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8109B1 - Mobil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109B1
KR100298109B1 KR1019970024790A KR19970024790A KR100298109B1 KR 100298109 B1 KR100298109 B1 KR 100298109B1 KR 1019970024790 A KR1019970024790 A KR 1019970024790A KR 19970024790 A KR19970024790 A KR 19970024790A KR 100298109 B1 KR100298109 B1 KR 100298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dicator
service area
call
call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06988A (en
Inventor
소지로 가니야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80006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9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109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대기중에 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 단말기는 문자 또는 그림 문자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12)와, 이 표시기(12)를 구동하는 구동기(11)와, 구동기(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통화 서비스 영역의 내외를 표시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회로)(21)과, 통화 서비스 영역외 정보를 검출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표시기(12)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시키는 작동 수단과, 표시기(12)의 표시 중지시에 키 입력이 있던가 통화 서비스 영역에 재진입한 경우에 표시기(12)의 표시를 통상의 동작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re is provided a mobi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saving power during standby. The terminal includes an indicator 12 for displaying text or pictograms, a driver 11 for driving the indicator 12, a controller 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11, and a call service area. Detection means (circuit) 21 for detecting information indicating inside and outside, operation means for stopping display of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12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detecting information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A return means for returning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12 to normal operation when there is a key input or reentering the call service area at the time of stopping display of (12) is provided.

Description

이동용 무선 단말기Mobi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기능을 가진 휴대전화기나 간이형 휴대전화기 등의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로 대기 시간의 장시간화를 도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adio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prolonging the waiting time with a mobile radio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or a portable cellular phone with a display function.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에 전원이 투입되어 동작하는 상태로는 통화중, 대기중 및 기타 상태가 있다.The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and operated in the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includes a busy state, a waiting state, and other states.

통화중이란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화나 통신을 하고 있는 경우이고, 대기중이란 통화 서비스 영역내에서 기지국에 위치 등록을 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호출에 대응 가능 상태이며 , 기타 상태란 통화 서비스 영역 외의 상태를 말한다.Busy is when you are making a call or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wireless telephone terminal. Waiting is a state where you can register a location with a base station in a call service area and can answer calls from the base station. Say the status.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의 여러 성능중 한가지 성능으로는 사용 가능 시간이 있으며, 이 사용 가능 시간에는 통화 시간과 대기 시간이 있다.One of several capabilities of mobile wireless telephones is available time, which includes talk time and standby time.

통화 시간은 전지의 용량이 없어질 때까지 통화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하고, 대기 시간은 전지의 용량이 없어질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한다. 여기서는 대기 시간의 장시간화를 도모하는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대기 가능 시간의 길이는 대기시의 소비 전류가 어느 정도 적은지와 전지 용량이 어느 정도 큰지로 결정된다.Talk time refers to the time to talk until the battery runs out of capacity, and standby time refers to the time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until the battery runs out of capacity. Here, the technique for prolonging the waiting time will be described. The length of the waitable time is determined by how small the current consumption during standby and how large the battery capacity are.

사용 가능 시간의 장시간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용량이 큰 전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는 휴대성이 중요시되기 때문에 소형·경량화가 크게 요구되고, 「소형·경량화」와 「대용량의 전지」와의 양립에 어려움이 있었다.In order to satisfy the prolongation of the usable time, a battery having a large capacity is required. However, this portable radiotelephone terminal is highly required for small size and light weight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portability,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achieving compatibility between "small size and light weight" and "large capacity battery."

전지 용량은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고, 가격에 의해서도 제한된다. 가격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전지의 용량은 가급적 적어야 한다.Battery capacity is limited by the size of the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and by the pric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price does not increase more than necessary, the capacity of the battery should be as small as possible.

이상과 같이, 사용될 수 있는 전지의 용량은 「대기 시간」 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큰 「용량」 으로 결정되면 바람직하지만, 「휴대성」 , 「가격」 과의 관계에 의해 제한되고, 이들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that can be used is preferably determined to be large "capacity" so that the length of the "wait time" is long, but is limi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ability" and "price", and by these relationships Is determined.

따라서, 소비 전류를 줄여 전지의 부담을 덜어 줄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to reduce the burden on the battery.

이때, 대기시의 장시간화를 도모하기 위해, 대기시의 저소비 전류화, 즉 절전이 도모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achieve a long time in the standby, low current consumption during standby, that is, power saving can be achieved.

대기중의 소비 전류의 성분에는 대기를 위해 수신 회로가 필요로 하는 소비 전류 성분과, 표시기를 가지고 있는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에서 표시기가 필요로 하는 소비 전류 성분이 있다.The components of the consumption current in the atmosphere include the consumption current component required by the receiving circuit for the standby and the consumption current component required by the indicator in the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having the indicator.

무선 회로 기술의 진보에 의해 수신 회로가 필요로 하는 소비 전류 성분의 저소비 전류화가 진행되고, 최근에는 표시기가 필요로 하는 소비 전류의 저소비 전류화가 요망되고 있다.Advances in wireless circuit technology have resulted in lower current consump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components required by the receiving circuit, an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lower current consumption of the current required by the indicators.

대기중의 표시 회로가 필요로 하는 소비 전류 성분의 저감은 표시기 자체의 기능을 줄이거나 표시기의 표시 시간을 조정해서 대응하고 있었다.Reduction of the consumption current component required by the display circuit in the atmosphere was responded by reducing the function of the display itself or adjusting the display time of the display.

예컨대, 전자의 경우, 풀 도트(full dot) 방식의 표시기에서는, 표시하는 행수를 줄여서 표시 면적을 줄이거나 소비 전류가 작은 세그멘트 방식의 표시기로서 소비 전류의 삭감을 도모하고 있었다.For example, in the former case, in a full dot display, the display area is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rows to be displayed, or the consumption current is reduced as a segment display having a small current consumption.

후자의 표시기의 표시 시간을 조정하는 예가 일본 특개평 5-102910 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djusting the display time of the latter indicator i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5-102910.

이 예에서는 착호(着呼) 또는 키 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에 표시기 구동 회로의 전원 및 표시기 제어 전원을 차단하고, 전원 차단 중에 착호 또는 키입력이 있는 경우는 전원의 공급을 재개한다.In this example, when there is no call or key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of the indicator driving circuit and the indicator control power are cut off, and when there is a call or key input during power off, power supply is resumed.

따라서, 실제로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화와 대기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화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거나 휴식중에, 단말기는 사용자의 눈에 뛸 필요가 없는 상태이다.Therefore, when a mobile wireless telephone terminal is actually used, it is common to repeatedly use calls and standbys. While moving out of the call service area or resting, the terminal does not need to be visible to the user.

이 때문에 상기 종래예의 방식 이외에도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화 시스템에 적합한 대응이 가능한 저소비 전류화가 요망된다.For this reason,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system described above, low current consumption that can be adapted to the telephone system currently used is desired.

구체적으로는, 통화 서비스 영역의 내외라고 하는 사정을 고려한 저소비 전류화, 전지 잔량을 고려한 저소비 전류화, 또한 다양한 사용 상태에 대응하는 저소비 전류화 등의 도모가 대기 시간의 장기화에 대해 요망되고 있다.Specifically, it is desired to prolong the standby time, such as low current consumption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inside and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low current consumption considering the remaining battery power, and low current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usage conditions.

휴대전화기나 간이형 휴대전화기 등의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에서는 사용장소가 하나의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휴대할 수 있다는 점에 큰 편리함이 있다.Mobile wireless telephon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simple portable telephones have great convenience in that the place of use is not limited to one place and can be carried.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에는 통화 서비스 영역의 내외를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When carrying with you, you may move inside and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특히, 간이형 휴대 전화기의 통화 서비스 영역은 1 개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범위가 좁고, 이 때문에 면적 통화 서비스 영역을 넓히는 것이 사업적으로 어렵다.In particular, the range of coverage of one base station is narrow in the call service area of the simple cellular phone,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ly expand the area call service area.

물론, 통화 서비스 영역 밖에 있으면 발호 · 착호는 되지 않는다.Of course, if it is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the call is not made.

종래에는 통화 서비스 영역을 고려한 저소비 전류 대책이 없었다. 이 때문에, 통화 서비스 영역을 고려한 저소비 전류 대책이 요망되고 있다.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no countermeasure for low current consumption considering the telephony service area. For this reason, a low current consumption countermeasure considering the call service area is desired.

또한, 이동하면서 사용하면 편리하지만, 옥외에서는 전지의 소모에 따라 전지 잔량이 줄어들면 사용 가능한 나머지 시간이 우려된다.In addition, it is convenient to use while moving, but in the outdoors, whe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decreases with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the remaining time available for use is concerned.

휴대 전화기나 간이형 휴대 전화기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전지는 주로 2차 전지이다. 이 2차 전지의 종류로는 주로 리튬 이온 축전지나 니켈 수소 축전지 등이 사용된다.The batteries actually used in mobile phones or simple portable telephones are mainly secondary batteries. As the secondary battery, lithium ion accumulators and nickel hydrogen accumulators are mainly used.

통상의 충전 간격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때로는 충전하는 타이밍이 늦어지는 일도 있고, 외출 중에 전지가 가득 충전된 경우는 비교적 저소비 전류화에 대한 요구는 덜하나 전지 잔량이 적어짐에 따라 저소비 전류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 진다.Even when using at regular charging intervals, sometimes the timing of charging is slowed down, and when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while going out, the demand for low current consumption is relatively low, but as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decreases, The demand is high.

이와 같이 종래에는 전지 잔량에 대응한 저소비 전류 대책이 없었다. 이 때문에 전지 잔량에 대응한 저소비 전류 대책이 요망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countermeasure for low current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power. For this reason, a low current consumption countermeasur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s desired.

이동용 무선전화 단말기의 사용 빈도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하루중 대부분은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때에도 사용할 의사가 없는 시간, 바꾸어 말하면, 표시기의 표시가 불필요한 시간도 많다.Although the frequency of use of a mobile radio handset depends on the person using it, most of the day is in a standby state. In this case, there are many times when there is no intention to use, in other words, when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is unnecessary.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종래예로서 키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를 검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detecting the case where it is not used, the method of detecting the case where there is no key input more than predetermined time as a conventional example is mentioned.

하지만, 키 입력이 잠시 동안 없는 경우에도 표시를 행할 수 없게 되므로 불합리한 경우가 생긴다. 예컨대, 타이머 기능이 부착된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를 이동 중에 전화로는 사용하지 않지만, 시계 기능이나 스톱워치 기능으로서 표시기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유롭게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따른다.However, even if there is no key input for a while, the display cannot be performed, which makes it unreasonable. For example, although a mobile wireless telephone terminal with a timer function is not used as a telephone during movement, it is inconvenient to use it freely when the indicator is used as a clock function or a stopwatch function.

따라서, 전화로서 사용하지 않는 상태 외에, 어떤 조건에서는 표시기의 표시가 불필요하다는 점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선택할 수 있는 등의 융통성 있는 저소비 전류화 대책이 요망된다.Therefore, a flexible low-consumption current countermeasure, such as being able to selec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at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is unnecessary under some conditions other than the state of not being used as a telephone, is desired.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대기중에 절전을 또한 도모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나 간이형 휴대 전화기 등의 이동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terminal such as a portable telephone or a simple portable telephone that can further save power during standby.

제 1 발명은 통화 서비스 영역 외부 정보의 검출에 의해 표시기를 절전 상태로 함으로써 대기중에 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saving power during standby by putting an indicator into a power saving state by detecting information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제 2 발명은 전지 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표시기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함으로써 대기중에 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second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saving power in the air by stopping display of at least a part of the indicator when the battery level drop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제 3 발명은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된 경우에 표시기의 적어도 일부분의 표시를 중지함으로써 대기중에 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saving power in the air by stopping display of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when it is not in use.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이동용 무선전화 단말기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for explaining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이동용 무선전화 단말기의 전원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system of a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제3도는 이동용 무선전화 단말기의 표시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display contents of an indicator of a mobile radio telephone terminal.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용 무선전화 단말기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for explaining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2 차 전지의 전압 강하 특성을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voltage drop characteristics of a secondary battery.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이동용 무선전화 단말기의 구성도.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for explaining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마이크 2 : 오디오 회로1: microphone 2: audio circuit

3 : 변복조 회로 4 : 송신 회로3: modulation and demodulation circuit 4: transmission circuit

5 : 송수신 전환 회로 6 : 안테나5: transmission and reception switching circuit 6: antenna

7 : 수신 회로 8 : 스피커7: receiving circuit 8: speaker

9 : 키 10 : 제어부9: key 10: control unit

제 1 발명의 이동용 무선 단말기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와, 이 표시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와,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통화 서비스 영역의 내외를 표시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통화 서비스 영역 외부 정보의 검출에 의해 표시기가 절전 상태로 됨과 동시에, 통화 서비스 영역 내부 정보의 검출에 의해 표시기가 절전 상태에서 통상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mobile wireless terminal of the first invention includes an indicator for displa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 driver for driving the indicator,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nd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information for displaying inside and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And the display is brought into a power saving state by the detection of the call service area external information by the detecting means, and the indicator is returned from the power save state to the normal state by the detection of the information in the call service area. Doing.

제 2 발명의 이동용 무선 단말기는 문자 또는 그림 문자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와, 이 표시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와, 이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지 잔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전지 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된 경우에 표시기의 적어도 일부분의 표시를 중지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과, 표시기의 표시 중지시에 착호가 있던가 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표시기의 표시를 통상의 동작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mobile wireless terminal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icator for displaying characters or pictograms, a driver for driving the indicator,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battery remaining amount, and a battery remaining amount. Operating means for stopping display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icator when the display i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and returning means for returning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to normal operation when there is a call or a key input when the display is stopped. Doing.

제 3 발명의 이동용 무선 단말기는 문자 또는 그림문자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와, 이 표시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와,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된 경우에 표시기의 표시를 중지시키는 작동 수단과, 표시기의 표시 중지시에 호출이 있던가 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표시기의 표시를 통상의 동작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mobile wireless terminal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icator for displaying characters or pictograms, a driver for driving the indicato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use state, and an unused unit. Operating means for stopping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when the display is brought into a state, and returning means for returning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to normal operation when a call or key input is made when the display is stopped.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시예 1]Example 1

제1도는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의 실시예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terminal.

제1도에서, 1은 마이크, 2는 오디오 회로, 3은 변복조 회로, 4는 송신 회로, 5는 송수신 전환 회로, 6은 안테나, 7은 수신 회로, 8은 스피커, 9는 키, 10은 제어부, 11은 구동기, 12는 표시기, 21은 통화 서비스 영역 검출 회로이다.In FIG. 1, 1 is a microphone, 2 is an audio circuit, 3 is a demodulation circuit, 4 is a transmission circuit, 5 is a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circuit, 6 is an antenna, 7 is a reception circuit, 8 is a speaker, 9 is a key, and 10 is a control unit. , 11 is a driver, 12 is an indicator, and 21 is a call service area detection circuit.

도면에 나타낸 신호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The signal flow shown in the figure is as follows.

마이크(1)에서 입력 음성이 변환된 전기 신호는 오디오 회로(2)에서 증폭되고 변복조 회로(3)에서 변조된다. 이는 송신 회로(4)에서 고주파로 변환·증폭되고 송수신 전환 회로(5)를 통해 안테나(6)에서 공중으로 방사된다.The electrical signal to which the input voice is converted in the microphone 1 is amplified in the audio circuit 2 and modulated in the modulation / demodulation circuit 3. This is converted and amplified by the high frequency in the transmission circuit 4 and radiated to the air from the antenna 6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circuit 5.

한편, 안테나(6)에서 수신된 고주파는 송수신 전환 회로(5)를 통해 수신 회로(7)에 입력되어 증폭 ·주파수 변환되고 변복조 회로(3)에서 복조된 후, 오디오회로(2)에서 증폭되어 스피커(8)에서 음성으로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high frequency received by the antenna 6 is input to the receiving circuit 7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witching circuit 5, amplified and frequency converted, demodulated by the demodulation circuit 3, and then amplified by the audio circuit 2.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8.

단말기의 조작은 키(9)에서 행해지며, 이에 따라 제어부(10)가 각 회로를 제어해서 소정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performed by the key 9, whereby the control unit 10 can control each circuit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키 조작의 결과는 구동기(11)가 제어부(10)를 통해 표시기(12)의 표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표시기(12)에서 확인할 수 있다.The result of the key operation can be confirmed in the display 12 by the driver 11 controlling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display 12 through the control unit 10.

제2도에는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의 전원계가 도시되어 있다.2 shows a power system of a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제2도에서, 13은 전지, 14는 제어부 전원, 15는 송수(신) 전환 전원, 16은 송신 회로 전원, 17은 수신 회로 전원, 18은 변복조 회로 전원, 19은 오디오 회로 전원, 20은 표시기·구동기 전원이다.In FIG. 2, 13 is a battery, 14 is a control unit power supply, 15 is a power supply (new) switching power supply, 16 is a transmission circuit power supply, 17 is a receiving circuit power supply, 18 is a modulation / demodulation circuit power supply, 19 is an audio circuit power supply, and 20 an indicator Driver power.

전지(13)는 제어부 전원(14), 송수신 전환 전원(15), 송신 회로 전원(16), 수신 회로 전원(17), 변복조 회로 전원(18), 오디오 회로 전원(19), 표시기·구동기 전원(2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The battery 13 includes a control unit power supply 14, a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power supply 15, a transmission circuit power supply 16, a reception circuit power supply 17, a demodulation circuit power supply 18, an audio circuit power supply 19, an indicator / driver power supply. Supply DC power to (20).

제어부 전원(14) 이외의 각 전원 회로는 제어부(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한다.Each power supply circuit other than the control unit power supply 14 operates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

표시기(12)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해 표시를 행한다.The indicator 12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terminal.

예컨대, 제3도에 그 표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example is shown in FIG.

도면에는 그림 문자 3 개와 2 행의 10 개의 숫자가 도시되어 있다.The figure shows three pictograms and ten numbers in two rows.

3 개의 그림 문자의 가장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그림 문자는 「안테나 마이크와 전계 강도」 를 표시해 주며, 세로 막대(안테나 막대)의 개수는 수신 전계 강도의 대소를 표시하고 있으며, 전계 강도가 가장 약한 상태에서 강한 상태까지를 4단계, 즉 「안테나 막대 없음」, 「안테나 막대 1 개」, 「안테나 막대 2 개」, 「안테나 막대 3 개」 로 표시해 주고 있다.The glyph located at the left of the three glyphs indicates “antenna mic and electric field strength”, and the number of vertical bars (antenna bars) indicates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and the weakest electric field strength. Is shown in four stages: no antenna rod, one antenna rod, two antenna rods, and three antenna rods.

「공중」 은 단말기가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 기지국과의 교신에 의해 위치 등록이 되어 수신 가능 상태임을 표시한다."Aerial" indicates that when the terminal is in the call service area, the location is registered by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is in a reception possible state.

상기 그림 문자 중 가장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그림 문자는 「전지 잔량」을 표시해 주고 있으며, 세로 막대(배터리 막대)의 개수에 의해 전지 용량의 잔량의 대소가 표시된다. 전지 잔량이 적은 상태에서 큰 상태까지를 4 단계, 즉 「배터리 막대 없음」, 「배터리 막대 1 개」, 「배터리 막대 2 개」, 「배터리 막대 3개」 로 표시해 주고 있다.The pictograph located at the far right of the pictograms indicates “battery remaining”, and the magnitude of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capacity is indicated by the number of vertical bars (battery bars). The state from the low battery level to the large state is indicated by four steps, namely, "no battery bar", "one battery bar", "two battery bars", and "three battery bars".

따라서,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단말기는 키(9)를 조작해서 전원을 제공하면 전지(13)에서 제어부 전원(14)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부(10)가 동작을 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all service area, when the terminal operates the key 9 to supply power, the battery 13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 control unit power supply 14, so that the control unit 10 operates.

제어부(10)는 송수신 전환 전원(15), 송신 회로 전원(16), 수신 회로 전원(17), 변복조 회로 전원(18), 오디오 회로 전원(19), 표시기 ·구동기 전원(20)을 제어하여 송수신 전환 회로(5), 송신 회로(4), 수신 회로(7), 변복조 회로(3), 오디오 회로(2), 표시기(12), 구동기(11)에 전원을 공급해 준다.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power supply 15, the transmission circuit power supply 16, the reception circuit power supply 17, th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circuit power supply 18, the audio circuit power supply 19, and the indicator / driver power supply 20. Power is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circuit 5, the transmission circuit 4, the reception circuit 7, the modulation / demodulation circuit 3, the audio circuit 2, the display 12, and the driver 11.

각 회로가 스탠바이 상태로 됨으로써,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단말기는 인접한 기지국과 위치 등록을 위한 시퀀스 동작을 행한다.Each circuit is in a standby state,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the terminal performs a sequence operation for location registration with an adjacent base station.

통화 서비스 영역 검출 회로(21)는 기지국과의 제어 채널이 확립됨을 「영역 신호」 로서 확인한다.The call service area detection circuit 21 confirms as a "area signal" that the control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is established.

제어부(10)는, 「영역 신호」 가 통화 서비스 영역 내에 있음을 표시하는 상태로 되면 표시기(12)가 「공중」 을 표시하도록 구동기(11)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driver 11 so that the indicator 12 displays "air" when it is in a state indicating that the "area signal" is in the call service area.

이후에, 표시기(12)는 「공중」 을 표시하고, 또한 전계 강도를 표시하는 그림 문자 「안테나 마이크와 전계 강도」 를 전계 강도에 따라 표시한다.Subsequently, the indicator 12 displays "air" and also displays the pictogram "antenna microphone and electric field strength" indicat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according to the electric field strength.

위치 등록의 순서는 휴대 전화기나 간이형 휴대 전화기의 기술 기준으로서 제정된 표준 규격에 따라 행해진다The procedure of location registration i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standard standards established as technical standards for mobile phones and simple mobile phones.

통화 서비스 영역 검출 회로(21)는 설명을 위해 도시되어 있으며, 실제로는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다.The call service area detection circuit 21 is shown for illustration and is actually part of the software that controls the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공중」 이 표시되면 단말기는 발호 · 착호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언제나 사용할 수 있도록 표시기에는 모든 상태가 계속적으로 표시된다.When "Aerial" is displayed, the terminal can call and call. Therefore, the indicator continuously shows all states so that they are always available.

한편, 통화 서비스 영역 밖에서는 제어 채널이 확립되지 않으며, 「영역 신호」 가 통화 서비스 영역내임을 표시해 주지 않으므로 「공중」 은 표시되지 아니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발호·착호는 행해지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trol channel is not established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and the "area signal" does not indicate that it is in the call service area, "air" is not displayed. In this state, call and call are not performed.

따라서, 표시기의 표시는 그림 문자 「전지 잔량」 표시만으로 행해지거나, 영역밖임을 알리기 위한 「한계 외부」 표시가 행해진다.Therefore,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is performed only by the pictogram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or the "outside limit" display to indicate that it is out of the area.

단말기의 사용자가 장시간에 걸쳐서 통화 서비스 영역 밖에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는 실제로는 통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기(12)의 표시는 불필요하다.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is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for a long time,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12 is unnecessary because the terminal does not actually make a call.

이 때문에, 통화 서비스 영역 밖에서는 표시기(12)의 표시를 일부 또는 모두 중지 또는 간헐적으로 동작시켜도 자유롭게 사용하는데에는 큰 지장이 없다.For this reason, even if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12 is partially or all stopped or intermittently operated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there is no big problem in using it freely.

통화 서비스 영역내에서는 「ON」, 통화 서비스 영역 밖에서는 「OFF」 로 하고, 이를 「영역 신호」 로 하여, 통화 서비스 영역 검출 회로(21)로부터 제어부(10)에 송출하면 제어부(10)에서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call service area, it is set to "ON", and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OFF", and this is set as "area signal". When the signal is sent from the call service area detection circuit 21 to the control unit 10, the control unit 10 displays it. Can be controlled.

즉, 통화 서비스 영역 밖에서 「영역 신호」로서 「OFF」를 검출하고, 이 검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기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시를 중지하거나, 표시기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의 간헐 동작을 개시하는 절전 상태로 된다.That is, "OFF" is detected as an "area signal"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is detection time, the display of part or all of the indicator is stopped, or the intermittent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display of the indicator is started. The power saving state is entered.

따라서, 다음과 같은 표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following display operations can be performed.

예컨대, 간헐 동작을 하는 경우에, 주기를 P로 하고, 표시 시간의 길이를 T로 하면, 표시 시간 빈도, 즉 듀티비(duty ratio)는 T/P×100(%)로 표시된다. 이 듀티비를 「영역 신호」 가 「ON」 (통화 서비스 영역내)인 경우는 통상적으로 100%로 하고 「영역 신호」 가 「OFF」 (통화 서비스 영역 밖)인 경우는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100%에 가까운 수치로 하여 경과 시간과 더불어 줄여감으로써 자유롭게 사용하는데에는 불편함이 없이 통화 서비스 영역 근처에서의 상황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이는 통화 서비스 영역 끝에서 「영역 신호」의 상태가 불안정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행해진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ntermittent operation, when the period is set to P and the length of the display time is set to T, the display time frequency, that is, the duty ratio, is expressed by T / P × 100 (%). This duty ratio is usually 100% when "area signal" is "ON" (in call service area) 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area signal" is "OFF" (out of call service area). Up to 100% of the number is reduced along with the elapsed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changes in the situation near the call service area without any inconvenience in free use. This is done because the state of the "area signal" may become unstable at the end of the call service area.

단, 통화 서비스 영역 밖에 있는 경우에도 전지 잔량을 확인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다시 표시를 하게 된다.However, the battery level may be checked even if the phone is out of the call service area, and if a key is input, the display is displayed again.

또한, 다음에, 통화 서비스 영역 내로 다시 이동한 경우에는 통화 서비스 영역 검출 회로(21)가 제어 채널의 확립을 행하므로 「영역 신호」 가 통화 서비스 영역내에 있음을 표시하는 「ON」 으로 되므로, 다시 「공중」 이 표시된다. 이때에는 통상의 표시 동작을 수반하는 대기 상태로 된다.In addition, when it moves next to the call service area again, since the call service area detection circuit 21 establishes the control channel, it becomes " ON " indicating that the " area signal " "Air"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standby state is accompanied by a normal display operation.

이 실시예에 의하면, 통화 서비스 영역 밖에서 소정의 시간 이후에는 대기 전류의 저소비 전류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대기 시간의 장시간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tandby current can be reduced in current consump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and the standby time can be extended for a long time.

[실시예 2]Example 2

제4도는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의 실시예 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terminal.

제4도에서, 1은 마이크, 2는 오디오 회로, 3은 변복조 회로, 4는 송신 회로, 5는 송수신 전환 회로, 6은 안테나, 7은 수신 회로, 8은 스피커, 9는 키, 10은 제어부, 11은 구동기, 12는 표시기, 22는 전지 전압 · 전지 잔량 검출 회로이다.In FIG. 4, 1 is a microphone, 2 is an audio circuit, 3 is a demodulation circuit, 4 is a transmission circuit, 5 is a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circuit, 6 is an antenna, 7 is a reception circuit, 8 is a speaker, 9 is a key, and 10 is a control unit. 11 is a driver, 12 is an indicator, and 22 is a battery voltage and remaining battery detection circuit.

전지 전압·전지 잔량 검출 회로(22)는 전지 전압의 검출과 전지 잔량의 계산을 행하고 전지 잔량 신호를 제어부(10)로 송출한다.The battery voltage and remaining battery detection circuit 22 detects the battery voltage and calculates the remaining battery power, and sends a battery remaining signal to the controller 10.

그밖의 경우에 대해서는 제1도와 같다. 전원계는 제2도와 같다.Other cases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The power meter is shown in FIG.

전지(13)의 전압 강하 특성은 통상적으로 방전됨에 따라 전압이 저하되는 특성, 즉 경과 시간과 더불어 출력 전압이 단조롭게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전지종류별 고유의 특성을 사전에 파악함으로써 전지 잔량을 예측할 수 있다.The voltage drop characteristic of the battery 13 is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voltage decreases as the battery is discharged, that is, the output voltage monotonously decreases with the elapsed time, and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can be predicted by grasping inh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battery type in advance. have.

단, 전지의 전압 저하 특성은 전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However, the voltage drop characteristic of a battery changes with kinds of batteries.

제5도에는 전지의 전압 강하 특성의 한 예를 도시되어 있다.5 shows an example of the voltage drop characteristic of the battery.

도면에서, 가로축은 경과 시간, 세로축은 부하의 소비 전류가 일정한 경우의 전지의 출력 전압이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직선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곡선이더라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낸다.In the figure,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elapsed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when the load consumption current is constant. Although shown in a straight line for the sake of simplicity, even the curve shows the same tendency.

가득 충전된 전지(13)를 사용하고 부하의 소비 전류가 일정하다는 조건하에서의 전압 강하 특성이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The voltage drop characteristic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fully charged battery 13 is used and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load is constant is shown in FIG.

사용 개시 시간(t1)에서 초기 전압(V1), 전지(13)의 사용 한계인 시종(始終)전압(V2)까지 계속해서 사용하였다면 사용 시간은 t2이다.Using the start time (t 1) If continuously used up to the initial voltage (V 1), the operating limits AB of the battery (13) (始終) voltage (V 2) is used at the time t 2.

단,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저 전압은 V3로 한다. 이 경우에는 전압(V3)까지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t3이다However, the minimum voltage for the use of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s is V 3 . In this case, the available time up to the voltage (V 3 ) is t 3 .

이때, 전압(V4)을 감시함으로써 전지 잔량을 예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can be predicted by monitoring the voltage V 4 .

이제, 어느 시간(t4)에서 전압을 V4라고 하면, 전압 강하 특성은 직선 형태이므로, 전지 잔량 시간은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Now, assuming that the voltage is V 4 at any time t 4 , the voltage drop characteristic is in a straight line, and thus the battery remaining time is calculated as follows.

이제까지의 사용 시간 t4-t1(1)Ever Use Time t 4 -t 1 (1)

사용가능한 나머지 시간 t3-t4(2)Remaining time available t 3 -t 4 (2)

t4=t1+(t3-t1) × (V1-V4)/(V1-V3) (3)t 4 = t 1 + (t 3 -t 1 ) × (V 1 -V 4 ) / (V 1 -V 3 ) (3)

t1= 0라고 하면, 사용 가능한 나머지 시간은 아래 식으로 표시된다.If t 1 = 0, the remaining time available is expressed as:

t3-t4=t3-t3× (V1-V4) / (V1-V3)t 3 -t 4 = t 3 -t 3 × (V 1 -V 4 ) / (V 1 -V 3 )

=t3× (V4-V3) / (V1-V3) (4)= t 3 × (V 4 -V 3 ) / (V 1 -V 3 ) (4)

여기서, 사용 가능한 나머지 시간(t3-t4)을 사용 가능한 시간비(R)로 나타내면,Here, the remaining available time (t3-t 4 ) is represented by the available time ratio (R),

R= (t3- t4) / t3× 100(%) (5)R = (t 3 -t 4 ) / t 3 × 100 (%) (5)

이다.to be.

전지 잔량 신호로서, 사용 가능한 나머지 시간(t3-t4) 또는 사용 가능한 시간비(R)를 사용해서 이를 제어부(10)에 송출한다.As the battery remaining signal, it is sent to the control unit 10 using the remaining available time (t 3 -t 4 ) or the available time ratio (R).

제어부(10)에서는 예컨대 R이 50%로 되면 표시기(12)의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중지시키거나 간헐 동작을 시키기 때문에 구동기(11)에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0 reaches 50%, part or all of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12 is stopped or the intermitt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control signal can be sent to the driver 11.

단, 전지 잔량이 적은 상태에서도 전지 잔량의 확인으로서 표시하는 의미는 있으므로 키(9)의 조작이 있은 경우에는 다시 표시를 행한다. 또한, 착호가 있는 경우에도 다시 표시를 행한다.However, there is a meaning of displaying as confirmation of the remaining battery level even in a state where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low, and when the key 9 is operated, the display is performed again. In addition, even when there is a call, display is performed again.

또한, 단말기에 따라서는 표시 내용에 제2도의 내용 이외에 시각 표시 기능이 있는 것도 있다.Some terminals may have a visual display function in addition to the contents of FIG. 2 in the display contents.

이 경우에, 표시 전체에 대해서 간헐 동작을 시키거나 표시의 일부로서 전지 잔량을 표시하는 그림 문자 「전지 잔량」 만을 간헐 동작시킬 수도 있다.In this case, intermittent operation may be performed for the entire display, or only the pictogram “battery remaining amount” indicating the remaining battery level as part of the display may be intermittently operated.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지 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된 경우에 대기 전류의 저소비 전류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lower the standby current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중지시키거나 간헐 동작시키는 등에 의해 전지 잔량이 줄어든 것을 그림 문자 「전지 잔량」의 배터리 막대 개수의 표시 이상으로 실감으로서 양호하게 알 수 있는 효과와, 충전의 필요성을 크게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ffect that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s reduced by stopping or intermittently operating part or all of the display or the like is better than the display of the number of battery bars in the figure “battery level remaining”, and the effect can be well understoo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feel the need for charging.

[실시예 3]Example 3

제6도는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의 실시예 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terminal.

제6도에서, 1은 마이크, 2는 오디오 회로, 3은 변복조 회로, 4는 송신 회로, 5는 송수신 전환 회로, 6은 안테나, 7은 수신 회로, 8은 스피커, 9는 키, 10은 제어부, 11은 구동기, 12는 표시기, 23은 사용 상태 검출 회로이다.In FIG. 6, 1 is a microphone, 2 is an audio circuit, 3 is a demodulation circuit, 4 is a transmission circuit, 5 is a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circuit, 6 is an antenna, 7 is a reception circuit, 8 is a speaker, 9 is a key, and 10 is a control unit. Is a driver, 12 is an indicator, and 23 is a use state detection circuit.

도면의 신호의 흐름은 사용 상태 검출 회로(23)가 사용 상태를 검지하여 사용 상태 신호를 생성한다.In the flow of the signal in the figure, the use state detection circuit 23 detects the use state and generates a use state signal.

그밖의 것에 대해서는 제1도와 같다. 전원계는 제2도와 같다.Other things are the same as FIG. The power meter is shown in FIG.

여기에서는 수신 전계 강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되지 않는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 a method of detecting an unused state using a change i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will be described.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에서는 이동 중일 때나 통화 중일 때에 수신 전계 강도가 비교적 크게 변한다.In a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changes relatively while moving or during a call.

한편, 이동용 무선 전화 단말기가 한 장소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주위의 환경 변화가 커지더라도 수신 전계 강도의 변화는 비교적 적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mobile radiotelephone terminal is stopped at one place, the change in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relatively small even i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es.

사용 상태 신호로서, 예컨대 전계 강도가 소정치 이하로 수신될 수 있는 기지국의 전파를 사용하여 이 기지국 고유 번호를 계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그 기지국 고유 번호를 사용 상태 검출 회로(23)로부터 제어부(10)에 송출한다.As the use state signal, the base station unique number is continuously monitored from the use state detection circuit 23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base station unique number using, for example, radio waves of the base station whose electric field strength can be receiv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Send it out.

제어부(10)에서, 그 기지국이 소정 시간 내에 안정되어 수신될 수 있는 경우에, 그 단말기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기(12)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시를 중지하거나 간헐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부(10)는 구동기(11)에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In the controller 10, if the base station can be stably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is not in use, so that the controller 10 stops or intermittently operates the display of part or all of the indicator 12. 1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driver 11.

단,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착호 또는 키(9)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다시 표시를 행한다.However, even when not in use, if there is a call or operation of the key 9, display is performed again.

이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키 입력은 없지만, 이동 중에 계속해서 표시기에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상술한 설명과 같이 타이머 기능의 이용 등으로 대기하는 경우에 편리하고, 수신 전류의 저소비 전류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key input, but wants to continuously display on the display while moving, for example, it is convenient when waiting by use of a timer function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that it can plan is obtained.

또한, 사용 상태를 검출하는데 다른 방법을 고려할 수도 있다.In addition, other methods may be considered for detecting the state of use.

단말기에서는, 위치 등록을 하는 기지국은 하나이지만, 통상적으로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고 복수의 기지국 고유 번호를 알 수 있다.In the terminal, although there is only one base station for location registra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radio waves from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to know a plurality of base station unique numbers.

이중에는 단말기의 수신 감도 한계 부근의 작은 전계 강도의 전파도 있으며, 따라서 이 작은 전계 강도의 전파에 착안해서 행함으로써 이 기지국 고유 번호의 전파의 수신 여부를 알 수 있다.Of these, there is also a small electric field strength propagation near the reception sensitivity limit of the termi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base station unique number has been received by paying attention to this small electric field strength propagation.

소정의 시간 동안, 이 기지국 고유 번호가 안정되어 수신되면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해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는 기지국 고유 번호 감시법이 고려 된다.For a predetermined time, the base station unique number monitoring method that considers that the base station unique number is stationary and is not in use is considered to be unused.

사용 상태 신호로서, 예컨대 수신 전계 강도가 소정치 이하로 수신되는 기지국의 전파를 시용해서 이 기지국 고유번호를 계속해서 감시함으로써 이 기지국 고유 번호를 사용 상태 검출 회로(23)로부터 제어부(10)에 송출한다.As the use status signal,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unique number is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use state detection circuit 23 to the control unit 10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base station unique number by using the radio wave of the base station whose reception electric field strength is receiv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do.

제어부(10)에서 이 기지국이 소정 시간내에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해서 표시기(12)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시를 중지하거나 간헐 동작시키기 때문에 제어부(10)는 구동기(11)에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가 있다.If the control unit 10 can stably receive the base st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terminal 1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is not in use and stops or intermittently operates the display of part or all of the display 12. The control signal can be sent to (11).

단,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착호 또는 키(9)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다시 표시를 행한다.However, if there is a call or operation of the key 9 even when it is not used, display is performed again.

이 실시예에 의하면, 역시 상술하였지만, 예컨대 키 입력은 없지만, 전철이나 자동차에서 이동 중에 계속적으로 표시기에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상술한 설명과 같이 타이머 기능의 이용 등으로 대기하는 경우에 편리하고 대기 전류의 저소비 전류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re is no key input, but when it is desired to continuously display on the indicator while moving in a train or a car, for example, it is convenient and waiting when using the timer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urrent consumption can be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화 서비스 영역밖에 있으면 표시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표시를 중지시키거나 간헐 동작시키기 때문에, 대기 시간의 연장이 도모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is stopped or intermittently operated for part or all of the display when it is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the waiting time can be extended.

또한, 전지 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표시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표시를 중지시키거나 간헐 동작시키기 때문에, 대기 시간의 연장이 도모된다.In addition,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the display is stopped or intermittently operated for part or all of the display, so that the waiting time can be extended.

또한, 사용 상태를 감시하여,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표시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표시를 중지시키거나 간결 동작시키기 때문에, 대기 시간의 연장이 도모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use is not used and the display is judged not to be used, the display is stopped or briefly operated for a part or all of the indicator, so that the waiting time is extended.

여러 시용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을 따르기 때문에, 자유로운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면서 대기 시간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Since a method for responding to various application situations is follow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iting time can be extended without any inconvenience in free use.

이와 같이 대기 시간의 연장이 도모되는 효과와, 동일한 대기 시간이라면 전지용량을 줄일 수 있고 소형화 및 저가격화에 대한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effect of prolonging the standby time and the same standby time can reduce the battery capacity and have the effect of miniaturization and low price.

제 1 발명에 의하면, 통화 서비스 영역 밖 정보의 검출에 의해 표시기를 절전 상태로 함으로써 대기중에 절전을 실현할 수 있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realizing power saving during standby by bringing the display to a power saving state by detecting information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제 2 발명에 의하면, 전지 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된 경우에 표시기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함으로써 대기중에 절전을 실현할 수 있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realizing power saving in the air can be provided by stopping display of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제 3 발명에 의하면,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표시기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함으로써 대기중에 절전을 실현할 수 있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realizing power saving in the air by stopping display of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when not in use.

Claims (4)

문자 또는 그림 문자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와, 이 표시기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이 드라이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이동용무선단말기에 있어서, 통상시에는, 상기 제어부는 표시기의 전(全) 표시영역에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절전시에는, 상기 제어부는 표시기의 상기 전 표시영역의 일부의 특정 표시 영역에만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In a mobi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display for displaying characters or pictograms, a driver for driving the displa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the control unit normally displays the entir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driver so that the display is displayed in an area, and during power saving,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er to display only a specific display area of a part of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무선 단말기가 통화 서비스 지역의 내외의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수단이 통화 서비스 지역의 바깥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였을 때,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하는 수단과, 통화 서비스 지역 안으로 복귀한 것을 검출하였을 때, 표시기를 전 표시상태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where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in and out of the call service area,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detecting means is located outside the call service area. And a means for stopping display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and means for returning the indicator to the full display state when detecting that the display is returned to the call servic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무선 단말기가 전지 잔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전지 잔량이 소정치 이하가 된 경우에, 표시기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하는 수단과, 표시기가 일부의 표시를 중지하고 있을 때에, 착호(着呼)가 있던가, 키(key)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표시기를 전 표시 상태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2.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is provided with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remaining battery level, and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means for stopping display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icator, and the indicator is partially displayed. And a means for returning the indicator to the full display state when there is a call or a key input when the call is st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무선 단말기가 사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불사용 상태가 된 경우에, 표시기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하는 수단과, 표시기가 일부의 표시를 중지하고 있을 때에, 착호(着呼)가 있던가 키(key)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표시기를 전 표시 상태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무선 단말기.2.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is provided with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use state, and in the case of being in an unused state, means for stopping display of at least a part of the indicator, and the indicator stops displaying part of the display. And a means for returning the indicator to the full display state when there is a call or a key input when there is a call.
KR1019970024790A 1996-06-26 1997-06-10 Mobile wireless terminal Expired - Lifetime KR1002981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65983 1996-06-26
JP16598396A JP3462009B2 (en) 1996-06-26 1996-06-26 Mobile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988A KR980006988A (en) 1998-03-30
KR100298109B1 true KR100298109B1 (en) 2001-10-24

Family

ID=1582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790A Expired - Lifetime KR100298109B1 (en) 1996-06-26 1997-06-10 Mobile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62009B2 (en)
KR (1) KR100298109B1 (en)
TW (1) TW329067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1117B2 (en) 2004-01-14 2010-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the kind of current communication service of dual mode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772A (en)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Method for saving power of cellular phone terminal
KR20020066033A (en) * 2001-02-08 2002-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Portable phon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display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
KR100768854B1 (en) 2005-09-29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low power function and its driv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3021A (en) * 1986-07-26 1988-02-12 Nec Corp Portable wireless telephone set
JPH01314440A (en) * 1988-06-14 1989-12-19 Toshiba Corp Moving body communication device
JPH0669853A (en) * 1992-08-18 1994-03-11 Hitachi Lt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cordless phones
KR960003268A (en) * 1994-06-21 1996-01-26 구자홍 Power sav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960039717A (en) * 1995-04-08 1996-11-25 구자홍 How to Control Backlight of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3021A (en) * 1986-07-26 1988-02-12 Nec Corp Portable wireless telephone set
JPH01314440A (en) * 1988-06-14 1989-12-19 Toshiba Corp Moving body communication device
JPH0669853A (en) * 1992-08-18 1994-03-11 Hitachi Lt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cordless phones
KR960003268A (en) * 1994-06-21 1996-01-26 구자홍 Power sav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960039717A (en) * 1995-04-08 1996-11-25 구자홍 How to Control Backlight of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1117B2 (en) 2004-01-14 2010-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the kind of current communication service of dual mod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3322A (en) 1998-01-16
JP3462009B2 (en) 2003-11-05
TW329067B (en) 1998-04-01
KR980006988A (en)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583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2561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power in an integrated electronic device that includes a pda and a wireless telephone
JP2555054B2 (en) Compound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KR100293997B1 (en)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of cordless telephone set
US673195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aving battery power by switching communication mode
US4985912A (en) Radio telephone device
KR100298109B1 (en) Mobile wireless terminal
JPH03217129A (en) Automobile telephone system
JP2006254317A (en) Wireless terminal
EP2341702A1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automatic power control
JPH10290195A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661549B1 (en) How to save battery in mobile terminal
JP2001069566A (en) Composite mobile terminal
JPS6062743A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2879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mobile phones
JP2925804B2 (en) Transmission method of display signal between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of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JP3250892B2 (en) Mobile /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JP4561985B2 (en) Wireless terminal
KR100581828B1 (en) Battery power saver for mobile terminals
JPH0364133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terminal equipment
KR100584402B1 (en) How the Clock and Alarm Modes Work in a Mobile Cordless Phone
JP2006180409A (en) Wireless navigation system, wireless control apparatus, wireless navigation method and wireless navigation program
JPH05207174A (en) Line terminal system
KR100357124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465068B2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