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289B1 - 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t-end fastener unit - Google Patents
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t-end fastener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7289B1 KR100237289B1 KR1019970055800A KR19970055800A KR100237289B1 KR 100237289 B1 KR100237289 B1 KR 100237289B1 KR 1019970055800 A KR1019970055800 A KR 1019970055800A KR 19970055800 A KR19970055800 A KR 19970055800A KR 100237289 B1 KR100237289 B1 KR 1002372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er unit
- main body
- end fastener
- unit
- supply pass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29C45/1771—Means for guiding or orienting articles while dropped from the mould, e.g. guide rails or ski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7—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이나 장갑 등과 같이 켤레로 구성되는 물품을 묶어주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의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우 양쪽에 한쌍씩의 공압연결구와 공압통로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쪽에 형성되어 척킹 유닛에 의하여 취출되어 낙하하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받아주는 복수열의 공급통로와, 상기 공급통로의 중간부분에 고정되며, 양면에 수직안내홈이 다수 형성된 고정안내금구와, 상기 고정안내금구의 양면에 밀착되어 승강작동을 하도록 수직안내돌기가 돌설되어 있으며, 낙하된 티엔드 화스너 유닛의 일측 핀부분을 받쳐주는 받침레일편이 수평상으로 돌설된 한쌍의 승강금구와, 상기 본체 저부의 고정안내봉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부착된 공압실린더 및 상기 본체와 고정판 사이에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압실린더의 피스톤 출물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금구를 승강작동시키는 승강판으로 구성하므로서 척킹 유닛에서 낙하된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자동으로 세워주므로서 공압을 이용한 이송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a t-end fastener unit for tying a pair of articles, such as socks or glove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air of pneumatic connectors and a pneumatic passag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 plurality of rows of supply passages formed on both sides to receive the falling end of the teeing fastener unit, and fixed to a middle portion of the supply passage, fixed guide brackets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fixing guides. Vertical guide protrusions protrude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racket, and a pair of lifting brackets which horizontally protrudes a supporting rail piece supporting one pin portion of the dropped T-end fastener unit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re fixed. Pneumatic cylinder attached to the fixed plate fixed to the guide rod and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xed plate, It consists of a lifting plat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bracket by the piston ejection opera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so that the teeing fastener unit dropped from the chucking unit is automatically erected so as to automate the transfer operation using pneumatic pressur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말이나 장갑 등과 같이 켤레로 구성되는 물품을 묶어주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T-END FASTENER UNIT)의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a T-END fastener unit (T-END FASTENER UNIT) for tying articles composed of a pair such as socks or gloves.
일반적으로 물품에 꼬리표를 부착시키기 위한 화스너 또는 양말과 같은 물품을 묶어주기 위한 티엔드 화스너 등은 수십개가 한 묶음으로 사출성형되고 있으며, 이렇게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된 화스너 유닛은 체인연신기를 거치면서 연신가공된 다음 일정수량으로 포장되어 납품되고 있다.In general, tens of fasteners for attaching a tag to an article such as fasteners or socks are injection molded in a bundle of dozens, and the plastic injection-molded fastener unit is stretched through a chain drawing machine. It is then packaged and delivered in a certain quantity.
상기한 화스너 유닛들은 로보트팔이라 불리우는 척킹 유닛(CHUCKING UNIT)에 의하여 사출금형에서 취출되고 있으며, 상기 척킹 유닛은 화스너 유닛을 사출금형에서 취출한 후 놓아줄 때 화스너 유닛을 옆으로 눕혀진 상태로 떨어뜨리게 된다.The fastener units are taken out of the injection mold by a chucking unit called a robot arm, and the chucking unit falls into a state in which the fastener unit is lying on its side when the fastener unit is taken out of the injection mold and then released. Thrown away.
상기한 화스너 유닛들 중 꼬리표로 사용되는 화스너 유닛의 경우는 크기가 비교적 크고 또 일측의 중량이 무거운 관계로 척킹 유닛이 밑으로 떨어뜨리게 되면 중량이 무거운 쪽의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그 일례로서 본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94-30436호 (공개번호 제96-17094호)의 발명에 의하면 꼬리표 부착용 화스너 유닛은 척킹 유닛으로 취출된 후 옆으로 눕혀진 상태로 자동공급장치에 낙하되더라도 자중에 의해 이송홈으로 삽입될 때 중량이 무거운 쪽이 밑에 위치하는 상태로 세워지게 되어 체인연신기로 자동이송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The fastener unit used as a tag among the fastener units is relatively large in size and heavy on one side, so that when the chucking unit falls down, the weight is erected vertically by its own weight.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Patent Application No. 94-30436 (Publication No. 96-17094), which is filed by the applicant, the tag attachment fastener unit is taken out as a chucking unit and then falls to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in a state of lying on its side. Even if it is inserted into the transfer groove by its own weight, the heavier side is placed in the state of being placed underneath, so that the automatic transfer to the chain drawing machine is possible.
그런데 양말 등을 묶어주기 위한 티엔드 화스너 유닛의 경우는 크기도 작지만 어느 일측이 특별히 무거운 상태도 아니기 때문에 척킹 유닛에 의하여 사출금형에서 취출된 상태 그대로 낙하되기 때문에 종래에는 척킹 유닛으로부터 낙하된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작업자가 일일이 세워주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전기한 본원인의 선출원 발명의 자동공급장치와 같이 척킹 유닛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그대로 받아주게 될 경우에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이 옆으로 누워있는 상태가 되어 자동이송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똑바르게 세워놓는 작업을 인력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인건비에 의하여 생산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T-end fastener unit for tying socks, etc., the size is small, but since one side is not particularly heavy, the T-end fastener dropped from the injection mold by the chucking unit is dropped. If the unit is relying on manual work by the operator, and if it receives the falling from the chucking unit, such as the self-applying device of the original application of the inventor of the T-end fastener unit, the T-end fastener unit is placed sideways. Since it is in a state of lying down and automatic transfer is impossible, the work of setting up the T-end fastener unit upright should be performed by manpower, causing a problem such as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due to labor cos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척킹 유닛으로부터 낙하되어 옆으로 누워있게 되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자동으로 똑바르게 세워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체인연신기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받아주는 복수열의 공급통로가 서로 교대적으로 이송통로에 일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 공급통로에 있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압축공기로 밀어낼 때 상기 티엔드 화스너 유닛이 똑바르게 기립된 상태로 공급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is to facilitate the transfer to the chain stretching machine while allowing the T-end fastener unit to fall down from the chucking unit and automatically erect the straight end. In addition, it is another purpos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allowing the supply passage of the plurality of rows to receive the end of the T-end fastener unit to alternately match the transfer path, and to compress the air of the T-end fastener unit in the supply passage Another purpose is to allow the t-end fastener unit to be supplied in an upright position when being pushed ou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 기재에 의하면, 본체와; 사출성형된 후 척킹 유닛에 의하여 사출기로부터 취출되어 상기 본체 상방으로부터 낙하하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수용하여 전방의 연신기로 공급해주도록 상기 본체에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는 공급통로와; 상기 공급통로의 일측벽면을 형성하는 고정안내금구의 내벽면의 안내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금구와; 상기 척킹 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티엔드 화스터 유닛의 일측 핀부분을 받쳐 주도록 상기 승강금구로부터 타측벽면을 향해 돌설되며, 상기 승강금구의 상승시 상기 티엔드 화스너 유닛의 일측을 밀어올려 입설시키도록 작동하는 받침레일편과; 상기 공급통로내에 낙하된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입설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금구를 밀어올리도록 작동하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공급통로내에 입설된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전방으로 급송하기 위하여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공압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써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연산 가능한 상태로 입설시켜 연신기로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2항 기재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상기 공급통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대상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용 실린더가 상기 본체의 일측방으로 기대상에 고정설치되므로써 본체전방에 마련되는 하나의 이송통로에 대하여 본체에 형성된 복수열의 공급통로를 순차적으로 일치시켜 각각의 공급통로상에 낙하 안치된 다량의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연속적으로 급송하게 되므로써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그리고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 제3항 기재에 의하면 상기 받침레일편과의 사이에 입설 상태의 티엔드 화스너 유닛의 일측 핀부분을 수용하도록 상기 승강금구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레일편을 구비하므로써 압축공기에 의해 이송되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의 안전한 이송을 안내하게 된다.And according to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이송장치의 평면 구성도.1 and 2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ic transport apparatu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 2 : 기대1: body 2: expect
3 : 승강금구 4 : 고정안내금구3: lifting bracket 4: fixed guide bracket
5 : 승강판 6 : 고정판5: lifting plate 6: fixing plate
7 : 공압실린더 8 : 스프링7: pneumatic cylinder 8: spring
9 : 수평이동용 실린더 11 : 공급통로9: cylinder for horizontal movement 11: supply passage
12 : 바닥면 13 : 고정안내봉12: bottom surface 13: fixed guide rod
14a,14b : 공압로 21 : 레일14a, 14b: Pneumatic path 21: Rail
31 : 수직안내돌기 32 : 받침레일편31: vertical guide protrusion 32: support rail
33 : 가이드레일편 34 : 연결봉33: guide rail flight 34: connecting rod
41 : 수직안내홈 71,91 : 피스톤41:
100 : 티엔드 화스너 유닛 100a : 일측 핀부분100: T-
200 : 이송안내기 201 : 이송통로200: transfer guide 201: transfer path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이송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며,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척킹 유닛으로부터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받아주는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본체(1)는 기대(2)에 두 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각각의 본체(1)에는 복수열의 공급통로(11)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사출금형(도시 없음)에서 사출성형되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의 개수에 맞추어 설치되는 것이다.1 and 2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ic transport apparatu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2, Figures 5 and 6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즉, 본 발명은 두 대의 본체(1)와 그 각각에 형성된 복수열의 공급통로(11)에는 총 8개의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갯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ight main
상기 본체(1)에 형성되는 복수열의 공급통로(11) 각각의 내측에는 한쌍의 승강금구(3)가 대설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금구(3)는 중간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안내금구(4)에 밀착된 상태에서 승강작동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이다.A pair of
상기 한쌍의 승강금구(3)와 고정안내금구(4)의 밀착면에는 수직안내돌기(31)와 수직안내홈(41)을 형성하여 승강금구(3)가 떨림현상없이 정확하게 승강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A
상기 승강금구(3)의 외면측 즉, 공급통로(11)를 향해 받침레일편(32)과 가이드레일편(33)이 2단으로 수평하게 돌설되는데, 상기 받침레일편(32)은 공급통로(11)의 바닥면(12)과 수평을 이루도록 길게 돌설되며, 상기 가이드레일편(33)은 받침레일편(32)보다는 조금 짧게 돌설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승강금구(3) 각각의 저부에는 본체(1)의 저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연결봉(34)이 승강판(5)에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bottom of each
상기 승강판(5)의 양측에는 고정판(6)을 붙잡아주는 고정안내봉(13)이 관통되며, 또 상기 고정판(6)에 부착된 공압실린더(7)의 피스톤(71)에 부착된 상태하에서 승강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On both sides of the
그리고 상기 승강판(5)은 고정안내봉(13)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스프링(8)에 의하여 탄력지지되어 있다.And the lifting plate (5)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8)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fixed guide rod (13).
두 대의 본체(1) 각각은 기대(2) 상면의 레일(21)에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데, 본체(1)의 슬라이딩 이동은 기대(2) 양측에 고정설치된 수평이동용 실린더(9)의 피스톤(91)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Each of the two
한편, 두 대의 본체(1)에 형성된 복수열의 공급통로(11) 각각에는 공압호스가 연결되는 공압로(14a)(14b)가 한쌍씩 형성되는데, 일측 공압로(14a)는 공급통로(11)와 일직선상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짧게 형성되며, 타측 공압로(14b)는 공급통로(11)의 중간부분에 공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of
상기한 본체(1)의 일측에는 체인연신기(도시 없음)로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안내기(200)가 형성되는데, 체인연신기에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 두 개를 동시에 연신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송안내기(200)에는 두 줄의 이송통로(201)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 대의 본체(1) 각각에 형성된 복수열의 공급통로(11)는 상기한 이송통로(201)에 교대적으로 일치하면서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One side of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으로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공급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supplying the end-end fastener unit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두 대의 본체(11)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복수열의 공급통로(11) 각각에 공급된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을 이송시키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도 및 제2도의 도시예와 같이 기대(2)의 양측에 설치된 수평이동용 실린더(9)의 피스톤(91)이 출현작동하였을 때에는 두 대의 본체(1)가 레일(21)을 타고 서로 마주하는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외측에 위치한 공급통로(11)가 이송안내기(200)의 이송통로(201)에 일치하게 되며(제1도 참조), 그 다음에는 상기한 피스톤(91)의 몰입작동에 의해 두 대의 본체(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측에 위치한 공급통로(11)가 이송통로(201)와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First, the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end-
상기에서, 이송통로(201)와 일치하는 내,외측 공급통로(11) 각각에는 두 개의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이 공급된 상태이므로 그 두 개의 티엔드 화스너 유닛들이 교대로 이송되는 것인데, 이때에는 본체(1)의 양측에 길게 형성된 공압로(14b)에 공압이 먼저 공급되므로 공급통로(11)의 후방측에 있는 것 즉, 이송통로(201)에 근접해 있는 것(도면상 공급통로 우측에 있는 것)이 먼저 이송되고, 그 다음에 짧은 공압로(14a)에 공압이 공급되어 나머지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을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above, since two tee
상기와 같이 공압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을 이송하는 작동은 콘트롤장치(도시없음)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또 본체(1)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용 실린더(9) 그리고 승강금구(3)를 승강작동시키는 공압실린더(7) 등의 작동도 콘트롤장치가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sequentially transferring the t-
다음 두 대의 본체(1) 각각에 형성된 복수열의 공급통로(11)에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의 공급되는 과정과 공급통로(11)에 공급된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체인연신기에 이송시킬 수 있도록 똑바르게 정렬시키는데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한다.Next,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end-
제5도 및 제6도는 한 대의 본체(1)를 발췌하여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5도에서 보듯이 척킹 유닛은 사출금형에서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을 취출한 후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는데, 그 설정된 위치는 바로 본체(1)의 직상방이며, 이때 척킹 유닛에 의해 취출되어 낙하하기 직전의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은 옆으로 누운 상태로 있게 되며, 이같은 상태에서 공급통로(11)로 낙하되어 진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by extracting one
따라서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은 옆으로 누운 상태로 공급통로(11)에 안착되는데, 이때 공급통로(11)의 내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승강금구(3)는 하강한 상태이므로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은 제5도의 실선부분과 같이 옆으로 누워있는 상태이며, 이같이 공급통로(11)에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이 공급된 상태가 되면 공압실린더(7)의 피스톤(71)이 출현작동하여 승강판(5)을 상승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금구(3)도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승하는 받침레일편(32)이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의 일측 핀부분(100A)을 상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므로서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은 공급통로(11)안에서 대략 90°회전하게 되는 상태가 되며, 이같은 회전작동은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을 똑바르게 세워주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end
또한, 상기와 같이 똑바르게 세워진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은 받침레일편(32)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 가이드레일편(33)이 일측 핀부분(100a)의 상측을 덮고 있는 상태가 되어 공압으로 이송시킬 때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이 자세가 흐트러짐 없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 채 이송통로(201)로 이송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
상기와 같이 본체(1)의 공급통로(11)에 공급된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을 자세반전시켜 똑바르게 하여 이송통로(201)로의 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공압실린더(7)의 피스톤(71)이 몰입작동과 압축되었던 스프링(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승강판(5)이 원위치로 하강하게 되므로서 승강금구(3) 역시 원래의 상태 즉, 티엔드 화스너 유닛(100)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제5도 참조)가 되어 다음 작동을 반복하므로서 척킹 유닛으로 취출되는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연속적으로 체인연신기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금형에서 성형된 것을 자동으로 취출하는 척킹 유닛이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옆으로 눕혀진 상태로 낙하시킨 것을 자동으로 자세반전시켜 똑바르게 세워줌과 동시 연속해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함께 티엔드 화스너 유닛의 생산공정을 자동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같은 효과는 척킹 유닛에서 눕혀진 상태로 낙하된 것을 똑바르게 세워주는 작업을 인력으로 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인력의 낭비를 막고, 나아가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어 티엔드 화스너 유닛을 저렴한 생산가로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hucking unit which automatically takes out the molded product from the injection mold can be transported continuously at the same time by automatically inverting the posture of dropping the T-end fastener unit in a state of lying on its side.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automat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T-end fastener unit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this effect is a conventional work force to work to straighten the falling down lying in the chucking unit Compared to the technology,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provides the advantage of producing a low-end production unit of the T-end fastener unit by preventing the waste of manpower and further improving the productivity.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5800A KR100237289B1 (en) | 1997-10-29 | 1997-10-29 | 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t-end fastener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5800A KR100237289B1 (en) | 1997-10-29 | 1997-10-29 | 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t-end fastener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4273A KR19990034273A (en) | 1999-05-15 |
KR100237289B1 true KR100237289B1 (en) | 2000-01-15 |
Family
ID=1952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58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7289B1 (en) | 1997-10-29 | 1997-10-29 | 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t-end fastener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3728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60911B2 (en) | 2004-09-10 | 2017-05-23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for sending an acknowledgement to an ingress mesh point in a mesh network and a medium access control frame forma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8957B1 (en) | 2020-06-05 | 2020-09-22 | 권우희 | Ramp for lift |
-
1997
- 1997-10-29 KR KR1019970055800A patent/KR10023728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60911B2 (en) | 2004-09-10 | 2017-05-23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for sending an acknowledgement to an ingress mesh point in a mesh network and a medium access control frame form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4273A (en) | 1999-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55638B2 (en) | Handling system for sausages | |
CN212831342U (en) | Blanking device | |
CN109605662B (en) | Full-automatic 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stacking and pushing type pipe body | |
CN109262954B (en) | Injection molding equipment with go into automatic cycle unloading | |
CN116214160A (en) | Full-automatic assembly system and assembly method | |
CN209903766U (en) | Automatic mobile phone nut feeding machine | |
CN112123800B (en) | Glasses leg pin inserting equipment | |
CN213691982U (en) | A chip assembly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 |
CN112660795A (en) | Assembly line | |
KR100237289B1 (en) | 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t-end fastener unit | |
CN109514252B (en) | Jig strip circulating mechanism of puncture needle assembling machine | |
KR20130101356A (en) | Bun stuffed ejection apparatus for a bun stuffed manufacture system | |
CN105965766A (en) | Intelligent insert conveying, taking and placing integrated system based on remote control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H10218120A (en) | Fruit and vegetable transfer equipment | |
US544138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trays | |
CN218057379U (en) | Glove mold feeding device used in glove processing equipment | |
JPH07117841A (en) | Wire bundle transport device | |
CN209052176U (en) | A kind of stacking machine | |
CN108556252B (en) | Multicol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
CN107696393B (en) | The automatic plasticizing system of mobile phone steel disc | |
CN114310349B (en) | Intelligent clothes hanger telescopic connecting rod assembly production line | |
CN108942144A (en) | Electromagnetic valve assembly assembling method | |
KR100316989B1 (en) | Equipment for suppling and discharging completed products in the inspection system | |
US707689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rticles such as stockings, socks and the like onto the shapes of an ironing machine | |
CN208601016U (en) | Solenoid valve assembly assembly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0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10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1008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