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945B1 - Re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and rechargeable power supplies with internal charge regulators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charging current - Google Patents
Re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and rechargeable power supplies with internal charge regulators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charging curr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21945B1 KR100321945B1 KR1019950700860A KR19950700860A KR100321945B1 KR 100321945 B1 KR100321945 B1 KR 100321945B1 KR 1019950700860 A KR1019950700860 A KR 1019950700860A KR 19950700860 A KR19950700860 A KR 19950700860A KR 100321945 B1 KR100321945 B1 KR 1003219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power
- electronic device
- rechargeable
- power sou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Transceiver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무선전화기와 같은 전자 장치(10)은 가변 레벨 전원(16)에 접속가능하다. 전자 장치(10)의 회로는 가변 레벨 전원(16)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전원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전자 장치(10)은 전자 장치에 수반된 재충전가능 배터리 팩을 갖는 무선전화기를 포함하고, 가변 레벨 전원(16)은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가 동작하지 않을 때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70)을 재충전하기 위해 동작된다.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가 동작될 때,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70)은 재충전되지 않고, 가변 레벨 전원(16)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전력 레벨은 무선전화기의 송수신기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레벨로 된다.The electronic device 10 such as a cordless telephone is connectable to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16. The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10 generates a power supply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power level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16. The electronic device 10 includes a radiotelephone having a rechargeable battery pack accompany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16 recharges the battery cell 70 of the battery pack when the transmitter circuit of the radiotelephone is not operating. To operate. When the transmitter circuit of the radiotelephone is operated, the battery cell 70 of the battery pack is not recharged, and the power level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16 is a level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nsceiver circuit of the radiotelephone. It becomes
Description
발명의 배경Backgroun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재충전가능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전자장치, 특히,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자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원을 재충전하기 위해 동작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외부 전원에 접속가능한 전자 장치 및 재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powered by a rechargeable power source, in particular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at can provide power to power th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e to recharge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recharging method.
많은 전자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설계로 구성된다. 어떤 경우에,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전원의 사용은 전자 장치가 영구적인, 또는 다른 고정된 전원에 가까이 위치되지 않거나 위치될 수 없을 때 필수적이다. 다른 경우에, 배터리 전원은 영구적인, 또는 다른 고정된 전원에 전자 장치를 상호접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 케이블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의 휴대성(port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 배터리 전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은 전자 장치에 직접 휴대되거나, 전자 장치 내부에 실장된다.Many electronic devices consist of designs that can be powered by a battery consisting of one or more battery cells. In some cases, the use of battery power to power the electronic device is essential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or may not be located near a permanent or other fixed power source. In other cases, battery power is used to power the electronic device to improve port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re is no power cable needed to inter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to a permanent or other fixed power source. . Typically, one or more battery cells comprising a battery power source used to power an electronic device are either carried directly in the electronic device or mount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그러나, 배터리 전원이 유한한 양의 에너지만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전원을 갖고 있는 전자 장치의 전력 공급량은 배터리 전원의 에너지 저장 용량으로제한된다. 배터리 전원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전력 공급은 배터리 전원의 저장된 에너지의 방전을 일으킨다. 배터리 전원의 저장된 에너지가 중심 레벨 이상으로 방전될 때, 전자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전원의 교체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전원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과 같은 배터리 전원의 에너지 저장 용량 중가는 전원의 크기 (및 무게)를 증가시킨다. 배터리 전원의 에너지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는 이러한 방식은 배터리 전원이 전자 장치에 휴대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휴대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배터리 전원 설계시, 이러한 배터리 전원을 휴대하는 전자 장치의 증가된 에너지 저장용량 및 감소된 휴대성에 대한 절충이 이루어진다.However, since battery power can only store a finite amount of energy, the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power is limited to the energy storage capacity of the battery power. Power supply of the electronic device by battery power causes discharge of stored energy of the battery power. When the stored energy of the battery power is discharged above the center level, replacement of the battery power is essential to keep the electronic device continuously operating. The increase in the energy storage capacity of a battery power source,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battery cells containing such a power source, increases the size (and weight) of the power source. This way of increasing the energy storage capacity of the battery power reduces the port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battery power is carried in the electronic device. Thus, in battery power design, tradeoffs are made for the increased energy storage capacity and reduced portability of electronic devices carrying such battery power.
휴대용 무선전화기는 전형적으로 배터리 전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이러한 전자 장치의 하나이다. 배터리 전원은 전형적으로 무선전화기에 직접 휴대되고, 무선전화기의 휴대성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는 크기 및 무게를 갖는다. 무선전화기는 변조된 신호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동작하는 송신기 회로 및 수신기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전화기의 전형적인 동작에서, 수신기 회로부는 무선전화기로의 인입 호출을 표시하는 신호의 수신대기 동안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리고나서,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는 또한 무선전화기로부터의 변조된 신호의 송신을 허용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는다.Portable cordless phones are typically one such electronic device powered by battery power. Battery power is typically carried directly to a cordless phone and has a size and weight that do not unduly limit the portability of the cordless phone. The radiotelephone includes radio transceiver circuitry comprising transmitter circuitry and receiver circuitry operative to transmit and receive modulated signals, respectively. In typical operation of a radiotelephone, the receiver circuitry is continuously powered during the reception of a signal indicative of an incoming call to the radiotelephone. Then, the transmitter circuitry of the radiotelephone is also powered to allow transmission of the modulated signal from the radiotelephone.
많은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전화기는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고, 동시에 무선전화기로 송신된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무선전화기에 의해 송신된 변조된 신호 및 무선전화기로 송신된 변조된 신호는 독립 주파수 채널에 의해 송신된다). 다른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전화기는 비등시 시간 주기, 및 무선전화기와의 2방식 통신(2-way communication) 동안 변조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수신기 회로 및 송신기 회로부는 비동기 시간 주기 동안 전력을 공급받는다.Cordless telephones operating in many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are configured to transmit modulated signals and to simultaneously receive modulated signals transmitted to the cordless telephones (modulated signals transmitted by cordless telephones and modulated signals transmitted to cordless telephones). Is transmitted by an independent frequency channel). Radiotelephones operating in other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ar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periods of boiling, and modulated signals during 2-way communication with the radiotelephone, with receiver circuitry and transmitter circuitry asynchronous time periods. Powered on.
이후, 무선전화기의 수신기 회로부가 인입 호출을 나타내는 신호의 송신을 기다리는 동안 전력을 공급받는 동안의 시간은 무선전화기가 "대기(stanfby)" 모드에 있는 시간으로 지칭한다 (물론, 무선전화기의 사용자는 또한 종종 사용자가 전화 호출을 초기화시키고, 이후에 실행할 때만 무선전화기에 동작 전력을 제공하여 다른 시간 동안은 무선전화기에 동작 전력이 제공되지 않고,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전력이 무선전화기에 공급되지 않게 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무선전화기의 사용자는 무선전화기에 송신된 인입 호출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 모드에서 무선전화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고, 오히려 사용자가 전화 호출을 초기화시키는 동안에만 무선전화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time during which the receiver circuitry of the radiotelephone is powered up while waiting for the transmission of a signal indicating an incoming call is referred to as the time that the radiotelephone is in "standby" mode (of course, the user of the radiotelephone In addition, the user often initiates a telephone call and provides the operating power to the radiotelephone only when it is subsequently run so that the radiotelephone is not powered for any other time and no power is supplied to the radiotelephone to receive the transmitted signal. In other words, the user of the cordless phone may choose not to operate the cordless phone in "standby" mode to receive an incoming call sent to the cordless phone, rather the user may initiate a phone call. Can only power the cordless phone during the process)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은 무선전화기의 수신기 회로부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보다 크다. 그리고, 이상적인 장치보다 실제적인 장치의 효율이 작으므로, 무선전화기에 인가된 에너지의 일부분은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 무선전화기의 열 상승(heat build-up)을 가져온다. 더 많은 에너지가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하므로, 수신기 회로부만이 동작가능할 때보다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의 동작 동안의 열 발생량이 더 크다.In general, the amount of energy required to operate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of the radiotelephon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energy required to operate the receiver circuit portion of the radiotelephone. And since the efficiency of the actual device is less than that of an ideal device, a portion of the energy applied to the radiotelephone is converted into heat energy, resulting in a heat build-up of the radiotelephone. Since more energy is needed to operate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of the radiotelephon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of the radiotelephone is greater than when only the receiver circuit portion is operable.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시판품들 중 소정의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은 무선전화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설계된 구성으로 된다.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의 사용은 재충전가능 배터리들이 전원에 의해 발생된 충전 전류를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에 인가함으로써 재충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재충전시,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이 재사용될 수 있다. 몇몇 구성의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은 재충전되어, 5백 시간 이상까지 재사용될 수 있다.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commercially available. Certain of these commercially available rechargeable battery power supplies are designed to be used to power cordless telephones. The use of rechargeable battery pow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rechargeable batteries can be recharged by applying the charging current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to the rechargeable battery power. Upon re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power can be reused. Some configurations of rechargeable battery power can be recharged and reused for up to 500 hours or more.
상술한 바대로, 배터리 전원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다. 이 셀들은 직렬 접속(또는 다른 접속)으로 접속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공통 하우징(common housing)내에 실장된다. 배터리 셀들과 함께, 하우징은 종종 배터리 팩(battery pack)으로 불리는 배터리 전원을 포함한다. 간단히 하기 위해, 이러한 구성은 또한 일반적인 용어 "배터리"로 일반적으로 불린다. 본 발명은 동시에 이러한 간단화된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된다.As mentioned above, a battery power source typically consists of one or more battery cells. These cells can be connected in series connection (or other connection) and are typically mounted in a common housing. Together with the battery cells, the housing contains a battery power source, often called a battery pack. For simplicity, this configuration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by the general term "battery". The invention is simultaneously described using these simplified terms.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셀들은 여러 다양한 구성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재충전가능 배터리 셀은 리듐(Li) 물질, 니켈-카드뮴(Ni-Cd)물질, 또는 수산화 니켈 금속(NiMHO2)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상이한 물질들로 구성된 배터리 셀들은 배터리의 충전 동안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Rechargeable battery powered battery cells are formed from a variety of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rechargeable battery cell may be composed of a lithium (Li) material, a nickel-cadmium (Ni-Cd) material, or a nickel metal hydroxide (NiMHO 2 ) material. Battery cells composed of these different materials exhibit different properties during charging of the battery.
배터리 충전 장치는 또한 재충전가능 배터리들의 재충전에 유용하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기는 전형적으로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이 동작 전력을 수용하기 위해 충전 장치에 적절하게 접속될 때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을 재충전하기 위한 동작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원으로 구성된다.The battery charging device is also useful for recharging rechargeable batteries. A battery charger including such a battery charging device typically consists of a power source for providing operating power for re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power when the rechargeable battery power is properly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to receive the operating power. .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에 인가된 동작 전력의 에너지는 화학적 에너지로 변환되어, 배터리 전원의 재충전가능 배터리 셀에 의해 저장된다. 경과된 시간 주기에 걸쳐 배터리 셀에 동작 전력을 인가하는 것은 재충전 배터리 셀이 완전히 충전되게 한다. 그러나, 또한 실제 장치가 이상적인 장치보다 효율이 적기 때문에, 배터리 셀에 인가된 에너지의 일정 부분은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 배터리 셀의 열 상승을 가져온다.The energy of the operating power appli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power is converted into chemical energy and stored by the rechargeable battery cell of the battery power. A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battery cells over an elapsed time period allows the rechargeable battery cells to be fully charged. However, because the actual device is also less efficient than the ideal device, a portion of the energy applied to the battery cell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resulting in a heat rise of the battery cell.
소정의 배터리 충전 장치는 전자 장치 및 배터리 전원이 모두 동작 전력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 장치는 배터리 전원의 재충전가능 배터리 셀을 재충전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전자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동작 전력을 더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Certain battery charging devices are of a type such that both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attery power source can receive operating power. Such a battery charging device is provided not only for recharging a battery-powered rechargeable battery cell but also for providing further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예를 들어, 재충전가능 배터리 팩과 함께 무선전화기가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을 재충전할 수 있고, 또한 무선전화기의 회로 동작을 허용하는 동작 전력을 수용하는 구성형의 배터리 충전 장치가 유용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장치에서는, 무선전화기의 회로의 동작의 부산물로서 열이 발생된다. 그리고,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셀의 재충전 과정의 부산물로서 또한 열이 발생된다.For example, a battery charging device of the type that is capable of recharging a battery cell of a battery pack together with a rechargeable battery pack, and also accepts operating power that allows circuit operation of the cordless phone is useful.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actual apparatus, heat is generated as a by-product of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of the radiotelephone. And heat is also generated as a by-product of the recharging process of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ower sourc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다 많은 양의 에너지가 무선전화기의 회로의 송신기 회로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요구된다. 무선전화기에 인가된 동작 전류의 일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고, 열 에너지가 또한 배터리 팩의 재충전가능 배터리 셀의 재충전 동안 발생되기 때문에, 동작 전력이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을 재충전하고 전자 장치, 여기서는 무선전화기의 회로의 특정 부분을 동작시키기 위해 제공될 때, 그리고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가 동작가능한 시간 동안, 무선전화기의 과도한 양의 열 상승이 발생될 수 있다.As also mentioned above, a greater amount of energy is required to operate the transmitter circuitry of the circuit of the radiotelephone. Since part of the operating current applied to the radiotelephone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nd the thermal energy is also generated during recharging of the rechargeable battery cell of the battery pack, the operating power recharges the battery cell of the battery pack and the electronic device, here wirelessly. When provided for operating a specific portion of the circuit of the telephone, and during the time that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of the cordless telephone is operable, an excessive amount of heat rise of the cordless telephone may occur.
그러므로, 동작 전력이 재충전가능 전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제공될 수 있으나,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 인가의 결과로서 과도한 열 상승이 나타나지 않을 필요가 있다.Therefore, although the operating power can be provided to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it is necessary that no excessive heat rise appear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관련된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that overcome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rior art.
본 발명은 또한 재충전가능 전원을 포함하는 우수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전자 장치는 재충전가능 전원을 재충전하고, 또한 전자 장치의 전자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동작 전력을 제공하는 가변 레벨의 전원에 접속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xcellent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rechargeable power source,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variable level that provides operating power for recharging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and also providing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circuitry of the electronic device. It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본 발명은 또한 후술하는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할 수 있는 장점 및 특징을 포함한다.The invention also includes advantages and features that may b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가변 레벨 전원에 해재가능하게 접속가능한 전자장치 및 재충전 방법이 기술된다. 전자 장치는 가변 레벨 전원에 의해 발생된 적어도 2개의 전력 레벨에서 하나의 동작 전력을 수용하기 위해 동작가능하다. 전자 장치는 가변 레벨 전원과 해제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접속 소자들을 포함한다. 접속 소자들은 최소한 제1 접속 소자 및 제2 접속 소자를 포함하는데, 제 1 접속 소자는 동작 전력을 수용하기 위한 가변 레벨 전원의 접속을 허용한다. 재충전가능 전원은 가변 레벨 전원이 접속 소자의 제1 접속 소자에 접속될 때 응답하는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2개의 전력 레벨 중 하나인 제1 전력 레벨의 동작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접속된다. 전자 회로는 제1 접속 소자에서 제공된 가변 레벨 전원에 의해 발생된 동작 전력 또는 재충전가능 전원에 의해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수용하기 위해 결합된다. 제어 회로는 전자 회로에 결합되고, 접속 소자의 제2 접속 소자에 인가되기 위한 전원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동작되는데, 전원 제어 신호는 가변 레벨 전원의 동작 전력이 적어도 2개의 전력 레벨 중 제1 전력 레벨로 되게 하는 제1 신호 레벨, 또는 가변 전력 전원이 적어도 2개의 전력 레벨 중 제2 전력 레벨이 되게 하는 제2 신호 레벨이다.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and a recharging method releasably connectable to a variable level power source are described. The electronic device is operable to receive one operating power at at least two power levels generated by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connection elements that can be releasably connected with a variable level power source. The connection elements include at least a first connection element and a second connection element, the first connection element permitting the connection of a variable level power supply to receive operating power.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receive a charging signal that responds when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element of the connection element and to generate an operating power of a first power level that is one of at least two power levels. The electronic circuit is coupled to receive the power generated by the operating power generated by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element or the energy stored by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The control circuit is coupled to an electronic circuit and is operated to generate a power supply control signal for being applied to a second connection element of the connection element, wherein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is such that the operating power of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is the first power of at least two power levels. A first signal level that results in a level, or a second signal level that causes the variable power supply to be a second power level of at least two power levels.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가변 레벨 전원에 접속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variable level power supply.
제2도는 제1도의 도면과 유사하나, 가변 레벨 전원에 접속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블럭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similar to that of FIG.
제3도는 제1도의 전자 장치의 일부 및 제2도의 무선 송수신기를 형성하는 충전 조절기 및 부분적인 개략적인 회로도인 부분적인 블럭도이다.3 is a partial block diagram that is a partial schematic circuit diagram and a charge regulator that forms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of FIG. 1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of FIG.
제4도는 제3도의 블럭도에 도시된 무선 송수신기와 유사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셀룰라 무선전화기의 개략적인 외형도이다.4 is a schematic outline view of a cellular radioteleph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to the radio transceiver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제5도는 제2도의 무선 송수신기 및 제1도의 전자 장치를 형성하는 제어 회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알고리듬의 방법 단계들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method steps of an algorithm executable by the wireless transceiver of FIG. 2 and the control circuitry forming the electronic device of FIG.
제6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방법의 단계들을 설명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steps of the method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 장치는 종종 재충전가능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재충전가능 전원의 저장된 에너지가 고갈될 때, 배터리 충전 장치가 재충전가능 전원의 재충전가능 배터리 셀을 재충전하기 위해 사용된다.As mentioned abov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often powered by rechargeable power sources. When the stored energy of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is depleted, a battery charging device is used to re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cell of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배터리 충전 장치의 몇몇 구성은 휴대용 전자 장치가 동작 전력이 재충전가능 전원의 재충전가능 배터리 셀 및 전자 장치의 회로에 모두 제공되도록 재충전 가능 전원과 함께 배치될 수 있는 것이 유용하다.Some configurations of the battery charging device are useful whe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disposed with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such that operating power is provided to both the rechargeable battery cell of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and the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그러나, 배터리 충전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에 전달되는 전력이 완전히 효율 적이지 못하므로, 배터리 충전 장치에 의해 발생된 동작 전력의 에너지의 일부는 에너지의 소모(dissipation) 동안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 전자 장치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베터리 충전 장치에 의해 발생된 동작 전력이 재충전가능 전원의 배터리 셀의 재충전과 전자 장치의 회로의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면, 열 에너지가 2개의 프로세스의 동작 동안 발생된다.However, since the power delivered between the battery charging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completely efficient, some of the energy of the operating power generated by the battery charging device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during the dissipation of the energy, thereby Raise the temperature. If the operating power generated by the battery charging device is used for recharging the battery cell of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and for operating the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thermal energy i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wo processes.
전자 장치가 셀룰라 통신 시스템내에서 동작하는 무선전화기를 포함하는 특정 경우, 배터리 충전 장치는 무선전화기에 휴대된 재충전가능 전원의 재충전가능 배터리 셀을 재충전하기 위해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 및 수신기 회로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동작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certain cases where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radiotelephone that operates with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the battery charging device may operate the transmitter circuitry and receiver circuitry of the radiotelephone to recharge a rechargeable battery cell of a rechargeable power source carried in the radiotelephone.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n operating power that allows.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화기의 수신기 회로부를 동작시키는 것보다 송신기 회로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이 더 크다. 따라서, 재충전가능 전원을 갖는 무선전화기(또는 다른 무선 송수신기)는 재충전가능 전원의 배터리 셀을 재충전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무선전화기가 동시에 동작되면, 무선전화기가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만 동작되는 시간 동안보다 무선 전화가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동작되는 시간에 동안 더 많은 양의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무선전화기는 종종 인입 전화 호출을 표시하는 변조된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동안 무선전화기의 수신기 회로부만이 동작하는 "대기" 모드에서 동작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2방식 통신이 무선전화기와 원격 위치 사이에 실행되는 시간 동안에만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가 동작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무선전화기의 수신기 회로만이 동작되는 시간 동안보다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가 동작되는 동안에 더 많은 양의 전력이 필요하게 되고,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가 동작되는 동안 더 많은 양의 열 에너지가 생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to operate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is greater than that of operating the receiver circuit portion of the radiotelephone. Thus, a cordless phone (or other radio transceiver) with a rechargeable power source is arranged to recharge the battery cells of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and, if the cordless phone is operated simultaneously, the time when the cordless phone is only operated to receive a modulated signal. More power is needed during the time that the wireless telephone is operated to transmit a modulated signal than during (the description so far is that a wireless telephone often waits for reception of a modulated signal indicating an incoming telephone cal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ceiver circuitry of the radiotelephone is only operated in the "standby" mode in which it operates (the transmitter circuitry of the radiotelephone must be operated only during the time that the two-way communication is carried out between the radiotelephone and the remote location). Therefore, a larger amount of power is required while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of the radio telephone is operated than during the time when only the receiver circuit of the radio telephone is operated, and a larger amount of heat energy is generated while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of the radio telephone is operated. do.
재충전가능 전원의 배터리 셀의 재충전을 허용하고, 또한 전자 장치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동작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는 이러한 재충전 및 이러한 동작을 허용하는 전력 레벨에서 전력을 발생하여야 한다. 단일 전력 레벨만의 충전 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는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셀의 동시 재충전을 허용하는 전력 레벨로 되고, 또한 전자 장치의 전자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해야 한다. 전자 장치가 동작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배터리 충전 장치는 전자 장치의 회로가 동작될 때 발생된 충전 신호의 전력 레벨과동일한 전력 레벨의 충전 신호를 발생한다. 전자 장치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은 소정의 유용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없고, 대신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A battery charging device that operates to allow recharging of a battery cell of a rechargeable power source and also to power circuitry of an electronic device must generate power at such a recharge and at a power level that allows this operation. A battery charging device that operates to generate a charging signal of only a single power level is at a power level that allows simultaneous recharging of battery cells of a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and must also generate a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If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operated, such a battery charging device generates a charging signal of the same power level as the power level of the charging signal generated when the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is operated. The power used to power the circuitry of the electronic device cannot be used for any useful purpose, but is instead converted to thermal energy.
전자 장치가 무선전화기를 포함하는 특별한 경우, 무선전화기에 수반된 재충전가능 전원의 배터리 셀의 충전을 허용하고, 무선전화기의 송수신기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동작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 충전 장치가 단일 전력 레벨만의 충전 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될 때, 전력 레벨은 재충전가능 전원의 배터리 셀의 재충전과 무선전화기의 수신기 회로부 및 송신기 회로부의 동작을 동시에 허용할 만큼 충분히 커야 한다.In a special cas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rdless phone, a battery charg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hat allows charging of the battery cells of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accompanying the cordless phone and to power the transceiver circuit of the cordless phone. However, when such a battery charging device is operated to generate a charge signal of only a single power level, the power level must be large enough to allow simultaneous recharging of the battery cell of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and operation of the receiver circuit portion and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of the radiotelephone. do.
무선전화기의 수신기 회로부가 종종 동작의 "대기" 모드에 있게 되도록 전력이 공급되면, 송신기 회로부는 2방식 통신이 원격 사이트(remote site)로 실행되는 시간 동안만 전력이 공급된다. 많은 경우,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가 2방식 통신이 실행되는 시간 동안만 동작되므로, 재충전가능 전원과 함께 무선전화기는 단일 전력 레벨만의 층전 신호론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에 의해 발생된 충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배치되면, 무선전화기는 전력의 초과량이 열 에너지로 변환될 때 과열(overheating)에 더 민감하게 된다.If the receiver circuitry of the radiotelephone is often powered to be in the "standby" mode of operation, the transmitter circuitry is only powered for the time that the two-way communication is being executed to the remote site. In many cases, since the transmitter circuitry of the cordless phone is operated only during the time that two-way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 charging signal generated by the battery charging device which operates with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to generate the layered signaling of only a single power level is generated. When deployed to receive a radiotelephone, the radiotelephone becomes more sensitive to overheating when the excess of power is converted to thermal energy.
재충전가능 전원이 수반된 전자 장치의 전력 요구량에 응답하여 가변될 수 있는 전력 레벨의 충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동작되는 배터리 충전 장치가 유리 할 것이다.It would be advantageous to have a battery charging device that is operated to generate a charge signal of a power level that may vary in response to the power demand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mpanied by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무선전화기와 같은 무선 송수신기의 특별한 예에서, 무선전화기의 송수신기회로부가 동작할 때 송수신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동작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가 특히 유리할 것이다.In a particular example of a wireless transceiver, such as a cordless telephone, a battery charging device that operates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transceiver when the transceiver circuit portion of the cordless telephone is in operation will be particularly advantageous.
제1도의 블럭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전자 장치가 가변 레벨 전원(16)과 해제가능하게 접속되어 배치된다. 가변 레벨 전원(16)은, 여기서는 대시로 나타낸 직사각형에 의해 밀폐된 플러그 단자로 표시된 플러그 커넥터로 도시된 접속 소자(34 및 40)에서 라인(22 및 28)에 의해 전자 장치(10)에 각각 접속된다. 가변 레벨 전원(16)은 (플러그 커넥터(36)과 접속됨으로써) 종래의 가정용 전원 또는 다른 적절한 전원에 차례로 접속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block diagram of FIG. 1, an electronic devic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ab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16.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16 is her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by lines 22 and 28, respectively, in connection elements 34 and 40 shown as plug connectors shown as plug terminals enclosed by dashed rectangles. do.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16 may in turn be connected to a conventional household power supply or other suitable power supply (by being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36).
가변 레벨 전원(16)은 적어도 2개의 독립 전력 레벨 중의 하나로 라인(22)상의 충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동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16)은 최대 충전 레벨과 최소 충전 레벨 사이의 많은 레벨 중 하나의 레벨로 라인(22)상의 충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동작가능하다.)Variable level power supply 16 is operated to generate a charge signal on line 22 at one of at least two independent power level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source 16 is operable to generate a charge signal on line 22 at one of many levels between the maximum charge level and the minimum charge level.)
전자 장치(10)의 라인(46)은 라인(22)상의 가변 전원(16)에 의해 발생된 충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다. 차례로, 라인(46)은 전원(16)이 이곳에 동작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라인(22)에 의해 접속 소자(34)에 접속될 때 이곳에 동작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자 장치(10)의 전자 회로(52)에 결합된다.Line 46 of electronic device 10 is connected to receive a charging signal generated by variable power supply 16 on line 22. In turn, line 46 is the electronics of electronic device 10 to provide operating power there when power source 16 is connected to connection element 34 by line 22 to provide operating power there. Coupled to circuit 52.
라인(46)은 또한 라인(46)상에 인가된 충전 신호의 값을 조절하고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70)에 결합되는 라인(64)상에 조절된 충전 신호를 발생하는 충전조절기(58)에 결합된다. 전원(70)은 하나 이상의 재충전가능 배터리 셀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속을 통하여, 라인(22)상에서 전원(16)에 의해 발생된 충전 신호는 재충전가능 배터리 셀을 재충전하기 위해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70)에 인가된다.Line 46 also controls charge controller 58 which adjusts the value of the charge signal applied on line 46 and generates a regulated charge signal on line 64 coupled to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70. Combined. The power supply 70 consists of one or more rechargeable battery cells. Through this connection, the charge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16 on the line 22 is appli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70 to re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cell.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70)의 배터리 셀은 전원(16)에 의해 발생되어 충전조절기(58)에 의해 조절된 충전 신호의 에너지를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셀내에 저장되는 화학 에너지로 변환한다.The battery cell of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70 converts the energy of the charge signal generated by power source 16 and regulated by charge controller 58 into chemical energy stored within the battery cell of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배터리 전원(70)은 라인(76)에 의해 전자 회로(52)에 결합된다. 전원(16)이 충전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전자 장치(10)에 접속되지 않으면, 배터리 전원(70)의 저장된 에너지는 전력 회로(52)가 전자 장치(10)를 동작시키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배터리 전원(70)의 저장된 에너지로 회로(52)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배터리 전원의 저장된 에너지를 방전한다. 배터리 전원(70)의 저장된 에너지가 특정 레벨 이하로 소모되면,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셀은 배터리 셀을 재충전하기 위해 배터리 전원에 충전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재충전되어야 한다.Battery power supply 70 is coupled to electronic circuit 52 by line 76. If the power source 16 is no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to apply a charging signal, the stored energy of the battery power source 70 is used for the power circuit 52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10.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powering the circuit 52 with the stored energy of the battery power supply 70 discharges the stored energy of the battery power supply. If the stored energy of the battery power supply 70 is consumed below a certain level,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ower supply must be recharged by applying a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power to recharge the battery cells.
제어 회로(82)는 전자 장치(10)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어 회로(82)는 또한 라인(88)에 의해 전자 회로(52)에 접속되고, 라인(94)에 의해 충전 조절기(58)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82)는 또한 라인(100)에 의해 접속 소자(40)을 접속하기 위해 결합되고, 이에 의해 차례로 제어 회로(82)가 가변 레벨 전원(16)에 접속되는 라인(28)에 접속되게 한다. 또한, 제어 회로(82)는 또한 라인(106)에 의해 재충전가능 전원(70)에 양호하게 결합된다.The control circuit 82 forms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control circuit 82 is also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ircuit 52 by line 88 and to the charge regulator 58 by line 94. The control circuit 82 is also coupled to connect the connection element 40 by line 100, whereby the control circuit 82 is in turn connected to the line 28 which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16. do. In addition, the control circuit 82 is also well coupled to the rechargeable power supply 70 by line 106.
전자 장치(10)은 라인(118)에 의해 전자 회로(52)에 결합되는 입력 소자(112)를 더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소자(124)는 또한 라인(128)에 의해 전자 회로(52)에 결합된다. 전자장치(10)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입력 소자(11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오프/온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과 같이) 입력 소자(112)의 적절한 작동에 의해 장치(10)을 동작시킨다. 전자 회로(52)부는 접속 소자(34)에 의해 장치(10)에, 또는 다르게는 배터리 전원(70)에 접속될 때 전원(16)에 의해 발생되는 라인(46)상에서 접속 동작 전력을 수용하기 위해 입력 접속 소자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전자 회로(52)가 동작될 때, 이러한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는 라인(88)에 의해 제어 회로(82)에 공급된다.Electronic device 10 further includes input element 112 coupled to electronic circuit 52 by line 118. Similarly, display element 124, for example consisting of a light emitting diode, is also coupled to electronic circuit 52 by line 128. The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operate the device 10 by proper operation of the input element 112 (eg, by operating an off / on actuation switch that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input element 112). Operate. The electronic circuit 52 receives the connection operating power on the line 46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16 when connected to the device 10 by the connection element 34 or alternatively to the battery power supply 70. To operate in response to the input contact element. When the electronic circuit 52 is operated, a signal representing this operation is supplied to the control circuit 82 by line 88.
라인(88)상이 공급된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82)는 라인(100)상에 제1신호값의 신호를 발생하여, 라인(28)에 의해 접속 소자(40)에 접속될 때 가변 레벨 전원(16)에 인가될 접속 소자(40)에 의해 라인(28)에 차례로 인가된다. 역으로, 전자 회로(52)가 동작되지 않을 때, 제2 신호 값의 신호 (또는 무신호)가 라인(88)상에 발생되어 제어 회로(82)에 인가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 회로(82)는 가변 레벨 전원(16)에 유사하게 인가될 수 있는 라인(100)상의 제2 신호 레벨값의 신호를 발생한다(또는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In response to the signal supplied on the line 88, the control circuit 82 generates a signal of the first signal value on the line 100, which is variable whe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40 by the line 28. It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line 28 by the connecting element 40 to be applied to the level power source 16. Conversely, when the electronic circuit 52 is not operated, a signal (or no signal) of the second signal value is generated on the line 88 and applied to the control circuit 82. In this case, the control circuit 82 generates a signal (or no signal) of the second signal level value on the line 100 which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16.
가변 레벨 전원(16)이 접속 소자(40)에 접속될 때, 전원(16)은 전자 회로(52)가 동작될 것인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라인(28)상에 수신한다.When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1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40, the power supply 16 receives a signal on the line 28 indicating whether the electronic circuit 52 is to be operated.
전자 회로(52)가 동작되어, 전원(16)이 전자 장치(10)에 접속되면, 전원(16)에 의해 라인(22)상에 발생된 충전 신호는 전력 회로(52)에 대해 충분히 큰 전력 레벨로 되어야 한다. 이와 반대로, 전자 회로(52)가 동작되지 않는다면, 전원(16)이 회로(52)를 동작시키는 전력 레벨의 충전 신호를 발생할 필요가 없다.When the electronic circuit 52 is operated so that the power source 16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charging signal generated on the line 22 by the power source 16 is sufficiently large power to the power circuit 52. Should be level. In contrast, if the electronic circuit 52 is not operated, there is no need for the power supply 16 to generate a charge signal at the power level to operate the circuit 52.
전원(22)에 의해 발생된 충전 신호가 또한 배터리 전원(70)의 배터리 셀을 재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전원(16)에 의해 발생된 충전 신호는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셀을 적절하게 재충전하기 위한 전력 레벨로 되어야 한다. 라인(22)상에 전원(16)에 의해 발생된 충전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동작하는 충전 조절기(58)은 배터리 전원(70)의 배터리 셀에 인가되는 조절된 충전 신호를 라인(64)상에 발생한다.Since the charging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22 is also used to recharge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ower source 70, the charging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16 is used to properly recharge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ower source. Should be level. Charge controller 58, which operates to adjust the level of the charge signal generated by power source 16 on line 22, outputs a regulated charge signal applied to a battery cell of battery power 70. Occurs in the phase.
제어 회로(82)는 또한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셀에 인가된 조절된 충전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라인(94)상에 발생하기 위해 동작된다. 제어 신호(82)에 의해 라인(94)상에 발생된 제어 신호의 값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터리 전원(70) 양단에 걸린 측정된 전압 레벨에 의해 결정되어, 라인(106)에 의해 제어 회로(82)에 인가될 수 있다. (전원(70) 양단에 걸린 전압 레벨은 소정의 종래의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The control circuit 82 is also operat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on the line 94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regulated charging signal applied to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ower source. The value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on the line 94 by the control signal 82 is determined, at least in part, by the measured voltage level across the battery power supply 70, and is controlled by the line 106 by the control circuit ( 82). (The voltage level across the power supply 70 can be measured in any conventional manner.)
본 발명의 제1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원(16)이 접속 소자(34 및 40)에 의해 전자 장치(10)에 접속될 때, 전원(16)이 전자 회로(52)가 동작되는 시간 동안 라인(22)상에 저전력 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전원(16)은 전자 회로(52)가 동작되지 않을 때나 동작될 수 없게 될 때에는 라인(22)상에 고전력 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전자 회로(52)가 동작되지 않을 때나 동작될 수 없게 될 때, 전원(16)에 의해 라인(22)상에 발생된 신호는 배터리 전원(70)의 배터리 셀을 재충전 하기에 충분한 고전력 레벨로 된다.In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source 16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by the connecting elements 34 and 40, the power source 16 is in line for the time that the electronic circuit 52 is operated. A signal of low power level is generated on (22).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16 generates a signal of high power level on the line 22 when the electronic circuit 52 is not operated or becomes inoperable. When the electronic circuit 52 is inoperable or inoperable, the signal generated on the line 22 by the power supply 16 is at a high power level sufficient to recharge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ower supply 70. .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원(16)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되나, 라인(22)상에 발생된 신호는 배터리 전원(70)내에 저장된 전하의 양에 의존한다. (그리고, 전원(70)내에 저장된 전하의 양은 그 양단에 걸린 전압 레벨에 비례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 회로(82)에 의해 라인(100)상에 발생된 신호의 값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라인(106)에 의해 제어 회로(82)에 인가된 신호의 값에 의존하는 값으로 되고, 가변 전력 레벨 전원(16)은 신호의 특정 전력 레벨이 배터리 전원(70)의 배터리 셀내에 이미 저장된 전하의 양에 의존하는 상술된 2개의 전력 레벨 사이의 레벨에서 라인(22)상에 신호를 발생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ower source 16 operates in a similar manner, but the signal generated on line 22 depends on the amount of charge stored in battery power source 70. (The amount of charge stored in the power supply 70 is proportional to the voltage level across it.) In other words, the value of the signal generated on the line 100 by the control circuit 82 is at least partially: The variable power level power supply 16 is a charge which is already stored in the battery cell of the battery power supply 70, with the variable power level power supply 16 being a value dependent on the value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control circuit 82 by the line 106. Generates a signal on line 22 at a level between the two power level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amount of < RTI ID = 0.0 >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라인(22)상에 가변 레벨 전원(16)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전력 레벨은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배터리 전원(70)의 배터리 셀의 재충전 동안 초과 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값이 되도록 선택된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level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16 on the line 22 is such as to minimize excess heat gener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or recharging the battery cell of the battery power supply 70. It is chosen to be a value for.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여기서는 무선전화기이고 참조부호 210으로 표기된 무선 송수신기가 도시된다. 무선전화기(210)은 제1도의 전자 장치(10)에 대응한다. 가변 레벨 전원(216)은, 여기서는 대시로 나타낸 직사각형내에 배치된 플러그 단자로 표시된 플러그 커넥터인 접속 소자(234 및 240)에 접속되는 라인(222 및 228)에 의해 무선전화기(210)에 해제가능하게 접속된다. 가변 레벨 전원(216)은 (플러그 접속기(236)과 접속됨으로써) 종래의 가정용 전원 또는 모터 차량의 전원에 차례로 접속될 수 있다. 전원(216)은 선택된 전력 레벨의 라인(222)상에 충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동작된다.Referring to FIG. 2, there is shown a wireless transceiver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designated as a radiotelephone. The radiotelephone 210 corresponds to the electronic device 10 of FIG.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216 is releasable to the radiotelephone 210 by lines 222 and 228 connected to connection elements 234 and 240, which are here plug connectors indicated by plug terminals arranged in dashed rectangles. Connected.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216 may be connected in turn to a conventional household power supply or a power source of a motor vehicle (by being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236). Power source 216 is operated to generate a charge signal on line 222 of the selected power level.
무선전화기(210)의 라인(246)은 접속 소자(234), 및 여기서는 수신기회로부(250) 및 수신기 회로부(252)로 구성되는 무선전화기(210)의 송수신기 회로에 접속된다. 전원(216)이 무선전화기(210)의 접속 소자(234)에 접속될 때, 전원(216)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각각의 회로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전력을 회로부(250 및 252)에 제공하기 위해 수신기 회로부(250) 및 송신기 회로부(252)에 인가될 수 있다.The line 246 of the radiotelephone 2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ment 234 and to the transceiver circuitry of the radiotelephone 210 composed here of the receiver circuitry 250 and the receiver circuitry 252. When the power source 21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ment 234 of the radiotelephone 210, the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216 provides the circuit unit 250 and 252 with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the respective circuit unit. To the receiver circuitry 250 and the transmitter circuitry 252.
충전 조절기(258)은 또한 무선전화기(210)의 일부를 형성하고, 전원(216)이 라인(222)에 의해 접속 소자(234)에 접속될 때 전원(216)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라인(246)에 접속된다. 충전 조절기(258)은 라인(246)상에 인가된 신호의 값을 조절하고, 배터리 셀의 재충전을 허용하는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270)에 인가되는 조절된 충전 신호를 라인(264)상에 발생하기 위해 동작된다.Charge regulator 258 also forms part of cordless telephone 210 and receives signals generated by power source 216 when power source 216 is connected to connection element 234 by line 222. To line 246. Charge regulator 258 adjusts the value of the signal applied on line 246 and generates a regulated charge signal on line 264 that is applied to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270 to allow recharging of the battery cells. To operate.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은 라인(276)에 의해 송신기 회로부(250) 및 수신기 회로부(252)에 접속된다. 가변 레벨 전원(216)이 무선전화기(210)에 접속되지 않을 때,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270)의 배터리 셀내에 저장된 에너지는 수신기 회로부(250) 및 송신기 회로부(252)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circuitry 250 and the receiver circuitry 252 by line 276. When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216 is not connected to the cordless telephone 210, the energy stored in the battery cell of the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270 may provide an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the receiver circuit unit 250 and the transmitter circuit unit 252. Used to provide.
제어 회로(282)는 라인(288)에 의해서는 수신기 회로부(250) 및 송신기 회로부(252)에, 라인(294)에 의해서는 충전 조절기(258)에, 라인(300)에 의해서는 접속 소자(240)에, 그리고 라인(306)에 의해서는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270)에 접속된다.The control circuit 282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circuit section 250 and the transmitter circuit section 252 by the line 288, the charge controller 258 by the line 294, and the connection element (the line 300) by the line 300. 240, and by line 306, is to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270.
라인(288)상의 제어 회로(282)에 제공된 신호는 회로부(250 및 252)가 동작되는 시간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화기(210)의 동작 동안, 수신기 회로부(250)은 종종 "대기" 모드에서 전력이 공급되고,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가 전형적으로 2방식 통신이 무선전화기에 의해 실행되는 시간 동안에만 동작가능하다.)The signal provided to the control circuit 282 on the line 288 indicates the time that the circuitry 250 and 252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during operation of the radiotelephone 210, the receiver circuitry 250 is often powered in a "standby" mode, and the transmitter circuitry of the radiotelephone typically has two-way communication performed by the radiotelephone. It can only be operated for a time.)
수신기 회로부(250)만이 동작가능하거나, 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부(250 및 252)가 모두 동작되지 않을 때, 제어 회로(282)는 접속 소자(240) 및 제1 신호 레벨의 라인(228)에 의해 가변 레벨 전원(216)에 인가되도록 라인(300)상에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라인(288)상의 제어 회로(282)에 인가된 신호는 송신기 회로부(252)가 동작가능하거나 동작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고, 제어 회로(282)는 라인(300)상에 제2 신호 레벨로 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응답하여, 전원(216)은 제어 회로(282)에 의해 라인(300)상에 발생된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르는 전력 레벨의 신호를 라인(222)상에 발생한다.When only the receiver circuitry 250 is operable, or when both the receiver and transmitter circuitry 250 and 252 are both inoperable, the control circuit 282 is varied by the connection element 240 and the line 228 of the first signal level. A signal is generated on line 300 to be applied to level power 216. In contrast, a signal applied to the control circuit 282 on the line 288 indicates that the transmitter circuitry 252 is operable or inoperative, and the control circuit 282 is on the second signal on the line 300. Generates a signal to be leveled. In response, the power supply 216 generates a signal at power level on line 222 that conforms to the signal level of the signal generated on line 300 by control circuit 282.
무선전화기(210)의 동작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송신기 회로부(252)가 동작할수 없거나 동작되지 않게 될 때, 제어 회로(282)에 의해 라인(300)상에 발생된 제 1 신호 레벨의 신호는 전원(216)이 배터리 전원(270)의 배터리 셀의 재충전을 허용하기 위한 전력 레벨의 신호를 라인(222)상에 발생하게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radiotelephone 210, when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252 becomes inoperable or inoperative, the signal of the first signal level generated on the line 300 by the control circuit 282 is Power source 216 causes a signal of power level to occur on line 222 to allow recharging of the battery cells of battery power source 270.
송신기 회로부(252)가 동작되면, 제어 회로(282)가 전원(216)이 송신기 회로부(252) (및 수신기 회로(250))의 동작을 허용하는 제2 전력 레벨로 되는 신호를 라인(222)상에 발생하게 하지만,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270)의 배터리 셀을 재충전하기 위한 것은 아닌, 제2 신호 레벨 값의 신호를 라인(300)상에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270)의 배터리 셀의 재충전이 송신기 회로부(252)가 동작되지 않을 때만 발생한다. 이에 의해, 동시적인 재충전과 송신에 응답하는 무선전화기(210)의 과열이 방지된다.When transmitter circuitry 252 is operated, control circuit 282 outputs a signal such that power source 216 is at a second power level that allows operation of transmitter circuitry 252 (and receiver circuitry 250) to line 222. But not for recharging the battery cells of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270, a signal of a second signal level value is generated on line 300. In this manner, recharging of the battery cells of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270 occurs only when transmitter circuitry 252 is not operated. This prevents overheating of the radiotelephone 210 in response to simultaneous recharging and transmission.
제어 회로(282)에 의해 라인(294)상에 발생된 제어 신호는 충전 조절기(258)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동작된다. 전원(216)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배터리 전원(270)의 배터리 셀을 재충전하는 충전 전류를 인가하는데 사용될 때, 제어 회로(282)에 의해 라인(294)상에 발생된 충전 제어 신호는 라인(264)상에 발생된 조절된 충전 신호가 재충전을 실행하기 위한 값으로 되는 레벨로 된다. 조절된 충전신호의 정확한 값은 피드백 제어 루프에 의해 유지된다.The control signal generated on the line 294 by the control circuit 282 is opera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harge regulator 258. When the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216 is used to apply a charging current to recharge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ower source 270, the charge control signal generated on the line 294 by the control circuit 282 is a line ( The adjusted charging signal generated on 264 is at a level which becomes a value for performing recharging. The exact value of the regulated charging signal is maintained by the feedback control loop.
역으로, 배터리 전원(270)의 배터리 셀이 재충전되지 않을때(즉, 송신기 회로부(252)가 동작되지 않는 시간 동안), 제어 회로(282)에 의해 라인(294)상에 발생된 충전 제어 신호는 조절된 총전 신호가 충전 조절기(258)에 의해 라인(264)상에 발생하지 않게 하는 레벨로 된다.Conversely, when the battery cell of the battery power source 270 is not recharged (ie, during the time when the transmitter circuitry 252 is not operated), the charge control signal generated on the line 294 by the control circuit 282. Is at a level such that the adjusted total warhead signal is not generated on line 264 by charge regulator 258.
따라서, 양호한 실시예에서, 무선전화기(210)의 송신기 회로부(252)가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동작될 때, 제어 회로(282)는 조절된 충전 신호가 배터리 전원(270)의 배터리 셀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원(216)이 수신기 회로부(250) 및 송신기 회로부(252)에만 전력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감소된 레벨의 신호를 라인(222)상에 발생하게 하는 제1 신호 레벨의 신호를 라인(300)상에 발생하기 위해 라인(294)상에 신호를 발생한다.Thu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transmitter circuitry 252 of the radiotelephone 210 is operated to transmit a modulated signal, the control circuit 282 causes the regulated charging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ower source 270. A signal of a first signal level that prevents it from being applied and also causes a reduced level of signal on line 222 to generate a reduced level of signal needed for power source 216 to power receiver circuitry 250 and transmitter circuitry 252 only Generates a signal on line 294 to generate on line 300.
역으로, 송신기 회로부(252)가 동작되지 않을 때, 라인(294)상에 발생된 충전 제어 신호는 배터리 전원(270)의 배터리 셀에 인가될 조절된 충전 신호를 허용하는 레벨로 되고, 전원(216)이 배터리 전원(270)의 배터리 셀의 재충전을 허용하는 전력 레벨의 신호를 라인(222)상에 발생하게 하는 제2 신호 레벨의 신호가 라인(300)상에 발생된다. (수신기 회로부(250) 및 송신기 회로부(252)의 내부 회로는 각각의 회로부(250 및 252)를 충전시키는 전력을 라인(246)을 통해 인가하는 것을 방지한다.)Conversely, when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252 is not operated, the charge control signal generated on the line 294 is at a level that allows the regulated charge signal to be applied to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ower source 270, and the power source ( A signal of second signal level is generated on line 300, causing 216 to generate a signal of power level on line 222 that allows recharging of the battery cells of battery power source 270. (The internal circuitry of receiver circuitry 250 and transmitter circuitry 252 prevents the application of power to charge respective circuitry 250 and 252 via line 246.)
무선전화기(210)은 라인(318)에 의해 수신기 회로부(250) 및 송신기 회로부(252)에 접속되는 입력 소자(312)를 더 포함하여 도시된다. 이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소자(324)는 또한, 여기서는 라인(328)에 의해 수신기 회로부(250) 및 송신기 회로부(252)에 접속된다.The radiotelephone 210 is shown further including an input element 312 connected by a line 318 to the receiver circuitry 250 and the transmitter circuitry 252. Similarly, display element 324 is here also connected to receiver circuitry 250 and transmitter circuitry 252 by line 328.
이제, 제3도의 부분적인 개략도인 부분적인 블럭도를 참조하면, 여기서 참조부호 358로 표기된 충전 조절기가 도시된다. 충전 조절기(358)은 제2도의 무선전화기(210)의 충전 조절기(258) 및 제1도의 전자 장치(10)의 충전 조절기(58)과 유사하다. 이전의 도면들의 전원(216 및 16)에 의해 발생된 신호와 유사한 충전 신호가 라인(446)을 통해 충전 조절기(358)로 인가된다. 충전 제어 신호가 각각 제1도 및 제2도의 충전 조절기(58 및 258)의 라인(94 및 294)상에 발생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충전 제어 신호가 라인(494)상에서 충전 조절기(384)에 인가된다. 그리고, 조절된 충전 신호가 각각 제1도 및 제2도의 라인(64 및 264)상에 발생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절된 충전 신호가 라인(464)상에 발생된다.Referring now to the partial block diagram, which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FIG. 3, a charge regulator, indicated here by reference numeral 358, is shown. Charge regulator 358 is similar to charge regulator 258 of cordless telephone 210 of FIG. 2 and charge regulator 58 of electronic device 10 of FIG. A charge signal similar to the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s 216 and 16 of the previous figures is applied to the charge regulator 358 via line 446. The charg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charge regulator 384 on line 494 in a manner similar to the way that the charg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on lines 94 and 294 of charge regulators 58 and 258 of FIGS. Is approved. And, the regulated charging signal is generated on the line 464 in a manner similar to the manner in which the regulated charging signal is generated on the lines 64 and 264 of FIGS.
라인(446)상에 발생된 신호는 전제 효과 트랜지스터(504)의 소스 전극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504)의 드레인 전극은 저항(510)과 다이오드(516) 양단의 라인(464)에 접속된다.The signal generated on line 446 is appli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pre-effect transistor 504. The drain electrode of transistor 504 is connected to resistor 510 and line 464 across diode 516.
차동 증폭기를 형성하기 위해 구성된 비교기(524)는 저항(530)에 의해 저항(510)의 좌측에 접속된 포지티브(+) 입력을 포함한다. 비교기(524)의 네가티브(-) 입력은 저항(536)에 의해 저항(510)의 우측에 접속된다. 션트(shunt) 저항(542 및 548)은 또한 비교기(524)의 정 및 부 입력에 각각 접속된다.Comparator 524 configured to form a differential amplifier includes a positive (+) input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resistor 510 by resistor 530. The negative (-) input of comparator 524 is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resistor 510 by resistor 536. Shunt resistors 542 and 548 are also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inputs of comparator 524, respectively.
비교기(524)는 그의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입력에 인가된 신호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라인(554)상에 차동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비교기(524)의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입력에 인가된 신호는 저항(5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서의 전압 레벨을 나타내므로, 라인(554)상에 발생된 신호는 저항(510) 양단의 전압 강하를 나타낸다(또한, 전압이 드레인 전극에서의 전류에 관련될 때, 라인(554)상에 발생된 신호는 라인(464)에서의 전류에 관련된 것이다).Comparator 524 generates a differential output signal on line 554 that re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applied to its positive and negative input. Since the signals appli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inputs of comparator 524 represent the voltage levels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resistor 510, the signal generated on line 554 is the voltage drop across resistor 510. (In addition, when the voltage is related to the current at the drain electrode, the signal generated on line 554 is related to the current at line 464).
라인(554)는 비교기(560)의 포지티브 입력에 접속된다. 비교기(560)은 또한 차동 증폭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라인(494)상에 발생된 충전 제어 신호는 비교기(560)의 네가티브 입력에 인가된다. 라인(566)상에 발생된 증폭기(560)의 차동 출력은 저항(572)에 의해 트랜지스터(504)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션트 캐패시터(578)은 또한 트랜지스터(504)의 게이트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504)의 드레인 전극과 게이트 전극 간에 형성된 루프는 트랜지스터(504)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신호의 값이 트랜지스터(504)가 드레인 전극의 전력 레벨 및 라인(464)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의 동작과 유사한) 종래의방식으로 동작하게 하므로 라인(464)상에 발생된 신호의 전류 (및, 따라서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 또한, 라인(494)상에 인가된 충전 제어 신호의 값은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신호의 값을 제어한다. 라인(494)상에 발생된 신호의 값의 적절한 변화는 라인(494)상에 발생된 신호의 값이 소정의 원하는 값으로 되게 한다.Line 554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input of comparator 560. Comparator 560 is also configured to form a differential amplifier. The charge control signal generated on line 494 is applied to the negative input of comparator 560. The differential output of amplifier 560 generated on line 566 is applied by resistor 572 to the gate electrode of transistor 504. Shunt capacitor 578 is also connected between the gate of transistor 504 and ground. The loop formed between the drain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504 is a value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504 so that the transistor 504 controls the power level of the drain electrode and the line 464 (the Operation in a conventional manner to form a feedback loop that controls the current (and thus power level) of the signal generated on line 464. Further, the value of the charge control signal applied on the line 494 controls the value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Appropriate change in the value of the signal generated on line 494 causes the value of the signal generated on line 494 to be a desired desired value.
제4도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610로 표기된 무선전화기가 도시된다. 무선전화기(610)은 제2도의 블럭도에 도시된 무선전화기(210)에 대응한다. 제2도에 블럭형태로 도시된 무선전화기(210)의 소자들은 여기서 배터리 팩(61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270)을 제외하고는 제4도의 무선전화기(610)의 하우징내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4, there is shown a radiotelephone, indicated at 610. The radiotelephone 610 corresponds to the radiotelephone 210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The elements of the cordless phone 210 shown in block form in FIG. 2 are here a housing of the cordless phone 610 of FIG. 4 except for the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270 shown as including a battery pack 614. Disposed within.
무선전화기(610)은 플러그 커넥터(630)을 통해 무선전화기(610)의 접속 소자에 전원(616)을 접속시키는 라인(622 및 628)에 의해 가변 레벨 전원(616)에 접속된다. (무선전화기(610)의 접속 소자는 이 도면에서 나타나지 않지만, 제2도의 접속 소자(235 및 240)에 해당한다.) 플러그 커넥터(636)은 또한 도면에서 종래의 가정용 전원에 전원(616)을 접속할 수 있도록 도시된다. (플러그 커넥터(636)은 종래의 가정용 전원에 접속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지만, 다른 유사한 플러그 커넥터들도 물론 다른 형태의 전원들에 접속될 수 있다.)The radiotelephone 610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616 by lines 622 and 628 connecting the power supply 616 to the connection element of the radiotelephone 610 via the plug connector 630. (The connection element of the wireless telephone 610 is not shown in this figure, but corresponds to the connection elements 235 and 240 in FIG. 2.) The plug connector 636 also provides a power source 616 to a conventional household power supply in the figure. It is shown to be accessible. (Plug connector 636 includes a plug connector that may be connected to a conventional household power source, but other similar plug connectors may of course be connected to other types of power sources.)
전원(616)이 무선전화기(610)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어, 라인(622 및 628)에 의해 무선전화기에 접속되므로, 무선전화기(610)은 무선전화기(610)과 전원(616) 사이의 접속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 의해 편리하게 동작될 수 있다.Since the power source 616 is located away from the radiotelephone 610 and is connected to the radiotelephone by lines 622 and 628, the radiotelephone 610 is connected to the radiotelephone 610 and the power source 616 in spite of the connection. And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by the user.
무선전화기(610)이 "대기" 모드에서 동작될 때, 무선전화기(610)에 의해 라인(628)상에 발생된 제어 신호는 전원(616)이 재충전가능 전원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614)의 배터리 셀의 재충전을 허용하기 위해 라인(622)상에 비교적 고전력 레벨의 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그러나, 무선전화기(610)이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동작될 때는, 무선전화기(610)은 전원(616)이 비교적 저전력 레벨의 신호를 라인(622)상에 발생하게 하여, 배터리 팩(614)의 배터리 셀은 재충전되지 않고, 라인(622)상에 발생된 신호는 무선전화기의 송신기 회로부 및 수신기 회로부의 전력공급을 허용하는 전력 레벨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전화기(610)의 송신기 회로부, 및 배터리 팩(614)의 배터리 셀의 재충전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 때 무선전화기(610)의 과열이 방지된다.When the radiotelephone 610 is operated in a "standby" mode,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on the line 628 by the radiotelephone 610 may cause the power supply 616 of the battery pack 614 to include a rechargeable power supply. Generate a relatively high power level signal on line 622 to allow recharging of the battery cells. However, when the radiotelephone 610 is operated to transmit a modulated signal, the radiotelephone 610 causes the power source 616 to generate a signal of a relatively low power level on the line 622, thereby causing the battery pack 614 to operate. Battery cell is not recharged, and the signal generated on line 622 is at a power level that allows powering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circuitry of the radiotelephone. In this manner, overheating of the radiotelephone 610 is prevented when recharging of the transmitter circuit portion of the radiotelephone 610 and the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pack 614 does not occur at the same time.
제5도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700으로 표기되고, 제2도의 무선전화기(210)의 제어 회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알고리듬이 도시된다. 실행시, 알고리듬(700)은 제어 회로(282)가 재충전가능 배터리 전원(270)(또는 제4도의 무선전화기(610)에 대해), 및 전원(216)에 의해 (또는 무선전화기(610), 전원(616)에 대해) 발생된 신호의 레벨로의 충전 전류의 인가를 제어하기 위해 라인(294 및 300)상에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먼저, 의사결정 블럭(decision block: 70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레벨 전원이 무선전화기에 접속되었는 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전원이 무선전화기에 접속되지 않았다면, no 분기가 행해지고, 무선전화기(210)의 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부(250 및 252)가 배터리 전원(270)의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Referring to FIG. 5, an algorithm, denoted 700, is shown which is executable by the control circuit of the radiotelephone 210 of FIG. In execution, the algorithm 7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trol circuit 282 is powered by a rechargeable battery power source 270 (or with respect to the cordless phone 610 of FIG. 4), and by a power source 216 (or a cordless phone 610,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n lines 294 and 300 to control the application of charging current to the level of the generated signal). First, as shown by decision block 706, a determination is made whether a variable leve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radiotelephone. If the power source is not connected to the radiotelephone, no branching is performed, and the receiver and transmitter circuitry 250 and 252 of the radiotelephone 210 are powered by the stored energy of the battery power source 270.
그러나, 전원이 무선전화기에 접속되었다면, yes 분기가 의사결정 블럭(718)로 행해지고, 송신기 회로부(252)가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동작하는 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무선전화기가 "대기" 모드에 있거나, 송신기 회로부(252)가 동작되지 않는다면, 블럭(724)에 표시된 바와 같이, no 분기가 행해지고, 제1 신호 레벨의 제어 신호가 라인(300)상에 발생되고, 블럭(730)에 표시된 바와같이, 라인(294)상에 발생된 충전 제어 신호는 충전 조절기(258)이 배터리 전원(270)의 배터리 셀을 재충전하기 위해 라인(264)상에 조절된 충전 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값으로 된다.However, if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radiotelephone, a yes branch is made to decision block 718, and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the transmitter circuitry 252 operates to transmit the modulated signal. If the radiotelephone is in "standby" mode or the transmitter circuitry 252 is not operated, then no branching is made, as indicated at block 724, and a control signal of the first signal level is generated on line 300 and , As indicated at block 730, the charge control signal generated on line 294 is a charge signal regulated on line 264 by charge controller 258 to recharge the battery cells of battery power 270. Is the value that causes.
그러나, 송신기 회로부(252)가 동작된다면, yes 분기가 의사결정 블럭(718)로부터 행해지고, 블럭(73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라인(300)상에 발생된 제어 신호는 제2 신호 레벨 값으로 되고, 블럭(74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라인(294)상에 발생된 충전 제어 신호는 충전 제어기(258)이 라인(264)상에 조절된 충전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하는 신호 레벨로 된다. 알고리듬(700)은 무선전화기(210)의 동작 동안 반복된다.However, if transmitter circuitry 252 is operated, a yes branch is made from decision block 718,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on line 300 as indicated by block 736 becomes a second signal level value, The charge control signal generated on line 294 as indicated by block 742 is at a signal level that prevents charge controller 258 from generating a regulated charge signal on line 264. Algorithm 700 is repeated during operation of radiotelephone 210.
제6도는 참조부호 800으로 표기되고, 본 발명의 양호한 방법의 방법 단계를 기록한 흐름도이다. 방법 800을 가변 레벨 전원이 무선전화기에 접속될 때 가변 레벨 전원에 의해 발생된 적어도 2개의 전력 레벨 중 하나의 전력 레벨의 동작 전력을 수용하도록 동작가능한 무선전화기의 송수신기 회로의 전력 공급을 허용한다.6 is a flow chart,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800, which records the method steps of the preferr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800 allows power supply of a transceiver circuit of a radiotelephone that is operable to receive an operating power of one of the at least two power levels generated by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when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radiotelephone.
먼저, 블럭(80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화기에 동작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무선전화기에 가변 레벨 전원을 해제가능하게 접속한다.First, as indicated by block 806,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is releasably connected to the radiotelephone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radiotelephone.
다음으로, 블럭(81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변 레벨 전원이 전자 장치에 제 1 전력 레벨의 동작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는 회수에 응답하여 재충전가능 전원이 충전 신호를 수신하도록 전자 장치에 접속된다.Next, as indicated by block 812,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times the variable leve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supply the operating power of the first power level to the electronic device. .
다음으로, 블럭(818)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변 레벨 전원에 의해 발생된 동작 전력 또는 재충전가능 전원에 의해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동작 전력을 송수신기 회로에 제공한다.Next, as indicated by block 818, the transceiver power is provided to the operating power generated by the variable power source or by the energy stored by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마지막으로, 블럭(82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제어 신호가 가변 레벨 전원에 인가되기 위해 발생되는데, 전원 제어 신호는 가변 레벨 전원의 동작 전력이 적어도 2개의 전력 레벨 중 제1 전력 레벨로 되게 하는 제1 신호 레벨, 또는 가변레벨 전원의 동작 전력이 적어도 2개의 전력 레벨 중 제2 전력 레벨로 되게 하는 제2 신호 레벨 중 하나로 된다.Finally, as indicated by block 824, a power supply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be applied to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which causes the operating power of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to become the first power level of at least two power levels. The first signal level, or the operating power of the variable level power supply, is one of a second signal level that causes the second power level to be a second power level.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전자 장치, 및 본 발명의 방법이, 외부적으로 발생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전자 장치의 전력 필요성에 의존하는 레벨로 되기 때문에, 전자 장치에 많은 양의 전력을 인가한 결과로서 일어나는 열 초과량 발생이 방지된다.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applying a large amount of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because the power level of the externally generated signal becomes a level depending on the power need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occurrence of heat excess that occurs as is prevented.
본 발명이 여러 도면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 관해 기술되었지만, 이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들이 실시될 수 있고, 변경 및 추가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된 실시예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어떤 하나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그 범위내에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various figures, other similar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and modifications and additions may be made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hat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done fo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but should be construed within the scope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8357193A | 1993-06-30 | 1993-06-30 | |
US08/083571 | 1993-06-30 | ||
PCT/US1994/006294 WO1995001692A1 (en) | 1993-06-30 | 1994-06-03 |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nal charge regul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703247A KR950703247A (en) | 1995-08-23 |
KR100321945B1 true KR100321945B1 (en) | 2002-06-20 |
Family
ID=2217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7008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1945B1 (en) | 1993-06-30 | 1994-06-03 | Re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and rechargeable power supplies with internal charge regulators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charging current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JP (1) | JPH08500959A (en) |
KR (1) | KR100321945B1 (en) |
CN (1) | CN1061479C (en) |
AU (1) | AU683475B2 (en) |
BR (1) | BR9405440A (en) |
CA (1) | CA2140535C (en) |
FR (1) | FR2707131B1 (en) |
GB (1) | GB2285188B (en) |
IT (1) | IT1272306B (en) |
MX (1) | MX9404950A (en) |
RU (1) | RU2144275C1 (en) |
TW (1) | TW249871B (en) |
WO (1) | WO1995001692A1 (en) |
ZA (1) | ZA944735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03599A (en) * | 1993-09-02 | 1996-04-16 |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Tracking type external power supply |
GB2288700B (en) * | 1993-09-13 | 1998-04-08 | Motorola Inc | Charge regulator for electronic device |
JPH0846562A (en) * | 1994-07-28 | 1996-02-16 | Oki Electric Ind Co Ltd | On-vehicle portable telephone set |
SE9604739L (en) * | 1996-12-20 | 1998-06-21 | Ericsson Telefon Ab L M | Mobile communication unit and radio transmitter for communication with such a mobile communication unit |
US6193504B1 (en) | 1997-04-01 | 2001-02-27 | Engelhard Corporation | Portable rotary catalytic oxidizer systems |
IL121189A0 (en) * | 1997-06-29 | 1997-11-20 | Techtium Ltd | Battery pack assembly |
JP3167662B2 (en) * | 1997-09-26 | 2001-05-21 | 株式会社ウェルパイ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 Power system |
JP2001069236A (en) * | 1999-08-30 | 2001-03-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supply switching method |
US6381477B1 (en) | 1999-11-05 | 2002-04-30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 circuit module in a communication device |
US6215279B1 (en) * | 2000-03-30 | 2001-04-10 | Adc Telecommunications, Inc. | Power circuit with double current limiting |
GB2403608B (en) * | 2003-06-30 | 2005-08-17 | Motorola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distribution |
US7768230B2 (en) | 2005-07-05 | 2010-08-03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Pressure relief valve for a battery charger |
EP1742323A1 (en) * | 2005-07-05 | 2007-01-10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Pressure relief valve for a battery charger |
US7701168B2 (en) * | 2007-03-23 | 2010-04-20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Universal serial bus charger device |
US7781914B2 (en) * | 2007-08-10 | 2010-08-24 |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 Input and output power modules configured to provide selective power to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EP2582037B1 (en) * | 2011-10-12 | 2017-12-20 |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an audio signal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18237A (en) * | 1972-08-14 | 1974-06-18 | Hughes Aircraft Co | Means for providing redundancy of key system components |
US4255782A (en) * | 1977-11-15 | 1981-03-10 | Jgf, Incorporated | Electrical energy conversion systems |
US4317180A (en) * | 1979-12-26 | 1982-02-23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Clocked logic low power standby mode |
US4488006A (en) * | 1982-07-01 | 1984-12-11 | At&T Bell Laboratories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telephone line power in a telephone set |
US4499532A (en) * | 1983-03-23 | 1985-02-12 | At&T Bell Laboratories | Floating battery feed circuit |
JPS59204429A (en) * | 1983-04-30 | 1984-11-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Power source control circuit |
US4653088A (en) * | 1985-03-25 | 1987-03-24 | Wang Laboratories, Inc. | Telephone circuitry with power backup |
JP2622540B2 (en) * | 1985-04-10 | 1997-06-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Electronic clock |
JPH0738735B2 (en) * | 1985-04-30 | 1995-04-26 | 岩崎通信機株式会社 | Button telephone device |
SU1376268A1 (en) * | 1985-09-23 | 1988-02-23 | Рижс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Вэф Им.В.И.Ленина | Subscriber line electronic power supply device |
US4684870A (en) * | 1986-04-09 | 1987-08-04 | Uniden Corp. Of America | Transceiver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
ATE115809T1 (en) * | 1988-09-20 | 1994-12-15 | Siemens Ag | CIRCUIT ARRANGEMENT FOR TELECOMMUNICATIONS EXCHANGE SYSTEMS, IN PARTICULAR TELEPHONE EXCHANGE SYSTEMS, WITH SWITCHING DEVICES SUPPLIED BY OPERATING VOLTAGE AND ADDITIONAL VOLTAGE. |
JP2736128B2 (en) * | 1989-09-20 | 1998-04-02 | 株式会社東芝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SE465799B (en) * | 1990-03-15 | 1991-10-28 | Ericsson Telefon Ab L M | DEVICE FOR REDUCED POWER SUPPLY TO A SUBSCRIBER LINE |
GB2242793B (en) * | 1990-04-05 | 1994-08-10 | Technophone Ltd | Battery charging apparatus |
US5115182A (en) * | 1990-04-23 | 1992-05-19 | Motorola, Inc. | Battery charging controller for a battery powered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US5185566A (en) * | 1990-05-04 | 1993-02-09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
US5227712A (en) * | 1991-06-26 | 1993-07-13 | Motorola, Inc. | Power supply for a battery charger |
US5184059A (en) * | 1991-09-16 | 1993-02-02 | Motorola, Inc. | Expanded battery capacity identification scheme and apparatus |
GB9125446D0 (en) * | 1991-11-29 | 1992-01-29 | Shaye Communications Ltd | Improvements in battery charging |
JPH05160774A (en) * | 1991-12-09 | 1993-06-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obile phone in-vehicle charging device |
JP2671676B2 (en) * | 1991-12-09 | 1997-10-2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Mobile phone in-vehicle charging device |
JPH05168168A (en) * | 1991-12-16 | 1993-07-02 | Nec Corp | Charger for portable telephone |
US5325040A (en) * | 1992-09-21 | 1994-06-28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powered electronic device |
-
1994
- 1994-06-03 AU AU70529/94A patent/AU683475B2/en not_active Ceased
- 1994-06-03 RU RU95107696A patent/RU2144275C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6-03 KR KR1019950700860A patent/KR10032194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6-03 WO PCT/US1994/006294 patent/WO199500169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1994-06-03 JP JP7503491A patent/JPH08500959A/en active Pending
- 1994-06-03 CA CA002140535A patent/CA2140535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6-03 BR BR9405440-1A patent/BR940544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4-06-03 CN CN94190427A patent/CN1061479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6-03 GB GB9503718A patent/GB2285188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6-08 TW TW083105217A patent/TW249871B/zh active
- 1994-06-24 IT ITRM940420A patent/IT1272306B/en active IP Right Grant
- 1994-06-28 FR FR9407917A patent/FR27071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6-29 MX MX9404950A patent/MX9404950A/en unknown
- 1994-06-30 ZA ZA944735A patent/ZA944735B/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TRM940420A0 (en) | 1994-06-24 |
ITRM940420A1 (en) | 1995-12-24 |
TW249871B (en) | 1995-06-21 |
BR9405440A (en) | 1999-09-08 |
ZA944735B (en) | 1995-07-13 |
CA2140535C (en) | 1998-08-11 |
FR2707131A1 (en) | 1995-01-06 |
CN1061479C (en) | 2001-01-31 |
MX9404950A (en) | 1995-01-31 |
RU2144275C1 (en) | 2000-01-10 |
FR2707131B1 (en) | 1996-08-14 |
CA2140535A1 (en) | 1995-01-12 |
AU7052994A (en) | 1995-01-24 |
IT1272306B (en) | 1997-06-16 |
CN1111471A (en) | 1995-11-08 |
JPH08500959A (en) | 1996-01-30 |
GB2285188B (en) | 1998-05-13 |
WO1995001692A1 (en) | 1995-01-12 |
AU683475B2 (en) | 1997-11-13 |
KR950703247A (en) | 1995-08-23 |
GB9503718D0 (en) | 1995-04-12 |
GB2285188A (en) | 1995-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71471A (en) | Charge regulator for a radio telephone | |
KR100321945B1 (en) | Re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and rechargeable power supplies with internal charge regulators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charging current | |
US5646501A (en) | Flexible power architecture which supports multiple battery technologies for use with a portable device | |
US8022662B2 (en) | Power supply for battery powered devices | |
US6127801A (en) | Battery pack assembly | |
US6229283B1 (en) | Voltage/current regulator an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 |
US7248902B2 (en) | Multi-mode power supply device of wireless earphone | |
EP1589631B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6653814B1 (en) |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supply compatibility in a portable device | |
AU683534B2 (en) | Tracking external power supply | |
US20080012427A1 (en) | Power converter with integral battery | |
WO1995001699A1 (en) |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of a charging current thereto and associated method therefor | |
CA2657770A1 (en) | Power converter with integral battery | |
JP3273946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0221178B1 (en) | Tracking to External Power | |
JPH11187584A (en) | Portable terminal | |
JPH04281332A (en) | Rechargeable battery | |
ITRM940555A1 (en) | ELECTRONIC DEVICE TO CHECK THE APPLICATION OF A CHARGING CURRENT AND RELATED PROCEDURE | |
KR20060090411A (en) | Mobile terminal charg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n external battery pack | |
KR20050073252A (en) |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01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112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