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128B1 - Repetitive playback system for entering data into separate repeaters and players - Google Patents
Repetitive playback system for entering data into separate repeaters and play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56128B1 KR100356128B1 KR1019970012814A KR19970012814A KR100356128B1 KR 100356128 B1 KR100356128 B1 KR 100356128B1 KR 1019970012814 A KR1019970012814 A KR 1019970012814A KR 19970012814 A KR19970012814 A KR 19970012814A KR 100356128 B1 KR100356128 B1 KR 100356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 data
- unit
- voice data
- tex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매체에 음성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는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나 CD - ROM 등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카세트 테이프나 음성카드 등에 기록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that can input voice messages to a storage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recording and storing voice messages stored on a hard disk or CD-ROM of a computer, such as a cassette tape or a voice card. In that,
시스템을 소정프로그램에 따라 제어, 처리하는 중앙처리기와, 프로그램 데이터, 프로토콜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중앙처리기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엑세스하거나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중앙처리기에 소정의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가할 수 있는 입력키들과, 상기 중앙처리기의 제어를 받아 시스템의 상태 및 각종정보를 표시하는 작동 패널을 구비하는 신호 발생장치; 및 상기 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중 일부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에 반복적으로 재생할 수 있고, 상기 신호 발생장치와는 분리가능한 분리형 반복재생기를 포함하는 반복 재생시스템을 그 특징으로 한다. A central processor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a system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a memory unit for storing program data, protocol data, text data, and recorded voice data to access or store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or; A signal generating device having input keys to which a user can apply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s to the control panel, and an operation panel which displays the state and various information of the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or; And a repetitive reproducing system, which receives and stores some of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from the signal generator, and repeatedly reproduces the data, and includes a detachable repetitive player that is detachable from the signal gener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장매체에 음성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장치와 데이터 입력장치와는 분리가능한 분리형 재생기 및 상기 재생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for inputting voice data to a storage medium, a removable player detachable from the data input device, and a system for a data input device including the player.
컴퓨터가 등장한 이래로 그 기능이 고도화 되어가는 한편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화가 진행되어가고 있으며, 현재 컴퓨터의 주요기능중의 하나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한 학습기능이라 할 수 있다. 컴퓨터는 그 특성상 특정 구간을 무한히 반복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장점을 살려 어학용 기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Since the advent of computers, its functions have been advanced, and complexities for performing multimedia functions have been progressed.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computers is a learning function using multimedia functions. Computer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peat certain sections indefinitely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종래 개발된 일정구간을 반복하는 어학용 학습기로는 반복기능을 갖는 녹음기를 들 수 있으며, 반복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녹음기로는 일정시간을 설정해놓으면 그 시간동안 테이프를 감고 있는 권취릴을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자동 반복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간을 설정하는 방식대신에 문장과 문장사이에 음의 불연속되는 성질을 감지하여 문장단위로 반복하는 방식이 개발되어져 왔다.A conventional language learner that repeats a certain period may include a recorder having a repeating function. A recorder for performing a repeating function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time. The automatic repeat function was performed while repeating the rotation. Also, instead of setting the time, a method of detecting the discontinuity of sound between sentences and repeating it in sentence units has been developed.
또한 반복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소형 녹음기중에 일정량의 음성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를 설치하고, 반복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반복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a memory capable of storing a certain amount of voice data was installed in a small recorder to perform the repetition function, and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was read out to perform the repetition function.
그러나, 릴테이프를 정회전, 역회전시키는 방식의 이러한 장치는 기계나 전자장치가 고가화 되는 단점이 있으며, 반복시점에서 릴레이동작에 따른 접촉소음이 큰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고, 소형녹음기의 음성데이터 메모리 방식은 기본적으로 녹음기의 구성요소를 다 갖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소형화에 한계를 갖고 있어, 이동에 불편함을 있었다. 또한 이러한 소형 녹음기에 있어서, 자동반복기능은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에 불과하므로 메모리용량을 크게하는 데에는 녹음기자체의 원가상승을 가져오게 됨으로써 비용증대라는 부담이라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녹음기의 반복재생장치는 음성만을 단순히 반복시킴으로써 문자가 수반되는 학습에서는 반쪽의 학습만이 진행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However, such a device that rotates the reel tape forward or reversely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echanical or electronic device becomes expensive, and the contact noise caused by the relay operation at the time of repetition implies a large problem, and the voice data memory of the small recorder. Since the method basically has all the components of the recorder, it has a limitation in miniaturization,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moving. In addition, in such a small recorder, the auto-repeat function is only one additional function, so that the cost of the cost increases due to the cost increase of the recorder itself to increase the memory capacity. In addition, the repeater of the recorder has a problem in that only half of the learning proceeds in the learning involving letters by simply repeating only the voic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동에 간편토록한 스림화한 음성데이터 반복장치를 염가에 제작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s intended to enable the manufacture of a slimming voice data repeater which is convenient for movement at low cos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반복재생과 함께 문자반복재생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er to enable simultaneous voice replay and character repeat pl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구비하는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 발생장치에 장착하여 상기 데이터의 특정부분을 입력받아 저장시킨 후 상기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 발생장치와 분리시켜 휴대할 수 있는 분리형 반복 재생기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반복 재생기는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data and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A detachable repeater that can be carried separately from a signal generator, wherein the detachable repeater
상기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문자 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칩; 및A semiconductor chip for storing text data and voice data output from the text signal and voice signal generator; And
상기 반도체 칩에 저장된 상기 문자 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들;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text data and voice data stored in the semiconductor chip to the outside;
상기 문자 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기 위하여 키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및A key input unit for key input to store and output the text data and voice data; And
상기 키입력부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 발생장치로부터의 문자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상기 반도체 칩에 저장하고, 상기 키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반도체 칩에 저장된 문자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상기 출력수단들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xt signal and the voice data from the text signal and voice signal generator are stored in the semiconductor chip by the input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text and voice data stored in the semiconductor chip are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key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mean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형 반복 재생기는 마이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에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칩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repeater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device, and it is preferable to store data in the semiconductor chip by inputting voice into the microphon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형 반복 재생기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음성데이터에 해당하는 문자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상기 문자데이터를 표시수단들에 표시하도록 하는 음성인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lit type repeater further includes voice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voice data to genera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nd displaying the text data on the display mean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 발생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로서 상기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에 해당하는 문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음성데이터와 상기 문자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ext signal and voice signal generating apparatus recognizes the voice data as a personal computer to genera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nd output the voice data and the text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칩과 상기 반도체칩에 상기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며, 충전기능을 수행하는 충전부를 구비한 복수의 분리형 재생기들을 동시에 동일한 음성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분리형 재생기들의 입력시스템에 있어서: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type for simultaneously inputting the same voice data to a plurality of separate players having a semiconductor chip for storing voice data and the voice data to the semiconductor chip, and a charging unit for performing a charging function. In the input system of the players:
상기 분리형 재생기의 충전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harging unit of the separate player;
상기 입력시스템을 소정프로그램에 따라 제어, 처리하는 중앙처리기;A central processor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the input system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voice data;
상기 중앙처리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키들; 및Input keys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central processor; And
상기 복수의 분리형 재생기를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형 재생기가 삽입될 때, 상기 분리형 재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성데이터를 상기 분리형 재생기들에 입력하도록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복수의 분리형 재생기 삽입슬롯들을 포함하는 것이다.And a plurality of separate player insertion slots, and a plurality of separate player insertion slots provided with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parate player to input the voice data to the separate player when the separate player is inserted. To include them.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형 재생기에는 문자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기 수단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재생기들의 입력시스템에는 상기 분리형 재생기들에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들이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e player further includes means for storing and outputting text data, and the input system of the separate players further includes means for inputting text data into the separate player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을 외부로부터 문자데이터 및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포트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port for inputting text data and voice signals from the outside;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A voice data storage unit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port into digital voice data and storing the voice signal in a semiconductor memory;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재생하는 음성 재생부;A voice reproducing unit reproducing voice data read from the voice data storage unit as an analog voice signal;
상기 음성 재생부에서 재생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An output unit which outputs the voice signal reproduced by the voice reproducing unit to the outside;
상기 문자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문자데이터를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ext data for storing the text data;
상기 문자데이터 저장부의 저장된 문자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하기 위한 문자출력부;A charact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tored character data of the character data storage unit to a display unit;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다른 동작상태 및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displaying a different operation state and a control state in response to a command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기 에너지를 입력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각 회로부에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부; 및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by inputting electrical energy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a power voltage to each circuit unit; And
상기 조작부를 통해 제공된 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재생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동작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In response to a command signal provid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s stored in the voice data storage unit, the stored voice data is read out and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voice reproducing unit, and an operation state is display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포트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전화기로부터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input port is output from the telephon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을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음성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포트;An input port for inputting voice data and text data downloaded from the outside;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다운로드된 음성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하는 음성 처리부;A voice processor configured to store voice data and text data downloaded through the input port in a semiconductor memory;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독출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A voice output unit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voice data read from the voice processor as an analog voice signal;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해당 문자로 변환하여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하는 문자 처리부;A character processor configured to recognize the voice data, convert the voice data into a corresponding character, and store the same in a semiconductor memory;
상기 문자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문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문자 출력부;A text output unit which displays text data provided from the text processing unit;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키들을 포함하는 조작부; 및An operation unit including command keys for inputting a command; And
상기 조작부로부터 제공된 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 및 문자 처리부를 제어하여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및 문자 출력부를 통해 재생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voice processing unit and the text processing unit to store voice and text data in response to a command signal provided from the operation unit, and to read and store the stored voice and text data through the voice and text output unit. .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녹음기와 분리형 반복 재생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order and a separate repeat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리형 반복 재생기의 제 1 실시예의 저면도이다.2 is a bottom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split type repeat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리형 반복 재생기의 제 1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split type repeat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데이터 입력수단은 녹음기로 구현되고, 분리형 반복 재생기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시키는 메모리칩과 메모리칩으로부터 출력된 음성데이터를 외부에 음으로 재생시키는 음재생수단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input means is implemented as a recorder, and a separate repeater has a memory chip for storing and outputting voice data and a sound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voice data output from the memory chip to the outside. Installed i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음기(10)에는 녹음기가 갖는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키(11, 12, 13, 14)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동작키의 작동에 따른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표시패널(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리형 반복 재생기(20)가 투입될 수 있도록 반복재생기 삽입슬롯(16)이 형성되어 있다. 반복재생기 삽입슬롯(16)은 어디에 형성해도 관계가 없으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녹음기(10)의 상부에 설치하였다.As shown in FIG. 1, the
또한 녹음기(10)에는 녹음기(10)의 테이프 재생동작중이거나, 녹음기(10) 본체에 일체로 설치된 라디오수신기에서 라디오음이 출력되고 있을 때 이 음성 데이터를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의 음성데이터의 저장부(31)에 저장시키도록 명령하는 데이터 입력방지키(18)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의 하부에 음성입력 접촉단자(26)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녹음기(10)의 음성출력접촉단자(미도시)에 접촉되어 있다. 분리형 반복 재생기(20)를 장착홀에 장착시킨 후 저장키(18)의 저장명령에 의해서 녹음기(10)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는 녹음기(10)의 음성출력접촉단자와 접촉된 음성입력 접촉단자(26)을 통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성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다.As shown in FIG. 2, a voic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반복 재생기(20)는 충전부를 내장하고 있어 녹음기(10)으로 출력되는 전원을 충전단자(27)를 통하여 입력받아 충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칩의 소비전력은 매우 작기 때문에 모터를 구동하여 동작하는 녹음기(10)의 소비전력에 비하여 매우 작기 때문에 작은 충전 전력으로도 충분한 잇점이 있다.Also, as shown in FIG. 2,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가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의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 입력되면, 조작부(36)에 설치된 재생 스위치(미도시)를 동작시켜 이것이 제어부(35)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35)에서 음성데이터는 음성데이터 저장부(31)로부터 음재생부(32)로 송출되게 된다. 이때 음성데이터 저장부(31)과 음재생부(32)는 하나의 IC칩으로 만들어지거나 각각의 IC칩으로 별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음재생부(32)로 부터는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게되고, 이를 증폭하여 출력부(37), 예를들어 스피커나 헤더폰으로 들을 수 있게한다. 현재 기술수준으로는 음성데이터저장부(31)와 음재생부(32)가 하나의 반도체칩(30)으로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설명할 필요는 없으나 설명의 명료화를 위해서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voice data is input to the voice
또한 분리형 반복 재생기(20)는 녹음기(10)의 전원이나 녹음기(10)이외의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시킬 수 있으며, 밧데리(34)를 이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에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시킬 수 있는 전원잭(28)이 설치되어 있고, 녹음기(10)의 전원단자(미도시)와 연결되는 전원접촉단자(27)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분리형 반복 재생기(20)를 반복재생기 삽입슬롯(16)에 투입시켜 녹음기(10)의 전원단자와 전원접촉단자(27)를 접촉시킨 후에 조작부(36)의 충전키 조작에 의해서 제어부에서는 충전명령을 내리게 되고, 이 명령에 의해서 충전부는 충전을 하게된다. 이때 충전부의 충전상태를 충전부에서 감지하고 이 데이터를 제어부에 송출하고, 이것을 표시부(38)에 표시한다. 또한 충전부(33)의 충전량이 부족한 경우에 있어서는 충전명령이 없이 자동적으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아주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할 수 있다.After inserting the
또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에는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고, 표시부(38)에는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메모리 공간과 장차 사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메모리 공간에 마이크(29)를 통해서 직접음성을 입력하여 마이크(29)에서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변환시켜 이를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시킬 수 있다.1 and 3, a
이하, 상기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에 음성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해서는 녹음기(10)의 반복재생기 삽입슬롯(16)에 장착시킨 후에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의 조작부 음성입력키(36)를 누른다. 그리고, 녹음기(10)의 테이프를 동작시키거나 발생되는 음성 데이터나 녹음기(10)에 일체화된 라디오 수신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데이터를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의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 계속적으로 입력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중에 데이터 입력방지키(18)가 작동되면 더 이상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데이터 입력방지키(18)가 작동되기전의 일정시간동안에 저장된 음성데이터가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되게 된다.First, in order to store the voice data in the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은 그 구성을 다르게 변형시켜 여러 가지의 변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this operation can be modified i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by varying the configuration.
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방지키(18)에 입력방지 기능대신에 이 키가 눌려지게 되면 일정시간동안에 녹음기(10)에서 발생되는 음성 데이터를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의 음성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되게 구성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변형들은 이 업계의 종사자라면은 당연히 변형할 수 있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is key is pressed instead of the input prevention function on the data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음성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데이터는 조작부(36)에 설치된 재생키에 의해서 제어부(35)에서 음성재생부(31)에 제어명령을 내림으로써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에 스피커나 헤더폰과 같은 수단으로 구성된 출력부(37)에서 음이 출력되게 된다.In this manner, the data stored in the voice
또한 표시부(38)에서는 제어부(35)에 입력된 각각의 제어대상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서 각각의 요소들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데이터 저장부(31)의 일정 저장영역을 마이크(29)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설정하여 둠으로써, 음성기록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메모리 영역은 특정하게 어떤 영역을 설정하지 않고 일정시간동안 사용하고 남은 잉여 저장영역상에 마이크(29)를 통한 음성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for illustrating anothe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분리형 반복 재생기와 라디오 수신기가 일체화된 실시예이다.This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parate repeater and the radio receiver of the first embodiment are integrated.
라디오 수신부(41)가 음성 데이터 저장부(31)연결되어져 있고, 또한 라디오 수신부(41)는 출력부(37)에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각요소들은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어부(35)에 의해서 제어를 받게된다.The
이와 같은 구성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이루어진 녹음기의 테이프 수록된 음성데이터 및 녹음기와 일체로된 라디오 수신기로부터 발생되는 음성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기능외에도 분리형 반복 재생기(20) 내부에 라디오 수신부(41)를 포함함으로써 분리형 반복 재생기만을 휴대시에도 라디오의 정규방송을 계속적으로 들을 수 있으며, 이들 정규방송도중에 저장하고 싶은 음성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such a configuration is a radio receiver in addition to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functions of the tape recorded voice data of the recorder and the voice data generated from the radio receiver integrated with the recorder in the first embodiment. By including (41), even when carrying only a separate repeater, the regular broadcast of the radio can be continuously heard, and the voice data desired to be stored during these regular broadcasts can be stored.
이하, 제 2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녹음기(10)와 마이크(29)로부터 발생되는 음의 저장과정에 대한 중복설명은 피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storage process of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우선,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의 조작부(36)에는 이전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 삭제키가 설치되어 있어, 이 삭제키가 조작되면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는 지워지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라디오 수신부를 동작시키게 되는 라디오키를 동작하게 되면 이 라디오키의 조작에 의해서 제어부(35)는 라디오 수신부(41)의 수신음을 음성데이터 저장부(31)와 출력부(37)에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라디오 수신부(41)로부터 수신된 수신음은 출력부(37)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됨과 동시에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하게 되고,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의 재생키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에서 라디오 수신부(41)의 수신동작을 중단시키고,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재생부(32)에 송출하게 됨으로써 음성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저장음을 출력부(37)에서 출력하게 된다. First, the
또한 삭제키가 조작되지 않는다면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는 지워지게 않게된다. 이런 상태에서 라디오 수신부를 동작시키게 되는 라디오키를 동작하게 되면 이 라디오키의 조작에 의해서 제어부(35)는 라디오 수신부(41)의 수신음을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는 입력시키지 않고, 출력부(37)에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라디오 수신부(41)로부터 수신된 수신음은 출력부(37)를 통하여 단순히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의 재생키를 조작되는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라디오 수신부(41)의 수신동작을 중단시키고, 음성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재생부(32)에 송출하게 됨으로써 음성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저장음을 출력부(37)에서 출력하게 된다. 만일 이 경우에 재생키를 재동작시키면 역과정으로써 라디오 수신부(41)의 수신음이 출력부(37)에서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delete key is not operated,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voice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형 반복 재생기의 제 3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plit type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저장부(31)과 음성재생부(32)가 음성처리부(51)로 표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voice
전기적 신호의 음성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51)에 입력되고 저장된다. 이때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출력부(53)에 출력됨으로써, 반복적으로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이때 음성처리부(51)는 문자인식부(52)에 연결되어져 있고, 문자인식부(52)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문자출력부(54)에 출력한다. 이때 문자 인식부(52)는 음성처리부(51)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에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게된다. 이와 같이 문자 인식부(52)에서 인식된 문자는 문자출력부(54)에서 출력되게 된다. 제어부(55)에서는 조작부(56)의 조작에 의해서 문자인식부(52)와 음성처리부(51)를 제어하게된다.Voice voice data of the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the
이하, 상기 제 3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문자출력부(54)에 음성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출력을 원하는 경우에는 조작부(56)의 문자출력키를 조작하여 음성처리부(51)에 존재하는 음성데이터를 문자인식부(52)에 출력하고, 문자인식부(52)에서는 음성처리부(51)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근거로 해서 해당 문자를 문자출력부(54)에 출력시킨다.When the character output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is output to the character output unit 54, the character output key of the
만일 데이터 입력이 캡손 형태로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동시에 입력하고 있을 때에는 조작부(56)의 조작과 제어부(55)의 제어에 의해서 음성데이터는 음성처리부(51)에 입력되고, 문자데이터는 문자인식부(52)에 입력되어, 문자출력부(54)에 출력되게 된다.If the text data and the voice data are simultaneously input in the form of capson, the voice data is input to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컴퓨터 외관의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uter exterior for explain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일반적 컴퓨터(60)구성을 그대로 도시하고 있으나, 새로운 구성은 컴퓨터(60)내에 분리형 반복 재생기(20)를 삽입하기 위한 장착홀(67)이 형성되어져 있다. 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computer 60 is shown as it is in FIG. 6, the new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또한 도 7은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에 음성데이터 및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inputting voice data and text data to the
요즘 컴퓨터(60)는 다양한 저장매체 즉, CD-ROM타이틀(77), 하드디스크(78), 플로피 디스크(80)에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여 영상 및 음성정보를 사용자가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가 하면, 모뎀(82)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제공 받고,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 본체(68)내부에는 중앙처리기(71)가 연결되어 있고, 중앙처리기(71)에는 CD-ROM드라이버(76), 하드디스크 드라이버(79) 및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83)가 연결되어져 있어, 이들 구동상태를 제어하게 되고, 이들에 저장된 정보를 RAM(72)에 출력시키고, 이들을 필요에 따라서 모니터(61)나 스피커(미도시) 등의 출력수단에 의해서 외부로 출력시킨다. 또한 중앙처리기(71)에는 특정 소프트 웨어를 저장하고 있는 ROM 이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81)가 연결되어져 있다. 또한 중앙처리기에는 분리형 반복재생기(74)에 음성 또는 문자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한 재생기 드라이버(75)가 연결되어져 있다. 이때 재생기 드라이버(75)는 단순한 형태로 RAM에 저장된 정보를 중앙처리기서 읽어 들여와 분리형 반복 재생기(74)의 데이터 저장부에 입력시키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단순한 타입에서부터, 입력장치(81)의 특정코드 입력에 의해서 중앙처리기(71)로부터의 제어명령에 의해서 충전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다양한 타입이 존재하게 된다.Nowadays, the computer 60 is configured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in various storage media, that is, CD-
분리형 반복 재생기(74)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 2 및 3의 실시예에서 도시되고, 설명되었던 것과 동일 구성을 갖는다.The configuration of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리형 반복 재생기(74)와 이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저장 매체를 CD-ROM 타이틀을 예로들면, 이 CD-ROM 타이틀에는 영상정보와 음성정보가 수록될 수 있으며, 특히 영상정보에는 언어학습에 도움이 되는 문자정보가 함께 수록되어 있다.Using a CD-ROM title as a storage medium, the CD-ROM title can contain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image information includes character information to aid language learning.
도 8은 영상정보와 음성정보의 데이터가 기록된 한 예를 도시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의 형태이다.8 is a form of a lookup table for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data of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s recorded.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국한하였다.In order to simplify the description, the image data is limited to text data.
각각의 음성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앞에는 각각의 번호를 지정하는 헤더가 설정되어 있어, 룩업테이블을 형성하고 있어, 문자데이터들과 이들의 해당 헤더를 중앙처리기(71)의 제어에 의해서 모니터(61)상에 표시할 수 있거나, 헤더만을 별도로 모니터(61)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문자헤더들(1', 2', 3'.........n')을 전체 선택하거나, 그들 중의 하나만을 선택하게 된다면, 이들의 해당 음성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는 중앙처리기(71)의 제어명령에 의해서 재생기 드라이버(75)를 통해서 분리형 반복 재생기에 입력되게 된다. 만일 문자를 음성정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이 이 컴퓨터내에 준비되어 있다면 음성 데이터와 문자데이터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그대로 문자데이터로부터 음성데이터를 분리형 반복재생기(74)로 입력할 수 있다.Headers for specifying respective numbers are set in front of each voice data and text data to form a lookup table, and the text data and their corresponding headers are displayed on the
이때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실시예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반복 재생기는 문자출력부(53)과 음성출력부(53)를 동시갖는 구성이라야 문자출력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 문자데이터에 따른 음성데이터만을 단순히 음성처리부(51)에 입력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 as shown in Embodiment 4, the separate type repeater may have a character output unit 53 and a voice output unit 53 at the same time. In the configuration, only the voice data according to the text data can be simply input to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for illustrat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분리형 반복재생기(74)에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동시에 입력하거나, 음성데이터만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면서 동시에 독자적으로 어학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학습기이다. 9 is a device for simultaneously inputting text data and voice data to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기(100)는 그 일면에 다수의 분리형 반복 재생기(74)를 장착하여 음성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반복재생기 삽입슬롯(102, 103, 104, 105, 106)이 형성되어 있으며, 학습기(10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컴퓨터 본체의 구성을 동일하게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9, the
도 10은 학습기(100)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중앙처리기(111)에는 일시적 기억장소인 램(112)과, 구동 프로그램등이 저장되어 있는 롬(115)과, 음성출력수단인 스피커(101)와, 문자 등의 영상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는 영상패널(108)이 연결되어지며,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는 CD-ROM(110)이나 하드 디스크 등을 구동시키는 CD-ROM 드라이버(113)과,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14)가 연결되어지며, 조작부(107)를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서, 그 신호는 중앙처리기(111)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각각의 제어대상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분리형 반복 재생기(74)가 삽입되어 중앙처리기(111)의 제어에 의해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상기 분리형 반복 재생기(74)에 입력하기 위한 재생기 드라이버(102'),(103'), (104'),(105'),(106')가 동작되게 된다. The
또한 이때 분리형 반복 재생기(7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음성데이터만을 재생할 수 있는 타입,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수신부를 갖고 있으며 음성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타입,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며, 이 음성데이터를 문자변환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타입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을 조합한 다양한 형태의 기술변형이 가능하다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상기 구성 및 동작을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녹음기, 라디오, 컴퓨터로부터 분리형 반복 재생기에 일정분량의 음성 및 영상정보를 저장하거나, 이들중 하나의 정보만을 저장시켜 반복 재생시키도록 함으로써, 휴대하기에 간편한 기기를 염가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t is convenient to carry by storing a certain amount of audio and video information in a separate repeater from a recorder, a radio, and a computer, or by repeatedly storing only one of these information. The device can be provided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녹음기와 분리형 반복 재생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order and a separate repeat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리형 반복 재생기의 제 1실시예의 저면도이다.Fig. 2 is a bottom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split type repeat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리형 반복 재생기의 제 1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detachable repeat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for illustrating anothe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형 반복 재생기의 제 3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plit type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컴퓨터 외관의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uter exterior for explain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분리형 반복 재생기(20)에 음성데이터 및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inputting voice data and text data to the
도 8은 영상정보와 음성정보의 데이터가 기록된 한 예를 도시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의 형태이다.8 is a form of a lookup table for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data of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s recorded.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for illustrat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학습기(100)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녹음기 20 : 분리형 반복 재생기10: recorder 20: detachable repeater
26 : 접촉단자 31 : 음성데이터의 저장부26: contact terminal 31: storage of voice data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2814A KR100356128B1 (en) | 1997-04-08 | 1997-04-08 | Repetitive playback system for entering data into separate repeaters and play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2814A KR100356128B1 (en) | 1997-04-08 | 1997-04-08 | Repetitive playback system for entering data into separate repeaters and play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6216A KR19980076216A (en) | 1998-11-16 |
KR100356128B1 true KR100356128B1 (en) | 2006-03-27 |
Family
ID=3717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128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6128B1 (en) | 1997-04-08 | 1997-04-08 | Repetitive playback system for entering data into separate repeaters and play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56128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6008006A1 (en) * | 1994-09-08 | 1996-03-14 | Voice It Worldwide, Inc. | Credit card size audio record and playback device |
US5541359A (en) * | 1993-02-26 | 1996-07-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dio signal record format applicable to memory chips and the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
1997
- 1997-04-08 KR KR1019970012814A patent/KR1003561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41359A (en) * | 1993-02-26 | 1996-07-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dio signal record format applicable to memory chips and the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WO1996008006A1 (en) * | 1994-09-08 | 1996-03-14 | Voice It Worldwide, Inc. | Credit card size audio record and playback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6216A (en) | 1998-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88961B1 (en) | Recording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 |
KR100719618B1 (en) | A data reproducing apparatus | |
US7072569B2 (en) | Portable entertainment device | |
US6882492B1 (en) | Cassette type audio data or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 |
KR100356128B1 (en) | Repetitive playback system for entering data into separate repeaters and players | |
KR100403539B1 (en) | portabl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there of | |
CN1103097C (en) | Apparatus for self-recording compact disk reproducing signal in video casette recorder/compact disk player complex system | |
KR960012402B1 (en) | Recording medium for language learning, language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JP3416581B2 (en) | Data reproducing circuit and audio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080058042A (en) | Music player and method of playing the same | |
KR100634154B1 (en) | Computer system equipped with voice recorder and interface device | |
US20060245741A1 (en) | Digital enterainment recorder | |
KR100675172B1 (en) | How to set audio file repeat play s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910005487B1 (en) | Sound memory device | |
KR100308246B1 (en) | Separable cassettee type pack for reproducing digital audio data and system for reproducing the data | |
JP2005099107A (en) | Data playback device | |
JP2000029998A (en) | Memory car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 |
KR100424761B1 (en) | combination system for controlling independently providing power about internal each devices | |
JP3288403B2 (en) | Digital information transfer device and digital information transfer method | |
JPS61103183A (en) | Audiovisual educational apparatus | |
KR910005486B1 (en) | Sound and voice memory device | |
KR200216536Y1 (en) | Portable Data Processing Device for Portable CD-I Player | |
JP3088366U (en) | Karaoke equipment | |
KR20050091524A (en) | Method for recognizing memory card of a combo system | |
JP2000235397A (en) | Karaoke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9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709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0928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