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3646B1 - 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of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 Google Patents

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of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646B1
KR100223646B1 KR1019950051976A KR19950051976A KR100223646B1 KR 100223646 B1 KR100223646 B1 KR 100223646B1 KR 1019950051976 A KR1019950051976 A KR 1019950051976A KR 19950051976 A KR19950051976 A KR 19950051976A KR 100223646 B1 KR100223646 B1 KR 100223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terleaver
deinterleaver
read
address gen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6097A (en
Inventor
여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5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646B1/en
Publication of KR97005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0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646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6Interleaving address gen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글로벌 이동통신시스템(GSM) 단말기의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eaver and a deinterleaver of a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SM) terminal.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2.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GSM 단말기 송, 수신부의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를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는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leaver and a deinterleaver that can implement an interleaver and a deinterleaver of a GSM termi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n hardware.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GSM단말기 송신부의 인터리빙시에는 메모리수단에 음성데이타를 라이트함에 있어 GSM 스펙에서 규정한 수식을 이용하여 발생된 어드레스에 상기 음성데이타를 라이트한후 순차적으로 리드한다. 이후 디인터리빙에서는 순차적으로 상기 메모리수단에 음성데이타를 라이트한후 리드시에는 상기 GSM 스펙에서 규정한 수식을 이용한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음성데이타의 순서를 복원화시킨다.When interleaving the GSM terminal transmitter, the voice data is written to the memory means using the formula defined in the GSM specification. After the deinterleaving, the voice data is sequentially written to the memory means, and at the time of reading, the address is generated using an equation defined in the GSM specification to restore the order of the voice data.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글로벌 이동통신시스템 단말기에 이용한다.Used for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s.

Description

글로벌 이동통신시스템 단말기의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of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제1도는 일반적인 GSM 단말기의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ypical GSM terminal.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중 인터리버(30) 및 디인터리버(52)의 블럭구성도.2A and 2B are block diagrams of the interleaver 30 and the deinterleaver 52 in the first diagram.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중 인터리버 메로리(76)및 디인터리버 메로리(86)의 메모리 맵 구성도.3A and 3B are memory map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interleaver memory 76 and the deinterleaver memory 86 in FIG.

제4도는 풀 레이트(Full Rate) 스피치(speech)의 경우 리드/라이트 순서를 보이기 위한 메모리 맵 구성도.4 is a memory map diagram for showing read / write order in case of full rate speech.

본 발명은 글로벌 이동통신(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GSM 단말기 송, 수신부의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GS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leaver and a deinterleaver of a GSM termi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일반적으로 유럽형 디지탈 셀룰라 통신시스템에서는 GSM을 표준규격으로 채택하고 있다. 상기 GSM규정에서는 인터리빙(interleaving)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에 대하여 입력되는 데이타 비트가 어떠한 순서로 출력되어야 하는가를 수식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예를들면 풀 레이트 스피치(Full Rate Speech)의 경우,In general, European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adopt GSM as a standard. The GSM regulation stipulates only the order in which data bits inputted for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should be output. For example, for Full Rate Speech,

i(B,j) = c(n,k)i (B, j) = c (n, k)

B = Bo+4n+k mod(8)B = Bo + 4n + k mod (8)

j = 2[(49k) mod57] + [(k mod8) div4]의 수식으로 규정한다. 이때 상기 i(B,j)는 인터리빙되어 출력되는 데이타이고, c(n,k)는 컨벌루션 인코더의 출력으로 인터리버의 입력데이타이다. 그리고 n은 몇번째 데이타블럭(block)이 전송 되는지를 나타내며, B는 출력되는 데이타의 버스트(Burst)의 순서를 나타낸다. Bo는 첫 버스트를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0으로 나타난다. k는 입력되는 데이타 블럭내의 비트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이며, j는 출력되는 버스트내에서의 비트 위치를 나타낸다. 통상 플레이트 스피츠의 경우 456비트로 구성된 하나의 데이타 블럭(이를 제1데이타 블럭이라한다)이 입력되어 8개의 버스트로 확산된후 처음 4개의 버스트를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 1개의 버스트는 114비트로 구성되며 다음 제2데이타 블럭이 입력되면 제1데이타 블럭의 남은 4개 버스트와 새로운 4개의 버스트를 이용한 8개의 버스트에 확산되어 제1데이타 블럭의 잔여4개 버스트가 출력된다. 상술한 수식을 이용하면 제1데이타 블럭이 입력되는 경우 n은 0이므로 입력되는 비트 순서인 k가 증가함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타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며,j = 2 [(49k) mod57] + [(k mod8) div4] In this case, i (B, j) is interleaved data and c (n, k) is the input data of the interleaver as the output of the convolutional encoder. N denotes the number of data blocks to be transmitted, and B denotes an order of bursts of the output data. Bo represents the first burst, usually zero. k is a number indicating a bit position in the input data block, and j is a bit position in the output burst. In the case of a plate spitz, one data block composed of 456 bits (called a first data block) is input, spread into eight bursts, and then outputs the first four bursts. In this case, one burst consists of 114 bits, and when the next second data block is input, the remaining four bursts of the first data block and eight bursts using the new four bursts are spread to spread the remaining four bursts of the first data block. Is output. When the first data block is input, n is 0. Therefore, as the input bit order k increases, the order of the output data is determined as follows.

c(0, 0)i(0, 0), c(0, 1)i(1, 98), c(0, 2)i(2, 82)c (0, 0) i (0, 0), c (0, 1) i (1, 98), c (0, 2) i (2, 82)

c(0, 3)i(3, 66), c(0, 4)i(4, 51), c(0, 5)i(5, 33)c (0, 3) i (3, 66), c (0, 4) i (4, 51), c (0, 5) i (5, 33)

c(0, 6)i(6, 19), c(0, 7)i(7, 3), c(0, 8)i(0, 100)…‥ , 이후 다음 제2데이타 블럭이 입력되는 경우 n=1이므로 입력되는 비트 순서인 k가 증가함에 따라 출력 데이타 순서는 다음과 같다.c (0, 6) i (6, 19), c (0, 7) i (7, 3), c (0, 8) i (0, 100)... When the next second data block is input, n = 1, the output data order is as follows, as k, the input bit order, is increased.

c(1, 0)i(4, 0), c(1, 1)i(5, 98), c(1, 2)i(6, 82)c (1, 0) i (4, 0), c (1, 1) i (5, 98), c (1, 2) i (6, 82)

c(1, 3)i(7, 66), c(1, 4)i(8, 51), c(1, 5)i(9, 33)c (1, 3) i (7, 66), c (1, 4) i (8, 51), c (1, 5) i (9, 33)

c(1, 6)i(10, 19), c(1, 7)i(11, 3), c(1, 8)i(4, 100)…‥ , 상술한 데이타 출력 순서의 결정에 있어서, 제1데이타 블럭의 2번째 비트는 2번째 버스트의 99번째로 출력되고, 제1데이타 블럭의 6번째 비트는 6번째 버스트의 34번째로 출력된다. 또한 제2데이타 블럭의 2번째 비트는 6번째 버스트의 99번째로 출력되고, 제2데이타 블럭의 6번째 비트는 10번째 버스트의 34번째로 출력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데이타의 경우는 456비트 1개의 데이타 블럭이 입력되어 22개 버스트구간에 확산된후 4개의 버스트씩 출력된다. 그리고 컨트롤 채널(control channel)인 SACCH(Slow Associated Control Channel), SDCCH는 456비트 1개의 데이타 블럭이 입력되어 4개의 버스트에 확산된후 정해진 곳에서 1버스트씩 출력된다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SCH(Synchronize Channel)는 각각 36비트와 78비트로 구성된 1개의 데이타 블럭이 입력되어 1개의 버스트로 비트순서의 교환없이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GSM 규정에서는 수식적으로 인터리빙 및 디인터리빙에 대하여 규정하여 놓고 있으나 실제 하드웨어로 제작하는데 있어서의 규정은 제시해 놓고 있지 않다.c (1, 6) i (10, 19), c (1, 7) i (11, 3), c (1, 8) i (4, 100)... In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of the data output order, the second bit of the first data block is output to the 99th of the second burst, and the sixth bit of the first data block is output to the 34th of the sixth burs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bit of the second data block is output to the 99th of the sixth burst, and the sixth bit of the second data block is output to the 34th of the tenth burst. In the case of data, one 456-bit data block is input, spread over 22 burst sections, and then output by four bursts. The SACCH (SACCH), SDCCH, which is a control channel, is inputted with one block of 456 bits, spread over four bursts, and output one burst at a predetermined location. RACH (Random Access Channel) and SCH (Synchronize Channel) is inputted with one data block consisting of 36 bits and 78 bits, respectively, and outputted without changing bit order in one burst. As described above, the GSM regulations formally define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However, the provisions of actual hardware are not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GSM 단말기 송, 수신부의 인터리빙 및 디인터리빙을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는 인터리버 및 디인터리버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leaver and a deinterleaver that can implement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of a GSM termi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n hardwa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송로상에서의 버스트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송화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디코딩 데이타를 인터리빙하기 위한 인터리버 메모리와; 입력 데이터 비트가 어떠한 순서로 출력되어야 하는가를 규정해 놓은 글로벌 이동시스템의 스펙에 따라 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와;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에 라이트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리드하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리드 어드레스 발생부와;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와 리드 어드레스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를 인터리브 리드/라이트 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로 선택출력하는 선택기로 구성되는 인터리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leaver memory for interleaving voice decoded data transmitted from a talker of the terminal to prevent burst error on a transmission path; A write address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write address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ation of a global mobile system that defines in what order the input data bits should be output; A read address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ead address for sequentially reading data written to the interleaver memory; And an interleaver configured to select and output an address output from the write address generator and the read address generator to the interleaver memory according to a logic state of an interleave read / write signal.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되기 이전의 복원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를 디인터리빙시키기 위한 디인터리브 메모리와; 상기 복원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순차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와;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라이트되어 있는 복원 데이터가 상기 글로벌 이동시스템의 스펙에 따라 리드되도록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리드 어드레스 발생부와; 디인터리브 리드/라이트 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상기 리드 어드레스 발생부와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중 하나를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로 선택출력하는 선택기로 구성되는 디인터리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deinterleaved memory for inputting and deinterleaving restoration data before encryption; A write address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equential address of the terminal from the restored data; A read address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ead address so that the restoration data written to the deinterleaver memory is rea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global mobile system; And a deinterleaver comprising a selector for selectively outputting one of the signals input from the read address generator and the write address generator to the deinterleaver memory according to a logic state of the deinterleave read / write sig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데이타 블럭의 비트수, 버스트 갯수와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슬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such as the number of bits and the number of bursts of specific data blocks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GSM 단말기의 블럭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GSM단말기는 크게 송신부와 수신부로 구성되어 진다. 먼저 송신부를 살펴보면, 송화기(2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22)에 의해 디지탈데이타로 변환되어 블럭 인코더(block encoder)(24)에서 CRC(Cyclic Redunancy Code)비트와 테일(tail)비트가 추가된후 비트 오더링(bit ordering)부(26)에 의해 비트의 전송순서가 뒤바뀐 다음에 컨벌루션(convolution) 인코더(28)에 인가된다. 이때 컴퓨터와 같은 주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는 데이타 인터페이스(64)를 통해 컨벌루션 인코더(28)에 직접 입력된다. 컨벌루션 인코더(28)에 의해 인코딩된 데이타는 인터리버(interleaver)(30)에 입력되어 전송로상에서의 버스트 에러(burst error)를 방지하기 위해 인터리빙된다. 인터리빙된 데이타는 암호화기(32)에 의해 암호화(ciphering)되고 버스트 빌더(burst builder)(34)에서 전송규격에 따른 노말버스트구조로 재편성된후 GMSK(Gaussian Minimum Shift Keying)변조기(36)에서 변조된다. 이와같이 GMSK 변조된 데이타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38)에 의해 아나로그신호로 변환되어 RF(Radio Frequency) 송신기(40)를 거쳐 안테나(42)를 통해 기지국(base station)으로 무선 전송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SM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SM terminal is composed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First, referring to the transmitter,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transmitter 20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by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22, and the cyclic redunancy code (CRC) bits of the block encoder 24 are converted into digital data. After the tail bit is added, the bit ordering unit 26 is applied to the convolutional encoder 28 after the bit order is reversed. At this time, data input from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computer is directly input to the convolutional encoder 28 through the data interface 64. Data encoded by the convolutional encoder 28 is input to an interleaver 30 and interleaved to prevent burst errors on the transmission path. The interleaved data is ciphered by the encryptor 32 and reorganized into a burst structur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tandard in the burst builder 34 and then modulated in the GMSK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modulator 36. do. The GMSK-modulated data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38 and wirelessly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42 via an RF (Radio Frequency) transmitter 40. .

한편 GSM 단말기 수신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진 신호는 안테나(42)를 통해 RF수신기(44)에 수신되어 ADC(46)에 의해 디지탈데이타로 변환된후 GMSK복조 및 등화기(equalizer)(48)에서 복조된다. 이후 해독기(50)에서 암호화되기 이전의 데이타로 복원되고 디인터리버(deinterleaver)(52)에 의해 디인터리빙됨으로써 인터리빙 이전의 상태로 된후 컨벌루션 디코더(54)에 인가된다. 컨벌루션 디코더(54)에 의해 비터비(Viterbi) 디코딩된 출력중에서 데이타는 데이타 인터페이스(64)를 거쳐 주변장치로 전송되고, 음성데이타는 비트 디오더링(bit deordering)부(56)와 블럭디코더(58)를 거쳐 DAC(60)에 의해 아나로그신호로 변환된후 수화기(62)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GSM terminal receive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by the RF receiver 44 through the antenna 42 and converted into digital data by the ADC 46 and then GMSK demodulation and equalizer ( Demodulated at 48). It is then restored to the data before it is encrypted in the decryptor 50 and deinterleaved by the deinterleaver 52 to be brought into a state before interleaving and applied to the convolutional decoder 54. In the Viterbi-decoded output by the convolutional decoder 54, data is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device via the data interface 64, and the voice data is the bit deordering unit 56 and the block decoder 58. After being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DAC (60) through the receiver 62 is output as a voice.

제2a도는 제1도중 본 발명에 따른 인터리버(30)의 블럭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2a도에서 인터리빙 라이트 어드레스 제너레이터(70)는 GSM SPEC에서 규정한 수식에 따른 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멀티플렉서(74)의 P1을 통해 인터리버 메모리(76)로 출력한다. 리드 어드레스 제너레이터(72)는 순차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멀티플렉서(74)의 P2를 통해 인터리버 메모리(76)로 출력한다. 멀티플렉서(74)는 P3를 통해 입력되는 인터리버(30) 리드/라이트 신호 IN R/W에 의해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및 리드 어드레스를 선택 제어하여 출력한다. 이때 인터리버 메모리(76)는 멀티플렉서(74)를 통해 입력되는 라이트 어드레스에 컨벌루션 인코더(28)로부터 전송된 디코딩 데이타 Txc(Transmit Convolution Encoder Oupput)를 라이트 한다. 이후 데이타 라이트가 종료하면 인터리버 메모리(76)는 멀티플렉서(74)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리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출력하게 된다. 이하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7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Txi(Transmit Interleaving)라 정의한다. 우선 인터리버(30)에서는 컨벌루션 인코더(28)로부터 전송된 디코딩 데이타 Txc를 인터리버 메모리(76)에 라이트하는 경우, 인터리빙 라이트 어드레스 제너레이터(70)는 GSM SPEC에서 규정한 수식에 따른 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해당 라이트 어드레스에 상기 디코딩 데이타 Txc를 라이트한다. 이때 인터리버(30)에 입력되는 디코딩 데이타는 데이타 블럭단위로 입력되고, 1개의 데이타 블럭이 입력되는 경우 인터리빙 라이트 어드레스 제너레이터(70)는 GSM SPEC 규격에서 정한 수식에 따른 버스트 만큼의 영역을 이용하여 확산시킨다. 이후 데이타 라이트가 완료되면 리드 어드레스 제너레이터(72)는 순차적인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해당 리드 어드레스의 데이타를 리드하여 출력한다. 즉 데이타 리드는 버스트 Bø의 ø비트부터 순차적으로 리드하므로 일찍 입력된 디코딩 데이타 Txc라 할지라도 인터리버 메모리(76)의 뒷단에 라이트되면 늦게 출력된다. 이를 이용하여 인터리버(30)의 출력 데이타 Txi의 순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7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 Txi는 4개의 버스트씩 리드되어 출력된다. 즉 리드 어드레스 제너레이터(72)에 의해 발생되는 리드 어드레스는 제1데이타 블럭인 경우 다음과 같으며,2a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interleav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A, the interleaving write address generator 70 generates a write address according to a formula defined by the GSM SPEC and outputs the write address to the interleaver memory 76 through P1 of the multiplexer 74. The read address generator 72 sequentially generates read addresses and outputs the read addresses to the interleaver memory 76 through P2 of the multiplexer 74. The multiplexer 74 selects and outputs the write address and read address by the interleaver 30 read / write signal IN R / W input through P3. At this time, the interleaver memory 76 writes the decoded data Txc (Transmit Convolution Encoder Oupput) transmitted from the convolutional encoder 28 to the write address input through the multiplexer 74. Thereafter, when the data write is completed, the interleaver memory 76 outputs data corresponding to read addresses sequentially input through the multiplexer 74. Hereinafter, data output from the interleaver memory 76 is defined as Txi (Transmit Interleaving). First, when the interleaver 30 writes the decoded data Txc transmitted from the convolutional encoder 28 to the interleaver memory 76, the interleaving write address generator 70 generates a write address according to the formula defined in the GSM SPEC and generates the write address. The decoding data Txc is written to the write address. At this time, the decoded data input to the interleaver 30 is input in units of data blocks, and when one data block is input, the interleaving write address generator 70 spreads us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 burst according to the formula defined in the GSM SPEC standard. Let's do it. After the data write is completed, the read address generator 72 generates a sequential read address and reads and outputs data of the read address. That is, since the data read is sequentially read from the bit of? B of the burst B ?, even if the decoded data Txc entered earlier is written to the rear end of the interleaver memory 76, it is output late. By using this, the order of the output data Txi of the interleaver 30 can be changed, and the data Txi output from the interleaver memory 76 is read out by four bursts. That is, the read address generated by the read address generator 72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first data block.

Bø(ø)Bø(1)Bø(2)Bø(113)B1(ø)B1(1)B1(113)B2(ø)…B2(113)B3(ø)B3(1)B3(113).Bø (ø) Bø (1) Bø (2) Bø (113) B1 (ø) B1 (1) B1 (113) B2 (ø) … B2 (113) B3 (ø) B3 (1) B3 (113).

제2데이타 블럭인 경우, B4(ø)B4(1)B4(113)B5(ø)B5(113)B6(ø)…B6(113)B7(ø)B7(113)와 같다.B4 (ø) for the second data block B4 (1) B4 (113) B5 (ø) B5 (113) B6 (ø) … B6 (113) B7 (ø) Same as B7 (113).

제2b도는 제1도중 디인터리버(52)의 블럭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디인터리빙은 인터리빙의 역으로 수행된다. 제2b도에서 라이트 어드레스 제너레이터(80)는 인터리버(30)의 리드 어드레스 제너레이터(72)와 같은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멀티플렉서(84)의 P4를 통해 디인터리버 메모리(86)로 출력한다. 디인터리빙 리드 어드레스 제너레이터(82)는 GSM SPEC의 수식에서 얻어진 값과 일치하는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멀티플렉서(84)의 P5를 통해 디인터리버 메모리(86)로 출력한다. 멀티플렉서(84)는 P6를 통해 입력되는 디인터리버(52) 리드/라이트 신호 DIN R/W에 의해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및 리드 어드레스를 선택 제어하여 출력한다. 이때 디인터리버 메모리(86)는 멀티플렉서(84)를 통해 입력되는 라이트 어드레스에 해독기(5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 Rxdci(Receive Deciphering Output)를 라이트한다. 이후 데이타 라이트가 종료하면 디인터리버 메모리(86)는 멀티플렉서(84)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디인터리빙 리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출력함으로서 인터리빙된 데이타 순서를 처음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86)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Rxdi(Receive Deinterleaving Output)라 정의한다.FIG. 2B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deinterleaver 52 in FIG. 1 and the deinterleaving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f interleaving. In FIG. 2B, the write address generator 80 sequentially generates the same address as the read address generator 72 of the interleaver 30 and outputs the same address to the deinterleaver memory 86 through P4 of the multiplexer 84. The deinterleaving read address generator 82 generates an address matching the value obtained by the equation of GSM SPEC and outputs it to the deinterleaver memory 86 through P5 of the multiplexer 84. The multiplexer 84 selects and outputs the write address and read address by the deinterleaver 52 read / write signal DIN R / W input through P6. At this time, the deinterleaver memory 86 writes data Rxdci (Receive Deciphering Output) transmitted from the decoder 50 to the write address input through the multiplexer 84. Thereafter, when the data write ends, the deinterleaver memory 86 outputs data corresponding to the deinterleaving read addresses sequentially input through the multiplexer 84 to restore the interleaved data order for the first time. Hereinafter, data output from the deinterleaver memory 86 is defined as Rxdi (Receive Deinterleaving Output).

제3a도 및 제3b도는 인터리버(30) 및 디인터리버(52)에서 각각 사용되는 메모리(76,86)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것으로 횡축의 Bø,B1,B2,····,B24,B25는 버스트 영역을 나타내며 종축의 ø,1,2,3,····,113은 각 버스트(B)내의 비트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인터리버 메모리(76)(제3a도)에서는 음성 데이타의 인터리빙시 확산되는 최대영역은 8버스트이므로 Bø부터 B7까지 사용하여 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8버스트가 넘는 부분은 제1데이타 블럭의 라이트 및 리드가 종료되었을때 4버스트부분의 데이타는 이미 출력되었으므로 이를 다시 사용하면 된다. 한편 주변장치로 부터의 데이타 입력시는 총 22개 버스트로 확산되므로 22개의 버스트영역이 필요하다. 그러나 음성데이타와 주변장치로부터의 데이타는 겹쳐서 들어오지 않으므로 같은 메모리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음성데이타는 버스트 Bø∼B7영역을 사용하고 주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는 버스트 Bø∼B21을 사용한다. 또한 컨트롤 데이타중 FACCH(Fast Associated Control Channel)는 데이타를 스틸링(stealing)함으로서 버스트 Bø∼B2중 임의의 4개의 버스트만을 사용한다. 그리고 음성 데이타 및 데이타 중간에 입력되는 SACCH는 1데이타 블럭의 데이타를 4개의 버스트영역에 라이트한후 일정시간마다 1버스트씩 출력해야 하므로 별도의 영역(B22∼B25)을 할당해서 데이타의 손실이 없게 한다. 즉 컨트롤 신호만을 전송할 경우 RACH는 버스트 Bø를 이용하고, SACCH는 버스트 B22∼B25를 이용한다.3A and 3B show schematic structures of the memories 76 and 86 used in the interleaver 30 and the deinterleaver 52, respectively, and B24, B25 on the horizontal axis. Denotes a burst area, and?, 1, 2, 3, ..., 113 of the vertical axis indicate bit positions in each burst B. FIG. First, in the interleaver memory 76 (FIG. 3A), since the maximum area spread during interleaving of voice data is 8 bursts, interleaving can be performed using B? To B7. In other words, when the writing and reading of the first data block is over for the part over 8 bursts, the data in the 4 burst parts has already been output and can be used again. On the other hand, 22 burst areas are required since data input from peripheral devices is spread over 22 bursts. However, since voice data and data from peripheral devices do not overlap, the same memory area can be used. That is, audio data uses bursts B? -B7, and data input from peripheral devices uses bursts B? -B21. In addition, the fast associated control channel (FACCH) of the control data uses only four bursts of the bursts B? B2 by stealing the data. The SACCH input between the voice data and the data should be written one burst of data in four burst areas and then output one burst every given time so that separate areas (B22 to B25) are allocated so that there is no loss of data. do. That is, when only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he RACH uses burst B? And the SACCH uses bursts B22 to B25.

제3b도는 디인터리버 메모리(86)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인터리버 메모리(76)의 사용영역이외에 SCH용 버스트영영 B26을 별도로 설치한다. 그 이유는 음성데이타나 컨트롤 데이타의 중간에 SCH데이타가 입력될 수 있기 때문에 음성 데이타 및 컨트롤 데이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구조를 설정함으로서 공유할 수 있는 버스트영역을 최대한으로 공유하여 메모리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3B shows the structure of the deinterleaver memory 86. In addition to the use area of the interleaver memory 76, a burst young B26 for SCH is separately provided. The reason is that SCH data can be input in the middle of the voice data or the control data,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voice data and the control data. By setting the memory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emory size by sharing the burst area that can be shared to the maximum.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풀 레이트 스피치의 경우 메모리에 데이타를 라이트/리드 하기 위한 순서를 보인 메모리 구성도이다. 우선 인터리빙시의 동작을 살펴보면, 처음 입력되는 제1데이타 블럭의 데이타는 실선의 순서에 따라 8개의 버스트영역(Bø∼B7)에 라이트 된다. 이후 라이트된 데이타를 리드하는 경우 버스트 BøB1B2B3의 순서로 리드한다. 이를 입력된 데이타의 순서로 나타내면 i(0, 0)Xi(0, 64)Xi(0, 128)Xi(0, 392)Xi(0, 57)…으로 출력된다.(상기 X는 데이타가 없는 것을 나타냄). 처음 데이타가 들어오는 경우 456 비트를 8개의 버스트에 확산시키므로 처음 4개의 버스트 영역의 반은 채워지지 않는다. 이후 다음 데이타 블럭이 입력되면 점선의 순서로 라이트된다. 라이트가 종료된후 다음 4개의 버스트를 B4B5B6B7의 순서로 리드한다. 즉 i(1, 0)i(0, 228)i(1, 64)i(0, 982)…i(0, 4)…i(1, 392)i(0, 164)i(1, 57)i(0, 285)…의 순서로 리드된다. 따라서 GSM SPEC에 규정한 인터리빙을 만족하게 된다. 이후 인터리빙된 데이타를 다시 처음의 데이타로 복원하기 위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라이트를 처음 들어온 4개의 버스트를 BøB1B2B3의 순서로 라이트한다. 그러나 최초의 데이타 블럭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8개의 버스트가 필요하므로 4개의 버스트가 추가로 라이트된후에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즉 다음 4개의 버스트가 B4B5B6B7의 순서로 라이트된후 제4도에 도시된 실선의 순서에 따라 리드하는 경우의 데이타 출력은 i(0, 0)i(0, 1)i(0, 2)i(0, 3)…와 같다. 이후 다음 4개의 버스트가 추가로 입력되어 BøB1B2B3의 순서로 라이트된후 제4도에 도시된 점선의 순서에 따라 리드하면 다음의 순서로 데이타가 출력된다. i(1, 0)i(1, 1)i(1, 2)i(1, 3)…. 따라서 인터리빙된 데이타가 디인터리빙을 거치면서 완전히 최초의 데이타로 복원됨을 알 수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configuration showing a procedure for writing / reading data into a memory in the case of full rate 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the interleaving operation, the data of the first input data block is first written to eight burst areas B? B7 in the order of the solid lines. Burst Bø for reading subsequent written data B1 B2 Leads in the order of B3. If this is expressed in the order of the input data, i (0, 0) X i (0, 64) X i (0, 128) X i (0, 392) X i (0, 57) … (Where X represents no data). When the first data comes in, 456 bits are spread across eight bursts, so half of the first four burst regions are not filled. After that, when the next data block is input, it is written in the order of the dotted line. After the light is finished, the next four bursts are B4 B5 B6 Leads in the order of B7. I (1, 0) i (0, 228) i (1, 64) i (0, 982) … i (0, 4) … i (1, 392) i (0, 164) i (1, 57) i (0, 285) … Leads in order. Therefore, the interleaving defined in the GSM SPEC is satisfied. Then, the procedure for restoring the interleaved data back to the first data is as follows. The first four bursts B1 B2 Write in the order of B3. However, since eight bursts are required to restore the first data block, deinterleaving is performed after four additional bursts are written. The next four bursts are B4 B5 B6 After writing in the order of B7 and reading in the order of the solid line shown in FIG. 4, the data output is i (0, 0) i (0, 1) i (0, 2) i (0, 3) … Same as Afterwards, the next four bursts are added to Bø B1 B2 After writing in the order of B3 and reading in the order of the dotted lines shown in FIG. 4, data is output in the following order. i (1, 0) i (1, 1) i (1, 2) i (1, 3) …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leaved data is completely restored to the original data through deinterleav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SM 단말기 송, 수신부의 인터리빙 및 디인터리빙을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hardware can implement the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of the GSM termi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Claims (2)

글로벌 이동통신시스템 단말기의 인터리버에 있어서,In an interleaver of a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전송로상에서의 버스트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송화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디코딩 데이타를 인터리빙하기 위한 인터리버 메모리와,An interleaver memory for interleaving voice decoded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of the terminal to prevent burst error on a transmission path; 입력 데이터 비트가 어떠한 순서로 출력되어야 하는가를 규정해 놓은 글로벌 이동시스템의 스펙에 따라 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와,A write address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write addresses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 of the global mobile system that defines the order in which the input data bits should be output;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에 라이트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리드하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리드 어드레스 발생부와,A read address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ead address for sequentially reading data written to the interleaver memory;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와 리드 어드레스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를 인터리브 리드/라이트 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로 선택출력하는 선택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이동통신시스템 단말기의 인터리버.And a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an address output from the write address generator and the read address generator to the interleaver memory according to a logic state of an interleave read / write signal. 글로벌 이동통신시스템 단말기의 디인터리버에 있어서,In the deinterleaver of the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암호화되기 이전의 복원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를 디인터리빙시키기 위한 디인터리버 메모리와,A deinterleaver memory for inputting and deinterleaving restoration data before encryption; 상기 복원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인터리버 출력데이터의 순으로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라이트되도록 순차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와,A write address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equential address so that the decompression data is written to the deinterleaver memory in the order of the interleaver output data of the terminal;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라이트되어 있는 복원 데이터가 상기 글로벌 이동시스템의 스펙에 따라 리드되도록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리드 어드레스 발생부와,A read address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ead address so that the restoration data written to the deinterleaver memory is rea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global mobile system; 디인터리브 리드/라이트 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상기 리드 어드레스 발생부와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중 하나를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로 선택출력하는 선택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이동통신 시스템 단말기의 디인터리버.And a selector for selectively outputting one of the signals input from the read address generator and the write address generator to the deinterleaver memory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deinterleave read / write signal. Interleaver.
KR1019950051976A 1995-12-19 1995-12-19 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of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Expired - Fee Related KR1002236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976A KR100223646B1 (en) 1995-12-19 1995-12-19 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of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976A KR100223646B1 (en) 1995-12-19 1995-12-19 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of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097A KR970056097A (en) 1997-07-31
KR100223646B1 true KR100223646B1 (en) 1999-10-15

Family

ID=1944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9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3646B1 (en) 1995-12-19 1995-12-19 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of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6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147B1 (en) * 1998-12-09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frceiving transport channel multiplexing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097A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5693B2 (en) Interleaving process
US82491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nfigurable channel coding
KR100502384B1 (en)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method for digital data,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devices, and communication sysem
US6064664A (en) Base-band interleaver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5923713A (en) Viterbi decoder
US5659580A (en) Data interleaver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having a contiguous counter and an address twister
US7269208B2 (en) Device for sending/receiving digital data capable of processing different bit rates, in particular in a VDSL environment
JP3655872B2 (en) Err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cyclic code
US5566183A (en) System and method for deinterleaving digital data
EP0892501A1 (en) Convolutional interleaver and convolutional de-interleaver
KR100223646B1 (en) 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of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CN100426713C (en) Error correcting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to which this communication method is applied
WO2007045642A1 (en) Intelligent table-driven interleaving
US2009007743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bit-level coding and decoding of turbo codes
KR20020030170A (en) Method for turbo decoding
JP416674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terleaving method and deinterleaving method thereof
US9071279B2 (en) Turbo decoder input reordering
KR100291591B1 (en) Symbol-bit wise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method
GB2294616A (en) Data interleaving process for radio transmission
JPH1168734A (en) Interleave device and de-interleave device
JPH0695960A (en) Interleaving circuit and deinterelaving circuit
JP2001236016A (en) De-scramble and de-interleave processing circuit
JP2001237714A (en) Interleave method and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7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71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