name for any selected menu item.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단말기의 메뉴 편집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편집 장치의 블록도로서, 제어부(22)에 제어 동작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메뉴 편집을 위한 각종 기능을 설정 입력하는 입력부(21); 상기 입력부(21)를 통해 설정된 기능에 의거하여 기 설정되어 저장된 초기 메뉴 또는 이전 편집되어 저장된 메뉴에 대한 편집을 제어하는 제어부(22); 상기 초기 메뉴 정보를 고정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부(23); 상기 입력부(21)를 통해 선택된 기능에 의거한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편집된 메뉴 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제 2 저장부(24); 및 상기 입력부(21)를 통해 선택된 기능에 의거한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메뉴 편집을 위한 각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edit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quests a control operation from the controller 22, and includes an input unit 21 for setting and inputting various functions for menu editing; A controller 22 for controlling the editing of an initial menu previously stored or a previously edited and stored menu based on a function set through the input unit 21; A first storage unit 23 fixedly storing the initial menu information; A second storage unit (24) for updating and storing the edited menu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2) based on the function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1); And a display unit 25 for displaying various screens for menu edi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 based on the function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1.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입력부(21)를 통한 사용자의 기능 설정에 근거하여, 편집 대상 메뉴 즉, 상기 제 1 저장부(23)에 저장된 초기 메뉴 또는 상기 제 2 저장부(24)에 저장된 갱신 메뉴를 독취하고, 그 독취된 편집 대상 메뉴의 메뉴 그룹과 메뉴 항목에 대한 명칭 변경, 추가, 삭제, 및 트리 서열 이동을 포함한 편집을 제어하되, 상기 편집된 메뉴 정보는 상기 제 2 저장부(24)에 갱신 저장토록 한다.The control unit 22 updates an edit target menu, that is, an initial menu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3 or an updat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based on a user's function setting through the input unit 21. Read a menu and control editing including renaming, adding, deleting, and moving tree sequences of menu groups and menu items of the read edited menu, wherein the edited menu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To save the update.
상기 제어부(22)에서의 상기 트리 서열 이동은, 상기 제 2 저장부(24)의 메모리 정보에서, 서열 이동 대상 메뉴와 연계 기록된 상위 메뉴의 주소를 변경함과 아울러, 변경된 주소의 해당 상위 메뉴 상에 상기 서열 이동 대상 메뉴를 하위 메뉴로 갱신기록한 다음, 변경 전 해당 상위 메뉴에서 상기 서열 이동 대상 메뉴를 삭제하여 이루어지는 데, 이에 대한 일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ree sequence shift in the controller 22 changes the address of the upper menu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e sequence shift target menu in the memory information of the second storage unit 24, and the corresponding upper menu of the changed address. The sequence shift target menu is updated and recorded as a lower menu, and then the sequence shift target menu is deleted from the upper menu before the change. An exam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2)에서의 트리 서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도면으로서. 도 3a는 트리 서열 이동 전 도면이고, 도 3b는 트리 서열 이동 후 도면을 나타낸다.3A and 3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ree sequence movement in the control unit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diagram before tree sequence shift, and FIG. 3B is a diagram after tree sequence shift.
도 3a에 도시된 메뉴 A1, A2, A3은 메뉴 A 항목의 서브 메뉴(또는 하위 메뉴라 함)로 구성되어 있는 데, 여기서 메뉴 A 항목의 서브 메뉴로 있는 메뉴 A2 항목을 메뉴 A1 항목의 서브 메뉴로 만들기 위해서는, 도 3b와 같이, 먼저 메뉴 A2에 연계 기록된 상위 메뉴 A의 주소를 메뉴 A1의 주소로 변경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메뉴 A1에 자신의 하위 메뉴로 상기 메뉴 A2의 주소를 갱신 기록한 후, 상기 메뉴 A에서 상기 메뉴 A2의 주소를 삭제한다. 도 3a 및 도 3b의 메뉴 A1, A2, A3 항목에서 하위 메뉴의 '0' 값은 하위 메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Menus A1, A2, and A3 shown in FIG. 3A are composed of submenus (or submenus) of menu A items, where menu A2 items, which are submenus of menu A items, are submenus of menu A1 items. 3B, first, the address of the upper menu A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e menu A2 is recorded and changed into the address of the menu A1, and the address of the menu A2 is updated and recorded with its own submenu in the menu A1. In the menu A, the address of the menu A2 is deleted. In the menus A1, A2, and A3 of FIGS. 3A and 3B, the value '0' of the submenu means that there is no submenu.
상술된 트리 서열 이동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상기 제어부(22)에서의 제어 과정만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상기 제어부(22)의 제어 과정은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입력부(21)를 통한 트리 서열 이동에 대한 키 입력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of the tree sequence movement has been described only for the control process in the control unit 22 for convenience, the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 unit 22 is a key for the tree sequence movement through the input unit 21 from the user. It is based on input.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상기 제 1 저장부(23)에 고정 저장된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관련 정보 즉, 초기 메뉴 정보의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a는 메뉴 리스트 정보(또는 메뉴 그룹 정보라 함)를 나타내고 그 메뉴리스트 정보는 메뉴 인식자(ID), 메뉴명, 서브 메뉴 수, 및 서브 메뉴 1,2,3,4,,,의 관련 정보가 연계되어 기록되어 있으며, 도 4b는 최종 서브 메뉴 항목의 관련 정보(또는 최종 하위 메뉴 항목이라 함)를 나타내고 이 정보는 서브 메뉴 인식자(ID), 메뉴명, 및 실행 루틴(또는 실행 프로그램이라 함)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기록되어 있다.4A and 4B conceptually show examples of menu-related information, that is, initial menu information, of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xedly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3 of FIG. 2, and FIG. 4A illustrates menu list information ( Or menu group information), and the menu list information is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a menu identifier (ID), a menu name, the number of submenus, and related information of submenus 1,2,3,4 ,, FIG. 4B shows the relevant information of the last submenu item (or referred to as the last submenu item) and thi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ubmenu identifier (ID), the menu name, and the location of the execution routine (or called the execution program). It is recorded in interconnection.
이와 같이 도 4a 및 도 4b의 정보를 상기 제 1 저장부(23)에 고정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21)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22)는 입력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제 1 저장부(23)에 저장되어있는 관련 정보들을 상기 표시부(25)를 통해 나타내도록 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메뉴 엔트리가 선택되면 메뉴 A, B, C등이 화면에 표시되고, 다시 입력에 의해 메뉴(A, B, C 등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의 서브 메뉴명(A1-A3, B1, B2 등 중 하나)이 화면에 출력되어진다. 최종 서브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제어부(22)는 선택된 메뉴의 실행 프로그램이 위치하고 있는 주소를 찾아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는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와 동일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information of FIGS. 4A and 4B is fixedly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3, when an input is made by the user in the input unit 21, the controller 22 analyzes the input content to perform the input. Relevant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3 is indicated through the display unit 25. When a menu entry is selected by the user's input, menus A, B, C, etc.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when a menu (one of A, B, C, etc.) is selected by input again, the submenu name of the selected menu (A1- One of A3, B1, B2, etc.)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selection of the final submenu is made, the controller 22 searches for the address where the execution program of the selected menu is located and executes the corresponding program. This procedure is the same as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5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도 4a의 초기 메뉴 정보가 변경되어 상기 제 2 저장부(24)에 갱신 저장된 메뉴 관련 정보, 즉 사용자에 의해 재구성된 메뉴 그룹 정보의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재구성된 메뉴 그룹 정보는 도 4a와 비교하여 메뉴 인식자(ID), 메뉴명, 서브 메뉴 수, 및 서브 메뉴 1,2,3,4,,,의 관련 정보가 연계되어 기록된 것은 동일하되, 메뉴 인식자와 메뉴명과 서브 메뉴 수가 변경된 것을 알 수 있고, 각 새로운 메뉴명에 속하는 서브 메뉴들이 도 4a의 서브 메뉴 항목 중 선택된 항목으로 재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FIG. 5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menu-related information, that is, menu group information reconfigured by the user, which has been chang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by changing the initial menu information of FIG. 4A at the request of a user. The reconstructed menu group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at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e menu identifier (ID), the menu name, the number of submenus, and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ubmenus 1,2,3,4 ,, as compared to FIG. 4A. It can be seen that the menu recognizer, the number of menu names, and the number of submenus are changed, and the submenus belonging to each new menu name are reconfigured as selected items among the submenu items of FIG. 4A.
도 6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도 4b의 최종 서브 메뉴 항목이 변경되어 상기 제 2 저장부(24)에 갱신 저장된 최종 서브 메뉴 항목의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갱신된 최종 서브 메뉴 항목의 정보는 서브 메뉴 인식자, 메뉴명,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초기 메뉴의 해당 항목과의 연계 정보로서의 초기 메뉴명, 및 해당 실행 루틴의 위치 정보가 연계되어 기록되어 있다.FIG. 6 illustrates information of the last submenu item of which the last submenu item of FIG. 4B is changed and updated and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menu identifier, the menu name, the initial menu name as the linkage information of the initial menu shown in Figs. 4A and 4B,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xecution routine are recorded in association.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뉴 정보를 재구성하기 위해 도 4a 및 도 5와 같은 두 개의 메뉴 정보 관련 테이블을 유지하게 되는 데, 도 4a와 같은 초기 메뉴 관련 정보는 독취는 가능하나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저장부(23)에 고정 저장된 정보이며, 도 5와 같은 재구성된 메뉴 정보는 독취,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저장부(24)에 저장된 가변 정보이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construct the menu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wo menu information related tables as shown in FIGS. 4A and 5. The initial menu related information as shown in FIG. 4A can be read but not changed. The information is fixedly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3, and the reconstructed menu information as shown in FIG. 5 is variabl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so that reading, adding, and deleting are possible.
도 4a 및 도 4b의 초기 메뉴 관련 정보를 불변 유지하는 것은 사용자가 초기 상태로 돌아가기를 원하는 경우나, 현재의 사용자 메뉴 기능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선택하고자 할 때 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메뉴에 초기 메뉴의 특정 메뉴 항목 기능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전체 기능 리스트를 도 4a 및 도 4b와 같은 초기 메뉴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해 주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 추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Maintaining the initial menu related information of FIGS. 4A and 4B is provided to provide the function when the user wants to return to the initial state or when adding and selecting a new function to the current user menu function.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add a specific menu item function of the initial menu to his menu, the function can be added by displaying and selecting the entire function list based on the initial menu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4A and 4B. It is for.
본 발명에서, 초기에는 상기 제 2 저장부(24)에 저장된 사용자가 재구성할 메뉴와 상기 제 1 저장부(23)에 저장된 초기 메뉴 영역의 내용은 동일하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21)를 통해 편집을 위한 각종 기능 키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제 2 저장부(24)에 저장된 메뉴를 추가, 삭제 및 순위 이동 등의 편집에 대한 제어를 함으로써 해당 메뉴를 재구성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itially, the menu to be reconstructed by the user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and the contents of the initial menu are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3 are the same, and the user uses the input unit 21. By setting various function keys for editing, the controller 22 reconfigures the menu by controlling the editing such as adding, deleting, and ranking of the menu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사용자에 의한 메뉴 재구성 과정이 완료되면, 도 4b와 같은 초기 최종 서브 메뉴 항목의 관련 정보 테이블이 도 6과 같이 갱신된 최종 서브 메뉴 항목의 정보 테이블로 변경되는 데, 이 경우에도 메뉴 항목의 명칭은 변경될 수 있으나, 실제로 그 메뉴와 연계되어 저장되는 실행 루틴의 위치 정보는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표시부(25)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메뉴명 등과 같은 정보만이 변경될 뿐, 실제로 시스템 내의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실제로 도 5와 도 6은 정보들의 예를 보이기 위해 분할하여 도시한 것일 뿐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데이터 구조에 기반하여 관련 정보들을 하나의 트리 구조로 관리 및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제 2 저장부(24)를 스마트 카드나 USIM/SIM 카드 등에 저장하고, 그 카드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동종의 다른 단말기에도 자신의 통신 습관에 적합한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When the menu reconstruction process by the user is completed, the related information table of the initial final submenu item as shown in FIG. 4B is changed to the updated information table of the last submenu item as shown in FIG. 6, and in this case, the name of the menu item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ecution routine which is actually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menu may not be changed. That is, only the information such as the menu nam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25 is changed, and the program for performing a function in the system is not changed. In fact, FIGS. 5 and 6 are only divided and illustrated to show examples of information. In an actual implementation, it is preferable to manage and maintain related information in a tree structure based on a data structure. In addition, the second storage unit 24 storing the information of FIGS. 5 and 6 is stored in a smart card, a USIM / SIM card, or the like, and the card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You can apply the same interface to your communication habits.
본 발명이 실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경우, 사용자에 의한 메뉴 재구성 절차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actu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brief description of the menu reconfiguration procedure by the user is as follows.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구입한 사용자는 매뉴얼에 나타난 각 기능들 또는 자신의 경험에 기반하여 메뉴 구성을 시작하는 데, 먼저 상기 입력부(21)를 통해 메뉴 편집 기능을 선택하면 초기에는 사용자에 의한 매뉴 재 구성 정보가 없으므로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제 1 저장부(23)에 고정 저장된 도 4a 및 도 4b의 정보 데이터 즉, 제조 업체의 초기 메뉴 정보에 기반한 메뉴 화면을 상기 표시부(25)를 통해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저장부(23)의 저장 데이터를 상기 제 2 저장부(24)에 복사 저장한다. 다음, 상기 입력부(21)를 통한 해당 기능 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제 2 저장부(24)에 저장된 메뉴를 모두 삭제하고 처음부터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 저장하거나, 현재의 메뉴 항목에 대한 추가, 삭제 또는 이동을 수행하고, 원하는 메뉴 항목명으로 변경한다.A user who purchases a mobile terminal starts to construct a menu based on each function or his or her own experience shown in the manual. First,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editing function through the input unit 21, the user reconfigures the menu. Since there is no information, the controller 22 displays the menu screen based on the information data of FIGS. 4A and 4B, that is, the initial menu information of the manufacturer, which are fixedly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3, through the display unit 25. In addition, the storage data of the first storage unit 23 is copied and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Next, according to the function setting through the input unit 21, the controller 22 deletes all the menu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 and selects a menu from the beginning and stores the input, or the current menu item. Add, delete, or move a file, and change the name of the desired menu item.
상기에서 메뉴를 삭제하고 재입력할 경우에는 도 5의 메뉴명란의 '메뉴 AA'와 같이 메뉴 그룹명을 설정한 후, 그 그룹내에 각 서브 메뉴 그룹 또는 서브 메뉴 항목들을 삽입한다. 메뉴 항목들의 삽입시에는 도 4b와 같이 상기 제 1 저장부(23)에 저장된 최종 메뉴 항목들의 명칭을 상기 표시부(25)를 통해 보여주고, 이를 보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메뉴 편집이 수행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서브 메뉴 항목의 선택 후에 해당 항목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으나 그 실행 루틴의 위치는 이전과 동일하도록 하여 그 메뉴의 선택 시 해당 메뉴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of deleting and re-entering the menu, the menu group name is set as shown in 'menu AA' in the menu name column of FIG. 5, and then each sub menu group or sub menu items are inserted into the group. When the menu items are inserted, the names of the last menu item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3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 as shown in FIG. 4B, and the menus are edited 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them. . The user can change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item after selecting the submenu item, but the position of the execution routine is the same as before so that the menu can be executed when the menu is selected.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편집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메뉴의 트리 구조 생성과 항목 선택 및 각 항목 명칭을 사용자의 통신 습관에 맞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an be more conveniently created by creating a tree structure of menus, selecting items, and changing each item name according to a user's communication habit. The effect is easy to us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7532A KR100392639B1 (en) | 2000-11-14 | 2000-11-14 | Apparatus and Method of Menu Editing for 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7532A KR100392639B1 (en) | 2000-11-14 | 2000-11-14 | Apparatus and Method of Menu Editing for Mobi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7567A KR20020037567A (en) | 2002-05-22 |
KR100392639B1 true KR100392639B1 (en) | 2003-07-23 |
Family
ID=1969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75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2639B1 (en) | 2000-11-14 | 2000-11-14 | Apparatus and Method of Menu Editing for Mob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9263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0713B1 (en) * | 2002-07-16 | 2004-12-08 | 벨록스소프트(주) | User interface system for supporting multi-theme of mobile phone |
KR100446148B1 (en) * | 2002-07-16 | 2004-08-30 |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 Novel Lactobacillus paracasei CLW-011 strain for probiotics and specific DNA sequence of the same |
KR20040044801A (en) * | 2002-11-22 | 2004-05-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setting menu |
KR101153184B1 (en) * | 2005-03-10 | 2012-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tting menu and setting menu method using the same |
KR20060109773A (en) * | 2005-04-18 | 2006-10-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manage your phone's menu |
KR100904233B1 (en) * | 2007-12-21 | 2009-06-25 | 엔에이치엔(주) | How to switch screens between applications on a mobile terminal |
KR101711840B1 (en) * | 2010-06-08 | 2017-03-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KR101711972B1 (en) * | 2010-08-26 | 2017-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contact list of a portable terminal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91066A2 (en) * | 1997-07-09 | 1999-01-13 | Nokia Mobile Phones Ltd. | Adaptable menu-controlled man-machine interface. |
US6061576A (en) * | 1996-03-06 | 2000-05-09 | U.S. Philips Corporation | Screen-phone and method of managing the menu of a screen-phone |
WO2000055717A1 (en) * | 1999-03-16 | 2000-09-21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hierarchical menu system and a dynamic menu |
KR20010059668A (en) * | 1999-12-30 | 2001-07-06 | 윤종용 | Method for composing user's customized menu in portable radio telephone |
KR20020019132A (en) * | 2000-09-05 | 2002-03-12 | 홍경 | Method for setting and selecting menu list in mobile phone |
-
2000
- 2000-11-14 KR KR10-2000-0067532A patent/KR10039263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61576A (en) * | 1996-03-06 | 2000-05-09 | U.S. Philips Corporation | Screen-phone and method of managing the menu of a screen-phone |
EP0891066A2 (en) * | 1997-07-09 | 1999-01-13 | Nokia Mobile Phones Ltd. | Adaptable menu-controlled man-machine interface. |
WO2000055717A1 (en) * | 1999-03-16 | 2000-09-21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hierarchical menu system and a dynamic menu |
KR20010059668A (en) * | 1999-12-30 | 2001-07-06 | 윤종용 | Method for composing user's customized menu in portable radio telephone |
KR20020019132A (en) * | 2000-09-05 | 2002-03-12 | 홍경 | Method for setting and selecting menu list in mobile ph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7567A (en) | 2002-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38438A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reating new pages in a touch screen based telephony product having a hierarchical repertory | |
KR100959572B1 (en) | Reconfigure the standby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 |
JP4046804B2 (en) |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
US5668962A (en) | Window managing system for selecting a window in a user designated identifier list | |
JPS6314832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system instruction for display | |
JP7395931B2 (en) | Display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 |
KR100392639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Menu Editing for Mobile | |
JP4547236B2 (en) | Web browser and display device | |
KR20000049456A (en) |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updating web-page | |
JP499961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JPH0916801A (en) | Command designation device | |
KR100639761B1 (en) | tool bar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JP4444634B2 (en) | PROGRAM GENERATION DEVICE, PROGRAM GENERA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US11268226B2 (en) | Sewing data processing system, terminal, sewing machine, and program | |
JP2010102411A (en) | Content brow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3353309B2 (en) | File selection method | |
JPH0548704A (en) | Calling device with telephone directory data function | |
JP2540940B2 (en) | Multi-window editing management method | |
JP4774934B2 (en) | Time zone setting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
JP4744799B2 (en) |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71598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JP2003263324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ts method, and program | |
KR101695490B1 (en) | Method for searching contents | |
JPH02230311A (en) | System for editing and displaying help screen in intelligent terminal | |
JP2005135319A (en) | Program generation apparatus, program genera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U15-X000 |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7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